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019U - Prefab flower pots - Google Patents
Prefab flower po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3019U KR20090003019U KR2020070015796U KR20070015796U KR20090003019U KR 20090003019 U KR20090003019 U KR 20090003019U KR 2020070015796 U KR2020070015796 U KR 2020070015796U KR 20070015796 U KR20070015796 U KR 20070015796U KR 20090003019 U KR20090003019 U KR 2009000301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panels
- planter
- prefabricated
- fasten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2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대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조립 시공함으로써, 양생 시간이 필요치 않아 시공성이 우수하며, 더불어 다단층을 형성하여 각 단층마다에 식목이나 초아류를 식재할 수 있게 구성한 조립식 화분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and by assembling and constructing in the field, curing time is not required, and excellent workability, and also to form a multi-layer to provide a prefabricated flower pot configured to plant trees or plants on each floor. The purpos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대는 양단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구멍이 형성된 패널과, 2개의 상기 패널이 마주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관통해 체결되는 고정대와, 상기 패널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의 양단을 각각 폐쇄하는 2개의 폐쇄판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패널과 2개의 폐쇄판의 사이에 흙이 채워져 식생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and the panel is formed with a hole in the middle, and the fixing stand is fastened through the hole in the state in which the two panels face each other, and I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panel and includes two closing plates for closing both ends of the panel,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between the two panels and the two closing plates soil is configured to vegetation.
조립식 화분대, 패널, 고정대, 식재, 흙, 폐쇄판 Prefab Planters, Panels, Fixtures, Planting, Soil, Closure Boards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에서 조립 시공함으로써, 양생 시간이 필요치 않아 시공성이 우수하며, 더불어 다단층을 형성하여 각 단층마다에 식목이나 초아류를 식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in particular, by assembling construction in the field, the curing time is not required, excellent construction properties, and to form a multi-layered layer so that each planting can be planted plants or plants.
종래에 사용되는 화분대는 1단 평면구조로서, 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으로 제조한다. Pots used in the prior art is a one-stage planar structure, made of concrete or brick.
콘크리트로 제조할 경우에,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타설, 그리고 콘크리트 양생 등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벽돌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벽돌을 고정시키는 몰탈이 양생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진다.In the case of manufacturing in concrete, workability is inferior because it takes time such as formwork, concrete pouring, and concrete curing. And eve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bricks because the mortar fixing the brick takes time to cure, the workability is poor.
이와 같은 단점 외에도 종래의 화분대는 화분대가 차지하는 면적과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면적이 동일하며, 1단 평면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경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disadvantages, the conventional flower pots have the same area occupied by the flower pots and the areas for planting plants, and have a one-stage planar structure.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조립만으로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한 조립식 화분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lanter with excellent workability becaus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only by assembly in the field.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대는 화분대의 단위면적당 식재하는 수목이나 초아류의 양이 더 넓도록 다단으로 식재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plant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amount of trees or plants to be planted per unit area of the plan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대는 양단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구멍이 형성된 패널과, 2개의 상기 패널이 마주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관통해 체결되는 고정대와, 상기 패널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의 양단을 각각 폐쇄하는 2개의 폐쇄판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패널과 2개의 폐쇄판의 사이에 흙이 채워져 식생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and the panel is formed with a hole in the middle, and the fixing stand is fastened through the hole in the state in which the two panels face each other, and I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panel and includes two closing plates for closing both ends of the panel,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between the two panels and the two closing plates soil is configured to vegetation.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흙이 채워진 상기 화분대의 상면에 흙이 채워진 다른 화분대가 적층되며, 아래에 위치한 화분대의 2개의 패널 사이의 간격보다 적층된 상기 다른 화분대의 2개의 패널의 간격이 좁게 이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filled planter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iled potted plant, the two panels of the different planter stacking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panels of the planter located below The gap is narrowly spaced.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된 화분대들의 어느 한 쪽 패널은 일체화된 하나의 패널이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ither panel of the stacked flower pots is an integrated panel.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는 양단에 수나사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수나사에는 복수 개의 너트가 체결되며, 복수 개의 너트 사이에 패널이 위치하여 고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rod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le screw, respectively, a plurality of nuts are fastened to each male screw, the panel is positioned and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nuts.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폐쇄판은 상기 패널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는 상기 폐쇄판의 체결공과 상기 패널의 체결공을 볼트가 관통해 나사체결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ing plate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panel, the screw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closing plate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panel which are located correspondingly to each other and screwed do.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된 상기 2개의 패널의 간격에서 상기 패널의 상단부의 간격이 하단부의 간격보다 넓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of the upper end of the panel is wider than the spacing of the lower end in the spacing of the two panels spaced apart.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패널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어느 한 패널의 일측 체결공과 다른 한 패널의 타측 체결공에 각각 대응하도록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의 체결공과 상기 패널의 체결공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패널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panel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fastening hole of any one pa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fastening hole of the other panel, respectively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iece, the fastening hole of the connecting piece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panel corresponding to the bolted to extend the plurality of pan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대는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및 벽돌로 화분대를 제조하는 것보다 시공성이 우수하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fabricated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completed in the field, and has excellent workability than manufacturing a planter with concrete and brick a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대는 화분대를 다층으로 높이 쌓아 배치하여 식재함으로써, 멀리서도 식재되는 수목 및 초아류를 쉽게 볼 수 있어 조경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landscape effect is excellent because the planter can be easily planted by planting the planter in a multi-layered stack, planting trees and plants from a distance.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대는 패널을 비스듬히 위치시켜 화분대의 식재공간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1단 평면구조의 화분대보다 넓은 면적에서 식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plant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panel at an angle to increase the area of the planting space of the plan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lanted in a larger area than the planter of the single-stage flat structure as in the prior art.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분대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fabricated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화분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화분대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plant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planter shown in FIG.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화분대(100)는 상호 마주하여 전후에 위치하는 패널(110)들과, 마주하는 패널(110)들을 고정하는 고정대(130)와, 상기 마주하는 패널(110)의 양단에 체결되는 폐쇄판(1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화분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fabricated flower pots configured in this way.
패널(110)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구멍(111)들이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패널(110)의 양단에는 체결공(113)이 다수 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널(110)은 상호 마주하여 위치하며, 고정대(130)가 마주한 두 패널(110)을 고정한다. 고정대(130)는 양단에 수나사부(131)가 각각 형성되고, 고정대(130)의 각 단에는 2개씩의 너트(133)가 체결된다. 여기에서 한 개의 너트(133)는 패널(110)의 바깥 측면에 접하고, 다른 한 개의 너트(133)는 패널(110) 의 안쪽 측면에 접하여 패널(110)을 2개의 너트(133)로 가압 고정한다.The
또한, 마주하는 2개의 패널(110)의 양단에는 폐쇄판(140)이 고정된다. 폐쇄판(140)은 그 평단면이 'ㄷ'형태로서, 상호 평행하는 두 평행면(141)과 상기 두 평행면(141)을 연결하는 폐쇄면(143)으로 구분된다. 상기 평행면(141)에는 패널(1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113)과 대응하는 체결공(149)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고정대(130)에 의해 고정된 2개의 패널(110)의 단부에 각각 폐쇄판(140)을 위치하되, 폐쇄판(140)의 체결공(149)과 패널(110)의 체결공(113)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볼트(145)를 관통시키고, 관통한 볼트(145)에 너트(147)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마주하는 2개의 패널(110)의 양단은 폐쇄판(140)에 의해 폐쇄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화분대(100)를 지면에 위치하고, 2개의 패널(110)과 2개의 폐쇄판(14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흙(101)을 채워 식재한다.The
한편, 조립식 화분대(100)에 있어서, 상기 화분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110)들은 다수 개의 분할패널(110s)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패널(110s)들은 그 양측에 체결공(113')이 형성되고, 분할패널(110s)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구멍(111)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그리고 상기 분할패널(110s)을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편(120)이 이용되는데, 상기 연결편(120)의 양측에는 체결공(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편(120)의 양측 체결공(121)과 분할패널(110s)의 체결공(113')이 대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대응한 체결공(121, 113')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를 체결하여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분할패널(110s)들을 연장하여 상기 패널(110)을 형성한다. 따라서 분할패널(110s) 의 개수에 따라 패널(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분할패널(110s)이 연결되어 형성된 패널(110)들을 상호 마주하게 대응한 상태에서, 고정대(130)로 마주한 패널(110)들을 고정한다. 그리고 폐쇄판(140)을 연결된 패널(110)들의 양측 맨 끝단에 체결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divided panels 110s are connected and face each other,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된 화분대(100)를 다층으로 시공하기 위해서, 상부에 위치한 화분대(100')일수록 그 패널(110) 사이의 간격이 아래에 위치한 화분대(100")의 패널(110) 간격보다 좁게 조립하여 적층한다.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construct the constructed
그러면 아래에 위치한 화분대(100")와 그 위에 위치한 화분대(100')의 폭 차이에 의해 흙 노출면 즉 식재공간(103)의 면적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적층하는 화분대(100',100")들은 그 길이방향의 중심선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적층한다.Then, the area of the soil exposed surface, that is, the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보이듯이, 각 화분대(100)의 패널(110) 하단의 간격을 상단의 간격보다 좁게 한다. 그러면 노출되는 식재공간(103)의 면적이 넓어져 화분대(100)의 면적보다 전체 식재공간(103)의 면적이 더 넓게 된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2, the interval of the bottom of the
한편, 앞에서 설명한 조립식 화분대들은 그 전후방에 식재가 가능하지만, 아래에서는 전방에만 식재가 가능하게 구성한 조립식 화분대에 대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flower pots described above can be planted in the front and rear, but 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efabricated flower pots configured to be plantable only in the fro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화분대(100)는 정면 쪽에 다단층 구조로 패널(110)들이 위치하고, 배면쪽에는 하나의 고정패널(110f)이 위치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보다 구체적으로 맨 아래에 위치한 패널(110")은 고정패널(110f)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며 상기 고정패널(110f)과 마주하여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 패널(110")과 고정패널(110f)은 고정대(13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패 널(110f)과 맨 아래에 위치한 패널(110") 사이에 흙(101)이 채워진다. 여기에서도 패널(110")과 고정패널(110f)의 양단에는 폐쇄판(140)이 고정되어 흙(101)이 화분대(100)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그리고 채워진 흙(101)의 상면에 다른 패널(110')을 위치한다. 즉 상기 다른 패널(110')과 고정패널(110f)의 간격은 맨 아래의 패널(110")과 고정패널(110f)의 간격보다 좁다. And another
이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패널과 고정패널(110f) 사이의 간격을 점차 좁게 하면서, 패널과 고정패널(110f)을 고정대(130)로 고정한다.As described above, while graduall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panel and the fixing panel 110f, the panel and the fixing panel 110f are fixed with the fixing table 130.
이와 같이 패널(110)들이 위치한 상태에서, 흙 노출면 즉 식재공간(103)은 아래 패널(110")과 그 상부에 위치한 패널(110') 사이의 공간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분대(100)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식재하기 위해서는 패널(110)의 상부보다 하부가 고정패널(110f)과 더 가깝도록 고정대(130)로 고정한다. 그럼으로써, 화분대(100)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식재공간(103)의 면적이 더 넓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lant in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화분대의 단면도이며,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flower pot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화분대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planter shown in FIG. 2.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 100" : 화분대 101 : 흙100, 100 ', 100 ": Flower Pot 101: Soil
103 : 식재공간 110, 110', 110" : 패널103: Planting
110s : 분할패널 110f : 고정패널110s: split panel 110f: fixed panel
113, 113' : 체결공 120 : 연결편113, 113 ': Fastener 120: Connecting piece
121 : 체결공 130 : 고정대121: fastening hole 130: fixture
131 : 수나사부 140 : 폐쇄판 131: male thread 140: closing plat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796U KR20090003019U (en) | 2007-09-21 | 2007-09-21 | Prefab flower po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796U KR20090003019U (en) | 2007-09-21 | 2007-09-21 | Prefab flower po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019U true KR20090003019U (en) | 2009-03-25 |
Family
ID=4365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5796U Ceased KR20090003019U (en) | 2007-09-21 | 2007-09-21 | Prefab flower po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3019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1411B1 (en) * | 2014-03-26 | 2015-03-10 | 김기태 | Stair type sheet 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54881A (en) | 2019-11-06 | 2021-05-14 | 박미경 | Prefabricated Flowerpot |
US11464349B2 (en) * | 2018-06-26 | 2022-10-11 | Zona Productions, Llc | Transportable planter |
-
2007
- 2007-09-21 KR KR2020070015796U patent/KR20090003019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1411B1 (en) * | 2014-03-26 | 2015-03-10 | 김기태 | Stair type sheet 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11464349B2 (en) * | 2018-06-26 | 2022-10-11 | Zona Productions, Llc | Transportable planter |
KR20210054881A (en) | 2019-11-06 | 2021-05-14 | 박미경 | Prefabricated Flowerp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55897B (en) | Hydroponics unit and system | |
US20090277087A1 (en) | The vegetation block frame and the vegetation block | |
CN104363751A (en) | vertical gardening system | |
KR20160022968A (en) | Variable modular kitchen garden | |
US12193376B2 (en) | Greenable wall element | |
KR20090003019U (en) | Prefab flower pots | |
EP3814575B1 (en) | Modular building system for hardscape structure | |
RU112808U1 (en) | GREENHOUSE Dismountable | |
KR100794671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 |
US12043975B2 (en) | Concrete building block and methods | |
KR100937744B1 (en) | Prefabricated fence structure for vinyl house, nursery plant, hydroponic plant, flower plant or landscaping facility | |
KR101309245B1 (en) | Prefabricated flower bed and fence using the flower bed | |
CN102523982B (en) | Lattice-type steel column applicable for high and big green house | |
JP2010193741A (en) | Wall surface greening panel, and wall surface green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216713446U (en) | But multi-functional ecological landscape wall of assembled | |
GB2534411A (en) | Living wall | |
US11952778B2 (en) | Multi-purpose building block, and a build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JP6876420B2 (en) | Green wall structure | |
CN106760934A (en) | Garden seedling tree protection fence | |
JP2000270684A (en) | Planter single body in system planter and its assembling | |
KR101363624B1 (en) | Assembly Pannel for Rice Paddy | |
JP2000204713A (en) | Fence and fence construction method | |
TWM662579U (en) | Sloped bottom planting wall with combined panels | |
ITFI20130002A1 (en) | CANALETTA FOR AEROPONICA AND AEROPONICA CULTIVATION SYSTEM | |
JPH049803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9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1224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31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