[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721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213A
KR20090007213A KR1020080061824A KR20080061824A KR20090007213A KR 20090007213 A KR20090007213 A KR 20090007213A KR 1020080061824 A KR1020080061824 A KR 1020080061824A KR 20080061824 A KR20080061824 A KR 20080061824A KR 20090007213 A KR20090007213 A KR 2009000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width direction
electrical connector
wid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140B1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1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더미의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추가하거나 실드 커버의 형상을 바꾸거나 하는 일 없이 양호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구성]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을 갖는 보디(100), 및 보디(100) 내에 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상단, 하단 콘택트군(200a, 200b)을 구비한다. 하단 콘택트군(200b)의 콘택트(201b)의 본체부(2012b)의 폭 면적은 상단, 하단 콘택트군(200a, 200b)의 다른 신호용 콘택트와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주로 고속 디지털 신호 전송에 사용되며, 양호한 임피던스 정합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는 절연성을 갖는 보디에 콘택트군이 상기 보디의 폭 방향으로 2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 콘택트는 고속 디지털 신호 전송용 차동 페어와 한 쌍의 신호용 콘택트 및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복수개 갖고 있다.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일부는 한 쌍의 신호용 콘택트의 일부보다 폭이 넓고, 한 쌍의 신호용 콘택트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차동 페어 내 및 차동 페어 간의 콘택트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2003-505826호 공보
그러나, 콘택트군의 최단에 위치하는 차동 페어 내의 한쪽의 신호용 콘택트는 그 한쪽 편에 그라운드용 콘택트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차동 페어 내의 다른쪽의 신호용 콘택트와 비교해서 그라운드용 콘택트 사이의 정전 용량이 낮아지고, 임피던스가 높아진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없어 커넥터의 전송 특성이 열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상기 한쪽의 신호용 콘택트 근처에 더미의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배치하거나 상기 전기 커넥터의 실드 커버의 일부를 상기 한쪽의 신호용 콘택트에 접근시키면 임피던스 정합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더미의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추가하거나 실드 커버의 형상을 바꾸거나 하면 부품 점수나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여 고비용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더미의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추가하거나 실드 커버의 형상을 바꾸거나 하는 일 없이 양호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을 갖는 보디와, 보디 내에 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열로 배열되는 콘택트군을 구비하고 있고 콘택트군은 복수개의 제 1 콘택트와, 이 제 1 콘택트와 다른 열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해당 제 1 콘택트와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제 2 콘택트를 갖고,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제 2 콘택트의 한쪽의 폭 면적이 다른 제 1, 제 2 콘택트 간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의한 경우,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제 2 콘택트의 한쪽의 폭 면적이 다른 제 1, 제 2 콘택트 간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되어 있으므로, 더미의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추가하거나 실드 커버의 형상을 바꾸거나 하는 일 없이 상기 제 1, 제 2 콘택트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고비용이 되는 일 없이 커넥터의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제 2 콘택트는 콘택트군의 보디의 폭 방향의 최단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콘택트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단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콘택트 중 한쪽의 폭 면적을 다른 제 1, 제 2 콘택트 간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한다.
콘택트군은 신호용 콘택트인 한 쌍의 제 1 콘택트와 그라운드용 콘택트인 제 2 콘택트를 1세트로 하고, 복수개의 상기 세트가 보디의 폭 방향으로 상하 위치 관계를 교대로 반대로 하여 배열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한 쌍의 제 1 콘택트가 같은 세트의 제 2 콘택트에 대향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제 1 콘택트 근처에 다른 세트의 제 2 콘택트가 배치되므로, 상기 한 쌍의 제 1 콘택트 간의 임피던스 정합 및 크로스토크(crosstalk)의 저감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장점이 있다.
제 2 콘택트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한 쌍의 제 1 콘택트의 폭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한 쌍의 제 1 콘택트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장점이 있다.
콘택트군의 보디의 폭 방향의 최단에 위치하는 제 2 콘택트의 외측의 단부가 최단에 위치하는 제 1 콘택트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는 폭 면적을 N1로 하고, 다른 제 2 콘택트의 외측의 단부가 다른 제 1 콘택트의 내측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는 폭 면적을 N2로 했을 때, N1>N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더미의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추가하거나 실드 커버의 형상을 바꾸거나 하는 일 없이 상기 최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 콘택트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콘택트가 보디에 유지되는 제 1 본체부와, 이 제 1 본체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보디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1 접점부와, 제 1 본체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보디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1 도출부와, 이 제 1 도출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제 1 리드부를 갖고, 제 2 콘택트가 폭 방향의 단부가 상기 제 1 본체부의 폭 방향의 단부와 평면 위치가 겹치도록 보디에 유지되는 제 2 본체부와, 이 제 2 본체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보디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2 접점부와, 제 2 본체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보디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2 도출부와, 이 제 2 도출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제 2 리드부를 갖는 경우, 콘택트군의 보디의 폭 방향의 최단에 위치하는 제 2 콘택트의 제 2 본체부의 외측의 단부가 상기 최단에 위치하는 제 1 콘택트의 제 1 본체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쳐지는 폭 면적을 N1로 하고, 다른 제 2 콘택트의 제 2 본체부의 외측의 단부가 다른 제 1 콘택트의 제 1 본체부의 내측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쳐지는 폭 면적을 N2로 했을 때, N1>N2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도로서, (a)는 실드 커버부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실드 커버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군이 장착된 보디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군이 장착된 보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개략적인 평면도, (b)는 개략적인 저면도, 도 7(a)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제 1, 제 2 콘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b)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최단에 위치하는 제 2 콘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는 고속 차동 전송 대응의 기판 실장형 리셉터클로서, 절연성을 갖는 보디(100)와, 보디(100) 내에 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상단, 하단 콘택트군(200a, 200b)과, 보디(100) 외주를 덮는 실드 커버(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디(100)는, 도 1,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커먼의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한 것으로서, 플러그(A)가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디(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정면 측에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A)의 선단 오목부에 삽입되는 정면으로 볼 때 대략 역 U자 형상의 볼록부(120)와, 본체부(110)의 하방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대략 판 형상의 베이스부(130)와, 베이스부(130)의 저면에 하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도시하지 않는 구멍 부분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보스(140)를 갖고 있다.
보디(100)의 본체부(110)의 중앙부에는 플러그(A)의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여 단자 삽입 구멍(111a, 111b)이 등 피치 간격으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고, 또한 2단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단자 삽입 구멍(111a)과 단자 삽입 구멍(111b)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의 단부 끼리가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자 삽입 구멍(111a, 111b)은 상단, 하단 콘택트군(200a, 200b)의 본체부 (2012a, 2022b)에 대응하는 가로로 긴 각이 진 형의 관통 구멍이며, 상단, 하단에 10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 20개의 단자 삽입 구멍 중 도 1의 하단 우단의 단자 삽입 구멍(111b') 이외의 단자 삽입 구멍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우단의 단자 삽입 구멍(111b')은 다른 단자 삽입 구멍(111a, 111b)보다 폭이 넓고 또한 하단 콘택트군(200b)의 본체부(2012b)에 대응하는 가로로 긴 각이 진 형의 관통 구멍이다. 또한, 상기 우단의 단자 삽입 구멍(111b')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를 붙여서 다른 단자 삽입 구멍(111b)과 구별한다.
본체부(110)의 배면부에는, 도 3(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12)의 내측면에는 단자 삽입 구멍(111a, 111b) 의 하방 위치에 단자 삽입 홈(113)이 하방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자 삽입 홈(113)이 상단, 하단 콘택트군(200a, 200b)의 도출부(2013a, 2013b)에 대응하는 가로폭을 갖는 긴 홈으로서,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보디(100)의 볼록부(120)의 표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단자 삽입 구멍(111a)에 연통한 단자 가이드 홈(121a)이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0)의 하면에는 본체부(110)의 단자 삽입 구멍(111b)에 연통한 단자 가이드 홈(121b)이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가이드 홈(121a, 121b)은 상단, 하단 콘택트군(200a, 200b)의 접점부(2011a, 2011b)에 대응하는 가로 폭을 갖는 홈으로서, 단자 삽입 구멍(111a, 111b)과 마찬가지로 폭 방향으로 위상이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다.
실드 커버(300)는,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A)가 보디(100)에 감합된 상태로 해당 플러그(A)의 외주 실드(도시하지 않음)에 접촉 가능한 금속제 쉘로서, 커버 본체(310)와, 커버 본체(310)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320)와, 커버 본체(310)의 배면측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백 커버부(330)를 갖고 있다.
커버 본체(310)는 보디(100)의 본체부(110)에 감합하고, 해당 본체부(110) 및 볼록부(120)의 상하 좌우 네면[즉, 본체부(110) 및 볼록부(120)의 외주]을 덮는 대략 각이 진 통체이다.
각 다리부(320)는 상기 기판의 도시하지 않는 설치 구멍에 삽입되어 해당 기판의 그라운드용 패턴에 접속된다.
백 커버부(330)는 상단부가 커버 본체(310)의 배면측의 개구 상부 가장자리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이 백 커버부(330)는 커버 본체(310)의 배면측의 개구를 폐쇄하고, 보디(100)의 본체부(110)의 배면부를 덮게 되어 있다.
상단 콘택트군(200a)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201a ~ 210a)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단 콘택트군(200b)은 콘택트(201b ~ 210b)로 구성되어 있다.
콘택트(201a)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A)가 보디(100)의 볼록부(120)에 감합된 상태에서 해당 플러그(A)의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촉 가능한 판 형상의 접점부(2011a)와, 접점부(2011a)의 후단에 연이어져 형성되는 접점부(2011a)보다 폭넓은 판형상체이고 또한 보디(100)의 단자 삽입 구멍(111a)에 압입되는 본체부(2012a)와, 본체부(2012a)의 후단에 연이어지고 또한 보디(100)의 배면을 따르도록 대략 직각으로 굽혀서 형성된 막대 형상의 도출부(2013a)와, 도출부(2013a)의 후단에 연이어져 대략 직각으로 굽혀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판상의 패턴에 접속되는 막대 형상의 리드부(2014a)를 갖고 있다.
콘택트(202b)는 플러그(A)가 보디(100)의 볼록부(120)에 감합된 상태에서 플러그(A)의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촉 가능한 판 형상의 접점부(2021b)와, 접점부(2021b)의 후단에 연이어져 형성되는 접점부(2021b)보다 폭넓은 판형상체이고 또한 보디(100)의 단자 삽입 구멍(111b)에 압입되는 본체부(2022b)와, 본체부(2022b)의 후단에 연이어지고 또한 보디(100)의 배면을 따르도록 대략 직각으로 굽혀서 형 성된 막대 형상의 도출부(2023b)와, 도출부(2023b)의 후단에 연이어져 대략 직각으로 굽혀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판 상의 패턴에 접속되는 막대 형상의 리드부(2024b)를 갖고 있다.
콘택트(201a)와 콘택트(202b)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단차 분만큼 도출부(2013a)의 길이가 도출부(2023b)에 비해 긴 점이 다르다. 콘택트(202a, 204a, 205a, 208a, 209a)는 콘택트(201a)와 같은 것이다. 콘택트(203a, 206a, 207a, 210a)는 접점부(2031a, 2061a, 2071a, 2101a)의 길이 치수가 콘택트 (201a)의 접점부(2011a)의 길이 치수보다 긴 점 이외에는 해당 콘택트(201a)와 같은 것이다.
콘택트(203b, 205b, 206b, 209b)는 콘택트(202b)와 같은 것이다. 콘택트(204b, 207b, 208b, 210b)는 접점부(2041b, 2071b, 2081b, 2101b)의 길이 치수가 콘택트(202b)의 접점부(2021b)의 길이 치수보다 긴 점 이외에는 해당 콘택트(202b)와 같은 것이다.
콘택트(201b)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2011b)의 길이 치수가 콘택트(202b)의 접점부(2021b)의 길이 치수보다 긴 점 및 본체부(2012b)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판 형상의 연장부(2012b1)가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해당 콘택트(202b)와 같은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전원 라인 또는 싱글 엔드 신호 외에 제 1 내지 제 5의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콘택트(207a, 210a, 207b, 209b, 210b)는 상기 기판의 패턴에 접속됨으로써 전원 라인 또는 싱글 엔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콘택트로서 기능한다. 콘택트(201a, 202b, 204a, 205b, 208a)는 상기 기판의 패턴에 접속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5 차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플러스 신호용 콘택트(즉, 한쪽의 제 1 콘택트), 콘택트(202a, 203b, 205a, 206b, 209a)는 제 1 내지 제 5 차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마이너스 신호용 콘택트(즉, 다른쪽의 제 1 콘택트), 콘택트(201b, 203a, 204b, 206a, 208b)는 제 1 내지 제 5 차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즉, 제 2 콘택트)로서 각각 기능한다.
특히, 상단, 하단 콘택트군(200a, 200b) 중 제 1 내지 제 5 차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콘택트(201a ~ 206a, 208a, 209a, 201b ~ 206b, 208b)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단면상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신호용 콘택트 및 마이너스 신호용 콘택트를 바닥측,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정점측으로 해서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한 것을 1세트로 하고, 이들의 5세트가 상하 위치 관계를 교대로 반대로 하여 폭 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용 콘택트 등의 배치 관계가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인접한 콘택트의 차동 페어 내 및 차동 페어 간에서 단지 저 스큐(skew) 등으로 하기 위해서, 콘택트(201a ~ 210a)의 접점부(2011a ~ 2111a) 및 콘택트(201b ~ 210b)의 접점부(2011b ~ 2111b)의 길이의 대소 관계가 상술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콘택트(201a ~ 210a)는 보디(100)의 10개의 단자 삽입 구멍(111a)에 해당 보디(100)의 배면부 측으로부터 각각 위치 맞춤하면서 삽입된다. 그 후, 콘택트(201a ~ 210a)의 접점부(2011a ~ 2101a)가 보디(100)의 10개의 단자 가이드 홈(121a)에 각각 삽입된다. 이와 함께, 콘택트(201a ~ 210a)의 본체부(2012a ~ 2102a)가 10개의 단자 삽입 구멍(111a)에 각각 압입되고, 도출부(2013a ~ 2103a)는 나머지 10개의 단자 삽입 홈(113)에 각각 삽입된다.
한편, 콘택트(201b ~ 210b)는 보디(100)의 단자 삽입 구멍(111b') 및 9개의 단자 삽입 구멍(111b)에 해당 보디(100)의 배면부 측으로부터 각각 위치 맞춤하면서 삽입된다. 그 후, 콘택트(201b ~ 210b)의 접점부(2011b ~ 2101b)가 보디(100)의 10개의 단자 가이드구(121b)에 각각 삽입된다. 이와 함께, 콘택트(201b, 210b)의 본체부(2012b ~ 2102b)가 단자 삽입 구멍(111b') 및 9개의 단자 삽입 구멍(111b)에 각각 압입되고, 도출부(2013b, 2103b)는 10개의 단자 삽입 홈(113)에 각각 삽입된다.
상단 콘택트군(200a) 및 하단 콘택트군(200b)은 보디(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201a ~ 210a)의 본체부(2012a ~ 2102a)의 폭 방향의 단부와 콘택트(201b ~ 210b)의 본체부(2012b ~ 2102b)의 폭 방향의 단부가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기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플러스 신호용 콘택트 및 마이너스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폭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또한, 플러스 신호용 콘택트 및 마이너스 신호용 콘택트 근처에는 다른 세트의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차동 페어의 콘택트 간에 양호한 임피던스 정합이 도모된다.
또한, 콘택트(201b)의 본체부(2012b)의 연장부(2012b1)가 콘택트(201a)의 본 체부(2012a)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는 폭 면적(N1)이 다른 차동 신호 전송용의 콘택트의 본체부의 단부끼리[즉, 각 세트의 외측의 단부와 내측의 단부(예를 들면, 콘택트(203a)의 본체부(2032a)의 단부와 콘택트(202b)의 본체부(2022b)의 단부)]가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는 폭 면적(N2)의 대략 2배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택트(201b)의 본체부(2012b)의 폭 면적이 다른 신호용 콘택트와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단 콘택트군(200a)의 최단에 위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가 없는 것을 요인으로 하는 콘택트(201a)와 콘택트(201b) 사이의 정전 용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택트군의 최단에 위치하는 차동 페어 내의 임피던스 불균형이 억제되어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더미의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추가하거나 실드 커버(300)의 형상을 바꾸는 일 없이, 콘택트군의 최단에 위치하는 차동 페어 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차동 페어 간의 임피던스 정합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고비용이 되는 일 없이 전기 커넥터의 전송 특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을 가지는 보디와, 보디 내에 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열로 배열되는 콘택트군을 구비하고 있고, 콘택트군은 복수개의 제 1 콘택트와, 이 제 1 콘택트와 다른 열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해당 제 1 콘택트와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제 2 콘택트를 가지며,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제 1, 제 2 콘택트의 한쪽 폭 면적이 다른 제 1, 제 2 콘택트 간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콘택트군의 최단에 위치하는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폭 면적이 조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신호용 콘택트인 콘택트(201a)의 본체부(2012a)의 폭 면적을 다른 신호용 콘택트의 폭 면적에 비해 작게 하고, 콘택트(201a)와 콘택트(201b) 사이의 정전 용량의 저하를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콘택트는 콘택트군의 최단에 위치하는 차동 페어 및 그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201a, 202a, 201b)라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콘택트의 배열에 따라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콘택트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전기 커넥터는 불평형(不平衡)(싱글 엔드) 형의 전송 방식용 전기 커넥터로서도 적응 가능하다. 즉, 임피던스 정합의 대상이 되는 싱글 엔드용 신호 콘택트와 그 그라운드용 콘택트의 한쪽 폭 면적을 다른 싱글 엔드용 신호 콘택트와 그라운드용 콘택트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콘택트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콘택트의 배열에 대해서도 보디 내에 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열로 배열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전기 커넥터가 차동 신호 전송형 전기 커넥터인 경우, 상기 플러스 신호용 콘택트, 마이너스 신호용 콘택트 및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한 것을 1세트로 하 고, 이 세트가 폭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 이외의 예로서는 제 1 열에 복수개의 플러스 신호용 콘택트 및 마이너스 신호용 콘택트가 나열되고 제 2 열에 복수개의 커먼 그라운드용 콘택트가 나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는 그 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지 않게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는 리셉터클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콘택트에 케이블이 접속되는 플러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다.
도 3은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도로서, (a)는 실드 커버부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실드 커버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군이 장착된 보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군이 장착된 보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개략적인 평면도, (b)는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7(a)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제 1, 제 2 콘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b)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의 최단에 위치하는 제 2 콘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디 200a: 상단 콘택트군
201a: 콘택트(한쪽의 제 1 콘택트) 2011a: 접점부
2012a: 본체부 2013a: 도출부
2014a: 리드부 202a: 콘택트(다른쪽의 제 1 콘택트)
2021a: 접점부 2022a: 본체부
2023a: 도출부 2024a: 리드부
200b: 하단 콘택트군 202b: 콘택트(제 2)
2011b: 접점부 2012b: 본체부
2012b1: 연장부 2013b: 도출부
2014b: 리드부

Claims (6)

  1. 절연성을 가지는 보디와,
    상기 보디 내에 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열로 배열되는 콘택트군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군은,
    복수개의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1 콘택트와 다른 열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해당 제 1 콘택트와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제 2 콘택트를 갖고;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상기 제 1, 제 2 콘택트의 한쪽의 폭 면적이 다른 제 1, 제 2 콘택트 간의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상기 제 1, 제 2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군의 보디의 폭 방향의 최단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군은 신호용 콘택트인 한 쌍의 제 1 콘택트와 그라운드용 콘택트 인 제 2 콘택트를 1세트로 하고, 복수개의 상기 세트가 보디의 폭 방향으로 상하 위치 관계를 교대로 반대로 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트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 1 콘택트의 폭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군의 보디의 폭 방향의 최단에 위치하는 제 2 콘택트의 외측의 단부가 최단에 위치하는 제 1 콘택트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는 폭 면적을 N1로 하고,
    다른 제 2 콘택트의 외측의 단부가 다른 제 1 콘택트의 내측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치는 폭 면적을 N2로 했을 때,
    N1 > 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는,
    상기 보디에 유지되는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보디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보디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1 도출부와,
    상기 제 1 도출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제 1 리드부를 갖고;
    상기 제 2 콘택트는,
    폭 방향의 단부가 상기 제 1 본체부의 폭 방향의 단부와 평면 위치가 겹치도록 상기 보디에 유지되는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보디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2 접점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보디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 2 도출부와,
    상기 제 2 도출부의 후단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제 2 리드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군의 보디의 폭 방향의 최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콘택트의 제 2 본체부 외측의 단부가 상기 최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콘택트의 제 1 본체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쳐지는 폭 면적을 N1로 하고,
    다른 제 2 콘택트의 제 2 본체부의 외측의 단부가 다른 제 1 콘택트의 제 1 본체부 내측의 단부에 평면 위치적으로 겹쳐지는 폭 면적을 N2로 했을 때,
    N1 > 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80061824A 2007-07-13 2008-06-27 전기 커넥터 Active KR101383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4049A JP4932626B2 (ja) 2007-07-13 2007-07-13 電気コネクタ
JPJP-P-2007-00184049 2007-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13A true KR20090007213A (ko) 2009-01-16
KR101383140B1 KR101383140B1 (ko) 2014-04-09

Family

ID=3986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824A Active KR101383140B1 (ko) 2007-07-13 2008-06-2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70199B2 (ko)
EP (1) EP2015402B1 (ko)
JP (1) JP4932626B2 (ko)
KR (1) KR101383140B1 (ko)
CN (1) CN101345374B (ko)
TW (1) TWI4333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660A (ko) * 2009-12-25 2011-07-01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17870Y (zh) * 2007-11-12 2008-09-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647675B2 (ja) * 2008-07-22 2011-03-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57080U (en) * 2008-12-24 2009-05-1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connector
JP4795444B2 (ja) 2009-02-09 2011-10-1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244901A (ja) * 2009-04-07 2010-10-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5342943B2 (ja) 2009-06-29 2013-11-13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9083130B2 (en) 2010-02-15 2015-07-14 Molex Incorporated Differentially coupled connector
JP5634095B2 (ja) * 2010-03-31 2014-12-0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プリント基板フットパターン
JP5554619B2 (ja) * 2010-04-13 2014-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8899996B2 (en) * 2010-04-14 2014-12-02 Molex Incorporated Stacked connector
JP5629495B2 (ja) 2010-06-01 2014-11-1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054215A (ja) 2010-09-03 2012-03-15 Yazaki Corp コネクタ
JP5727902B2 (ja) * 2011-09-13 2015-06-0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531723A (ja) * 2011-09-28 2014-1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電気接点及びコネクタ
JP5605378B2 (ja) * 2012-01-18 2014-10-15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30394B2 (ja) 2012-01-26 2015-12-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の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5699110B2 (ja) * 2012-05-28 2015-04-08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4113570A1 (en) * 2013-01-16 2014-07-24 Molex Incorporated Bi-directional latch
JP6133107B2 (ja) * 2013-04-08 2017-05-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EP2821988A1 (en) * 2013-07-02 2015-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for reducing near-end crosstalk
JP6206713B2 (ja) *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158025A (zh) * 2014-08-26 2014-11-19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传输高清数字信号的连接器母头
KR102096440B1 (ko) * 2014-09-25 2020-04-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CN104518321B (zh) * 2014-11-27 2023-05-0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CN107206896B (zh) * 2014-12-22 2021-03-05 大众汽车有限公司 手指板条和手指板条的应用
CN104538797B (zh) * 2014-12-23 2023-11-17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防干扰插头电连接器
CN205882228U (zh) * 2016-07-27 2017-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CN111224269B (zh) * 2020-01-13 2021-05-25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LU503495B1 (de) * 2023-02-16 2024-08-19 Phoenix Contact Gmbh & Co Steckverbinderteil und Steckverbindersystem
TWI867446B (zh) * 2023-02-23 2024-12-21 國立臺北科技大學 改善連接器共振問題及差動阻抗值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9931B1 (en) * 1998-05-13 2002-08-27 Molex Incorporated Method and structure for tuning the impedance of electrical terminals
US6368155B1 (en) * 1999-07-16 2002-04-09 Molex Incorporated Intelligent sensing connectors
TW536005U (en) 1999-07-16 2003-06-01 Molex Inc Impedance-tuned connector
US6454605B1 (en) * 1999-07-16 2002-09-24 Molex Incorporated Impedance-tuned termination assembly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TW456619U (en) * 1999-07-16 2001-09-21 Molex Inc Impedance-tuned termination assembly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JP3495007B2 (ja) * 2001-03-14 2004-02-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WO2003026078A1 (en) * 2001-08-01 2003-03-27 Molex Incorporated Impedance-tuned connector
CN100379089C (zh) * 2002-06-21 2008-04-02 莫莱克斯公司 具有模块化结构的高密度阻抗调谐连接器
JP2007080782A (ja) * 2005-09-16 2007-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CN101162806B (zh) * 2006-10-12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660A (ko) * 2009-12-25 2011-07-01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5402A3 (en) 2013-02-13
TWI433396B (zh) 2014-04-01
CN101345374B (zh) 2012-10-10
JP2009021152A (ja) 2009-01-29
JP4932626B2 (ja) 2012-05-16
EP2015402A2 (en) 2009-01-14
EP2015402B1 (en) 2014-03-19
TW200908453A (en) 2009-02-16
US7670199B2 (en) 2010-03-02
CN101345374A (zh) 2009-01-14
KR101383140B1 (ko) 2014-04-09
US20090017646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140B1 (ko) 전기 커넥터
KR101410365B1 (ko) 전기 커넥터
US8157573B2 (en) Connector
US6120329A (en) Modular jack with anti-cross-talk contac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76018A (en) High-density cable connector
US6439928B1 (en) High density connector for balanced transmission lines
US738431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iabl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7029606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ongated ground contacts
US20200059032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357679B2 (e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WO2014114972A1 (en) Connector assembly
US4995828A (en) Connector for paired wire cable
US7798854B2 (en) Connector
EP2015400B1 (en)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US75137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varying offset between adjacent electrical contacts
EP141864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mall pitch contact arrangement
US1212612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735319Y2 (ja) 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6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