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5680A -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 Google Patents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680A
KR20090005680A KR1020070068883A KR20070068883A KR20090005680A KR 20090005680 A KR20090005680 A KR 20090005680A KR 1020070068883 A KR1020070068883 A KR 1020070068883A KR 20070068883 A KR20070068883 A KR 20070068883A KR 20090005680 A KR20090005680 A KR 2009000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cylindrical
user
displaying
i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제
송상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680A/ko
Priority to US12/028,050 priority patent/US20090019401A1/en
Publication of KR2009000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8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본 GUI 제공방법에 따르면, 표면에 메뉴가 표시된 원통메뉴를 생성하여, 메뉴 선택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메뉴 선택을 할 수 있다.
원통, 메뉴, 입체, 3차원

Description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Method for providing GUI to offer a cylinderical menu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와 같은 아이템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에 의한 GUI는 이미 보편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마우스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원하는 아이템으로 이동시키고, 입력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한 아이템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마우스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경우, 포인터를 일일이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에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터치 스크린의 경우, 화면 상에서 원하는 메뉴나 아이콘을 포인터 이동 없이 직접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메뉴를 스크롤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스크롤 바를 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작은 화면에서도 효율적으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메뉴의 사용법을 사용자가 쉽게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메뉴를 표현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GUI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인 조작 방식을 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방법은,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원통형 입체형상의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 속도에 따라, 조작 속도가 빠른 경우 원통메뉴를 빨리 회전시키고, 조작 속도가 느린 경우 원통메뉴를 느리게 회전시키도록,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메뉴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의 하위메뉴가 표면에 표시된 원통형 입체 형상의 원통하위메 뉴를 별도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원통하위메뉴를 상기 원통메뉴의 측면에 분할된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원통하위메뉴를 상기 원통메뉴의 일 측면에 겹쳐지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원통메뉴 항목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하위 메뉴가 있음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일정 범위의 숫자가 표시된 상기 원통메뉴를 복수개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원통메뉴가 회전되어 형성된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숫자가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원통메뉴의 회전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원통메뉴의 회전에 따라 라디오의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한글 초성이 표시된 제1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한글 중성이 표시된 제2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한글 종성이 표시된 제3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1 내지 제3 원통메뉴를 조합하여 한글의 음절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조합된 한글의 음절을 이용하여 저장된 파일을 써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알파벳이 표시된 상기 원통메뉴를 복수개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상기 복수개의 원통메뉴를 조합하여 영어 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조합된 영어 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저장된 파일을 써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UI 제공방법은, 상기 원통메뉴를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원통형 입체형상의 원통메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방법은.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입체형 상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에 아날로그적인 형상의 메뉴를 적용시킴으로써, 디지털 확장성 및 아날로그 조작 편의성을 모두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인 메뉴의 검색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원통메뉴를 분할하거나 겹쳐지게 표시함으로써 메뉴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 GUI(Graphical User Interface)부(120), 터치 스크린(13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은 파일탐색기능, 게임기능, 녹음기능, 음악재생기능, 영화재생기능, 사진재생기능, 문서작성기능, DMB재생기능 등 본 멀티미디어 기기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GUI부(120)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에서 생성되는 영상에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원통형 입체형상의 원통메뉴가 구현된 GUI를 부가한다.
터치 스크린(130)에는 GUI부(120)에서 출력되는 원통메뉴를 이용하여 구현된 GUI가 부가된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130)은 사용자의 터치, 긴-터치, 드래그 조작 등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30) 또는 이외의 조작수단(예컨대 마우스, 터치패드, 휠)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의 기능수행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부합하는 GUI가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통메뉴의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원통메뉴가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가 원통메뉴를 윗 방향으로 스트록(stroke)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원통메뉴가 윗 방향으로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반대로,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가 원통메뉴를 아래 방향으로 스트록(stroke)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원통메뉴가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30) 조작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원통메뉴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가 원통메뉴를 빠른 속 도로 스트록(stroke)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원통메뉴가 빠르게 회전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반대로,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가 원통메뉴를 느린 속도로 스트록(stroke)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원통메뉴가 느리게 회전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통메뉴의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항목의 하위메뉴가 표면에 표시된 원통형 입체 형상의 원통하위메뉴가 표시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통메뉴의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항목의 원통하위메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원통하위메뉴를 원통메뉴의 측면에 분할된 형태로 표시되도록 GUI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원통하위메뉴를 원통메뉴의 일 측면에 겹쳐지게 표시하도록 GUI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30)은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통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원통메뉴 항목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하위 메뉴가 있음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도록 GUI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마크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원통하위메뉴가 마크가 있는 측면에 겹쳐지게 표시되도록 GUI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일정 범위의 숫자가 표시된 원통메뉴를 복수개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130) 조작에 의해 복수개의 원통메뉴가 회전되어 형성된 숫자를 입력받아, 입력된 숫자와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안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원통메뉴의 회전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원통메뉴가 윗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볼륨이 올라가고, 원통메뉴가 아래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볼륨이 내려가도록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원통메뉴의 회전에 따라 라디오의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원통메뉴가 윗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주파수가 높아지고, 원통메뉴가 아래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써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한글의 초성이 표시된 제1 원통메뉴, 중성이 표시된 제2 원통메뉴, 종성이 표시된 제3 원통메뉴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130) 조작에 따라 선택된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형성된다. 제어부(140)는 조합된 음절로 시작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써치하도록 저장매체(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40)는 알파벳이 표시된 제1 원통메뉴, 제2 원통메뉴 및 제3 원통메뉴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130) 조작에 따라 선택된 세개의 알파벳을 조합한다. 제어부(140)는 조합된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써치하도록 저장매체(미도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의 기능수행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원통메뉴가 사용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표면에 메뉴가 표시된 원통메뉴를 생성하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S210).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0)을 윗방향으로 스트록(stroke)한 경우(S220-Y), 제어부(140)는 원통메뉴를 위로 회전시키도록 GUI부를 제어한다(S230).
또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0)을 아래방향으로 스트록(stroke)한 경우(S240-Y), 원통메뉴를 아래로 회전시키도록 GUI부를 제어한다(S250).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0)을 터치하여 메뉴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S260-Y), 제어부(140)은 선택된 항목의 원통하위메뉴를 생성 및 표시하도록 GUI부(120)를 제어하거나, 선택된 항목이 실행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을 제어한다(S2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Music"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그에 대한 하위 메뉴인 "Album", "Track", "Artist"등을 표시하고 있는 원통하위메뉴를 생성하도록 GUI부(120)를 제어한다. 반면, 사용자가 "Holy Night.mp3"와 같은 음악 파일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음악파일이 재생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원통메뉴가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원통형 입체형상의 원통메뉴(310)가 디스플레이 화면(300)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화면(300)은 터치 스크린(130)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300)의 원통메뉴를 상하 방향으로 스트록(stroke)하여 원통메뉴(31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통메뉴(310)에서 원하는 항목이 위치한 지점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항목이 선택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통메뉴(310)를 빠르게 스트록하면 원통메뉴(310)는 빠르게 회전하고, 느리게 스트록하면 원통메뉴(310)는 느리게 회전한다.
도 3b는 원통메뉴(310)에서 특정 항목이 터치되었을 때, 선택된 항목의 하위메뉴가 표면에 표시된 원통형 입체 형상의 원통하위메뉴를 별도로 생성하여, 분할된 형태로 표시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에서는 사용자가 원통메뉴(310)에서 "Music" 항목을 선택하였으며, 선택된 "Music" 항목의 원통하위메뉴(320)가 원통메뉴(310)의 측면에 분할된 형태로 표시되었다. 사용자는 원통하위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상하로 스트록하여 원통하위메뉴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항목은 원통메뉴(310)의 중앙에 가장 크게 표시된다. 또한, 선택된 항목을 부각시키기 위해, 글씨를 진하게 표시하거나 블럭표시를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항목이 무엇인지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메뉴가 어느 것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는 원통하위메뉴(320)가 활성화된 메뉴이므로, 원통메뉴(310)보다 더 밝게 표시하여 원통하위메뉴(320)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활성화된 메뉴가 더 크게 표시되거나, 활성화된 메뉴의 글씨가 더 진해지는 등의 방법을 통해, 활성화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위메뉴와 하위메뉴를 동시에 보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3c는 사용자가 원통하위메뉴(320)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서 사용자는 원통메뉴(310)에서 "Music"을, 원통하위메뉴(320)에서는 "Track"을 선택하였다.
사용자가 원통하위메뉴(320)에서 "Track"을 터치하여 선택할 때, 디스플레이 화면(300)에는 선택된 항목에 대한 피드백(33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c에서 디스플레이 화면(300)에 "Music>Track"이 피드백(330)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Music"과 "Track"을 선택하였음을 재확인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여 분할된 형태의 원통하위메뉴(320) 표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f를 참고하여 겹쳐진 형태의 원통하위메뉴(440) 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a는 원통메뉴(430) 항목의 양 측면에 하위 메뉴가 있음을 나타내는 마크(410,420)가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예컨대, 음악파일, 영상파일 등)을 표시하고 있는 원통메뉴(430)는 두 가지 그룹 이상의 하위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파일의 경우 "Favorite(즐겨찾기)", "Delete(파일삭제)" 및 "Copy(파일복사)" 항목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하위메뉴와 "Photo(사진보기)", "Back(뒤로)" 및 "Volume(볼륨)" 항목을 포함하는 제2 그룹의 하위메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악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원통메뉴(430)는 두 가지 그룹의 하위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마크(410,420)가 필요하게 된다.
도 4a에서는 원통메뉴(430) 항목의 양측면에 삼각형 모양이 마크(410,420)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마크(410,420)를 선택하면 해당되는 하위메뉴가 표시된다.
도 4b 및 도 4c는 우측 마크(420)를 선택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사용자가 우측마크(420)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왼쪽으로 스트록한 경우, 제어부(140)는 원통메뉴(430)의 우측에 제1 그룹의 하위메뉴가 표시된 원통하위메뉴(440)를 표시하게 된다. 이 때, 원통하위메뉴(440)는 원통메뉴(430)의 우측에 겹쳐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d 및 도 4e는 좌측 마크(410)를 선택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사용 자가 좌측 마크(410)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스트록한 경우, 제어부(140)는 원통메뉴(430)의 좌측에 제 2그룹의 하위메뉴가 표시된 원통하위메뉴(450)를 표시하게 된다. 이 때, 원통하위메뉴(450)는 원통메뉴(430)의 좌측에 겹쳐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f는 원통하위메뉴(440,450)의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항목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있는 원통하위메뉴(440)에서 "Delete"항목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300)에는 삭제할지 여부를 묻는 질문창(460)이 표시된다. 그리고, 질문창이 표시되더라도 그 뒤에는 원통메뉴(430)가 형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원통하위메뉴(440)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마치 메뉴를 손가락으로 끌어 당기는 듯한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직관적인 방식으로 원통하위메뉴(44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5a는 분할된 형태의 원통메뉴(310)와 원통하위메뉴(320)을 나타낸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메뉴(310)와 원통하위메뉴(320)는 서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형태로 표시된다.
도 5b는 원통메뉴(430)의 우측에서 겹쳐진 형태를 가진 원통하위메뉴(440)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5c는 원통메뉴(430)의 좌측에서 겹쳐진 형태를 가진 원통하위메뉴(450)를 나타낸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메뉴(430)는 그대 로 유지된 상태에서 원통하위메뉴(440,450)가 그 위에 겹쳐진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a의 분할된 원통메뉴 방식은 대분류에서 소분류로 진입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도 5b의 우측에서 겹쳐진 원통메뉴 방식은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5c의 좌측에서 겹쳐진 원통메뉴 방식은 다른 상위메뉴로 복귀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비밀번호 설정방법은 3개의 원통메뉴(610,620,630)에 의해 구현된다.
각 원통메뉴는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30)을 스트록하여 각 원통메뉴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3자리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미리 설정된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486'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기의 전원을 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에 3개의 원통메뉴가 표시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30)을 조작하여 3개의 원통메뉴에서 각각 '4', '8', '6'을 선택한 경우에만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밀번호를 5번 이상 틀리게 입력한 경우, 멀티미 디어 기기가 꺼지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원통메뉴를 이용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더 많거나 적은 원통메뉴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표시된 원통메뉴를 이용하였으나, 이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더 많거나 적은 범위의 숫자가 표시된 원통메뉴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볼륨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볼륨 제어방법은 하나의 원통메뉴(710)로 구현된다.
볼륨 조절을 위한 원통메뉴(710)는 표면에 일정한 범위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들어, 원통메뉴(710)에 숫자가 1에서 10까지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10단계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통메뉴(710)에 넓은 범위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을 수록 볼륨을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라디오 채널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채널 제어방법은 하나의 원통메뉴(810)에 의해 구현된다.
라디오 채널 조절을 위한 원통메뉴(810)는 표면에 '+'와 '-'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통메뉴(810)를 상하로 조절하여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메뉴(810)를 이용해서 라디오 채널 주파수를 올 리거나 내리도록 구현하였으나, 이외의 방법에 의해 라디오 채널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원통메뉴(810)에 일정범위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고, 각 숫자에 특정 채널을 지정해 놓는 방법을 통해 라디오 채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한글명칭 파일의 써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일 써치는 3개의 원통메뉴(910,920,930)에 의해 구현된다.
본 실시예는 한글의 초성을 표면에 표시하고 있는 제1 원통메뉴(910), 한글의 중성을 표시하고 있는 제2 원통메뉴(920) 및 한글의 종성을 표시하고 있는 제3 원통메뉴(930)를 구비한다. 제어부(140)는 제1 원통메뉴(910), 제2 원통메뉴(920) 및 제3 원통메뉴(930)를 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저장된 파일 중에서 조합된 음절로 시작하는 파일을 찾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제1 원통메뉴(910)는 'ㅅ', 제2 원통메뉴(920)는 'ㅏ', 제3 원통메뉴(930)는 'ㅇ'을 선택하였다면, 조합된 음절은 '상'이 된다. 그리고, 저장된 파일 중에 '상'으로 시작되는 파일인 '상상만 해도.mp3'가 써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이 조합된 하나의 음절을 저장된 파일의 첫 음절과 비교하여 써치하도록 구현하였지만, 이외의 방법에 의해서 써치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글 자음이 표면에 표시된 하나의 원통메뉴를 이용하여, 원통메뉴의 자음과 파일 명칭의 초성이 일치하는 파일을 써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원통메뉴 6개를 이용하여 두 음절이 일치하는 파일을 써치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영문명칭 파일의 써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문명칭 파일 써치방법은 3개의 원통메뉴(1010,1020,10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알파벳을 표면에 표시하고 있는 제1 원통메뉴(1010), 제2 원통메뉴(1020) 및 제3 원통메뉴(1030)를 구비한다. 제어부(140)는 제1 원통메뉴(1010), 제2 원통메뉴(1020) 및 제3 원통메뉴(1030)를 조합하여 영어 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저장된 파일 중에서 조합된 영어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로 시작하는 파일을 찾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제1 원통메뉴(1010)는 'M', 제2 원통메뉴(1020)는 'U', 제3 원통메뉴(1030)는 'S'을 선택하였다면, 조합된 영어단어의 일부는 'MUS'가 된다. 그리고, 저장된 파일 중에 'MUS'로 시작되는 파일인 'Music is my life.mp3'가 써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알파벳을 저장된 파일과 비교하여 써치하도록 구현하였지만, 이외의 방법에 의해서 써치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개, 두개 또는 4개 이상의 원통메뉴를 이용하여, 원통메뉴에 의해 조합된 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파일 명칭의 첫부분과 일치하는 파일을 써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이 장치에 원통메뉴를 적용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10)와 원통형의 본체(1120)를 구비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10)는 디스플레이가 휘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원통형의 본체(1120) 표면 전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10)를 감쌀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10)를 이용한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원통을 직접 회전시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매우 직관적인 G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메뉴(1130)는 원통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하로 스트록함으로써 원통메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하위메뉴 마크(1140)를 왼쪽으로 스트록 함으로써 서브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하위메뉴 마크(1140)를 왼쪽으로 스트록한 경우, 원통하위메뉴(1150)가 표시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통하위메뉴(1150)를 직접 손으로 빼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원통메뉴가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메뉴가 이상적인 원통형태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다른 형태를 가진 입체형태의 메뉴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통메뉴의 기능은 이상적인 원통 뿐만 아니라 타원기둥 이외 에도 다각형 기둥 형태의 입체메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뉴의 갯수만큼의 옆면을 가진 다각형 기둥 형태의 입체메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둥의 형태가 아닌 입체도형의 메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다른 입력장치에 의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터치스크린 아니라도 가능 마우스 휠, 터치패드 및 이외의 스크롤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TV, DVDP(DVD Player), HDD(Hard Disk Drive) 플레이어, BD(Blue-lay Disk) 플레이어, VCR(Video Cassette Recorder), 홈 시어터 시스템,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캠코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정리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볼륨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라디오 채널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한글명칭 파일의 써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메뉴를 이용한 영문명칭 파일의 써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원통메뉴를 적용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멀티미디어 기능블럭 120 : GUI 부
130 : 터치스크린 140 : 제어부
300 : 디스플레이 화면 310 : 원통메뉴

Claims (29)

  1.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원통형 입체형상의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 속도에 따라, 조작 속도가 빠른 경우 원통메뉴를 빨리 회전시키고, 조작 속도가 느린 경우 원통메뉴를 느리게 회전시키도록,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 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의 하위메뉴가 표면에 표시된 원통형 입체 형상의 원통하위메뉴를 별도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하위메뉴를 상기 원통메뉴의 측면에 분할된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하위메뉴를 상기 원통메뉴의 일 측면에 겹쳐지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메뉴 항목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하위 메뉴가 있음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범위의 숫자가 표시된 상기 원통메뉴를 복수개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원통메뉴가 회전되어 형성된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숫자가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메뉴의 회전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메뉴의 회전에 따라 라디오의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한글 초성이 표시된 제1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한글 중성이 표시된 제2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한글 종성이 표시된 제3 원통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1 내지 제3 원통메뉴를 조합하여 한글의 음절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 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한글의 음절을 이용하여 저장된 파일을 써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알파벳이 표시된 상기 원통메뉴를 복수개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상기 복수개의 원통메뉴를 조합하여 영어 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영어 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저장된 파일을 써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6.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원통형 입체형상의 원통메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메뉴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19. 표면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입체형상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장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20. 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선택될 항목을 중앙에 표시하고 이외의 항목은 상기 선택될 항목을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뉴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뉴의 표시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영역 중에서 제1 메뉴영역에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고, 제2 메뉴영역에는 상기 선택된 항목의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22. 메뉴의 항목들 중 선택될 항목을 메뉴의 중앙에 표시하는 단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의 터치가 검출된 경우, 상기 메뉴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23. 메뉴를 터치스크린의 메뉴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뉴의 항목들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메뉴표시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메뉴표시영역 중, 제1 메뉴표시영역에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고, 제2 메뉴표시영역에는 상기 선택된 항목의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24. 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선택될 항목을 중앙에 표시하고 이외의 항목은 상기 선택될 항목을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될 항목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하위메뉴의 존재를 나타내는 마크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마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마크에 연결된 상기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표시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메뉴표시영역 중, 제1 메뉴표시영역에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고, 제2 메뉴표시영역에는 상기 선택된 항목의 하위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26. 알파벳 문자들 중에서, 선택될 알파벳 문자를 중앙에 표시하고 이외의 알파벳 문자들은 상기 선택될 알파벳을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알파벳 문자들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조작명령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알파벳 문자들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27. 알파벳 문자들 중에서, 선택될 알파벳 문자를 중앙에 표시하고 이외의 알파벳 문자들은 상기 선택될 알파벳을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표시하는 제1 문자표시영역 및 제2 문자표시영역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문자표시영역 및 제2 문자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1 터치영역 및 제2 터치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영역 또는 상기 제2 터치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문자표시영역 및 제2 문자표시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의 알파벳 문자들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8.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및
    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선택될 항목을 중앙에 표시하고 이외의 항목은 상기 선택될 항목을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조작에 따라, 상기 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뉴의 표시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제1 메뉴영역에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고, 제2 메뉴영역에는 상기 선택된 항목의 하위 메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9. 볼륨 크기를 나타내는 메뉴인 볼륨 메뉴의 항목들 중에서, 현재 볼륨 크기에 해당되는 항목을 중앙에 표시하고 이외의 항목은 상기 현재 볼륨 크기에 해당되는 항목을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의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볼륨 메뉴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단계; 및
    상기 볼륨 메뉴의 중앙에 표시된 항목이 나타내는 크기로 볼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제공방법.
KR1020070068883A 2007-07-09 2007-07-09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eased KR20090005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83A KR20090005680A (ko) 2007-07-09 2007-07-09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12/028,050 US20090019401A1 (en) 2007-07-09 2008-02-08 Method to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 offer a three-dimensional (3d) cylinderical menu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83A KR20090005680A (ko) 2007-07-09 2007-07-09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80A true KR20090005680A (ko) 2009-01-14

Family

ID=4025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83A Ceased KR20090005680A (ko) 2007-07-09 2007-07-09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19401A1 (ko)
KR (1) KR2009000568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659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WO2011099706A2 (en) * 2010-02-11 2011-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 in a mobile device
KR101106119B1 (ko) * 2010-02-03 2012-01-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 입력 장치
KR20140101128A (ko) * 2013-02-08 201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446644B1 (ko) * 2009-10-30 2014-10-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메뉴 선택·표시방법
US9606722B2 (en) 2014-02-11 2017-03-28 Samsung Display Co., Ltd. Por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119770A1 (ko) * 2016-01-08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79971B2 (en) 2015-05-06 2018-09-18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shooting parameter
US11137799B2 (en) 2011-09-26 2021-10-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12265698B2 (en) 2021-08-25 2025-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user interfaces to select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8500A1 (en) 2008-02-11 2009-08-12 Idean Enterprises Oy Layer based user interface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219705B2 (ja) * 2008-09-12 2013-06-2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7270A (ko) * 2008-12-29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tv 및 이를 이용한 gui 제공 방법
KR20100081577A (ko) * 2009-01-06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오브젝트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545875B1 (ko) * 2009-01-23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KR101646922B1 (ko) *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97553B1 (ko) * 2009-05-25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CN101990025A (zh) * 2009-08-06 2011-03-23 龙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支持3d魔方的操作方式
KR101635567B1 (ko) * 2009-11-12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TWI490815B (zh) * 2010-01-15 2015-07-01 Mstar Semiconductor Inc 影像效果顯示方法及電子裝置
US8539353B2 (en) * 2010-03-30 2013-09-17 Cisco Technology, Inc. Tabs for managing content
US9110589B1 (en) * 2010-07-21 2015-08-18 Google Inc. Tab bar control for mobile devices
KR20120013727A (ko) *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R2965945A1 (fr) * 2010-10-11 2012-04-13 France Telecom Affichage mono-ecran d'une grande quantite d'informations
US8977986B2 (en) * 2011-01-05 2015-03-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Control panel and ring interface for computing systems
KR101916742B1 (ko) * 2011-11-10 2018-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836658B1 (en) 2012-01-31 2014-09-16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tems
AT512737B1 (de) * 2012-03-23 2016-06-15 Fronius Int Gmbh Schweißgerät
USD737834S1 (en) 2012-03-23 2015-09-01 Fronius International Gmbh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195385B2 (en) 2012-03-25 2015-11-24 Masimo Corporation Physiological monitor touchscreen interface
KR101889008B1 (ko) * 2012-06-11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37695B2 (en) * 2012-10-12 2022-02-01 Sling Media L.L.C. EPG menu with a projected 3D image
USD795854S1 (en) * 2012-11-0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20150301697A1 (en) * 2012-11-20 2015-10-22 Jolla O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146664B2 (en) 2013-04-09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content rotation during scroll action
KR102046569B1 (ko) * 2013-04-15 2019-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142775A (zh) * 2013-05-08 2014-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功能项快捷操作的实现方法
JP5503782B1 (ja) * 2013-06-20 2014-05-28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電子ゲーム機、電子ゲーム処理方法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CN103324400B (zh) * 2013-07-15 2016-06-15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在3d模型中展示菜单的方法及装置
US20150046878A1 (en) * 2013-08-08 2015-02-12 Sony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5083969A1 (en) * 2013-12-05 2015-06-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D755831S1 (en) * 2013-12-26 2016-05-10 Nikon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798453B2 (en) * 2014-03-17 2017-10-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eak ribbon system
US9392095B2 (en) * 2014-04-03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EP3002666A1 (en) * 2014-10-02 2016-04-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raction method for user interfaces
CN104460088A (zh) * 2014-12-12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面显示器件
US10430067B2 (en) * 2014-12-18 2019-10-01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scrollable displays
CN104808501B (zh) * 2015-03-31 2018-0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场景删除方法和装置
US10171768B2 (en) 2015-08-06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ve profile control for a flexible display
US10739968B2 (en) * 2015-11-23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3D objects on a mobile device screen
US10297234B2 (en) * 2016-03-11 2019-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ved virtual display surface for displaying digital objects
CA168418S (en) * 2016-05-11 2017-05-05 Inversa Systems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809873B (zh) * 2016-09-09 2021-09-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使用显示装置制造电子装置的方法
JP6332433B2 (ja) * 2016-12-26 2018-05-3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909370B (zh) * 2017-01-17 2020-11-1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终端的应用程序的图标的排列方法及装置
US20190332249A1 (en) * 2018-04-25 2019-10-3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olling interface object
JP1640131S (ja) * 2018-11-27 2019-09-02 全周映像表示機
EP3891593A1 (en) 2018-12-04 2021-10-13 Google LLC Revolving on-screen virtual keyboard for efficient use during character input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976A (en) * 1988-11-14 1991-06-04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ynamic, interactive visual representations of information structures within a computer
DE69432199T2 (de) * 1993-05-24 2004-01-08 Sun Microsystems, Inc., Mountain View Graphische Benutzerschnittstelle mit Verfahren zur Schnittstellebildung mit fernsteuernden Einrichtungen
US5673401A (en) * 1995-07-31 1997-09-3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customizable sprit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5687331A (en) * 1995-08-03 1997-11-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animated focus item
US5898435A (en) * 1995-10-02 1999-04-27 Sony Corporation Image controlling device and image controlling method
JP4420474B2 (ja) * 1996-02-14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US6266098B1 (en) * 1997-10-22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Function presentation and selection using a rotatable function menu
JP3356667B2 (ja) * 1997-11-14 2002-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イコン表示装置
US6414700B1 (en) * 1998-07-21 2002-07-02 Silicon Graphics, Inc. System for accessing a large number of menu items using a zoned menu bar
US6209102B1 (en) * 1999-02-12 2001-03-27 Arco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entry of access codes in a computer environment
US6600497B1 (en) * 1999-11-15 2003-07-29 Elliot A. Gottfurcht Apparatus and method to navigate interactive television using unique inputs with a remote control
US6636246B1 (en) * 2000-03-17 2003-10-21 Vizible.Com Inc. Three dimensional spatial user interface
JP4325075B2 (ja) * 2000-04-21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
JP2002082745A (ja) * 2000-09-07 2002-03-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087252B2 (ja) * 2001-03-05 2008-05-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pg表示装置、epg表示方法、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US7039879B2 (en) * 2001-06-28 2006-05-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able cross-point navigation in a user interface
US7370209B2 (en) * 2003-01-30 2008-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difficulty of data sniffing
US7418670B2 (en) * 2003-10-03 2008-08-26 Microsoft Corporation Hierarchical in-place menus
DE10360661A1 (de) * 2003-12-23 2005-07-28 Daimlerchrysler Ag Bedi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20070094597A1 (en) * 2004-11-04 2007-04-26 Rostom Mohamed A Dyn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esktop environment
US8418075B2 (en) * 2004-11-16 2013-04-09 Open Text Inc. Spatially driven content presentation in a cellular environment
US7992102B1 (en) * 2007-08-03 2011-08-02 Incandescent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ircumferentially displayed search results
US7548915B2 (en) * 2005-09-14 2009-06-16 Jorey Ramer Contextual mobile content placem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US20070136690A1 (en) * 2005-12-12 2007-06-14 Microsoft Corporation Wedge menu
US20070157126A1 (en) * 2006-01-04 2007-07-05 Tschirhart Michael D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control image
US7562312B2 (en) * 2006-01-17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7644372B2 (en) * 2006-01-27 2010-01-05 Microsoft Corporation Area frequency radial menus
KR101269375B1 (ko) * 2006-05-24 2013-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이미지 표시방법
EP1860534A1 (en) * 2006-05-22 2007-11-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659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46644B1 (ko) * 2009-10-30 2014-10-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메뉴 선택·표시방법
KR101106119B1 (ko) * 2010-02-03 2012-01-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 입력 장치
WO2011099706A2 (en) * 2010-02-11 2011-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 in a mobile device
WO2011099706A3 (en) * 2010-02-11 201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 in a mobile device
US9501216B2 (en) 2010-02-11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f items in a side view form and as a single three-dimensional object in a top view form in a mobile device
KR20220070555A (ko) * 2011-09-26 2022-05-31 애플 인크. 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240051307A (ko) * 2011-09-26 2024-04-19 애플 인크. 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US11940844B2 (en) 2011-09-26 2024-03-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11487330B2 (en) 2011-09-26 2022-11-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11137799B2 (en) 2011-09-26 2021-10-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KR20140101128A (ko) * 2013-02-08 201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방법
US9606722B2 (en) 2014-02-11 2017-03-28 Samsung Display Co., Ltd. Por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079971B2 (en) 2015-05-06 2018-09-18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shooting parameter
WO2017119770A1 (ko) * 2016-01-08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265698B2 (en) 2021-08-25 2025-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user interfaces to select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9401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5680A (ko)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1142268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CN102449593B (zh) 基于碰触压力的ui提供方法及采用该方法的电子装置
US9063580B2 (en) Keyboardless text entry
JP4763695B2 (ja) タッチ・センシティブ入力デバイスのためのモード・ベース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EP1939719A2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77480A (ko)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CN101211250A (zh) 使用菜单集提供菜单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多媒体装置
KR10199894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EP1969450A1 (en)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control available for using touch and drag
US109219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JP2013089200A (ja) 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2013141242A (ja) 遠隔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
JP2013089201A (ja) 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371417B1 (ko) 터치 스크린의 터치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가 제공되는 메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N102455800B (zh) 多功能控制器的控制方法
KR100842089B1 (ko)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CN106062874B (zh) 用于控制用于重现的媒体文件的选择的方法和装置
KR100655928B1 (ko) 네비게이션 gui시스템 및 그 gui 구현방법
KR20080061710A (ko) 최상위 메뉴 간 직접 이동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