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689A - Earphone storage - Google Patents
Earphone sto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3689A KR20090003689A KR1020070066567A KR20070066567A KR20090003689A KR 20090003689 A KR20090003689 A KR 20090003689A KR 1020070066567 A KR1020070066567 A KR 1020070066567A KR 20070066567 A KR20070066567 A KR 20070066567A KR 20090003689 A KR20090003689 A KR 200900036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 speaker
- plug
- housing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digital music p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3—Carriage with whee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20)을 구성하는 이어폰줄(22)을 당김에 따라 이어폰줄(22)이 권선되는 릴(14)이 구비되고, 상기 이어폰(20)에 구비된 플러그(24)가 안착되기 위한 플러그홈(30)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클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과 클립(40)에는 상기 이어폰(20)에 구비된 스피커(28)가 안착되기 위한 스피커홈(50)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의 엉킴을 방지하면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플러그 등이 손상되어 단선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storag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el 14 to which the earphone string 22 is wound as the earphone string 22 constituting the earphone 20 is provided, and the plug 24 provided in the earphone 20 is seated. A housing 10 in which a plug groove 30 is formed; One end is fixed to the housing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ip 40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 addition, a speaker groove 50 for seating the speaker 28 provided in the earphone 20 is formed in the housing 10 and the clip 4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neatly arranged while preventing tangling of the earphone. In addition, since the plug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damag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장치에서 이어폰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removed from the earphon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립을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i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accommodated b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arphon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이어폰을 당기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Figures 4a and 4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pulling the earphon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이어폰 수납장치 10 : 하우징1: Earphone storage device 10: Housing
12 : 수납공간 14 : 릴12: storage space 14: reel
20 : 이어폰 22 : 이어폰줄20: earphone 22: earphone band
24 : 플러그 26 : 단자부24: plug 26: terminal
28 : 스피커 28a : 목부28:
28b : 머리부 30 : 플러그홈28b: head 30: plug groove
32 : 고정돌기 40 : 클립32: fixed protrusion 40: clip
42 : 라운드리브 50 : 스피커홈42: round rib 50: speaker groove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을 사용하고 난 후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separately after using the earphone.
최근 들어 휴대용 디지털기기에 관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기기로는 엠피쓰리 플레이어, 휴대 저장장치, 디지털 카메라, 보이스 레코더 등이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portable digital devices has been accelerated. Such portable digital devices include MP3 players, portable storage devices, digital cameras, voice recorders, and the like.
상기 휴대용 디지털기기 중에 엠피쓰리 플레이어나 피엠피(PMP)와 같은 동영상, 음악 파일들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기기의 경우에는 이어폰을 사용하여 본체에 꽂은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Among the portable digital devices, portable digital devices that can play video and music files such as MP3 players or PMPs are used while they are plugged into the main body using earphones.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소형화된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스피커의 음이 사용자의 귓속에 직접 방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적은 출력으로도 음의 청취가 가능하고 음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상술한 휴대용 디지털기기의 음을 청취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In general, earphones are made by inserting miniaturized speakers into the ears so that the sound of the speakers can be directly emitted into the user's ears. Since there is little, it is widely used to listen to the sound of the above-mentioned portable digital apparatu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사용하고 가방 등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이어폰줄이 엉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이어폰줄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을 하게 되면 꼬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이어폰줄이 엉키면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이어폰을 꺼내는 과정에서 엉킨 이어폰줄을 다시 풀어 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e process of using a portable digital device and storing in a ba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arphone cord is tangled. Since the earphone string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f it is stored in a clean state, twisting occurs. If the earphone string is tangle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releasing the tangled earphone string again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earphone in order to use the portable digital device.
또한, 이어폰이 엉키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에서 단자부를 연결하는 플러그 등이 손상되어 단선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may be damaged due to damage to the plug connecting the terminal part in the process of tangling the earphone continuous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어폰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이어폰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n earphone storage device that can be stored neatly organiz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어폰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phone storage device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arphon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어폰을 구성하는 이어폰줄을 당김에 따라 이어폰줄이 권선되는 릴이 구비되고, 상기 이어폰에 구비된 플러그가 안착되기 위한 플러그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되고, 주머니에 걸어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클립에는 상기 이어폰에 구비된 스피커가 안착되기 위한 스피커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el is wound around the earphone string according to pulling the earphone string constituting the earphone, a plug for seating the plug provided in the earphone A housing in which a groove is forme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comprises a clip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so as to walk in the pocket, the housing and the cli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groove for seating the speaker provided in the earphone is formed, respectively.
상기 스피커홈은 상기 하우징과 클립이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aker groove is formed adjacent to the portion where the housing and the clip is connected.
상기 플러그홈에는 상기 플러그가 안착된 상태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g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plug from being removed from the seated state.
상기 이어폰줄이 상기 릴에서 풀린 상태에서 상기 릴은 상기 이어폰줄의 전체 길이의 중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e where the earphone string is released from the reel, the reel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entire length of the earphone string.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이어폰줄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피커홈에 안착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aker extends from one end of the earphone string, and the neck portion seated in the speaker groove; It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ne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d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의 엉킴을 방지하면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플러그 등이 손상되어 단선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neatly arranged while preventing tangling of the earphone. In addition, since the plug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damag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arphon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립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이어폰이 수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이어폰을 당기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arphon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i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arphon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rphones are stored, and FIGS. 4A and 4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pulling the earphon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어폰 수납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슬림한 느낌을 주기 위해 모서리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합성수지 등의 가벼운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한편, 상기 하우징(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릴(14)이 장착되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어폰줄(22)이 권선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2)은 이어폰줄(22)이 권선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양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수납공간(12)에는 이어폰줄(22)이 권선되는 릴(14)이 장착된다. 상기 릴(14)은 진공청소기와 같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전선줄을 권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태엽스프링 및 스토퍼 등의 구성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릴(14)에 연결된 전선을 당겼다가 놓으면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었다가 다시 당겼다가 놓으면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권선된다.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릴(14)에는 이어폰(20)이 연결된다. 상기 이어폰(20)은 사용자의 청취를 위한 음향수단으로서, 내부에 전선이 구비된 이어폰줄(22)이 구비된다. 상기 이어폰줄(22)은 상기 릴(14)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줄(22)을 릴(14)에서 완전하게 풀었을 때 상기 릴(14)은 이어폰줄(22)의 전체 길이의 절반이 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어폰줄(22)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릴(14)에 감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3 and 4, the
상기 이어폰줄(22)의 일단에는 플러그(24)가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24)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주로 일자형 또는 곡선형이 사용된다.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플러그(24)의 선단에는 단자부(26)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26)는 직접적으로 휴대용 디지털기기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휴대용 디지털기기에 형성된 연결부에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게 된다.A
한편, 상기 이어폰줄(22)의 타단은 두 개로 나누어지고 끝단에는 각각 스피커(28)가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28)는 사용자가 귀에 꼽고 음악 등을 듣는 부분으로서, 귀의 안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상기 스피커(28)에는 상기 이어폰줄(22)과 직접 연결되는 목부(28a)가 구비된다. 상기 목부(28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긴 봉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목부(28a)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피커홈(50)에 안착된다.The
상기 목부(28a)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직접 안착되는 머리부(28b)가 구비된다. 상기 머리부(28b)는 휴대용 디지털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머리부(28b)는 사용자의 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end of 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이어폰(20)의 플러그(24)가 안착되는 플러그홈(30)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홈(30)은 상기 플러그(24)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홈(30)은 곡선형의 플러그(24)의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플러그홈(30)은 상기 플러그(24)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상기 플러그홈(30)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고정돌기(3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2)는 상기 플러그(24)가 플러그홈(30)에 안착된 상태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돌기(32)는 상기 플러그홈(3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A fixing
한편, 상기 하우징(10)에는 클립(40)이 구비된다. 상기 클립(40)의 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40)은 사용자의 옷의 주머니 등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클립(4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클립(40)은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선단에는 클립(40)이 주머니에 잘 걸어질 수 있도록 라운드리브(42)가 구비된다. 상기 라운드리브(42)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과 클립(40)에는 각각 상기 스피커홈(5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과 클립(40)에 형성된 스피커홈(50)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스피커(28)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홈(50)은 상기 스피커(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홈(50)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스피커(28)의 목부(28a)만 안착된다. 물론, 상기 스피커(28)의 머리부(28b)만 안착되는 형태의 스피커홈(50)을 형성하거나 스피커(28) 전체가 안착되는 형태의 스피커홈(50)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여기에서, 상기 스피커홈(50)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 또는 상기 클립(40)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스피커홈(50)중 상기 목부(28a)가 고정되는 부분은 상기 클립(40)이 하우징(10)에 연결된 부분에 인접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피커(28)가 스피커홈(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40)을 주머니에 걸 때 스피커(28)가 주머니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portion of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이어폰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s 4a and 4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이어폰(20)을 출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process of putting in and out of 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어폰(20)의 플러그(24) 및 스피커(28)를 각각 플러그홈(30) 및 스피커홈(50)에서 빼낸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플러그(24) 및 스피커(28)를 양손으로 잡고 양쪽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릴(14)이 일방으로 회전되면서 릴(14)에 권선된 이어폰줄(22)이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20)을 양쪽으로 당기다가 놓게 되면, 상기 릴(14)의 내부에 구비된 스토퍼에 의해 상기 릴(14)의 회전이 멈추게 되고, 상기 이어폰줄(22)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4A, the user pulls out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28)의 머리부(28b)를 귀에 삽입하고 음악을 청취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클립(40)을 주머니 등에 끼운 상태로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inserts the
한편,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20)을 사용한 후에 상기 하우징(10)에 다시 수납하려면, 상기 플러그(24) 및 스피커(28)를 양손으로 잡고 양쪽으로 살짝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된다. 그러면, 상기 릴(14)이 일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릴(14)의 내부에 구비된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어폰줄(22)이 상기 릴(14)에 권선되어 상기 수납공간(12)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user use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줄(22)이 상기 수납공간(12)에 모두 수납되면, 사용자는 상기 플러그(24) 및 스피커(28)를 각각 상기 플러그홈(30) 및 스피커홈(50)에 안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24) 및 스피커(28)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플러그홈(30) 및 스피커홈(50)에 안착시키게 되므로 이어폰 수납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이 깔끔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earphon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 수납장치의 내부에 릴이 구비되어 이어폰을 수납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에는 이어폰의 플러그 및 스피커가 안착되는 플러그홈 및 스피커홈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어폰이 엉킨 상태로 보관되지 않고 이어폰 수납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이 깔끔해지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el is provided inside the earphone housing to accommodate the earphone. In additio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plug groove and a speaker groove to which the plug and speaker of the earphone are seated,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earphone storage device is neat without storing the earphone in a tangled state.
또한, 이어폰줄이 릴에 권선되어 보관되고, 플러그 및 스피커 또한 하우징에 안착되어 보관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이어폰줄이나 플러그 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arphone cord is wound around the reel, and the plug and the speaker are also stored in the housing. Therefore, since the earphone cord or the plug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external forc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6567A KR20090003689A (en) | 2007-07-03 | 2007-07-03 | Earphone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6567A KR20090003689A (en) | 2007-07-03 | 2007-07-03 | Earphone stor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689A true KR20090003689A (en) | 2009-01-12 |
Family
ID=4048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6567A Withdrawn KR20090003689A (en) | 2007-07-03 | 2007-07-03 | Earphone sto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3689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6490Y1 (en) * | 2012-02-06 | 2013-04-18 | 이은자 | Earphone strap clip with mobile phone |
WO2013062917A1 (en) * | 2011-10-25 | 2013-05-02 | Digital Innovations, Llc |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tection and storage of small electronic components |
KR101374349B1 (en) * | 2013-05-21 | 2014-03-17 | 조석원 | Earphone storag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
KR200474074Y1 (en) * | 2013-04-09 | 2014-08-20 | 박영준 | The accessory to arrangement an earphones |
CN105692347A (en) * | 2016-03-02 | 2016-06-22 | 姚旺东 | Wire winder clamped on table side |
-
2007
- 2007-07-03 KR KR1020070066567A patent/KR2009000368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2917A1 (en) * | 2011-10-25 | 2013-05-02 | Digital Innovations, Llc |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tection and storage of small electronic components |
KR200466490Y1 (en) * | 2012-02-06 | 2013-04-18 | 이은자 | Earphone strap clip with mobile phone |
KR200474074Y1 (en) * | 2013-04-09 | 2014-08-20 | 박영준 | The accessory to arrangement an earphones |
KR101374349B1 (en) * | 2013-05-21 | 2014-03-17 | 조석원 | Earphone storag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
CN105692347A (en) * | 2016-03-02 | 2016-06-22 | 姚旺东 | Wire winder clamped on table sid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0193B2 (en) | Headphones with reduced tangling and methods | |
KR101401906B1 (en) | Automatic cable rewinding module having side push key | |
KR200461079Y1 (en) | cell phone case | |
KR101673414B1 (en) | Bluetooth earphone having improved retractabl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wire | |
KR20090003689A (en) | Earphone storage | |
JP5747484B2 (en) | Stereo headphones and stereo headphones slider | |
KR101292337B1 (en) | Earphone case for portability | |
KR101347662B1 (en) | Earphone wire winder | |
KR101073097B1 (en) | Earphone trimming device | |
JP5597858B2 (en) | Headphone cable entanglement prevention structure | |
KR101367110B1 (en) | Earphone wire winding device | |
KR20100033504A (en) | Apparatus for cable winder of electric wire | |
KR200364568Y1 (en) | Earphone | |
KR101507395B1 (en) | Wearable earphone using slapband | |
KR101612672B1 (en) | Earphone combined smart phone case | |
KR20120058236A (en) | Shield case of portable device | |
KR200204500Y1 (en) | A wind structure for an earphone string | |
KR200415724Y1 (en) | Twist in the earphone cord. | |
KR101147853B1 (en) | Apparatus for winding earphone code and string | |
KR102634803B1 (en) | Anti-tangle of earphone cord | |
KR200355142Y1 (en) | Stereo Earphone Storage Case | |
KR101185806B1 (en) | Earphone having a function preventable to twist | |
KR101153702B1 (en) | Earphone storage | |
JP3655573B2 (en) | Earphone organizer | |
CN210112231U (en) | Anti-drop's portable bluetooth heads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