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79Y1 - cell phone case - Google Patents
cell phone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079Y1 KR200461079Y1 KR2020110009637U KR20110009637U KR200461079Y1 KR 200461079 Y1 KR200461079 Y1 KR 200461079Y1 KR 2020110009637 U KR2020110009637 U KR 2020110009637U KR 20110009637 U KR20110009637 U KR 20110009637U KR 200461079 Y1 KR200461079 Y1 KR 2004610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 mobile phone
- roll
- winding
- c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 연결되는 이어폰이 일체로 구비되는 새로운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후측면에 구비되는 권취롤(10)에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권취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되므로, 이어폰(C)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서 보관이 편리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이어폰(C)의 케이블(2)을 풀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of a new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earphone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Since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is wound on the winding roll 10 provided on the rear side, the earphone C does not need to be stored separately so that the storage is convenien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releasing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at any time as nee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폰에 연결되는 이어폰이 일체로 구비되는 새로운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of a new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earphone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일측에는 이어폰이 연결되는 이어폰단자가 구비되어,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을 때 또는 동영상을 시청할 때, 상기 이어폰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terminal to connect the earphone, when making a call, listening to music or watching a video, is configured to be used to connect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이어폰은 휴대폰과 별도로 구성되어,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se earphones ar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phon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be stored separately when not using the earphones.
특히, 이어폰은 플랙시블한 케이블과, 휴대폰의 이어폰단자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비되므로, 보관시 케이블이 엉키게 되어 사용할 때마다 엉킨 케이블을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earphone is provided with a flexible cable and a plug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the cable is entangled during storag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releasing the tangled cable every time it is used.
한편, 이러한 휴대폰은 충격에 약하고 사용중에 긁힐 수 있으므로, 별도의 케이스를 결합하여 휴대폰이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mobile phone is vulnerable to shock and can be scratched during use, by combining a separate cas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protected from impact or scratches.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폰의 후측면과 둘레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휴대폰을 보호할 수 있다.The mobile phone cas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x that is open to the front, it is coupled to cover the rear an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bile phone can protect the mobile phone.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형태와 기능이 매우 단순하여,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mobile phone case has a very simple form and function, it is difficult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customers.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연결되는 이어폰이 일체로 구비되는 새로운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of a new structure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integrally.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휴대폰(A)의 후측면과 둘레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휴대폰(A)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장식성을 제공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둘레면에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감겨지는 권취롤(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은 중간부가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on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x that is open and coupled to cover the rear an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 to provide decorativeness while protecting the mobile phone (A) from external impact In the mobile phone case, further comprising a tak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롤(10)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10)을 덮어 가리며 둘레면에는 상기 권취롤(10)에 감긴 케이블(2)이 인출되는 인출구(21)가 형성되는 커버(20)와, 상기 권취롤(10)에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10)을 회전시키는 탄성부재(30)와, 상기 권취롤(10)에 연결되어 권취롤(1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C)이 결합되는 결합공(51)이 형성되는 고정패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case (B) further comprises a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에는 휴대폰(A)의 이어폰단자에 연결되는 플러그(3)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2)은 상기 이어폰(C)에 연결되는 이어폰연결부(4)와 상기 플러그(3)에 연결되는 플러그연결부(5)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연결부(4)는 단부가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권취롤(10)의 둘레면에 권취되고, 상기 플러그연결부(5)는 커넥터(6)를 통해 상기 이어폰연결부(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is provided with a plug (3)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A), the cable (2) to the earphone (C) And a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롤(10)은 제1 권취부(13)와, 상기 제1 권취부(13)에 비해 지름이 작은 제2 권취부(14)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에서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되는 고정부(7)에서 이어폰(C)에 연결되는 쪽 단부까지의 이어폰연결부(4)는 상기 제1 권취부(13)에 권취되고, 상기 고정부(7)에서 플러그(3)에 연결되는 쪽 단부까지의 플러그연결부(5)는 상기 제2 권취부(14)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후측면에 구비되는 권취롤(10)에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권취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되므로, 이어폰(C)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서 보관이 편리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이어폰(C)의 케이블(2)을 풀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후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후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 is a rear sid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휴대폰(A)의 후측면과 둘레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1 to 3 illustrate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x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is coupled to cover the rear sid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 as in the related art.
이때, 상기 휴대폰(A)의 둘레면에는 이어폰(C)이 연결되는 이어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에는 상기 이어폰단자에 끼워지는 플러그(3)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terminal to which the earphone (C) is connected,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is provided with a plug (3) fitted to the earphone terminal.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감겨지는 권취롤(10)과,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10)을 덮어 가리는 커버(20)와, 상기 권취롤(1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권취롤(10)에 연결되어 권취롤(1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과, 상기 이어폰(C)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되는 고정패널(50)이 더 구비된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권취롤(10)은 둘레면에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감기는 오목홈(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B)의 후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In detail, the
이때,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은 상기 이어폰(C)에 연결되는 이어폰연결부(4)와, 상기 플러그(3)에 연결되는 플러그연결부(5)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연결부(4)는 길이가 충분히 길게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5)는 휴대폰 케이스(B)에 결합되는 휴대폰(A)의 이어폰단자에 끼워질 수 있을 정도로 길이가 짧게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이어폰연결부(4)는 단부가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권취롤(10)의 둘레면에 권취되고, 상기 플러그연결부(5)는 상기 단부가 휴대폰 케이스(B)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넥터(6)를 통해 상기 이어폰연결부(4)에 연결된다.And, the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를 연결하는 커넥터(6)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되며 상기 이어폰연결부(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극(6a)과, 상기 케이스(B)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전극(6a)과 접촉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브러쉬(6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어폰연결부(4)는 상기 권취롤(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선(6c)을 통해 상기 전극(6a)에 연결된다.The
따라서, 상기 권취롤(10)이 회전되면, 상기 이어폰연결부(4)가 권취롤(10)에 감기거나 권취롤(10)에 감겨진 이어폰연결부(4)가 풀려 나오게 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5)는 상기 케이스(B)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6)를 통해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refore, when the
상기 커버(20)는 전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10)을 덮어 가리도록 휴대본 케이스(B)의 후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상하측에는 권취롤(10)에 감긴 케이블(2)의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인출되는 인출구(21)가 형성된다.The
상기 탄성부재(30)는 와이어가 코일 형태로 감아져 구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회전축(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롤(10)에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1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고정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에 형성되는 관통공(22)에 결합되는 푸쉬버튼(41)과, 상기 푸쉬버튼(41)이 돌출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fixing means 40, the
상기 푸쉬버튼(41)은 둘레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41a)가 상기 커버(20)의 관통공(22) 둘레부에 형성되는 홈(22a)에 맞물려, 커버(20)의 후측으로 출몰되면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다.The
이때, 상기 푸쉬버튼(41)의 둘레면에는 상기 권취롤(10)에 형성된 경사이빨(12)과 결합되는 래칫(41b)이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래칫(41b)은 상기 경사이빨(12)과 맞물려 상기 권취롤(10)이 케이블(2)이 풀리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되고, 케이블(2)이 감기는 방향으로는 권취롤(1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푸쉬버튼(41)을 누르면,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버튼(41)과 함께 래칫(41b)이 밀려나가게 되어 상기 래칫(41b)과 경사이빨(12)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케이블(2)이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10)이 회전된다.Th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권취롤(10)에 감겨진 이어폰연결부(4)를 당기면, 상기 권취롤(10)이 회전되면서 이어폰연결부(4)가 풀려 나오게 되며, 사용자가 이어폰연결부(4)를 당기는 것을 멈추면, 상기 권취롤(10)은 상기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되어 이어폰연결부(4)가 풀려나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푸쉬버튼(41)을 누르면, 래칫(41b)과 경사이빨(12)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권취롤(10)이 회전되어 풀려나온 이어폰연결부(4)가 권취롤(10)에 감기게 되어, 상기 커버(20)의 내부로 수납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상기 고정패널(50)은 일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어폰(C)이 결합되는 결합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2)이 권취롤(10)에 감겨진 상태에서 커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이어폰(C)을 상기 결합공(5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후측면에 구비되는 권취롤(10)에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권취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되므로, 이어폰(C)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서 보관이 편리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이어폰(C)의 케이블(2)을 풀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tegrally 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상기 권취롤(10)은 상기 탄성부재(30)와 고정수단(40)에 의해 상기 케이블(2)이 풀리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되고, 케이블(2)이 풀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수단(40)의 푸쉬버튼(41)을 누르면 권취롤(10)이 회전되어 케이블(2)이 자동으로 감기게 되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는 커넥터(6)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 권취롤(10)이 회전되더라도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서로 꼬이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그리고,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는 고정패널(50)이 구비되어, 이어폰(C)을 고정패널(50)의 결합공(51)에 끼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2)이 권취롤(10)에 감겨진 상태에서 커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이어폰(C)이 거치적거리거나, 케이블(2)이나 이어폰(C)과 케이블(2)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case is provided with a
덧붙여, 상기 커넥터(6)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되는 전극(6a)과, 상기 케이스(B)에 고정되어 전극(6a)에 접촉되는 브러쉬(6b)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커넥터(6)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상호 회전되면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스트립이 감아진 태엽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전술한 래칫(41b)과 경사이빨(12)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캠을 이용하여 이어폰연결부(4)를 끝까지 당겨 풀어내면 권취롤(10)이 고정되고, 이어폰연결부(4)를 재차 당기면 권취롤(10)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어폰연결부(4)가 감기도록 회전되는 캠 방식의 잠금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40, in addition to using the ratchet (41b) and the
그리고, 상기 회전축(1)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회전축(1)은 커버(2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otating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권취롤(10)은 제1 권취부(13)와 상기 제1 권취부(13)에 비해 지름이 작은 제2 권취부(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13,14)는 둘레면에 케이블(2)이 감기는 오목홈(11)이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구성된다.4 to 6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inding
그리고,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에서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되는 고정부(7)에서 이어폰(C)에 연결되는 쪽 단부까지의 이어폰연결부(4)는 상기 제1 권취부(13)에 권취되고, 상기 고정부(7)에서 플러그(3)에 연결되는 쪽 단부까지의 플러그연결부(5)는 상기 제2 권취부(14)에 권취된다. The
이때,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는 별도로 나뉘어져 커넥터(6)를 통해 연결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상기 고정부(7)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이어폰연결부(4)는 길이가 충분히 길게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5)는 상기 제2 권취부(14)에서 끝까지 풀려나온 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B)에 결합되는 휴대폰(A)의 이어폰단자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로 길이가 짧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는 권취롤(10)이 회전되면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함께 권취롤(10)에서 풀려 나오거나 권취롤(10)에 감기도록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13,14)에 각각 권취된다.In addition, when the winding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10)이 탄성부재(3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3)를 감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는 상기 고정부(7)를 기점으로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13,14)에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winding
이때, 상기 고정부(7)는 상기 권취롤(11)의 내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13,14)의 오목홈(11)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연결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ixing
따라서, 이어폰연결부(4)의 선단부를 당기면,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13,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함께 풀려 나오고, 상기 고정수단(40)의 푸쉬버튼(41)을 눌러 탄성부재(30)에 의해 권취롤(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13,14)에 각각 감겨진다.Accordingly, when the front end of the
따라서, 제1 및 제2 권취부(13,14)에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감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연결부(4) 또는 플러그연결부(5)를 당기면, 상기 권취롤(10)이 회전되면서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동시에 끝까지 풀려 나오고,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푸쉬버튼(41)을 눌러 반대로 권취롤(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제1 및 제2 권취부(13,14)에 감겨 상기 커버(20)의 내부로 수납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권취롤(10)이 서로 지름이 다른 제1 권취부(13)와 제2 권취부(14)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13,14)에 각각 권취되어, 권취롤(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길이가 다른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동일한 비율로 상기 권취롤(10)에 감기거나 권취롤(10)에서 풀려 나오게 된다.The mobile phone cas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first winding 13 and the second winding 14 having different diameters of the winding rolls 10, and the
즉, 이어폰(C)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어폰연결부(4)와 플러그연결부(5)가 권취롤(10)에 권취되도록 하고, 이어폰(C)을 사용하기 위해 이어폰연결부(4)를 당겨 인출하면 플러그연결부(5)가 함께 풀려 나오게 된다.That is, when not using the earphone (C) when the
따라서, 플러그연결부(5)가 커버(20)의 외부로 항상 연장되어 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이어폰(C)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연결부(5)가 제2 권취부(14)에 권취되어 커버(20)의 내부로 수납되므로, 외부로 연장되는 플러그연결부(5)가 거치적거리거나 플러그연결부(5) 또는 플러그연결부(5)와 커넥터(6)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 휴대폰 B. 케이스
C. 이어폰 1. 회전축
2. 이어폰케이블 3. 플러그
10. 권취롤 13. 제1 권취부
14. 제2 권취부 20. 커버
30. 탄성부재 40. 고정수단
50. 고정패널A. Mobile phone B. Case
2.
10. Winding
14. 2nd winding
30.
50. Fixed Panel
Claims (5)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둘레면에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감겨지는 권취롤(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은 중간부가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롤(10)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10)을 덮어 가리며 둘레면에는 상기 권취롤(10)에 감긴 케이블(2)이 인출되는 인출구(21)가 형성되는 커버(20)와,
상기 권취롤(10)에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이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10)을 회전시키는 탄성부재(30)와,
상기 권취롤(10)에 연결되어 권취롤(1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 케이스(B)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C)이 결합되는 결합공(51)이 형성되는 고정패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In the mobile phone cas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x that opens the front and cover the rear an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 to provide decoration while protecting the mobile phone (A) from external impact,
I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case (B) and further comprises a winding roll 10 is wound around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Cable 2 of the earphone (C) is the middle portion is fixed to the take-up roll 10,
The winding roll 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case (B),
Cover 2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case (B) to cover the take-up roll 10, the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an outlet 21 for the cable (2) wound around the take-up roll 10 is drawn out )Wow,
An elastic member 30 connected to the winding roll 10 to rotate the winding roll 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is wound;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take-up roll 10 to fix the take-up roll 10 is not rotated,
Cell phone case further comprises a fixed panel 50 is formed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case (B) and the coupling hole 51 is coupled to the earphone (C).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에는 휴대폰(A)의 이어폰단자에 연결되는 플러그(3)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2)은 상기 이어폰(C)에 연결되는 이어폰연결부(4)와 상기 플러그(3)에 연결되는 플러그연결부(5)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연결부(4)는 단부가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권취롤(10)의 둘레면에 권취되고,
상기 플러그연결부(5)는 커넥터(6)를 통해 상기 이어폰연결부(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is provided with a plug (3)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A),
The cable 2 includes an earphone connection part 4 connected to the earphone C and a plug connection part 5 connected to the plug 3,
The earphone connecting portion 4 is woun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ke-up roll 10 with the end fixed to the take-up roll 10,
The plug connection part (5) i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4) through a connector (6).
상기 권취롤(10)은
제1 권취부(13)와,
상기 제1 권취부(13)에 비해 지름이 작은 제2 권취부(14)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폰(C)의 케이블(2)에서 상기 권취롤(10)에 고정되는 고정부(7)에서 이어폰(C)에 연결되는 쪽 단부까지의 이어폰연결부(4)는 상기 제1 권취부(13)에 권취되고,
상기 고정부(7)에서 플러그(3)에 연결되는 쪽 단부까지의 플러그연결부(5)는 상기 제2 권취부(14)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ing roll 10 is
The first winding part 13,
It is composed of a second winding portion 14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winding portion 13,
The earphone connecting portion 4 from the cable 2 of the earphone C to th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earphone C to the fixing portion 7 fixed to the winding roll 10 is the first winding portion 13. ),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connection portion (5) from the fixing portion (7) to th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plug (3) is wound on the second winding portion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9637U KR200461079Y1 (en) | 2011-10-31 | 2011-10-31 | cell phone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9637U KR200461079Y1 (en) | 2011-10-31 | 2011-10-31 | cell phone ca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1079Y1 true KR200461079Y1 (en) | 2012-06-22 |
Family
ID=4687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963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1079Y1 (en) | 2011-10-31 | 2011-10-31 | cell phone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079Y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005Y1 (en) * | 2013-06-11 | 2013-09-11 | 우양섭 |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KR200469004Y1 (en) * | 2013-06-17 | 2013-09-11 | 우양섭 |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device |
KR200469972Y1 (en) | 2013-06-05 | 2013-11-15 | 이영웅 | earphone for portable terminal |
KR101512046B1 (en) * | 2013-11-13 | 2015-04-17 | 오득영 | A cellular phone case |
US9161115B2 (en) | 2012-05-03 | 2015-10-13 | Turtlecell Llc | Case with headset retraction device |
KR101701633B1 (en) | 2015-09-03 | 2017-02-14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The mobile phone case equipped with the usb cable |
CN106790868A (en) * | 2016-12-26 | 2017-05-31 | 东莞产权交易中心 | A mobile phone case for conveniently storing earphon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0180Y1 (en) | 2001-12-26 | 2002-03-28 | 구자덕 | mobile phone case built-in ear-microphone winder |
-
2011
- 2011-10-31 KR KR2020110009637U patent/KR20046107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0180Y1 (en) | 2001-12-26 | 2002-03-28 | 구자덕 | mobile phone case built-in ear-microphone winde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61115B2 (en) | 2012-05-03 | 2015-10-13 | Turtlecell Llc | Case with headset retraction device |
KR200469972Y1 (en) | 2013-06-05 | 2013-11-15 | 이영웅 | earphone for portable terminal |
KR200469005Y1 (en) * | 2013-06-11 | 2013-09-11 | 우양섭 |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KR200469004Y1 (en) * | 2013-06-17 | 2013-09-11 | 우양섭 |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device |
KR101512046B1 (en) * | 2013-11-13 | 2015-04-17 | 오득영 | A cellular phone case |
KR101701633B1 (en) | 2015-09-03 | 2017-02-14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The mobile phone case equipped with the usb cable |
CN106790868A (en) * | 2016-12-26 | 2017-05-31 | 东莞产权交易中心 | A mobile phone case for conveniently storing earphon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1079Y1 (en) | cell phone case | |
US8657087B2 (en) | Retractable cord reel | |
US9049782B2 (en) |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or reel assembly for user-provided headphones | |
US9066181B2 (en) | Interchangeable at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earpiece cabl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sound devices | |
JP4310893B2 (en) | Headphone with cord winder | |
KR101263645B1 (en) | Easy-tying and easy-untying earphone and wire having tieing device | |
KR101673414B1 (en) | Bluetooth earphone having improved retractabl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wire | |
KR101187262B1 (en) | Earphone winding equipment for celluar phone | |
KR200463097Y1 (en) | Case of portable terminal with rell type earphone and detachable rell type earphone | |
US5655726A (en) |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 |
JP3106207U (en) | Apparatus for accommodating hub of cord take-up reel | |
KR20160025943A (en) | cellular phone case having ear phone winding device | |
KR20130071598A (en) | Cell-phone case having a earphone case | |
KR200469005Y1 (en) |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CN112004175A (en) | Headphone storage box and headphone device | |
US20090294308A1 (en) |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1367110B1 (en) | Earphone wire winding device | |
KR101479605B1 (en) | eardog earphone | |
KR20100033504A (en) | Apparatus for cable winder of electric wire | |
CN206807705U (en) | a kind of earphone | |
US20120163647A1 (en) | Microphone-and-earphone set with functions of wire arrangement and winding | |
KR200188552Y1 (en) | A mouse in computer constituent roll up hole | |
KR20110028814A (en) | Earphone set with take-up unit | |
JPH11163991A (en) | Portable telephone set with earphone microphone | |
KR101507395B1 (en) | Wearable earphone using slapb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03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21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3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20517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61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003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