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671B1 -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4671B1 KR100794671B1 KR1020070019635A KR20070019635A KR100794671B1 KR 100794671 B1 KR100794671 B1 KR 100794671B1 KR 1020070019635 A KR1020070019635 A KR 1020070019635A KR 20070019635 A KR20070019635 A KR 20070019635A KR 100794671 B1 KR100794671 B1 KR 1007946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exposed surface
- support frame
- ports
- gre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21 irrigation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3—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made of stacked or staggered elements, e.g. hollow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되는 식생포트들 상호간에 리브를 겹치고 격자형 지지틀의 전면에 돌출된 구속 결착편들로 구속 결착시켜서 구성부품을 최소화한 단순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verlaps the ribs between the vegetation ports arranged up and down and restrained by restraining binding pieces protruding on the front of the grid support frame for record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assembled in a simple structure with a minimum of components To provide a mounting structure of the vegetation device.
본 발명의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는 구조물의 노출면(A)에 고정 설치되는 격자형 지지틀(10)의 전면에 복수개의 식생포트(20)들이 층층이 배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전면에 돌출되어서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속 결착편(11)들을 구비하고, 상기 식생포트(20)들은 상측 후단부에 겹침리브(21)를 연장 형성하되, 그 식생포트들 하측 후단부 근처에 하향 돌출되어 좌우로 연속되며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구속 결착편(11)들과 대응하도록 1쌍의 끼움공(23)들을 갖는 고정리브(22)를 각각 형성하여서, 상하로 배치되는 식생포트(20)들 상호간이 그 고정리브(22)와 겹침리브(21)를 겹치고 1쌍의 끼움공(23)들을 통하여 끼워지는 상기 구속 결착편(11)들로서 구속 결착시켜서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plurality of vegetation ports 20 are arranged in layer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rid support frame 10 fixed to the exposed surface (A) of th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restraining binding pieces 11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lattice support frame 10, and the vegetation ports 20 extend the overlap ribs 21 at an upper rear end thereof. A fixing rib 22 having a pair of fitting holes 23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near the lower rear end of the vegetation ports and to be continuous to the left and right to correspond to the restraining fastening pieces 11 of the grid support frame 10. Each of the vegetation ports 20 formed up and down are formed as the restraining binding pieces 11 overlapping the fixed rib 22 and the overlap rib 21 and fitted through a pair of fitting holes 23. It is to be bound and assembled.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측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4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격자형 프레임을 고정용 철물로서 구조물의 노출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발췌 평면도Figure 5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d-lik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as a fixing hardware
도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망용 장식구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rnament for vegetation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망용 장식구의 실시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6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net orna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식생망용 장식구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vegetation orna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식생망용 장식구의 실시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net orna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격자형 지지틀 10a, 10b: 종측 및 횡측부재10:
11: 구속 결착편 12: 고정용 철물11: binding binding piece 12: fixing hardware
20: 식생포트 20a,20b: 전,후면판20:
20c,20d: 좌,우면판 20e: 하면판20c, 20d: Left and
20f: 수용공간 21: 겹침리브20f: accommodation space 21: overlap rib
22: 고정리브 23: 끼움공22: fixed rib 23: fitting hole
24: 핀고리 25: 핀24: pin ring 25: pin
26: 걸리용 돌기 27: 홈부26: gully protrusion 27: groove
28: 보강리브 30: 단위 식생망28: reinforced rib 30: unit vegetation network
31: 식생재 40: 식생망용 장식구31: Vegetation 40: Vegetation Net Ornament
41: 볼록띠 42: 볼록판41: convex band 42: convex plate
A: 구조물의 노출면 C: 간극A: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C: gap
본 발명은 구조물의 노출면을 식물로 녹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격자형의 지지틀에 식생포트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하여 배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o be planted by plants, and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record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so that the vegetation port can be easily and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grid-shaped support frame It is about.
건물의 외벽 및 담장 또는 도로의 방음벽과 같이 인위적으로 구축된 구조물의 노출면은 단조롭고 투박하여서 도심지의 경관을 삭막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바, 최근에 도심지의 경관을 개선시키고 자연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자 인위적으로 구축된 구조물의 노출면을 식물로 녹화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The exposed surfaces of artificially constructed structures, such as building exterior walls and fences, or soundproof walls on roads, are monotonous and crude, causing deterioration of the urban landscape. Recently, the city has been trying to improve the urban landscape and create a natural environment. Various devices and methods for planting exposed surfaces of artificially constructed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이전에는 구조물의 노출면에 복수개의 선반들을 고정 설치하고, 개개의 선반에 식생포트를 안치시키는 방식으로 구조물의 노출면을 녹화하여 왔다.Previously,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has been recorded by fixing a plurality of shelves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and placing vegetation ports on the individual shelves.
이와 같은 이전의 녹화방법에 따르면, 해당 구조물의 노출면을 식물로 녹화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도심지의 경관을 개선시키고 자연친화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previous greening method, since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can be planted with plants,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rban landscape and creating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그러나, 이전의 녹화방법은 구조물의 노출면에 군데군데 설치된 선반에 식생포트를 각각 안치시키게 되므로, 구조물의 노출면 전체를 완벽하게 녹화하여 주기 보다는 부분적으로 식물이 장식된 정도로 만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evious greening method, since vegetation ports are settled on shelves exposed in several places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nt is partially decorated, rather than completely recording the entir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
또한, 식생포트와 동일한 수량의 선반을 필요로 하게 되어서 설치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선반에 안치시킨 식생포트가 낙하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by requiring the same quantity of shelves as the vegetation p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getation port placed on the shelf is dropped to cause a safety accident.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구조물의 노출면에 고정 설치되는 격자형 지지틀과, 상기 격자형 지지틀의 전면에 배열 설치되는 복수개의 식생포트들로 구성된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it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 the recording surface of the structure consisting of a lattice support frame fix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vegetation ports arranged on the front of the lattice support frame Vegetation devices are known.
이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하나의 격자형 지지틀에 복수개의 식생포트들을 원하는 배열 형태로 조밀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노출면 전체를 식물로 풍성하게 덮어서 녹화률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식생포트를 설치하는데 필요로 하는 구성부품을 줄여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식생포트를 보다 견실하게 설치하여서 안전사고의 발생 염려를 해소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Since the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can be densely installed in a desired arrangement in a plurality of vegetation ports in one lattice support frame, the entir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is covered with plants to enhance the greening r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by reducing the components required to install the vegetation port, and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worry of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by installing the vegetation port more robust.
그러나, 종래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구조물의 노출면에 설치되는 격자형 지지틀에 식생포트들을 조립할 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is accompanied with the following problems when assembling the vegetation ports in the grid support frame install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즉, 현장에서 격자형 지지틀과 개개의 식생포트들에 일일이 통공들을 뚫고 고정볼트들을 체결하여 직접 고정시키는 볼트 고정식이나, 격자형 지지틀과 개개의 식생포트들에 일일이 통공들을 뚫고 고정나사로 고정된 클램프를 매개로 결착시키는 클램프 고정식으로 조립하게 됨으로써, 작업부담을 가중시켜서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게 되고 작업시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the bolt fixing type that directly drills through holes in the grid support frame and individual vegetation ports and fastens the fixing bolts directly, or drills through holes in the grid support frame and individual vegetation ports and is fixed with fixing screws. By assembling the clamp fixed by the clamp as a mediu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load is increased, requiring a large number of working people and working time is extended.
또한, 식생포트들의 무게하중을 감당하게 하기 위해 파이프 또는 앵글과 같은 강재로 격자형 지지틀을 제작하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격자형 지지틀에 뚫어진 통공들로 인하여 그 격자형 지지틀 자체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빗물이나 관수한 물과 접촉되는 통공들에 의한 부식이 촉진되어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lattice support frame is made of steel such as pipe or angle to bear the weight load of the vegetation ports, the lattice support frame itself due to the holes drilled in the lattice support frame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deterio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rrosion by the through-holes in contact with the rainwater or irrigation water is promoted to shorten the service life.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되는 식생포트들 상호간에 리브를 겹치고 격자형 지지틀의 전면에 돌출된 구속 결착편들로 구속 결착시켜서 구성부품을 최소화한 단순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현장에서 격자형 지지틀에 식생포트들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서 시공능률을 향상시켜 주는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in a simple structure to minimize the components by overlapping the ribs between the vegetation ports arranged up and down and the restraint binding pieces protruding on the front of the grid support frame, first, in the fiel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a structure that improves construction efficiency by allowing simple and easy installation of vegetation ports on a grid support fr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자형 지지틀에 식생포트들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구성부품을 감축시켜서 경제성을 향상시켜 주는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o improve the economics by reducing the components required for installing the vegetation ports on the grid support fram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격자형 지지틀을 손상시키지 않고 식생포트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서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o improve the durability by allowing the installation of vegetation ports without damaging the grid support frame.
본 발명도 구조물의 노출면(A)에 고정 설치되는 격자형 지지틀(10)의 전면에 복수개의 식생포트(20)들이 층층이 배열 설치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단, 본 발명의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전면에 돌출되어서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속 결착편(11)들을 구비하고, 상기 식생포트(20)들은 상측 후단부에 겹침 리브(21)를 연장 형성하되, 그 식생포트들 하측 후단부 근처에 하향 돌출되어 좌우로 연속되며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구속 결착편(11)들과 대응하도록 1쌍의 끼움공(23)들을 갖는 고정리브(22)를 각각 형성하여서, 상하로 배치되는 식생포트(20)들 상호간이 그 고정리브(22)와 겹침리브(21)를 겹치고 1쌍의 끼움공(23)들을 통하여 끼워지는 상기 구속 결착편(11)들로서 구속 결착시켜서 조립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Howeve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Figure 4, a plurality of restraining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격자형 지지틀(10)은 구조물의 노출면(A)에 고정 설치되어서, 그 격자 지지틀의 전면에 식생포트(20)들을 조립하여 층층이 배열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The
본 실시예에서 도1 및 도2의 도시와 같이,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은 좌우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개의 종측부재(10a)들과, 그 종측부재들 사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횡측부재(10b)들로서 격자구조로 구성하되, 개개의 종측부재(10a) 전면에 소요 간격으로 돌출되어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속 결착편(11)들을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grid-
이러한 격자형 지지틀(10)은 종측 및 횡측부재(10a)(10b)들로 격자 구조를 이루어 구조물의 노출면(A)에 설치되며, 그 종측부재(10a)들의 전면에 돌출되어서 배열된 복수개의 구속 결착편(11)들로서 서로 겹쳐지는 상부측 식생포트(20)의 고 정리브(22)와 하부측 식생포트(20)의 겹침리브(21)를 구속 결착하여, 상기 식생포트들 상호간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하여 준다.The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종측 및 횡측부재(10a)(10b)들은 각각 사각파이프로 만들어서,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전면에 조립되어서 배열 설치되는 복수개의 식생포트(20)들에 의한 무게하중을 충실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구속 결착편(11)들은 횡측부재(10b)들로 연결되어 정해진 간격으로 세워진 개개의 종측부재(10a) 전면에 상기 식생포트(20)들의 1쌍의 끼움공(23)들과 일치하도록 상하좌우 간격을 맞추어 돌출되고 배열되도록 하여서,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전면에 식생포트(20)들을 조립하여 층층이 배열 설치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Constrained
그리고, 상기 구속 결착편(11)들은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식생포트(20)의 고정리브(22)와 겹침리브(21) 두께를 합한 길이를 가지는 끼움봉(111)과, 그 끼움봉(111)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식생포트(20)의 고정리브(22)에 밀착되는 구속날개(112)로 이루어진다.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restraining
이 구속 결착편(11)들은 각각 그 끼움봉(111)이 상부측 식생포트(20)의 고정리브(22)에 형성된 끼움공(23)들에 끼워지고, 그 구속날개(112)는 후면에 하부측 식생포트(20)의 겹침리브(21)가 겹쳐진 상태의 상부측 식생포트(20)의 고정리브(22)에 밀착되어 구속 결착시킬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restraint
또,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을 이루는 개개의 종측부재(10a)에는 각각 그 종측부재의 후면에 맞댐 고정되는 부착판부(121)의 양단에서 절곡 연장된 양측의 간 격조절판부(122)를 가지며 그들의 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구조물의 노출면(A)에 접지되어 관통한 앵커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양측의 고정판부(123)를 갖는 복수개의 고정용 철물(12)들을 배열 설치하여서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longitudinal member (10a) constituting the lattice-
이 고정용 철물(12)들은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양측의 간격조절판부(122)들을 바깥으로 벌리면 양측의 고정판부(123)들과 부착판부(121)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양측의 간격조절판부(122)들을 안으로 좁히면 양측의 고정판부(123)들과 부착판부(121)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굴곡진 구조물의 노출면(A)에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이 뒤틀리지 않고 평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4 and 5, the
여기에서, 상기 고정용 철물(12)들은 도3에서와 같이, 각각 그 양측의 간격조절판부(122)를 하향 경사지게 하여 양측의 고정판부(123)보다 부착판부(121)를 낮게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Here, the
이는 구조물의 노출면(A)에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을 고정용 철물(12)들로서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빗물이나 관수한 물이 고정용 철물(12)을 타고 구조물의 노출면(A) 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전방으로 자연 낙하되게 하여 주므로, 구조물의 노출면(A)이 빗물이나 물에 젖는 일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This is a state in which the
식생포트(20)들은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식생재(31)가 충전된 별도의 단위 식생망(30)들이 물에 잠긴 상태로 덮여져서 녹화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1 및 도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식생포트(20)들은 각각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전후측의 전,후면판(20a)(20b), 양측의 좌,우면판(20c)(20d), 하부의 하면판(20e)으로서 상부가 트여지며 내부에 수용공간(20f)이 확보되도록 형성하되, 후면판(20b)의 상단에 겹침리브(21)를 연장 형성하고, 하면판(20e)의 하단에 후면판(20b)으로부터 간극(C)을 두고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좌우로 연속되며 1쌍의 끼움공(23)들을 갖는 고정리브(22)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1 and 3, the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측 식생포트(20)의 고정리브(22)에 형성된 끼움공(23)들에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구속 결착편(11)들을 끼우면서, 그 상부측 식생포트(20)의 고정리브(22) 외측에 간극(C)을 통하여 하부측 식생포트(20)의 겹침리브(21)가 겹쳐지게 하면, 상기 격자형 지지틀(10)의 구속 결착편(11)들에 의하여 상부측 식생포트(20)와 하부측 식생포트(20)가 구속 결착된 상태로 조립되어서, 그 격자형 지지틀의 전면에 층층이 배열 설치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le fitting the
이때, 개개의 식생포트는 전,후면판(20a)(20b), 좌,우면판(20c)(20d), 하면판(20e)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20f)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서, 그 하부측 식생포트(20)의 수용공간(20f)에 물을 수용하고 식생재(31)가 충전된 단위 식생망(30)의 하부를 물에 잠기게 한 상태에서, 상부측 식생포트(20)의 전면판(20a)이 덮이도록 단위 식생망(30)을 설치하면, 상기 단위 식생망(30)에 채워진 식생재(31)가 물을 흡수하면서 성장하여 풍성하게 녹화될 수 있게 하여 준다.At this time, the individual vegetation ports are formed so as to secure the receiving
그리고, 상기 식생포트(20)들은 각각 좌,우면판(20c)(20d)의 상단이 하향 경사져서 후면판(20b)보다 전면판(20a)의 상단이 낮게 위치되도록 하되, 그 전면판(20a)은 후면판(20b)으로부터 상단 폭이 넓고 하단 폭이 좁은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함이 중요하다.In addition, the
그 이유는, 최상부의 식생포트(20) 위에 별도의 급수관(미도시)을 배관하여 물을 공급하면, 상부측 식생포트의 수용공간(20f)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면 전면판(20a)의 상단을 통하여 월류된 후 흘러내려서 하부측 식생포트의 수용공간(20f)에 자연스럽게 채워질 수 있게 하여, 하나의 급수관만으로 층층이 배열된 모든 식생포트(20)들에 관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if water is supplied by piping a separate water supply pipe (not shown) on the
또, 상기 식생포트(20)들은 각각 전면판(20a)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핀(25)이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핀고리(24)들을 형성하고, 하면판(20e)의 저면 선단부 근처에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걸이용 돌기(26)들을 형성하여서 된다.In addition, the
이는 하부측 식생포트(20)의 수용공간(20f)에 끼워지는 단위 식생망(30)의 중간부는 걸이용 돌기(26)들에 걸어서 고정시키고, 상부측 식생포트(20)의 전면판(20a)에 덮여지는 단위 식생망(30)의 상단은 핀고리(24)에 끼워지는 핀(25)으로 고정시켜서, 상기 단위 식생망(30)이 건들거리거나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This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unit vegetation net 30 to be fitted to the receiving
여기에서, 상기 전면판(20a)의 외면에는 개개의 핀고리(24)와 인접하도록 요입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홈부(27)들을 형성하여서, 그 핀고리(24)에 핀(25)을 끼워서 단위 식생망(30)을 고정시키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20a) is formed to be recessed to be adjacent to the
또, 상기 식생포트(20)들은 각각 수용공간(20f) 내에는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전,후면판(20a)(20b)과 하면판(20e)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리 브(28)들을 갖게 하여서, 상기 식생포트(20)들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생포트(20)의 전면판(2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개개의 단위 식생망(30)들의 외관을 입체적 형상으로 유지시켜 주는 식생망용 장식구(40)를 더 포함하고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식생망용 장식구(40)는 상기 식생포트(20)의 전면판(2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단위 식생망(30)을 입체적으로 장식하여 줄 수 있게 되므로, 구조물의 노출면(A)을 보다 미려하게 녹화할 수 있게 된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6a 및 도6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식생망용 장식구(40)는 상하로 볼록하게 만곡지는 볼록띠(41)의 상하단에 상,하부 핀구멍(411)(412)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6A and 6B, the
이 식생망용 장식구(40)는 그 하부 핀구멍(412)을 상기 식생포트(20)의 하면판(20e)의 걸이용 돌기(26)에 끼우고, 그 상부 핀구멍(411)을 상기 식생포트(20)의 전면판(20a) 상단의 핀고리(24)에 일치시키고 핀(25)을 끼우면 블록띠(412)가 고정되어서, 그 블록띠의 외면에 대접된 상태로 상기 식생포트(20)의 걸이용 돌기(26)와 핀(25)으로 고정시켜서 설치되는 단위 식생망(30)을 볼록한 형태로 입체적으로 장식할 수 있게 하여 준다.The
여기에서, 상기 식생망용 장식구(40)는 도7a 및 도7b의 도시와 같이, 상하로 볼록하게 만곡지며 상기 식생포트(20)의 전면판(20a)과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볼 록판(42)의 상하단에 복수개의 상,하부 핀구멍(421)(422)들을 형성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Here, the
이 식생망용 장식구(40)는 그 하부 핀구멍(422)들을 상기 식생포트(20)의 하면판(20e)의 걸이용 돌기(26)들에 끼우고, 그 상부 핀구멍(421)들을 상기 식생포트(20)의 전면판(20a) 상단의 핀고리(24)들에 일치시키고 핀(25)을 끼우면 블록판(42)이 고정되어, 그 블록판의 외면에 대접된 상태로 상기 식생포트(20)의 걸이용 돌기(26)와 핀(25)으로 고정시켜서 고정시켜서 설치되는 단위 식생망(30)을 볼록한 형태로 입체적으로 장식할 수 있게 된다.The
아울러 이 식생망용 장식구(40)는 상기 식생포트(20)들의 전면판(20a)에 볼록판(42)을 비교적 간편하게 고정시켜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상하로 배치되는 식생포트(20)들 상호간이 그 상부측 식생포트의 고정리브(22) 외면에 간극(C)을 통하여 하부측 식생포트의 겹침리브(21)가 겹쳐지고, 그 상부측 식생포트의 고정리브(22)에 형성된 끼움공(23)들을 통하여 끼워지는 격자형 지지틀(10)의 구속 결착편(11)들로서 구속 결착시켜서 조립되게 함으로써,The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between the
첫째, 현장에서 격자형 지지틀의 전면에 식생포트들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배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부담을 경감시켜서 작업인원을 감축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vegetation ports can be arranged more easily and easily on the front of the lattice support frame in the fiel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work load and reducing the working time by reducing the workload.
둘째, 격자형 지지틀에 식생포트들을 조립할 때에 소요되는 구성부품을 최소 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녹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Second, since the components required when assembling the vegetation ports on the grid support frame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corded at a low installation cost,
셋째, 식생포트들을 조립하기 위해 격자형 지지틀을 훼손하는 일이 없게 하면서도, 이후에 격자형 지지틀이 쉽게 부식됨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Third, it is possible not to damage the lattice support frame to assemble the vegetation ports, an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lattice support frame easily afterwards, so that the service life can be greatly extended. d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식생포트들 상호간에 리브를 겹치고 격자형 지지틀의 전면에 돌출된 구속 결착편들로 구속 결착시켜서 구성부품을 최소화한 단순구조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적은 작업인원으로 식생장치를 신속하게 설치하여 녹화할 수 있으며, 식생장치의 설치비용을 절약하여 저렴하게 녹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생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As discussed above, by overlapping the ribs between the vegetation ports arranged up and down, and constrained and bound by restraining binding pieces protruding on the front of the grid support frame, it can be assembled in a simple structure with a minimum of components, It is an invention having a useful effect such that the vegetation device can be quickly installed and recorded by personnel, and the recording cost of the vegetation device can be saved at low cost, as well as the useful life of the vegetation device can be extend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9635A KR100794671B1 (en) | 2007-02-27 | 2007-02-27 |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9635A KR100794671B1 (en) | 2007-02-27 | 2007-02-27 |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4671B1 true KR100794671B1 (en) | 2008-01-14 |
Family
ID=3921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96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4671B1 (en) | 2007-02-27 | 2007-02-27 |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4671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0731B1 (en) | 2010-09-13 | 2011-04-26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Wall greening unit of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B2475101A (en) * | 2009-11-09 | 2011-05-11 | Richard Alexander Sabin | A matrix of wall components for forming a wall for growing plants |
KR101142352B1 (en) * | 2011-04-08 | 2012-05-18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Apparatus for greeb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517498B1 (en) * | 2013-07-04 | 2015-05-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Wall greening system for reducing heat island |
US9837003B2 (en) | 2009-08-12 | 2017-12-05 | Sage Vertical Garden Systems, LLC | Free-standing vertical structures for displaying botanic media |
KR102626042B1 (en) * | 2022-10-18 | 2024-01-17 | (주)휴앤트리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3186A (en) * | 1996-01-29 | 1997-08-05 | Toto Ltd | Interior finish material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
KR20010073993A (en) * | 2000-11-09 | 2001-08-04 | 서경화 | An Extensive Wall-Planting System |
KR200345472Y1 (en) | 2003-12-03 | 2004-03-19 | (주)한석엔지니어링 | Soundproofing wall of road or railroad |
KR20050122939A (en) * | 2004-06-26 | 2005-12-29 | 주식회사 세데코 | Fabricated siding |
KR20060081177A (en) * | 2005-01-07 | 2006-07-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Exterior wall recording structure of building using vegetation board |
-
2007
- 2007-02-27 KR KR1020070019635A patent/KR10079467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3186A (en) * | 1996-01-29 | 1997-08-05 | Toto Ltd | Interior finish material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
KR20010073993A (en) * | 2000-11-09 | 2001-08-04 | 서경화 | An Extensive Wall-Planting System |
KR200345472Y1 (en) | 2003-12-03 | 2004-03-19 | (주)한석엔지니어링 | Soundproofing wall of road or railroad |
KR20050122939A (en) * | 2004-06-26 | 2005-12-29 | 주식회사 세데코 | Fabricated siding |
KR20060081177A (en) * | 2005-01-07 | 2006-07-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Exterior wall recording structure of building using vegetation board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37003B2 (en) | 2009-08-12 | 2017-12-05 | Sage Vertical Garden Systems, LLC | Free-standing vertical structures for displaying botanic media |
GB2475101A (en) * | 2009-11-09 | 2011-05-11 | Richard Alexander Sabin | A matrix of wall components for forming a wall for growing plants |
GB2475101B (en) * | 2009-11-09 | 2014-01-08 | Mark Laurence | Wall for growing plants |
US9226457B2 (en) | 2009-11-09 | 2016-01-05 | Biotecture, IP LLC | Plant wall and modules for growing plants |
KR101030731B1 (en) | 2010-09-13 | 2011-04-26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Wall greening unit of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142352B1 (en) * | 2011-04-08 | 2012-05-18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Apparatus for greeb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517498B1 (en) * | 2013-07-04 | 2015-05-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Wall greening system for reducing heat island |
KR102626042B1 (en) * | 2022-10-18 | 2024-01-17 | (주)휴앤트리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4671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 |
JP5001148B2 (en) | Structures for walls where plants are planted | |
KR101296738B1 (en) | Flower pot for wall afforestation and the vertical garden system for wall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 |
JP5021375B2 (en) | Slope greening and stabilization structure | |
KR100770162B1 (en) | Environmental Protection Ecological Restoration Vegetation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 |
CN105113518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cological slope protecting base material by arranging slot pits in slope surface | |
KR20110115049A (en) | Wire mesh support frame and wire mesh fence using him | |
KR100788934B1 (en) | Green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 |
KR200439588Y1 (en) | Prefabricated block for river greening | |
KR100844108B1 (en) | Bending structure for loading vegetation unit for wall recording and skin type wall recording system using it | |
JP2007063985A (en) | Wall surface greening panel and wall surface 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802351B1 (en) | Gabion retaining wall block with built-up type | |
KR100773490B1 (en) | Eco-friendly road river slope greening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 |
KR20080097595A (en) | Vegetation unit for roof greening and roof greening system using it | |
JP5525649B1 (en) | Avalanche prevention facility | |
JP2007244339A (en) | Greening unit | |
KR100664875B1 (en) | Vegetation structures for small rivers | |
JP4783132B2 (en) | Greening unit | |
JP3161412U (en) | Assembled fence | |
JP2006002435A (en) | Slope reinforcing technique | |
JP2005061144A (en) | Method of seeding and planting face of slope | |
KR101224159B1 (en) | Module type stone net assembly and its constructing method | |
JPH09119142A (en) | Retaining wall forming method | |
JP2011193766A (en) | Rooftop greening system | |
KR100827783B1 (en) | Wall using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