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5976U - 거름망 차용기 - Google Patents

거름망 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976U
KR20090005976U KR2020070020033U KR20070020033U KR20090005976U KR 20090005976 U KR20090005976 U KR 20090005976U KR 2020070020033 U KR2020070020033 U KR 2020070020033U KR 20070020033 U KR20070020033 U KR 20070020033U KR 20090005976 U KR20090005976 U KR 200900059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rower
tea
container
siev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132Y1 (ko
Inventor
장하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70020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3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잎차(葉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사용하는 거름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용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거름망용기를 차용기에 걸친 상태에서 잎차로부터 잎차성분을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잎차를 수납한 상태에서 따뜻한 물이 채워진 용기에 담가 잎차의 성분을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된 거름망 차용기에 있어서,
잎차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11)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납공간(11)으로의 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타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차용기(1)의 상연부에 끼움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용걸고리(13)가 양쪽으로 형성된 거름망 차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거름망 차용기, 타공, 수납공간, 거치용걸고리, 차용기

Description

거름망 차용기{ A filter net container }
본 고안은 잎차(葉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사용하는 거름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용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거름망용기를 차용기에 걸친 상태에서 잎차로부터 잎차성분을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茶)를 우려내어 마실 때 사용하는 용기는 그 구조가 다양하고, 용기에 넣어 차(茶)의 성분을 우려 내어 마시는 방법은 차의 가공 및 포장 상태에서 따라 달라 진다.
예를 들어 차(茶)가 단위포장되어 있는 것일때에는 용기의 형태에 구애받지않고 차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는 반면, 잎차는 거름망용기를 이용해야 함으로 잎차를 우려내어 마시기 위해서는 거름망용기를 포함하는 차용기를 구입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 사건 출원인은 용기의 형태에 구애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거름망 차용기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잎차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납공간으로의 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차용기의 상연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용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거름망차용기를 걸어둔 상태에서 차용기에 따뜻한 물을 부어 잎차로부터 잎차성분을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잎차를 이용한 차를 마실때 거름망용기와 차용기가 세트를 이루는 잎차용 용기세트를 구입하지 않고도 일반 컵 등을 이용하여 잎차의 잎차성분을 우려내어 음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잎차용 용기세트를 구입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가계비의 지출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잦은 야외 활동중에도 차 음용이 용이한 거름망 차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잎차를 수납한 상태에서 따뜻한 물이 채워진 용기에 담가 잎차의 성분을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된 거름망 차용기에 있어서,
잎차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11)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납공간(11)으로의 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타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차용기(1)의 상연부에 끼움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용걸고리(13)가 양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 차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음용 용기는, 잎차의 수납이 가능 한 수납공간(11)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납공간(11)으로의 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타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차용기(1)의 상연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용걸고리(13)가 형성되어 있는 거름망 차용기(10)를 걸어둔 상태에서 차용기(1)에 따뜻한 물을 부어 잎차로부터 잎차성분을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잎차를 이용한 차를 마실때 거름망용기와 차용기가 세트를 이루는 잎차용 용기세트를 구입하지 않고도 일반 컵 등을 이용하여 잎차의 잎차성분을 우려내어 음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잎차용 용기세트를 구입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가계비의 지출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잦은 야외 활동중에도 차 음용이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거름망 차용기(10)는, 평면형상이 반달형으로 잎차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1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잎차의 잎차성분을 우려낼 수 있도록 물이 유입되어지는 타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차용기(1)의 상연부에 끼움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된 거치용걸고리(13)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거름망 차용기(10)를 이용하여 차(茶)를 우려 내어 음용하고자할 때에는 수납공간(11)에 잎차를 넣는다.
잎차를 넣을 때에는 차를 마시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농도의 차를 얻을 수 있는 분량의 잎차를 넣는다.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11)에 잎차가 수납된 거름망 차용기(10)를 차용기(1)에 걸쳐 놓게 되는데, 상기 거름망 차용기(10)를 차용기(1)에 걸쳐 놓을 때에는 양쪽의 거치용걸고리(13)를 차용기(1)의 상연부로 끼워 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용기(1)에 거름망 차용기(10)가 거치된 상태에서 차용기(1)에 따뜻한 물을 붓게 되고, 물이 거름망 차용기(10)의 타공(12)을 통해 수납공간(11)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질 수 있는 높이까지 붓는다.
상기와 같이 타공(11)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잎차에서 잎차성분이 우려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우려내는 잎차성분이 충분하게 우러나면, 거름망 차용기(10)를 차용기(1)로부터 분리해낸 후 차를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거름망 차용기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거름망 차용기의 사용 상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 설명>
10 : 거름망 차용기 11 : 수납공간
12 :타공 13 : 거치용걸고리

Claims (1)

  1. 잎차를 수납한 상태에서 따뜻한 물이 채워진 용기에 담가 잎차의 성분을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된 거름망 차용기에 있어서,
    잎차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11)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납공간(11)으로의 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타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차용기(1)의 상연부에 끼움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용걸고리(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 차용기.
KR2020070020033U 2007-12-13 2007-12-13 거름망 차용기 KR200446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33U KR200446132Y1 (ko) 2007-12-13 2007-12-13 거름망 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33U KR200446132Y1 (ko) 2007-12-13 2007-12-13 거름망 차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76U true KR20090005976U (ko) 2009-06-17
KR200446132Y1 KR200446132Y1 (ko) 2009-09-28

Family

ID=4129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033U KR200446132Y1 (ko) 2007-12-13 2007-12-13 거름망 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37Y1 (ko) 2009-11-19 2011-09-05 윤지훈 물 배출용 냄비보조구
KR200460014Y1 (ko) 2009-12-24 2012-04-27 (주) 씨제이오쇼핑 냄비
KR101885307B1 (ko) * 2017-04-10 2018-09-10 김미주 차 우림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11Y1 (ko) * 2004-12-08 2005-03-10 함정구 다기용 거름망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32Y1 (ko) 200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3793A1 (en) Integrated container and infuser apparatus
KR20090005976U (ko) 거름망 차용기
CN105054722B (zh) 功能茶杯
JP3145992U (ja) 携帯型茶漉しカップ
KR200446131Y1 (ko) 거름망 차용기
KR20100024560A (ko) 필터 일체형 찻잔
CN202104386U (zh) 一种户外品茶用便携式茶具
JP2007244541A (ja) 容器
JP2008043715A (ja) お茶の風味を保つ急須
JP3152879U (ja) 飲用溶液抽出器
JP3197073U (ja) ドリップ具
KR20090000674U (ko)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TWM601586U (zh) 咖啡包
JP2016054893A (ja) ビールピッチャー及びこれを用いたビール系飲料の提供方法
CN203609135U (zh) 冲煮浸泡装置
CN202277148U (zh) 一种具有下腔结构的茶壶
CN215936995U (zh) 一次性功夫茶具
JP2010284495A (ja) お茶入れ湯のみ茶わん
AU783524B2 (en) A diffuser
TWM660480U (zh) 沖泡飲品容器
CN203121859U (zh) 一种冲茶器
CN210276727U (zh) 一种防烫茶具
JP3043433U (ja) 茶呑み容器
KR200378011Y1 (ko) 다기용 거름망 구조
JP3092180U (ja) 茶漉しと蓋付コ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12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31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9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07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