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3181A - 무선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181A
KR20090003181A KR20087019570A KR20087019570A KR20090003181A KR 20090003181 A KR20090003181 A KR 20090003181A KR 20087019570 A KR20087019570 A KR 20087019570A KR 20087019570 A KR20087019570 A KR 20087019570A KR 20090003181 A KR20090003181 A KR 2009000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station
transmission
service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08701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639B1 (ko
Inventor
쉬라반 케이 수리네니
아르노 메이란
산지브 난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0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6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스케줄링과 국을 서빙하는 기술들이 서술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VoIP 플로우와 같은 유사한 특징을 갖는 트래픽을 운반하는 집합화된 국들일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이들 국들을 함께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에서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각 국들을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각자의 서비스 기간 내에서 서빙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시작시간 및/또는 각 국에 대한 서비스 기간을 나타내기 위해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시작에서 멀티 폴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각 국은 그 시작시간까지 파워 다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국들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서로 오버래핑될 수도 있다. 각 국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추가적인 송신 및/또는 재송신은 물론 최초의 송신을 커버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송신 및/또는 재송신이 주어진 국에 대해 필요하지 않다면, 그 다음의 국은 바로 서빙될 수도 있다.
Figure P1020087019570
스케줄링, 무선 네트워크, 채널 액세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5 U.S.C.§119에 따른 우선권 주장
본 특허출원은 "S-APSD 클라이언트와 함께 파워 절약을 최대화하는 WLAN AP 스케줄러 (WLAN AP SCHEDULER FOR MAXIMIZING POWER SAVE WITH S-APSD CLIENTS)" 의 명칭으로 2006 년 1 월 10 일자로 출원된 가출원 제 60/758,076 호, 및 "S-APSD 클라이언트와 함께 파워 절약을 최대화하는 WLAN AP 스케줄러 (WLAN AP SCHEDULER FOR MAXIMIZING POWER SAVE WITH S-APSD CLIENTS)" 의 명칭으로 2006 년 1 월 18 일자로 출원된 가출원 제 60/759,730 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 명백히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과 관련되고,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국에 대한 송신 스케줄링 및 파워 절약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보이스, 비디오,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이들 네트워크들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을 위한 통신 지원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들 네트워크들의 예들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들, 및 무선 광역 네트워크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들이 포함된다.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 은 종종 상호교환하여 사용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개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임의의 개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기와 함께 통신을 위한 조정자로서 행동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액세스 포인트와 활발히 통신할 수도 있고, 아이들 (idle) 일 수도 있고, 파워 다운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상이한 데이터 요청 및 성능을 가질 수도 있다.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 및 국들의 요청 및 성능에 기초하여 가능한 효율적으로 송신하도록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것이 중요 과제이다.
그러므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들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는 기술에 대한 방법이 필요하다.
요약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스케줄링 및 국 (station) 들을 서빙하는 기술이 여기에 서술된다. 국들은 단말기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플로우와 같은 유사한 특징을 갖는 트래픽을 운반하는 플로우와 함께 국들을 집합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에서 이들 국들을 함께 스케줄링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각 국들을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각각의 서비스 기간에서 서빙한다. 국들을 집합, 스케줄링, 및 서빙하는 것은 아래에서 상세히 서술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파워 절약 멀티 폴 (PSMP) 은 집합과 조합되어 사용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시작에서 PSMP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PSMP 프레임은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에 스케줄링된 각 국에 대한 서비스 기간 및/또는 시작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각 국은 PSMP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시작시간까지 파워다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국들은 그들의 서비스 기간이 서로 오버래핑되도록 스케줄링된다. 각 국들에 대한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은 추가적인 송신 및/또는 재송신은 물론, 국에 대한 최초 송신을 커버할 수도 있다. 두번째로 서빙되는 제 2 국에 대한 스케줄링 서비스 기간은 첫번째로 서빙되는 제 2 국에 대한 서비스 기간의 추가적이고 재송신 부분에 오버래핑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송신 및/또는 재송신이 제 1 국에 대해 필요하지 않다면, 제 1 국에 대한 최초 송신 직후인, 그 스케줄링 서비스 기간의 시작에서 서빙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스케줄링 동작에 대한 시간의 지정된 기간을 차단하고, 이들 지정된 기간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국들을 알려준다. 액세스 포인트는, 그 후,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지정된 기간의 시작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개시된 다양한 양태 및 실시형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서술된다.
본 개시의 형상 및 본질은, 도면과 함께 취해졌을 때 아래에 서술될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참조 부호들은 명세서를 걸쳐 대응되는 것을 식별한다.
도 1 은 액세스 포인트 및 복수의 단말기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 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 (timeline) 을 도시한다.
도 3 은 스케줄링안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4 는 각자의 서비스 시간을 갖는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5a 및 5b 는 집합화된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6a 및 6b 는 집합화되고 PSMP 를 갖는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 는 오버래핑된 서비스 슬롯들을 갖는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8 은 상이한 스태거링 (staggering) 을 갖는 서비스 슬롯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9c 는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들 및 PSMP 를 갖는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 은 송신 슬롯의 유닛으로 주어진 서비스 슬롯들을 도시한다.
도 11 은 오버래핑된 서비스 슬롯을 갖는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12 는 선정된 기간 내 오버래핑된 서비스 슬롯들을 갖는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13 은 선정된 기간 내 PSMP 를 갖는 스케줄링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14 는 집합된 국을 스케줄링하고 서빙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5 는 집합된 국을 스케줄링하고 서빙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 은 스태거링되고 오버래핑되도록 스케줄링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7 은 스태거링되고 오버래핑되도록 스케줄링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8 은 국을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9 는 국에 대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20 은 액세스 포인트 및 국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되는"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 또는 설계는 다른 실시형태에 비하여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서술된 스케줄링 기술들은 WLAN 들, WPAN들, WWAN 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기술들은 (1) 데이터가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한 주파수 대역으로 다운링크상으로 및 업링크상으로 전송되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네트워크, 및 (2) 데이터가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다운링크상으로 및 업링크상으로 전송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하기 위해, 스케줄링 기술들은 TDD WLAN 에 대해 아래에 서술된다.
도 1 은 액세스 포인트 (110) 및 복수의 단말기들 (120a 내지 120e) 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100) 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개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임의의 개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연관된 국들을 위해, 무선 매체를 통한 분산 서비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국이다. 용어 "무선 매체" 및 "채널" 은 여기서 상호교환되어 사용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서브시스템 (BTS), 노드 B 및/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도 불릴 수도 있고, 그들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무선 매체를 통해 다른 국으로 통신할 수 있는 국이다.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들과 피어 투 피어 (peer to peer) 로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이동국, 사용자 장비 (UE) 및/또는 임의의 다른 엔티티로도 불릴 수도 있고, 그들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 휴대용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PDA, 노트북 컴퓨터, 무선 모뎀 카드, 무선 전화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중앙집중식 네트워크에 대해, 네트워크 제어기 (130) 는 액세스 포인트에 커플링되고, 이들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제어기 (130) 는 하나의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합일 수도 있다. 분산 네트워크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들은 네트워크 제어기 (130) 의 사용 없이 필요한 때에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전미전기전자통신기술인협회 (IEEE) 에 의해 채택된 표준들의 IEEE 802.11 패밀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100) 는 IEEE 802.11 표준으로 존재하는 IEEE 802.11, 802.11a, 802.11b, 802.11e, 및/또는 802.11g 를 구현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은 성립된 IEEE 802.11 표준들인 IEEE 802.11n 및/또는 802.11s 도 구현할 수도 있다. IEEE 802.11, 802.11a, 802.11b, 802.11g, 및/또는 802.11n 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커버하고, 상이한 성능을 갖는다. IEEE 802.11e 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층에 대한 서비스의 품질 (QoS) 강화를 커버한다. IEE 802.11e 에서, QoS 설비를 지원하는 국은 QSTA 로 지칭되고, QoS 설비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QAP 로서 지칭된다. QoS 설비는 파라미터화되고 우선시된 QoS 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커니즘을 가리킨다.
국 (STA) 은 하나 이상의 플로우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 (AP) 와 통신할 수도 있다. 플로우는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위 계층 (예를 들어, TCP 또는 UDP) 데이터 스트림이다. 플로우는 데이터 스트림, 트래픽 스트림 등으로도 명칭될 수도 있다. 플로우는 예를 들어, 보이스, 비디오,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의 임의의 타입을 운반할 수도 있다. 플로우는 특정 트래픽 클래스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데이터 레이트, 대기시간 또는 지연 등의 특정 요청을 가질 수도 있다. 플로우는 주기적일 수도 있고 비주기적일 수도 있다. 비주기적인 플로우는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마다 데이터가 우발적으로 전송되는 플로우이다. 주기적인 플로우는 데이터가 일정한 간격으로 전송되는 플로우이다. 예를 들어, VoIP 플로우는 데이터 프레임을 10 또는 20 밀리세컨드 (ms) 마다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 널 프레임, 제어 프레임 또는 어떤 다른 타입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프레임은 패킷, 데이터 블록, 데이터 유닛,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MAC PDU (MPDU) 등으로도 불릴 수도 있다. STA 에 대한 콜은 하나 이상의 트래픽 타입들에 대해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플로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 는 무선 네트워크 (100) 내의 AP (110) 에 대한 예시적인 송신 타임라인 (200) 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내의 각 AP 는 그 AP 에 의해 커버되는 모든 송신에 대해 각각의 타임라인을 유지한다. AP (110) 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아래에서 서술된다. AP (110) 는 다운링크상으로 비콘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이 비콘은 STA 들이 AP 를 감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AP 식별자 (AP ID) 및 프리앰블을 운반한다. 2 개의 연속적인 비콘들의 시작 사이의 시간 간격은 타겟 비콘 송신 시간 (TBTT) 또는 비콘 간격으로 불린다. 비콘 간격은 고정되거나 변할 수도 있고 적절한 기간, 예를 들어, 100 ms 로 설정될 수도 있다.
비콘 간격은 임의의 개수의 STA 들에 대한 임의의 개수의 서비스 기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기간은, AP 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고/있거나 동일한 STA 로 하나 이상의 송신 기회 (TXOP) 들을 승인하는동안의 연속적인 시간 지속기간이다. TXOP 는 링크상 송신에 대한 시간의 할당이다. 서비스 기간은 스케줄링될 수도 스케줄링안될 수도 있다. 주어진 STA 는 비콘 간격 내의 임의의 개수의 서비스 기간들을 가질 수도 있다.
서비스 간격은 주어진 STA 에 대한 두 개의 연속적인 서비스 기간들의 시작 사이의 시간 간격이다. 주기적인 플로우에 대한 서비스 간격은 예를 들어, 대기 요청에 기초한 어떤 다른 값 또는 VoIP 에 대한 10 또는 20 ms 와 같이, 그 플로우에서 전송하려는 트래픽의 주기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STA 들은 상이한 서비스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서비스 시간은 서비스 기간의 시작이다. 주어진 STA 에 대한 서비스 시간은 그 STA 에 대한 서비스 간격에 의해 분리되는 시간 인스턴스들의 시리즈들이다.
IEEE 802.11e 는, 스케줄링안된 APSD (U-APSD) 및 스케줄링된 APSD (S-APSD) 로 불리는 2 개의 자동 파워 절약 전달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APSD) 모드들을 정의한다. 스케줄링안된 APSD 는 집중된 대응관계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 모드에서, 각 STA 는 그 서비스 시간을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APSD 는 AP 에 의해 서비스 시간의 집중된 스케줄링을 활용한다.
도 3 은 하나의 STA 에 대한 스케줄링안된 APSD 동작을 도시한다. STA 는 T1의 서비스 시간을 선택한다. 서비스 시간 T1 에서, STA 는 무선 매체에 액세스 하기 위해 IEEE 802.11 에 의해 정의되는 강화된 분산 채널 액세스 (EDCA) 절차를 수행한다. 채널 액세스는 채널이 통화중인지 여부 및 EDCA 액세스 카테고리 (AC) 가 사용되는 지 여부에 따라, 가변적인 양의 시간 TSTA 을 가질 수도 있다. 채널로의 액세스를 얻자마자, STA 는 업링크 (UL) 상으로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 트리거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 (예를 들어, VoIP 프레임), QoS 널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나타내는 어떤 다른 프레임일 수도 있다. 프레임들의 다양한 타입들의 프레임 포맷은 IEEE 802.11 문서에 서술된다.
AP 는 STA 로부터의 트리거/데이터 프레임 수신에 응답하는 확인응답 (애크) 을 다운링크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AP 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블록 확인응답 또는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하나의 확인응답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애크" 는 하나의 확인응답일 수도 있고, 임의의 타입의 블록 확인응답일 수도 있다. AP 는 애크와 함께, 데이터를 STA 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이는 도 3 에 도시되지 않는다. 응답 (애크 또는 데이터) 은 서비스 기간의 시작의 확증을 위해 STA 에 의해 사용된다. STA 는 AP 에 의해 끝날 때까지 또는 비콘이 수신될 때까지 그 서비스 기간에 어웨이크 상태이다. 트리거의 수신 및 서비스 기간의 시작을 확증하기 위한 애크를 전송한 후, 그때 AP 가 준비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갖지 않는다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후속의 다운링크 프레임으로 STA 로 전송할 수도 있다. STA 는 그 후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돤 바와 같이, AP 는 STA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의 종료를 나타내기 위해 서비스-기간-종료 (end-of-service-period; EOSP) 비트가 '1' 로 설정된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STA 는 스케줄링 안된 서비스 기간의 종료까지 어웨이크 상태로 남아있고, AP 에 의해 전송되는 임의의 데이터 프레임을 확인응답한다. 도 3 에서 도시된 예에서, 스케줄링 안된 서비스 기간에 대해, STA 는 2 개의 프레임 (1 개의 트리거/데이터 프레임 및 1 개의 애크 프레임) 의 지속기간에 대해 송신 상태에 있고, TSTA 더하기 TAP 더하기 2 개의 프레임 (1 개의 애크 프레임 및 1 개의 데이터 프레임) 의 지속기간에 대해 수신 상태이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3 은 동일한 지속기간을 갖는 모든 다운링크 프레임들 및 역시 동일한 지속기간을 갖는 업링크 프레임들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들은 전송하는 데이터 양 및 프레임에 대해 사용되는 레이트에 따라 상이한 지속기간을 각각 가질 수도 있다.
도 4 는 겹치지 않는 서비스 시간을 가는 2 개의 STA 에 대한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을 도시한다. AP 는 STA1 에 대한 서비스 시간 T1 을 스케줄링하고, STA2 에 대한 T2 을 스케줄링한다. 서비스 시간 T1 에서, AP 는 무선 매체에 액세스하고,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 (예를 들어, VoIP) 을 STA1 으로 송신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은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STA1 을 쿼리하는 폴 (poll)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업링크의 송신에 대한 TXOP 를 승인한다. STA1 은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고, 애크와 함께 데이터를 AP 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 후 AP 는 STA1 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기간은 AP 가 EOSP 비트가 '1' 로 설정되는 프레임을 전송할 때 종료한다. AP 는 서비스 시간 T2 에서, STA2 에 대한 송신 절차를 반복한다.
AP 는 다양한 타입의 정보에 기초하여 STA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의 지속기간을 추정할 수도 있다. 데이터가 AP 와 STA 사이에 신뢰성있게 교환될 수도 있는 레이트는, 파일럿 및/또는 다른 송신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도 있다.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의 양은 어떤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VoIP) 에 대해 선험적 (priori) 으로 알 수도 있고, 예측될 수도 있다. 서비스 기간 지속기간은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 및 레이트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서비스 기간 지속기간은 원하는 패킷 오차 레이트 및/또는 다른 인자들에 기초하여서도 결정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APSD 는 스케줄링안된 APSD 보다 특정 효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APSD 에 대해, AP 는 스케줄링된 STA 들을 위해 송신 버퍼로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달할 수도 있고, 서비스 시간에서의 송신을 위해 이들 데이터 프레임들을 준비한다. 반대로, STA 들로부터의 트리거의 순서 및 타이밍이 예측불가능하기 때문에, AP 대한 스케줄링안된 APSD 내의 서비스 기간들은 예측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스케줄링안된 APSD 에서의 버퍼 관리가 더 복잡하다. AP 는 SIFS 시간에 준비된 데이터를 가지지 못할 수도 있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검색, 채널 액세스를 수행, 및 데이터를 STA 로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서, AP 는 IEEE 802.11a/g 에서 16 마이크로세컨드 (㎲) 및 IEEE 802.11b 에서 10 ㎲ 와 동일한, SIFS (Short InterFrameSpacing) 내의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한다.
AP 는 스케줄링된 APSD 와 함께 임의의 STA 들에 대한 서비스 시간의 시리즈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각 STA 에 대한 서비스 시간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에 대한 서비스 간격에 의해 분리될 수도 있다. AP 는 각 STA 에 대해 그 STA 에 대한 서비스 시간에서 송신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방식에 대해, AP 는 각 STA 에 대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복수의 STA 들에 대한 복수의 채널 액세스들은 송신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는 시간의 낭비를 야기한다. 또한, 채널은 한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의 끝에서부터 그 다음의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의 시작까지의 시간 동안에 혼잡해질 수도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STA 들에 대한 서비스들을 지연할 수도 있다.
STA 는 (1) STA 가 송신하지 않을 때의 기간 동안의 송신 체인의 모든 또는 일부 및/또는 (2) STA 가 수신하지 않을 때의 기간 동안의 송신 체인의 모든 또는 일부를 파워 다운시킬 수 있는, 파워 절약 (또는 "슬립") 특징을 구현할 수도 있다. 파워 절약 특징은 VoIP 와 같이 주기적인 플로우에 특히 적용될 수 있지만, 비주기적인 플로우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파워 절약 특징은 파워 소비를 감소하고, 배터리 재충전 간의 동작 수명을 늘리려는 휴대용 및 배터리-동작된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에 유용하다.
여기에 개시된 스케줄링 기술들은 STA 들에 대한 파워 절약 특징을 지원한다. 기술들은 주기적이고 비주기적인 플로우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기술들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들 및 표준들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하기 위해, 기술들은 IEEE 802.11e 에서의 스케줄링된 APSD 를 갖는 VoIP 플로우들에 대해 아래에서 서술된다.
일 양태에서, AP 는 유사한 특징을 갖는 플로우를 갖는 STA 들을 집합화하고, 이들 STA 들을 함께 스케줄링한다. 트래픽들의 다양한 타입들은 예를 들어, 보이스, 비디오,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이 정의될 수도 있다. 각 트래픽 타입은 최소 데이터 레이트, 대기시간 또는 지연 등과 같은 요청 및 특정 특징과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는 주기적인 송신 및 상대적으로 엄격한 지연 요청에 연관될 수도 있다. AP 는 예를 들어, VoIP 와 같은 동일한 트래픽 타입의 플로우를 갖는 STA 들을 집합화할 수도 있다. AP 는 이들 STA 들에 대한 공통 서비스 시간의 시리즈들을 확립할 수도 있다. 플로우들의 집합은 스케줄링 및 버퍼 관리를 간단하게 할 수도 있고, 다른 이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a 는 2 개의 STA 들에 대한 집합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AP 는 공통 서비스 시간 T0, 및 STA1 및 STA2 모두에 대한 전체적인/집합적인 서비스 기간을 스케줄링한다. 공통 서비스 시간 T0 에서, AP 는 무선 매체에 액세스하고,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 (예를 들어, VoIP 프레임) 을 STA1 로 송신한다. STA1 은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고, AP 로부터의 폴에 응답하거나 채널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 후에, 애크와 함께 데이터를 AP 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 후, AP 는 STA1 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AP 는 STA1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이 종료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운링크 애크 프레임 내의 EOSP 비트를 '1' 로 설정해야한다. STA1 는 EOSP 비트가 설정되었음을 감지하자마자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그 후 AP 는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2 로 송신할 수도 있다. STA2 는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고, 애크와 함께 데이터를 AP 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 후 AP 는 STA2 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한다. AP 는 STA2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이 종료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운링크 애크 프레임 내의 EOSP 비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STA2 는 EOSP 비트가 설정된 것을 감지하자마자,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 5b 는 2 개의 STA 들에 대한 멀티 프레임 송신 및 집합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AP 는 공통 서비스 시간 T0, 및 STA1 및 STA2 모두에 대한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을 스케줄링한다. 서비스 시간 T0 에서, AP 는 무선 매체에 액세스하고, 첫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1 로 전송한다. STA1 은 업링크 데이터는 물론 첫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송신할 수도 있다. AP 는 두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고, 첫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1 으로 재송신할 수도 있다. STA1 은 업링크 데이터는 물론, 첫번째 또는 두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할 수도 있다. AP 는 STA1 으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할 수도 있다. AP 는 STA1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이 종료됨을 나타내기 위해 다운링크 애크 프레임에서의 EOSP 비트도 설정할 수도 있다. STA1 은 EOSP 비트가 설정된 것을 감지하자마자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그 후 AP 는 유사한 방법으로 STA2 로 전환될 수도 있다.
AP 는 다양한 방법으로 집합된 STA 들을 서빙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일 실시형태에서, AP 는 한번에 한 STA 씩,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방식으로 STA 들을 서빙하고, 그 다음 STA 를 서빙하기 전에 STA 의 서빙을 완료한다. AP 는 STA1, 그 후에 STA 2 등으로 서빙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STA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오차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을 가능함은 물론 STA 로부터 그리고 STA 로의 송신을 수용하기 위해 충분히 길게 선택될 수도 있다. 한 STA 에 대한 임의의 송신 및 재송신은, 또 다른 STA 에 대한 송신이 시작되기 전에 완료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AP 는 최초의 송신을 위해 STA 들을 사이클하고, 추가적인 송신 및/또는 재송신을 위해 STA 들을 사이클할 수도 있다. 각 STA 에 대한 최초의 송신은 AP 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 STA 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 및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STA 들에 대한 재송신은 모든 STA 들에 대한 최초의 송신을 따를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은 모든 STA 들로부터 및 STA 로의 송신 더하기 재송신을 위한 추가적인 시간을 수용하기 위해 충분히 길게 선택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서술된 양 실시형태에서, 이전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은 충분히 전송되었다는 가정하고, STA 는 각 서비스 기간에서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는,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업링크 프레임 (예를 들어, QoS 데이터 + CF-애크 프레임) 을 갖는 이전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피기백 (piggyback) 할 수도 있다.
집합된 스케줄링된 APSD 에 대해, AP 는 함께 집합된 모든 STA 들에 대해 하나의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이는 채널 액세스에 대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채널이 모든 STA 들에 대한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 사이에 채널이 혼잡해지는 시나리오를 방지한다.
집합된 스케줄링된 APSD 에 대하여, STA 들에 대한 스케줄은 다양한 방법으로 운반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STA 들에 대한 스케줄은 비콘에서 운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케줄은 각 비콘 간격에서 갱신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플로우에 대한 스케줄은 플로우가 확립될 때 결정되고, 그 때 운반된다. 스케줄은 필요하다면 변경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서비스 기간 동안 전송되는 프레임 내에서 운반될 수도 있다.
도 5a 및 5b 에서 도시된 집합된 스케줄링된 APSD 에 대해, STA 는 공통 서비스 시간 T0 에서 시작할 때 어웨이크 상태이다. STA 가 그 프레임들의 송신 및 수신을 완료할 수 있거나 허용된 프레임을 어떤 법칙에 기초하여 교환하는 것을 완료했다면, STA 는 그 서비스 기간이 만료하기 전에 파워 절약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STA 는 EOSP 비트가 설정된 프레임을 수신하자마자 또는 그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이 만료되자마자 파워 절약 모드로 역시 들어갈 수도 있다.
집합된 스케줄링된 APSD 에 대해, STA 가 어웨이크 상태인 시간의 양은,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에서의 AP 가 STA 들을 서빙하는 순서인, 그들 자신의 스케줄링 서비스 기간에 의해 결정된다. 도 5a 에서, 각 STA 는 한 프레임의 지속기간 (애크를 갖는 1 개의 데이터 프레임) 에 대해 송신 상태에 있고, TAP 더하기 2 개의 프레임들 (1 개의 데이터 프레임 및 1 개의 애크 프레임) 더하기 대기 시간의 지속기간에 대해 수신 상태에 있다. TAP 는 AP 가 무선 매체로의 액세스를 얻기 위한 시간의 양이고, 채널 내의 임박한 송신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대기 시간은 AP 가 STA 들을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서빙한다면 전체적인 서비스 시간의 약 50 % 이고 먼저 서빙된 모든 STA 들에 대한 서비스 기간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나중에 서빙되는 STA 가 더 긴 어웨이크 기간을 갖는 반면, 먼저 서빙된 STA 는 짧은 어웨이크 기간을 갖는다. STA 는 EOSP 비트가 설정된 다운링크 프레임을 수신하자마자 또는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이 만료되자마자, 슬립 (sleep)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각 STA 가 어웨이크 상태인 시간의 양을 줄이고, 스케줄링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파워 절약 멀티 폴 (power save multi poll; PSMP) 은 스케줄링된 APSD 와 집합의 조합으로 사용된다. PSMP 는 스케줄링된 APSD 및 집합을 갖는 효율적인 동작을 허용하는 멀티 폴 기술이다. AP 는 집합하려는 모든 STA 들에 대한 공통 서비스 시간 T0 을 선택한다. AP 는 공통 서비스 시간에서, 멀티 폴 프레임으로도 불릴 수도 있는 PSMP 프레임을 전송한다. PSMP 프레임은 현재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 스케줄링된 각 STA 들에 대한 시작시간을 나타낸다. 각 STA 는 PSMP 프레임을 수신하고, PSMP 에서 나타나는 스케줄에 기초한 그 시작 시간까지의 수신 체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파워 다운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결정은, STA 에서 사용가능한 배터리 파워, 시작시간까지의 시간의 양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PSMP 는 먼저의 STA 들을 위해 서비스 기간 동안에 어웨이크 상태일 필요 없이 그 송신을 STA 가 수신하도록 허용한다. 이는 어떤 STA 에 대한 파워 절약을 개선할 수도 있다.
도 6a 는 2 개의 STA 들에 대한 PSMP 를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AP 는 STA1 및 STA2 모두에 대한 공통 서비스 시간 T0 을 스케줄링한다. 서비스 시간 T0 에서, AP 는 무선 매체에 액세스하고, PSMP 프레임을 STA 들로 송신한다. PSMP 프레임은 STA2 가 뒤따르는 ST1 이 먼저 서빙됨을 나타낸다. STA2 는 그 시작 시간까지 파워 절약 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AP 는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 (예를 들어, VoIP 프레임) 을 STA1 으로 송신한다. STA1 은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고, 애크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AP 는 그 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고, 다운링크 애크 프레임 내의 EOPS 비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STA1 는 EOSP 비트가 설정을 감지하자마자 또는 그 서비스 기간의 만료에서 파워 절약 모드에 들어갈 수도 있다. 그 후 AP 는 유사한 방식으로 STA2 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6b 는 2 개의 STA 들에 대한 멀티 프레임 송신 및 PSMP 를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6b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STA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2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및 애크 프레임, 또는 총 5 개의 프레임들을 커버한다. 두번째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은 첫번째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각각의 재송신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를 운반할 수도 있다. AP 는 도 5b 및 6a 에 대해 위에서 서술된 방식으로 STA1 및 STA2 를 서빙한다.
집합된 스케줄링된 APSD 및 PSMP 에 대해, 각 STA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STA 에 대한 송신은 물론 PSMP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각 STA 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모든 STA 들에 대한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일부분이다. 도 6a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STA 는 1 개의 프레임 (애크를 갖는 1 개의 데이터 프레임) 의 지속 기간에 대한 송신 상태에 있고, TAP 의 지속기간 더하기 3 개의 프레임 (1 개의 PSMP 프레임, 1 개의 데이터 프레임 및 1 개의 애크 프레임) 의 지속기간에 대한 수신 상태에 있다. 나중에 서빙되는 STA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 에서의 STA2) 는 그 시작시간까지 파워 절약 상태에 들어갈 수도 있고, 먼저 서빙되는 STA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 에서의 STA1) 와 대략 동일한 시간의 양에 대해 수신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연속적인 PSMP 를 갖는 복수의 전체적인 서비스 시간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번째 PSMP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 및 그들의 애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즉시 또는 짧은 기간 후에 뒤따라오는 두번째 PSMP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은 첫번째 PSMP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재송신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어떤 재송신도 필요하지 않는 각 STA 는 두번째 PSMP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동안 생략될 수도 있고, 슬립 상태가 될 수도 있다.
VoIP 와 같은 어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지연 시간의 엄격한 요청을 갖는다. 서비스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다면 (예를 들어 VoIP 에 대해 10 ms), AP 가 지연 시간 내에 제 1 라운드에서의 모든 STA 들에 대한 송신을 완료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그 후 제 2 라운드 내의 STA 들에 대한 가능한 재송신을 완료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 5b 및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의 STA 를 서빙하기 전에 먼저 하나의 STA 에 대한 송신 및 재송신을 완료하는 것은, 각 STA 로 하여금 그 지연 시간 요청을 충족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5b 및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가 재송신을 허용하도록 각 STA 에 대한 2 개의 업링크 및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를 할당한다면. 그 후에 서빙되는 STA 들은 더 긴 기간동안 어웨이크 상태가 된다. 또한, 주어진 STA 에 대해 재송신이 필요하지 않다면,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에는 갭 (gap) 이 있게 되고, 이 사용되지 않는 중간 시간은 낭비될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STA 들에 대한 파워 절약을 용이하게 하고 STA 들이 엄격한 지연 시간 요청을 충족하기 위해, 오버래핑 스케줄링은 송신에 대해 사용가능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AP 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의 초기화에서, 또는 주어진 트래픽 타입 (예를 들어, VoIP) 에 대한 하나 이상의 플로우들이 확립될 때와 같은, STA 들에 대한 전체적인 서비스 시간을 결정한다. AP 는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을 서비스 슬롯들로 분할한다. 서비스 슬롯은 어떤 다른 용어에 의해서도 명칭될 수도 있다. 서비스 슬롯들은 그들은 서로 다른 슬롯에 오버래핑되도록 정의된다.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지속기간, 서비스 슬롯들의 개수, 각 서비스 슬롯의 지속기간, 및 서비스 슬롯간의 오버래핑의 양은 예를 들어, 스케줄링되려는 STA 들의 개수, 각 STA 에 대한 데이터의 양, 주어진 STA 에 유지되는 추정된 링크 데이터 레이트, (송신 이후의) 원하는 잉여 패킷 오차 레이트, MAC SDU 에 대한 원하는 최대 지연 경계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서비스 슬롯의 지속 기간은 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계획된 레이트에서 계획된 데이터 프레임 및 애크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약 2 배로 설정된다. 계획된 데이터 프레임은, VoIP 에 대해 180 바이트일 수도 있는 특정 트래픽 타입에 대한 평균 사이즈의 프레임이다. 계획된 레이트는 주어진 링크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간주되는 레이트이고, 신호 품질 측정 및 링크 적응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서비스 슬롯의 첫번째 1/2 은 각 링크 상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서비스 슬롯의 두번째 1/2 은 각 링크 상으로 추가적인 프레임 또는 재송신도 전송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서비스 슬롯은 서비스 슬롯의 두번째 1/2 은 후속의 서비스 슬롯의 첫번째 1/2 에 오버래핑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AP 는 예를 들어, 선착순으로 STA 로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서비스 슬롯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AP 는 그 할당된 서비스 슬롯 내의 각 STA 들을 서빙한다.
도 7a 는 3 개의 STA 들에 대한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7a 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서비스 슬롯은 그들의 확인응답은 물론,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및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또는 총 5 개의 프레임을 커버한다. 서비스 슬롯 1 은 공통 서비스 시간 T0 에서 시작한다. 서비스 슬롯 2 는 서비스 시간 T0 으로부터 TOS2 에 의한 오프셋인 시간 T2 에서 시작한다. TOS2 은 STA1 에 대한 1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 1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 및 애크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의 양이다. TOS2 는 STA1 을 서빙하기 위한 시간의 최소 양일 수도 있다. 서비스 슬롯 3 는 서비스 시간 T0 으로부터 TOS3 에 의한 오프셋인 시간 T3 에서 시작한다. TOS3 은 STA2 에 대한 1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 1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 및 애크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의 양 더하기 TOS2 와 동일한 양이다. TOS3 는 STA1 및 STA2 을 서빙하기 위한 시간의 최소 양일 수도 있다. AP 는 서비스 슬롯 1 을 STA1 로 할당하고, 서비스 슬롯 2 을 STA2 로 할당하고, 서비스 슬롯 3 을 STA3 로 할당한다.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은, 3 개의 STA 들에 대한 서비스 슬롯 1, 2, 및 3 을 커버한다.
도 7b 는, 도 7a 에 도시된, 서비스 슬롯을 갖는 3 개의 STA 들 각각에 대한 1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도시한다. 서비스 시간 T0 에서, AP 는 무선 매체에 액세스한다. 서비스 슬롯의 첫번째 1/2 에서, AP 는 첫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1 으로 송신하고, STA1 은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AP 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송신한다. 이 예에서, AP 는 STA1 에 대한 데이터를 더이상 갖지 않고, 다운링크 애크 프레임 내의 EOSP 비트를 설정한다. STA1 은 EOSP 비트가 설정됨을 감지하자마자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AP 는 그 후 STA1 과 유사한 방식으로 STA2 를 서빙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1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2 로 송신하고, STA2 로부터 애크를 갖는 1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EOSP 비트가 설정되는 애크 프레임을 송신한다. AP 는 STA1 및 STA2 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 후 STA3 을 서빙할 수도 있다.
도 7c 는 도 7a 에 도시된 서비스 슬롯을 갖는 STA1 에 대한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의 송신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AP 는 첫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1 로 송신하고, STA1 으로부터 첫번째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두번째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STA1 로부터 첫번째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재송신하고, 첫번째 또는 두번째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송신한다. STA1 을 서빙한 후에, AP 는 STA2 를 서빙하고,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2 로 송신하고, STA2 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애크를 송신한다. 그 후 AP 는 STA2 와 동일한 방식으로 STA3 을 서빙한다.
도 7b 및 7c 는 도 7a 에 도시된 서비스 슬롯에 대해, 데이터가 STA 들과 AP 사이에 교환될 수도 있는 2 개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데이터는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양과 송신의 결과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도 교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P 는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STA1 대신에 STA2 또는 STA3 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c 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서비스 슬롯은 추가적인 데이터 또는 재송신에 대해 사용되는 두번째 다운링크 및 업링크 프레임과 함께 2 개의 다운링크 및 2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커버한다. AP 및 STA 들은 그들의 링크에 대해 신뢰하도록 간주되는 계획된 레이트에서 일반적으로 송신된다. 그러므로, 충돌, 범위 초과 (out of range), 또는 다른 조건으로 인한 프레임의 손실의 가능성은 각 STA 에 대해 일반적으로 낮다. 가능성있는 시나리오에서, STA 에 대해 재송신은 필요하지 않고, STA 에 대한 서비스 슬롯의 두번째 1/2 이 사용되지 않고, AP 는 다음 STA 를 일찍 서빙할 수도 있다. 그러나, STA 에 대한 프레임이 손실되면, 그 STA 에 대한 서비스 슬롯의 두번째 1/2 는 당면한 재송신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은 나중에 서빙되는 STA 들에 대한 어웨이크 시간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필요할 때마다 재송신을 용이하게 한다.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과 함께, 각 STA 는 그 서비스 슬롯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해 어웨이크 상태일 수도 있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비스 슬롯의 시작은 공통 서비스 시간 T0 과 관련하여 주어질 수도 있다. 각 STA 는 그 서비스 슬롯의 개시에서 시작하여 어웨이크 상태가 될 수도 있다. 각 STA 에 대한 실제 서비스 기간은 예를 들어, 도 7b 및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슬롯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도 7a 는 각 서비스 슬롯이 5 개의 프레임들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2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및 애크 프레임) 을 커버하고 각 서비스 슬롯이 2 개의 프레임들에 의해 먼저의 서비스 슬롯에 오버래핑되는 스케줄링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각 STA 가, 두번째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추가적인 데이터 및/또는 재송신에 사용되고, 각 서비스 기간에서 1 개의 다운링크 및 1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일반적으로 갖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VoIP) 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 은 각 서비스 슬롯이 5 개의 프레임을 커버하나 (2 개의 프레임들 대신에) 3 개의 프레임들에 의해 먼저의 서비스 슬롯에 오버래핑하는 또 다른 스케줄링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각 STA 가 각 서비스 기간에서 1 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일반적으로 갖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서비스 슬롯 내의 또 다른 프레임은 추가적인 데이터 및/또는 재송신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슬롯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지속기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고, 각 서비스 슬롯은 임의의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각 STA 에 대한 서비스 슬롯은 데이터 요청, 각 서비스 기간 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상의 예상되는 페이로드 (payload), AP 로부터 STA 로 및 STA 로부터 AP 로의 추정되는 링크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다른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각 STA 에 대한 실제 서비스 슬롯 지속기간은 먼저 스케줄링된 STA 들에 대한 추가적인 송신 및 재송신의 가능성에 기초하여서도 선택될 수도 있다. 주어진 STA 에 대한 실제 시작 시간은 AP 가 먼저의 STA 들의 서빙을 완료하는 시점에 의존한다. 나중에 서빙되는 STA 들에 대한 실제 시작시간은, 먼저 서빙되는 STA 들에 대한 실제 시작 시간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변화를 갖는다. 그러므로, 나중의 STA 들에 대한 서비스 슬롯들은 이들 STA 들에 대한 실제 시작 시간에서의 더 큰 변화에 따라 확장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슬롯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양으로 서로 오버래핑될 수도 있고, 각 서비스 슬롯은 임의의 양으로 또 다른 서비스 슬롯에 오버래핑될 수도 있다. 오버래핑의 양은 (재송신에 영향을 주는) 프레임 오차 가능성, 전송되려는 추가적인 데이터의 양 및 가능성, 실제 시작시간에서의 변화량 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오버래핑의 동일한 양은,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STA 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오버래핑의 상이한 양은 상이한 STA 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오버래핑은 그들의 실제 시작시간에서의 더 큰 변화에 따라 나중의 STA 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서비스 슬롯들은 서비스 기간에서의 각 STA 로 전송되기 위한 최소 데이터 양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1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 및 1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최소가 각 STA 에 대해 전송된다면, 서비스 슬롯들은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될 수도 있다. 1 개의 다운링크 프레임의 최소가 각 STA 들에 대해 전송되면, 서비스 슬롯들의 시작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는 데이터가 STA 로 전송될 수도 있는 가장 이른 시간에 각 STA 가 어웨이크 상태임을 확실하게 한다.
서비스 슬롯은 각 STA 가 그 송신 동안에 어웨이크 상태로 남아있을 것을 확실시하도록 충분히 길게 정의된다. 각 STA 가 EOSP 비트가 설정되자마자 슬릿상태로 갈 수도 있고 그 서비스 슬롯의 전체 지속기간동안 어웨이크 상태일 필요가 없을 수도 있으므로, 긴 서비스 슬롯은 확실히 영향력있는 파워 절약이 아닐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8 은 하나의 서비스 간격에서의 서비스 슬롯을 도시한다. 서비스 슬롯은, 예를 들어, VoIP 에 대해 10 또는 20 ms 일 수도 있는 각 서비스 간격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AP 는 각 비콘 간격으로 복수의 횟수로 스케줄링된 STA 들을 서빙할 수도 있다.
서비스 슬롯과 함께 스케줄은 다양한 방법으로 갱신되고/갱신되거나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플로우는 플로우가 확립될 때 적절한 서비스 슬롯이 할당되고, 할당된 서비스 슬롯은 플로우의 전체 지속기간에 대해 변하지 않는다. 플로우가 만료될 때, 플로우에 할당된 서비스 슬롯은 오픈 (open) 될 수도 있고, 또 다른 플로우에 할당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케줄은 플로우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 갱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할당된 서비스 슬롯 간의 사용되지 않는 갭을 감소하기 위해, 실제 플로우는 새로운 서비스 슬롯에 할당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 STA 들에 대한 서비스 슬롯은 비콘으로, STA 로 전송되는 프레임들로, 그리고/또는 다른 방법으로 TSPEC (11e) 절차와 함께 플로우 확립 동안 운반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하기 위한 변화 및 갱신은 비콘 또는 STA 들로 전송되는 프레임들 내에 운반될 수도 있다.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들은 PSMP 와 함께 역시 사용될 수도 있다. PSMP 는 서비스 슬롯이, 파워 절약을 강화할 수도 있는 각 서비스 간격으로 갱신되도록 허용한다.
도 9a 는 3 개의 STA 들에 대한 PSMP 및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9a 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PSMP 와 함께 할당된 각 서비스 슬롯은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2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및 그들의 확인응답인 총 5 개의 프레임들을 커버한다. 각 서비스 슬롯은 또한 PSMP 프레임을 커버한다. 도 7a 에 대해 위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서비스 슬롯들은 또 다른 서비스 슬롯에 오버래핑된다. AP 는 서비스 슬롯 1 을 STA1 로, 서비스 슬롯 2 를 STA2 로, 서비스 슬롯 3 을 STA3 으로 할당한다.
도 9b 는 PSMP 및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을 갖는 3 개의 STA 들에 대한 예시적인 송신을 도시한다. 서비스 시간 T0 에서, AP 는 무선 매체에 액세스 하고, PSMP 프레임을 STA 들로 송신한다. PSMP 프레임은 할당된 서비스 슬롯들을 STA 들로 운반한다. 모든 3 개의 STA 들은 PSMP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들의 서비스 슬롯들을 결정한다. STA2 및 STA3 은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작시간 T2 및 T3 까지 파워 절약 상태로 들어가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b 에 대해 위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AP 는 STA1 을, 그 후 STA2 를, 그 후 STA3 을 서빙한다. 각 STA 는 EOSP 비트가 설정됨을 감지하자마자 그 서비스 슬롯의 끝에 앞서 파워 절약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도 9c 는 STA2 에 대한 콜이 완료된 후에, STA1 및 STA 3 에 대한 서비스 슬롯들을 도시한다. 도 9c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AP 는 서비스 슬롯 1 을 STA1 로 할당하고, 서비스 슬롯 2 를 STA3 로 할당한다. 도 9c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TA2 가 그 콜을 완료할 때, AP 는 진행중인 콜을 아직 갖고 있는, STA3 에 대한 시작시간 및 서비스 슬롯을 변화할 수도 있다. STA2 대신에 STA1 이 그 콜을 완료하면, AP 는 서비스 슬롯 1 을 STA2 로, 서비스 슬롯 2 를 STA3 로 할당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PSMP 는 AP 가 각 서비스 간격에서의 STA 들에 대한 스케줄을 유동성있게 갱신하도록 허용한다. 플로우가 종료하거나 STA 가 콜을 완료할 때마다, AP 는 다음의 서비스 간격에 대한 스케줄을 재정렬할 수도 있다. 이 유동성있는 스케줄링은 AP 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스케줄 내의 사용되지 않는 홀 (hole) 들을 제거하게 한다.
PSMP 를 갖는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에 대해, 각 STA 는 그 서비스 슬롯의 남아있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분 더하기 TPSMP 동안 어웨이크 상태일 수도 있다. TPSMP 는 AP에 대한 채널 액세스 지연 및 PSMP 프레임의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STA 들은 각 서비스 간격에서의 PSMP 프레임에 대한 서비스 시간 T0 을 알고, PSMP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어웨이크할 수도 있다. STA 들은 PSMP 프레임으로부터 그들의 서비스 슬롯을 획득할 수도 있고, 그들의 서비스 슬롯의 시작까지 슬립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AP 는 STA 들에 대한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을 결정하고,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을 논-오버래핑 (non-overlapping) 송신 슬롯들로 나눈다. 송신 슬롯은 어떤 다른 용어에 의해 나타낼 수도 있다. 각 송신 슬롯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프레임들 및 하나 이상의 업링크 프레임들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지속기간, 송신 슬롯의 개수, 및 각 송신 슬롯의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스케줄링되려는 STA 들의 개수, 각 STA 에 대한 데이터의 양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송신 슬롯의 지속기간은 하나의 링크 상의 계획된 레이트에서 계획된 데이터 프레임 (예를 들어, VoIP 에 대해 60-180 바이트) 을 송신하는 대략적인 시간에 설정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 송신 슬롯의 지속기간은 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의 계획된 레이트에서의 계획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대략적인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 송신 슬롯의 지속기간은 소정의 레이트 (예를 들어, 24 Mbps) 에서의 계획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대략적인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 송신 슬롯의 지속기간은 고정된 지속기간, 예를 들어, 500 ㎲, 1ms 또는 어떤 다른 지속기간의 고정된 지속기간으로 설정된다.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에서의 송신 슬롯은 연속적으로 예를 들어, 1,2,3 등으로 번호가 매겨질 수도 있다. 각 STA 는 그 STA 에 대한 서비스 간격 내의 예상되는 송신 및 재송신을 커버하도록 충분한 개수의 송신 슬롯을 할당할 수도 있다. 주어진 송신 슬롯은 복수의 STA 들로 할당될 수도 있다.
도 10 은 송신 슬롯의 유닛들로 주어진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0 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송신 슬롯 (trans slot) 은 하나의 링크 상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각 STA 는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2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및 애크 프레임들을 전송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는 5 개의 할당된 송신 슬롯들이다. STA1 은 1 내지 5 까지의 할당된 송신 슬롯들이고, STA 2 는 4 내지 8 까지의 할당된 송신 슬롯들이고, STA 3 은 7 내지 11 까지의 할당된 송신 슬롯들이다. 각 STA 에 대한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 또는 서비스 슬롯은 그 STA 로 할당되는 모든 송신 슬롯들에 의해 형성된다. STA1 및 STA2 에 대한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들은 송신 슬롯들 4 및 5 에서 오버래핑된다. STA2 및STA3 에 대한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들은 송신 슬롯 7 및 8 에서 오버래핑된다. AP 는 STA 로 할당된 임의의 송신 슬롯들을 사용하는 각 STA 를 서빙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송신 슬롯은 임의의 지속기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주어진 STA 는 임의의 개수의 송신 슬롯들, 및 사용가능한 송신 슬롯들 중 임의의 하나가 할당될 수도 있다. 서로의 다음으로 스케줄링된 STA 들은 임의의 개수의 송신 슬롯들을 공유할 수도 있다. 송신 슬롯 구조는 각 STA 에 대한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에 운반하도록 신호를 간단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된 서비스 기간은 (1) 첫번째 및 마지막 할당된 송신 슬롯들 (2) 첫번째 송신 슬롯 및 송신 슬롯들의 개수 또는 (3) 또 다른 방법에 의해 운반될 수도 있다.
도 11 은 3 개의 STA 들에 대한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들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1 에서의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서비스 슬롯은 특정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고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끝에서 종료하거나 더 빨리 종료한다. 서비스 슬롯 1 은 공통 서비스 시간 T0 에서 시작, 서비스 슬롯 2 는 T0 부터 TOS2 까지의 오프셋인 T2 에서 시작, 및 서비스 슬롯 3 은 T0 부터 TOS3 까지의 오프셋인 T3 에서 시작한다. TOS2 는 STA1 을 서빙하기 위한 최소한 양의 시간일 수도 있고, TOS3 는 STA1 및 STA2 를 서빙하기 위한 최소한 양의 시간일 수도 있다. AP 는 서비스 슬롯 1 을 STA1 로 , 서비스 슬롯 2 을 STA2 으로, 서비스 슬롯 3 을 STA3 으로 할당한다.
도 11 에서의 일 실시형태에서, 각 STA 는 그 시작시간에서의 시작하는 STA 로의 송신을 모니터링한다. 각 STA 는 임의의 개수의 프레임들을 AP 와 교환할 수도 있다. 각 STA 는, 그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만료 또는 스케줄링 서비스 시간의 만료에서 설정되는 EOSP 비트를 수신하자마자 파워 절약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도 11 에서의 실시형태는 STA 들에 대한 임의의 추가적인 송신 및 재송신을 허용한다.
위에서 서술된 실시형태에서, AP 는 다운링크 상의 송신에 우선전인 각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에 대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한다. 채널 액세스 지속기간은 변할 수 있고, 채널 내의 활동에 의존한다. 각 STA 는 AP 에 의한 채널 액세스의 지속기간동안 어웨이크 상태이다. AP 는 채널에 액세스할 때의 우선권을 가지며, STA 보다 짧은 시간의 양 (PIFS 시간) 을 대기한 후의 채널로의 액세스를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채널 액세스 지연 TAP 은 채널에서의 현재 트래픽 조건, 및 완료하기 위한 어떤 임박한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에 의존한다. 트래픽이 채널에 존재하면, 임박한 송신이 언제 완료될지 예상하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 임박한 송신이 SIFS 시간에 의해 나누어진 복수의 프레임 송신이라면, AP 는 그것이 채널에 액세스 할 수 있기 전에 프레임 교환 시퀀스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다. 변하는 채널 액세스 지연은 AP 가 STA 들에 대한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을 때 명령하는데, 이는 이들 STA 들에 대해 파워 절약에 영향을 준다.
최악의 경우의 채널 액세스 지연 TAP 를 제한하기 위해, AP 는 STA 들에 의해 최대 송신을 제한할 수도 있다. IEEE 802.11e 는 TXOP 가 경쟁-기초한 트래픽에 대한 각 액세스 클래스에 대해 정의되도록 하는 QoS 절차를 정의한다. 4 개의 액세스 클래스가 보이스, 비디오, 최대 효과 및 배경에 대해 정의된다. 주어진 액세스 클래스에 대한 '0' 의 TXOP 제한은 그 액세스 클래스에 대해 채널 액세스 당 하나의 데이트 프레임만을 송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P 는 각 4 개의 액세스 클래스들에 대한 TXOP 제한을 '0' 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설정은 AP 에 대한 최악의 경우의 채널 액세스 지연을, 평균 레이트에서의 최대 사이즈 패킷 (일반적으로 1500 바이트들) 을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더하기 하나의 SIFS 시간 더하기 뒤따르는 애크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 더하기 PIFS 시간으로 감소한다. 24 Mbps 의 평균 레이트에서, 하나의 STA 가 동시에 액세스할 때의 최악의 경우의 채널 액세스 지연은, 각 전체적인 서비스 간격에 대한 700 ㎲ 보다 적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AP 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에 대한 시간의 지정된 기간을 차단하고, 이들 지정된 기간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STA 들을 알려준다. 지정된 기간은 하나 이상의 트래픽 타입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동안 사용될 수도 있다. 지정된 기간은 이들 지정된 기간에 의해 서빙되는 STA 들에 대한 서비스 간격에 의해 나누어질 수도 있다. AP 는 지정된 기간의 STA 들을 알려주기 위해 비콘 간격 내의 비콘 내의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있거나 CTS 에서 자기자신으로의 (CTS-to-self) 송신을 포함하는 다른 방법에서의 지정된 기간들을 운반할 수도 있다. 지정된 기간의 STA 들을 알려줌으로써, AP 는 채널이 이들 기간동안 깨끗하다는 것을 합리적으로 확실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AP 는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필요 없이 지정된 기간의 시작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2 는 3 개의 STA 들에 대한 지정된 기간에서의 오버래핑되는 서비스 슬롯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2 에서의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지정된 기간은 3 개의 STA 들에 대한 공통 서비스 시간으로서 사용되는 T0 에서 시작한다. 지정된 기간은 3 개의 오버래핑되는 서비스 슬롯으로 분할된다. 각 서비스 슬롯은 2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2 개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 및 애크 프레임들에 대한 총 5 개의 프레임을 커버한다. 서비스 슬롯 1 은 T0 에서 시작, 서비스 슬롯 2 은 TOS2 부터 T0 까지인 T2 에서 시작, 서비스 슬롯 2 은 TOS3 부터 T0 까지인 T3 에서 시작한다. TOS2 는 STA 1 을 서빙하는 최소 양의 시간일 수도 있고, TOS3 는 STA1 및 STA2 를서빙하기 위한 최소 양의 시간일 수도 있다. AP 는 서비스 슬롯 1 을 STA1 로, 서비스 슬롯 2 을 STA2 로, 서비스 슬롯 3 을 STA3 로 할당한다. AP 는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필요없이, 서비스 시간 T0 에서 첫번째 다운링크 프레임을 STA1 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STA2 및 STA3 은 각각 그들의 시작 시간 T2 및 T3 까지 슬립 상태일 수도 있다.
도 13 은 3 개의 STA 들에 대해 지정된 기간에서의 PSMP 및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들을 갖는 스케줄링된 APSD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3 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지정된 기간은 T0 에서 시작하고, 3 개의 오버래핑되는 서비스 슬롯들로 분할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AP 는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필요없이 서비스 시간 T0 에서의 PSMP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다. 각 STA 는 T0 에서의 PSMP 프레임을 수신할 수도 있고, 그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그 시작 시간까지 슬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 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AP 및 STA 는 지정된 기간을 먼저 알고, 위에서 서술된 기술 중 어떤 하나에 의해 채널을 예약한다. 그러므로, AP 는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STA 들은 그들의 시작 시간을 확신을 갖고 알며, 변하는 채널 액세스 기간 TAP 에 대해 어웨이크할 필요가 없고, 더 길게 슬립 상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전의 STA 의 서비스 시간은 다양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서술된 모든 스케줄링 실시형태에서, STA 들은 예를 들어, STA 들에 대한 파워 소스들, 배터리-동작하는 STA 들에 대한 사용가능한 파워, STA 들에 대한 링크 품질, STA 간의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 빌링 (billing)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순서로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낮은 파워 성능을 갖는 STA 는 첫번째로 또는 먼저 스케줄링될 수도 있고, 높은 파워 성능을 갖는 STA (예를 들어, AC-파워된 STA) 는 마지막 또는 나중에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파워는 총 배터리 성능 또는 남아있는 배터리 성능에 의해 양이 정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높은 품질 링크를 갖는 STA (예를 들어, AP 에 가깝게 위치한 STA) 는, 이 STA 에 대한 서비스 시간이 낮은 변화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첫번째 또는 먼저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나쁜 링크 품질 또는 신뢰할 수 없는 링크를 갖는 STA 들은 나중에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케줄의 순서는 서비스의 비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서비스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이 드는 STA 는 먼저 스케줄링 될 수도 있고, 더 많은 파워를 절약할 수도 있다.
도 14 는 집합화되는 국들에 대해 스케줄링하고 서빙하는 프로세스 (140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1400) 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트래픽 타입 (예를 들어, VoIP) 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국들은 집합화되고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에서 스케줄링된다 (블록 1412).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은 각 국들에 대한 서비스 기간을 포함한다. 국들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스태거링될 수도 있고/있거나 오버래핑될 수도 있다. 국들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예를 들어, 도 5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시작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도 6a, 도 7a, 및 도 9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시간에서 스태거링되고 시작될 수도 있다. 국들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시간에서 종료할 수도 있다. 국들에 대한 서비스 기간은 (예를 들어, 도 5a 및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부분동안 오버래핑될 수도 있거나 (예를 들어, 도 6a 및 9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부분동안 오버래핑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은 소정의 간격에서 반복될 수도 있다. 신호는 국에 대한 서비스 기간을 운반하도록 (예를 들어, 비콘, PSMP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등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블록 1414).
각 국은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그 서비스 기간에서 서빙된다 (블록 1416). 일반적으로 서비스 기간 동안 임의의 개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은 다운링크상으로 국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임의의 개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은 국으로부터 업링크 상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신호는 서비스 기간의 끝을 가리키도록 국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블록 1418).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서비스 기간은 지정된 시간에서 종료할 수도 있다.
도 15 는 집합화된 국들에 대해 스케줄링하고 서빙하는 장치 (150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장치 (1500) 는 특정 트래픽 타입 (예를 들어, VoIP) 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국을 집합화하고,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동안 상기 국들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블록 1512), 국에 대한 서비스 기간을 운반하기 위한 신호를 (예를 들어, 비콘, PSMP 프레임 등에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514), 전체적인 기간 내에서, 각 국을 그 국의 서비스 기간동안 서빙하는 수단 (블록 1516), 및 그 국에 대한 서비스 기간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 (예를 들어, EOSP 비트) 를 각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518) 을 포함한다.
도 16 은 스태거링하고 오버래핑하는 국들을 스케줄링하고 서빙하는 프로세서 (160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1600) 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 1 국은 제 1 지속 기간, 제 1 시작시간, 및 제 1 종료시간을 갖는 제 1 기간에 대해 스케줄링된다 (블록 1612). 제 2 국은 제 2 지속 기간, 및 제 1 종료시간에 앞선 제 2 시작시간을 갖는 제 2 기간에 대해 스케줄링한다 (블록 1614). 제 3 국은 제 3 지속 기간, 및 제 2 기간에 대한 제 2 종료시간에 앞선 제 3 시작시간을 갖는 제 3 기간에 대해 스케줄링한다 (블록 1616). 제 1, 2, 및 3 종료시간은 (도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시간이거나 (예를 들어,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종료와 같이) 동일한 시간일 수도 있다. 제 1, 2, 및 3 기간은 스태거링되고 서로 오버래핑된다. 예를 들어, 도 7a 또는 9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및 3 기간은 3 개의 오버래핑 서비스 슬롯일 수도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지속기간은 예상되는 데이터 페이로드, 데이터 요청, 프레임 오차들의 확률 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기간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 프레임들 (예를 들어, 각 링크상의 2 개의 데이터 프레임들) 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기간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기간은 제 1 국에 대한 제 1 송신에 대한 제 1 부분, 및 제 1 국에 대한 추가적인 송신 및/또는 재송신에 대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시작 시간은 제 1 기간의 제 1 부분의 종료에 있을 수도 있다. 제 2 시작 시간은 역시 제 1 시작 시간과 제 1 종료 시간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일 수도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기간은 예를 들어, VoIP 에 대한 10 내지 20 ms 범위 내일 수도 있는 소정의 간격에서 반복될 수도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기간 및 소정의 간격은 비콘, 복수의 폴 프레임 (PSMP 프레임), 콜 또는 링크 확립동안, 데이터 프레임들 등에서 운반될 수도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기간은 콜의 지속기간동안 고정될 수도 있고, 콜 동안에 갱신될 수도 있다.
제 1 기간동안 제 1 송신을 제 1 국으로 전송한다 (블록 1622). 채널 액세스는 필요하다면 제 1 송신에 앞서 수행될 수도 있거나,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이 차단되면 생략될 수도 있다. 제 1 송신의 완료 지시 (예를 들어, EOSP 비트) 는 제 1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 제 1 국으로 전송된다 (블록 1624). 제 2 송신은 제 1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고, 제 2 기간동안 제 2 국으로 전송한다 (블록 1626). 제 2 송신의 완료 지시는 제 2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 제 2 국으로 전송된다 (블록 1628). 제 2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고, 제 3 기간동안 제 3 송신을 제 3 국으로 전송한다 (블록 1630). 각 송신은 다운링크 상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 및/또는 업링크 상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일 수도 있다. 각 송신은 프레임 손실로 인한 재전송되는 데이터도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레임은 VoIP 및/또는 어떤 다른 타입의 트래픽일 수도 있다.
도 17 은 스태거링하고 오버래핑되는 국들의 스케줄링하는 장치 (170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장치 (1700) 는 제 1 지속기간, 제 1 시작시간, 및 제 1 종료시간을 갖는 제 1 기간에 대한 제 1 국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블록 1712), 제 2 지속 기간, 및 제 1 종료시간에 앞선 제 2 시작시간을 갖는 제 2 기간에 대한 제 2 국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블록 1714), 제 3 지속 기간, 및 제 2 기간에 대한 제 2 종료시간에 앞선 제 3 시작시간을 갖는 제 3 기간에 대한 제 3 국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블록 1716), 제 1 기간동안 제 1 송신을 제 1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722), 제 1 송신의 완료 지시 (예를 들어, EOSP 비트) 를 제 1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 제 1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724), 제 1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고, 제 2 기간동안 제 2 송신을 제 2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726), 제 2 송신의 완료 지시를 제 2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 제 2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728), 및 제 2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고, 제 3 기간동안 제 3 송신을 제 3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730) 을 포함한다.
도 18 은 예를 들어, 단말기와 같은 국의 동작의 프로세스 (180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국은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동안인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블록 1812) 제 1 기간은 또 다른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제 2 기간에 오버래핑된다. 제 1 기간은 소정의 간격에서도 반복될 수도 있다. 신호는 멀티 폴 (PSMP) 프레임, 비콘, 콜 확립동안에 전송되는 프레임, 서비스 기간에 앞서 전송된 프레임 등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신호 (예를 들어 멀티 폴 프레임으로) 가 제 1 기간에 앞서 수신된다면, 국은 신호의 수신부터 제 1 기간의 시작까지의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수신 체인을 파워 다운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블록 1814).
국은, 예를 들어, 제 1 기간의 개시에서 시작하여, 제 1 기간동안의 국에 전송되는 송신을 모니터링한다 (블록 1816). 국은 제 1 기간 동안 다운링크 상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고/있거나 업링크 상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될 수도 있다 (블록 1818). 국에 대한 송신의 완료 지시 예를 들어, EOSP 비트를 수신하자마자, 국은 제 1 기간의 종료에 앞서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블록 1820).
도 19 는 국에 대한 장치 (190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장치 (1900) 는 또 다른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제 2 기간에 오버래핑되고,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동안인,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블록 1912), 신호의 수신부터 제 1 기간의 시작까지의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수신 체인을 파워 다운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블록 1914), 예를 들어, 제 1 기간의 개시에서 시작하여, 제 1 기간동안의 송신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수단 (블록 1916), 제 1 기간동안,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송신을 다운링크 상으로 수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업링크 상으로 전송하는 수단 (블록 1918), 그리고 국에 대한 송신의 완료 지시 예를 들어, EOSP 비트를 수신하자마자, 제 1 기간의 종료에 앞서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하는 수단 (블록 1920) 을 포함한다.
도 20 은 도 1 의 단말기 중 하나일 수도 있는 단말기 (120x) 및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다운링크 상으로, 액세스 포인트 (110) 에서, 송신 (TX) 데이터 프로세서 (2012) 는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 소스 (2010) 으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 제어기/프로세서 (2020) 으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예를 들어, 애크), 및 스케줄러 (2024) 로부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012) 는 단말기들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스 (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변조 및 스크램블링) 하고, 제어 데이터 및 스케줄링 정보를 프로세스하고, 데이터 칩을 생성한다. 송신기 (TMTR; 2014) 는 데이터 칩들을 프로세스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 하고, 안테나 (2016) 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단말기 (120x) 에서, 안테나 (2052) 는 액세스 포인트 (110) 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제공한다. 수신기 (RCVR; 2054) 는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스하고, 샘플들을 제공한다. 수신 (RX) 데이터 프로세서 (2056) 은 샘플들을 프로세스 (예를 들어, 디스크램블링,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고, 사용자 단말기 (120x) 에 대한 디코딩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2058) 로 제공하고, 제어 데이터 및 스케줄링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2060) 으로 제공한다.
업링크 상으로, 단말기 (120x) 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 (2072) 는 데이터 소스 (2070) 으로부터의 트래픽 테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 (2060) 으로부터 제어 데이터 (예를 들어, 애크) 를 수신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072) 는 트래픽및 단말기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에 기초한 제어 데이터를 프로세스하고, 데이터 칩을 생성한다. 송신기 (2074) 는 데이터 칩을 프로세스하고, 안테나 (2052) 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110) 까지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액세스 포인트 (110) 에서, 안테나 (2016) 은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 (2030) 는 안테나 (2016) 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프로세스하고, 샘플들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2032) 는 샘플들을 프로세스하고, 데이터 싱크 (2034) 로 각 단말기들에 대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어기/프로세서 (2020) 으로 제어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2020 및 2060) 은 각각 액세스 포인트 (110) 및 단말기 (120x) 에서의 동작을 지시한다. 스케줄러 (2024) 는 위에서 서술된 임의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단말기들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스케줄러 (2024) 는 도 2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또는 또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상주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술된 스케줄링 및 송신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단말기에 대한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PLD) 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적 디바이스들, 여기에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적 유닛들, 또는 그들의 조합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해, 기술들은 여기에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 (예를 들어, 절차들, 기능들 등) 을 구현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예를 들어, 도 20 에서의 메모리 (2022 또는 2062)) 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예를 들어, 프로세서 (2020 또는 2060)) 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의,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는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명백히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서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66)

  1. 제 1 지속기간, 제 1 시작시간, 및 제 1 종료시간을 갖는 제 1 기간 동안 제 1 국을 스케줄링하고, 제 2 지속기간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는 제 2 시작시간을 갖는 제 2 기간 동안 제 2 국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3 지속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에 대한 제 2 종료시간에 앞서는 제 3 시작시간을 갖는 제 3 기간 동안 제 3 국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국으로 제 1 송신을 전송하고, 상기 제 1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전송하고,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제 2 국으로 제 2 송신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송신에 앞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 1 송신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제 1 국에 대한 최초의 송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국에 대한 추가적인 송신 또는 재송신을 위한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작시간은, 상기 제 1 부분의 종료시점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국으로의 제 1 데이터 프레임, 제 1 국으로부터의 제 2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 2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을 커버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속기간은, 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2 개의 데이터 프레임의 지속기간과 대략 동일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커버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속기간은 동일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작시간은, 상기 제 1 시작시간과 상기 제 1 종료시간의 대략 중간지점인,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은, 송신 슬롯들의 제 1 세트를 커버하고,
    상기 제 2 기간은, 상기 제 1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슬롯을 포함하는 송신 슬롯들의 제 2 세트를 커버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은 소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은 10 내지 20 밀리세컨드의 범위 내인,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국에 대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을 갖는 비콘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국에 대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을 갖는 멀티 폴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제 1 국에 대한 제 1 콜의 지속기간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제 2 기간은, 상기 제 2 국에 대한 제 2 콜의 지속기간에 대해 고정되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액세스 클래스 내의 국들에 대한 채널 액세스 당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기회 (TXOP) 제한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국은, IEEE 802.11 무선 근거리 통신망 (WLAN) 내의 단말기들인,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은,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을 위한 데이터의 송신에 대한 것인, 장치.
  21. 제 1 지속기간, 제 1 시작시간, 및 제 1 종료시간을 갖는 제 1 기간 동안 제 1 국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제 2 지속기간,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는 제 2 시작시간을 갖는 제 2 기간 동안 제 2 국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국으로 제 1 송신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상기 제 2 국으로 제 2 송신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제 1 국에 대한 최초의 송신을 위한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국에 대한 추가적인 송신 또는 재송신을 위한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작시간은, 상기 제 1 부분의 종료시점인,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 1 지속기간, 제 1 시작시간, 및 제 1 종료시간을 갖는 제 1 기간 동안 제 1 국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및
    제 2 지속기간,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는 제 2 시작시간을 갖는 제 2 기간 동인 제 2 국을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국으로 제 1 송신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 1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상기 제 2 국으로 제 2 송신을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8. 장치에서 동작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로서,
    제 1 지속기간, 제 1 시작시간, 및 제 1 종료시간을 갖는 제 1 기간 동안 제 1 국을 스케줄링하고; 그리고
    제 2 지속기간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는 제 2 시작시간을 갖는 제 2 기간 동안 제 2 국을 스케줄링하는 동작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국으로 제 1 송신을 전송하고;
    상기 제 1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및 상기 제 1 종료시간에 앞서 상기 제 2 국으로 제 2 송신을 전송하는 동작가능한 명령을 더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국으로 전송하는 동작가능한 명령을 더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1.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에 특정 트래픽 타입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국들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 각각을 서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을 서빙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국으로 상기 서비스 기간의 완료의 지시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은 상기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의 시작에서 시작하는, 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은 상이한 시간에서 시작하는, 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은 상이한 시간에서 종료하는, 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을 갖는 멀티 폴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을 갖는 비콘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가능한 파워, 링크 품질, 교환하려는 데이터의 양, 또는 그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순서로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각 국에 의해 지원되는 레이트의 평가 및 상기 국과 교환하는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국에 대한 상기 서비스 기간의 지속기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1.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은 소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장치.
  4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트래픽 타입은 VoIP 인, 장치.
  43.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에 특정 트래픽 타입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국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 각각을 서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 각각을 서빙하는 단계는,
    상기 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국으로 상기 서비스 기간의 완료의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6.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에 특정 트래픽 타입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국들을 스케줄링하는 수단; 및
    상기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 각각을 서빙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 각각을 서빙하는 수단은,
    상기 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국으로 상기 서비스 기간의 완료의 지시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49. 프로세서에게 명령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로서,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에 특정 트래픽 타입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국들을 스케줄링하고; 그리고
    상기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 내의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 각각을 서빙하는 동작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국으로 상기 서비스 기간의 완료의 지시를 전송하는 동작가능한 명령을 더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서비스 기간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적어도 2 개의 국으로 전송하는 동작가능한 명령을 더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5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 1 국에 대한 장치로서,
    상기 제 1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기간인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국에 대한 송신을 모니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간은 제 2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기간인 제 2 기간을 오버래핑하는, 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국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 1 국에 대한 상기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국에 대한 상기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고, 상기 지시의 수신시에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5.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국으로부터의 2 개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커버하는, 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2 개의 데이터 프레임들 중 하나에 상기 제 2 기간을 오버래핑하는, 장치.
  57.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기간에 대한 상기 신호를 갖는 멀티 폴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8.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의 수신으로부터 상기 제 1 기간의 시작까지의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수신 체인을 파워 다운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9.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콜을 확립하고, 상기 제 1 기간이 반복되는 간격 및 상기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0.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국에 대한 상기 송신은 VoIP 인, 장치.
  61. 제 1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기간인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기간은 제 2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기간인 제 2 기간을 오버래핑하는,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국에 대한 송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국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국에 대한 상기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국에 대한 상기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고, 상기 지시의 수신시에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4.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 1 국에 대한 장치로서,
    상기 제 1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기간인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기간은 제 2 국이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는 기간인 제 2 기간을 오버래핑하는, 제 1 기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국에 대한 송신을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국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 1 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국에 대한 상기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66.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국에 대한 상기 송신의 완료의 지시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기간의 종료에 가급적 앞서고, 상기 지시의 수신시에 파워 절약 모드로 전환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KR20087019570A 2006-01-10 2007-01-10 무선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023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807606P 2006-01-10 2006-01-10
US60/758,076 2006-01-10
US75973006P 2006-01-18 2006-01-18
US60/759,730 2006-01-18
US11/388,573 US7796545B2 (en) 2006-01-10 2006-03-24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388,573 200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181A true KR20090003181A (ko) 2009-01-09
KR101023639B1 KR101023639B1 (ko) 2011-03-22

Family

ID=3790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19570A Active KR101023639B1 (ko) 2006-01-10 2007-01-10 무선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96545B2 (ko)
EP (3) EP1983704B1 (ko)
JP (2) JP4875108B2 (ko)
KR (1) KR101023639B1 (ko)
CN (1) CN101366247B (ko)
WO (1) WO20070822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70B1 (ko) * 2011-09-26 2014-06-03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단일 사용자, 다수 사용자, 다중 액세스, 및/또는 mimo 무선 통신들을 위한 스마트 계측기 매체 액세스 제어(mac)
KR20180088421A (ko) * 2015-12-03 2018-08-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139B1 (ko) * 2005-10-18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시간 구간의 할당 방법과 장치및 그 시스템
DE602006019463D1 (de) * 2005-11-01 2011-02-17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zum erhalten und verwalten eines abwärtsstrecken-funkstreckensteuerdatenblocks in einer egprs-mobilelektronik-kommunikationseinrichtung
KR100713313B1 (ko) * 2006-02-22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이에 대한 수신방법
EP1992096A2 (en) * 2006-02-28 2008-11-19 Nokia Corporation Multicast group address signaling using mac header for power save delivery in a wireless network
US8204005B2 (en) * 2006-03-09 2012-06-19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 bidirectional aggregation of MAC frames with delayed channel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US8125941B2 (en) * 2006-03-28 2012-02-28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ver a wireless network using bidirectional multiple receiver aggregation
US7668129B2 (en) * 2006-03-30 2010-02-23 Intel Corporation Learning mechanism to configure power save parameters for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US7822405B2 (en) * 2006-03-30 2010-10-26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in VoIP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031680B2 (en) * 2006-05-18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Communicating non-scheduling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TWI316374B (en) * 2006-07-21 2009-10-21 Hon Hai Prec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station
US8630239B2 (en) * 2006-09-20 2014-01-14 Lg Electronics Inc. Station and access point for EDCA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DE102006045298A1 (de) * 2006-09-26 2008-03-27 Siemens Ag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Kommunikationsnetz
EP2095574B1 (en) * 2006-12-18 2017-02-22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power-save stations
US8510390B2 (en) * 2007-04-13 2013-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mail system including an email aggregation server providing distributed polling and related methods
US8250153B2 (en) * 2007-04-13 2012-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mail system including email aggregation server providing staggering of overlapped polling
US8463856B2 (en) * 2007-04-13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mail system including email aggregation server providing staggered initial fallback polling and related methods
JP5057304B2 (ja) * 2007-06-08 2012-10-24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通信方法
US8194699B2 (en) * 2007-09-21 2012-06-05 Intel Corporation Radio scheduler and data plane interface
US7949005B2 (en) * 2007-09-25 2011-05-2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base stations
WO2009047722A2 (en) * 2007-10-10 2009-04-1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s in power save mode
KR101400500B1 (ko) 2007-10-25 2014-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등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계적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US8199767B2 (en) * 2008-05-09 2012-06-12 Qualcomm Ather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ime division multiplexing on a multi-channel wireline medium with colocated transceivers
US8064374B2 (en) * 2008-05-09 2011-11-22 Nokia Corporation Power sav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335180B1 (en) 2008-05-09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nd/or starting access points for adaptive time division multiplexing on a multi-channel wireline medium with colocated transceivers
US8284708B2 (en) * 2008-07-14 2012-10-09 Nokia Corporation Power save enhanc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113478B2 (en) 2008-08-20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d allocating resources in multiple transmission opportunities
US8194604B2 (en) * 2008-09-08 2012-06-05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843151B2 (en) * 2008-09-11 2014-09-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s with burst transmissions
US20100128645A1 (en) * 2008-11-26 2010-05-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ower conservation based on traffic profiles
US8737319B2 (en) * 2008-12-15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ap overhead in a broad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3984B2 (en) * 2008-12-19 2012-06-19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US20100220690A1 (en) * 2009-02-27 2010-09-02 Nokia Corporation Direct link establishment for wireless networks
US9055105B2 (en) * 2009-05-29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in a service or activity using an ad-hoc mesh network
US9197298B2 (en) 2009-06-05 2015-11-24 Broadcom Corporation Group identification and definition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279778B2 (en) * 2009-06-24 2012-10-02 Elster Electricity, Llc Simultaneous communications within controlled mesh network
US8842605B2 (en) * 2009-12-10 2014-09-23 Nokia Corporation Network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142028A1 (en) * 2009-12-10 2011-06-16 Nokia Corporation Synchronization via additional beacon transmission
US8774021B2 (en) * 2009-12-10 2014-07-08 Nokia Corporation Data-related task sup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42696B2 (en) 2009-12-16 2013-09-2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US20110149731A1 (en) 2009-12-17 2011-06-23 Gong Michelle X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cheduling communications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KR101671870B1 (ko) * 2009-12-18 2016-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적응적 전원 절약/전원 절약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8885530B2 (en) * 2009-12-24 2014-11-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management in an ad hoc network
EP2531986B1 (en) * 2010-02-02 2016-06-01 Marvell World Trade Ltd. Power saving features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1807732B1 (ko) 2010-03-09 2018-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세이빙을 위한 멀티 유저 무선 네트워크 및 멀티 유저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JP5735550B2 (ja) 2010-03-09 2015-06-1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末及びアクセスポイント、その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191893B2 (en) 2010-05-26 2015-1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ower save mode in a wireless LAN system
US8451789B2 (en) 2010-06-15 2013-05-28 Nokia Corporation Method to request resources in TV white spaces type environment
KR101527120B1 (ko) 2010-08-17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유저의 txop 파워 세이빙을 위한 액티브 모드에서의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US8385286B2 (en) 2010-09-03 2013-02-26 Nokia Corporation Resource sharing between secondary networks
US8412247B2 (en) 2010-09-03 2013-04-02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coexistence value to define fair resource share between secondary networks
US9246562B2 (en) * 2010-12-23 2016-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US8619650B2 (en) * 2011-01-11 2013-12-31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63602B2 (en) 2011-01-14 2013-01-2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source allocation of coexistent secondary networks
KR101537201B1 (ko) 2011-02-01 2015-07-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력 절약 방법,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및 스테이션 디바이스
US8879984B2 (en) 2011-02-10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Contact verification signaling
KR101237454B1 (ko) * 2011-02-24 2013-02-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에서 ack의 전송기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EP2698031B1 (en) * 2011-04-15 2016-02-2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networks
US10123351B2 (en) 2011-04-15 2018-11-06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networks
CN102769899B (zh) * 2011-05-04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数据的方法和无线传输设备
US8514802B2 (en) 2011-05-04 2013-08-20 Nokia Corporation Method to evaluate fairness of resource allocations in shared bands
CN102769898B (zh) * 2011-05-04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省电模式管理的方法及装置
CN102843220B (zh) * 2011-06-21 2014-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错误恢复方法、接入点设备、站点设备及其系统
US20120327829A1 (en) * 2011-06-24 2012-12-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Bandwidth for Data Transmissions Between High-Speed Wireless Devices
CN102882660B (zh) 2011-07-12 2017-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反馈信息的传输方法和系统
US9877284B2 (en) 2011-07-14 2018-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mmunic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8929831B2 (en) 2011-07-18 2015-01-0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network discovery based on geographical location
US8510807B1 (en) * 2011-08-16 2013-08-13 Edgecast Networks, Inc. Real-time granular statistical reporting for distributed platforms
US8958398B2 (en) 2011-09-26 2015-02-17 Broadcom Corporatio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media access control (MAC) adapted for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804589B2 (en) 2011-10-14 2014-08-12 Nokia Corporation Adaptive awake window
CN103096439B (zh) * 2011-11-07 2018-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站点的调度方法、数据传输方法、接入控制站点及站点
WO2013077600A1 (ko) * 2011-11-21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785133B1 (en) * 2011-11-23 2017-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on basis of service period scheduling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US9019909B2 (en) 2011-12-06 2015-04-2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existence management
AU2013217790B2 (en) * 2012-02-10 2015-08-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in WLAN system
WO2013119097A1 (ko) * 2012-02-10 2013-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20130215745A1 (en) * 2012-02-16 2013-08-22 Broadcom Corporation Dynamic buffer management in high-throughput wireless systems
US9473946B2 (en) 2012-03-12 2016-10-1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emporary release of resources in radio networks
WO2013137824A1 (en) * 2012-03-12 2013-09-19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Stations, access point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8909274B2 (en) 2012-03-12 2014-12-0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source allocation conflict handling in RF frequency bands
WO2013147549A1 (ko) * 2012-03-29 2013-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517381B (zh) * 2012-06-12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接入方法及设备
CN103517386B (zh) * 2012-06-26 2017-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JP5842253B2 (ja) * 2012-07-06 2016-01-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上位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923202B2 (en) * 2012-07-23 2014-12-30 Adidas Ag Communication network for an athletic activity monitoring system
US8942701B2 (en) 2012-08-14 2015-01-2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ferring responsibility between network controllers managing coexistence in radio frequency spectrum
CN102843775B (zh) * 2012-09-11 2015-04-22 福建星网锐捷网络有限公司 调度方法、装置及网络设备
US20140126382A1 (en) * 2012-11-06 2014-05-08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 link acknowledgment in a machine-to-machine wireless wide area network
US9107089B2 (en) 2012-11-09 2015-08-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cation based query for interferer discovery in coexistence management system
KR102029324B1 (ko) * 2012-12-14 201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GB2509519B (en) * 2013-01-04 2018-02-14 Broadcom Cor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cknowledgements
US20140307601A1 (en) * 2013-04-16 2014-10-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enhancements with low latency 802.11
WO2014203029A1 (en) 2013-06-17 2014-12-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fficient scheduling in asynchronous contention-based system
US9585095B2 (en) 2013-11-11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enhanced power save protocol
CN105940727B (zh) * 2014-02-04 2019-11-01 Lg电子株式会社 在wlan中基于功率节省模式的操作方法和设备
US10007317B2 (en) * 2014-04-10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trolling power usage based on network parameters
WO2016032276A2 (ko) 2014-08-29 2016-03-0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9955424B2 (en) * 2014-12-22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power save protocol
US20160301620A1 (en) * 2015-04-08 2016-10-13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parameters pertaining to service period for reduced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7033789A1 (ja) 2015-08-21 2017-03-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5827542A (zh) * 2016-04-01 2016-08-03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中报文转发的方法和装置
CN105764149B (zh) * 2016-04-12 2019-07-05 重庆金美通信有限责任公司 WiFi中AP公平分配下行资源的方法
US9900871B1 (en) * 2017-01-05 2018-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EP3582455B1 (en) * 2017-03-02 2022-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subflows network transmission
WO2019024075A1 (en) * 2017-08-04 2019-02-07 Z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COMMUNICATION RESOURCES
US20190111987A1 (en) * 2017-10-17 2019-04-18 VanDamia & Moore Distributors LLC Two wheel golf cart with bag holder kickstand
GB2567813B (en) * 2017-10-20 2020-04-22 Canon Kk Improved station power saving during an 802.11ax multi-user TXOP having cascaded trigger frames
WO2020087289A1 (zh) 2018-10-30 2020-05-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CN115484677A (zh) * 2021-05-31 2022-12-1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时间分配方法与装置、接入点和站点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6646B1 (en) 1997-09-09 2001-05-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data communications scheduling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JP2000165930A (ja) * 1998-11-30 2000-06-16 Clarion Co Ltd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1053745A (ja) * 1999-08-11 2001-02-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US7330877B2 (en) * 2000-09-18 2008-02-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Devices, softwares and methods for rescheduling multi-party sessions upon premature termination of session
US7099671B2 (en) * 2001-01-16 2006-08-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llaborative mechanism of enhanced coexistence of collocated wireless networks
US7277413B2 (en) * 2001-07-05 2007-10-02 At & T Corp. Hybrid coordination function (HCF) access through tiered contention and overlapped wireless cell mitigation
KR100442821B1 (ko) * 2001-09-2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수 제어 기반의 데이터 전송방법
JP2003188888A (ja) * 2001-12-21 2003-07-04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880554B2 (ja) * 2003-07-18 2007-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間分割多重アクセス方式ワイヤレス媒体アクセスコントローラ
US7551948B2 (en) * 2003-07-24 2009-06-23 Cisco Technology, Inc. Uniform power save method for 802.11e stations
US6917598B1 (en) 2003-12-19 2005-07-12 Motorola, Inc. Unscheduled power save delivery metho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US7463642B2 (en) 2004-04-07 2008-12-09 Cisco Technology, Inc. Multiple receiver aggregation
EP1589702B1 (en) 2004-04-21 2012-05-09 Avaya Inc. Organization of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buffers at an acces point
US7668128B1 (en) * 2004-05-17 2010-02-23 Avaya Inc. Features of power save in 802.11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7626966B1 (en) * 2005-01-06 2009-12-01 Idealab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77616B2 (en) * 2005-01-31 2009-01-13 Symbol Technologies, Inc. Power saving frame transmission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70B1 (ko) * 2011-09-26 2014-06-03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단일 사용자, 다수 사용자, 다중 액세스, 및/또는 mimo 무선 통신들을 위한 스마트 계측기 매체 액세스 제어(mac)
KR20180088421A (ko) * 2015-12-03 2018-08-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US11134369B2 (en) 2015-12-03 2021-09-28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overlapping periods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communication apparatuse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20613B2 (ja) 2014-02-19
US8363674B2 (en) 2013-01-29
US7796545B2 (en) 2010-09-14
EP1983705A1 (en) 2008-10-22
EP1972115A1 (en) 2008-09-24
CN101366247A (zh) 2009-02-11
WO2007082235A1 (en) 2007-07-19
CN101366247B (zh) 2013-05-08
US20070161364A1 (en) 2007-07-12
US20100315979A1 (en) 2010-12-16
JP4875108B2 (ja) 2012-02-15
JP2012050101A (ja) 2012-03-08
EP1972115B1 (en) 2016-10-12
EP1983704A1 (en) 2008-10-22
JP2009523372A (ja) 2009-06-18
EP1983704B1 (en) 2016-12-07
KR101023639B1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23345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radio technologies communicating in overlapping time periods
EP2170009B1 (en) Power save enhancements for W- LANs
EP2451115B1 (en) Standby Time Improvements for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KR101378460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에 대한 충돌 방지
US7245946B2 (en) Optimal power saving scheduler for 802.11e APSD
GB2415573A (en) Power saving scheduler for a wireless network
HK1143019B (en) Power save enhancements for w- 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