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2940A -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940A
KR20090002940A KR1020070067357A KR20070067357A KR20090002940A KR 20090002940 A KR20090002940 A KR 20090002940A KR 1020070067357 A KR1020070067357 A KR 1020070067357A KR 20070067357 A KR20070067357 A KR 20070067357A KR 20090002940 A KR20090002940 A KR 2009000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short message
schedule
alarm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940A/ko
Publication of KR2009000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문메시지의 메모 전환 요청이 확인되면 그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메모에 대한 일정 등록과 알람 설정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요청을 확인하여, 그 요청이 메모의 일정 등록이면 메모를 일정으로 등록하고, 그 요청이 메모의 알람 설정이면 메모에 알람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메모 기능이 단문메시지 기능, 알람 기능, 일정관리 기능과 서로 연계되어 실행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휴대 단말, 이동통신, 메모, 일정관리, 단문메시지, 알람

Description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SHORT MESSAGE AND MEMO UNIFICATION MANAG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메모 선택 및 표시 과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 기능을 단문메시지 기능과 알람 기능 및 일정관리 기능과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증가와 더불어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약속 시간, 장소, 계좌번호, 인증을 위한 정보의 전달 등 다양한 정보의 전달에 단문메시지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단문메시지의 작성 및 관리에 관련된 단문메시지 기능과 함께 메모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메모의 기록과 저장 및 관리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 기능의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단문메시지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된 단축 키(hot key)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단문메시지 기능에 비하여 이용 빈도가 낮은 메모 기능의 경우 별도로 단축 키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메모 기능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메모 기능의 경우 대기 모드에서 3내지 4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 기능이 일정관리 기능이나 알람 기능 과 연계되어 있지 않아 메모로 저장된 정보의 활용에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메모의 내용을 일정관리의 데이터로 추가하거나 알람을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메모의 내용을 메모지에 옮겨 적은 후에 각 기능을 실행한 후에 그 메모지에 기재된 내용을 보고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요구한다.
더욱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저장 용량의 부족으로 인한 단문메시지의 삭제 시에 보존 여부의 판단을 위하여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일일이 확인한 후 삭제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 기능에 대한 접근성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알람, 일정관리 등의 기능과 연계성을 개선하여 메모 기능의 이용에 대한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문메시지의 정보 보존 절차를 개선하여 저장 용량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의 메모 전환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과, 메모 전환 요청이 확인되면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에 대한 일정 등록과 알 람 설정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과, 그 요청이 메모의 일정 등록이면 그 메모를 일정으로 등록하는 과정, 및 요청이 메모의 알람 설정이면, 그 메모에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단문메시지 및 메모가 저장되는 저장부, 그리고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메모 전환이 요청되면 그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모가 저장부에 저장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과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본 발명의 중심 기술 사상과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한 도시 및 기재를 생략한다. 그리고 실시예의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한편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이며 하기 실시예들 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어부(11), 무선통신부(13), 오디오부(15), 입력부(17), 표시부(19) 및 저장부(21)를 포함한다. 이 이 동통신 단말기(10)는 단문메시지 기능과 메모 기능이 구현된 휴대폰일 수 있다.
무선통신부(13)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변환, 하기 제어부(11)의 출력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무선통신부(1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단문메시지 서비스 통신,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통신, 데이터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부(15)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며, 무선통신부(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부(15)는 벨소리나 음악 파일의 재생에 따른 소리를 출력한다.
저장부(2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그 데이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1)는 수신 또는 발신 완료된 단문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1)는 메모 기능과 일정관리 기능 및 알람 기능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및 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1)는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메모를 단문메시지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그 밖에 메모를 일정관리 기능의 일정 데이터로 등록하고 메모에 알람을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시부(19)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화면으로 출력한다. 무선통신 관련정 보와 일반 정보가 표시부(19)에 출력될 수 있다. 무선통신 관련정보는 무선통신 기능의 동작과 운영 및 그에 필요한 관련 정보로서, 통화 관련 정보, 수신 및 발신 정보, 폰 북(phone book) 데이터, 착신 알림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반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조작과 동작에 관한 정보나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과 그에 따른 결과 정보를 포함한다. 표시부(19)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17)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련된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입력부(17)는 숫자나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17)는 대기 모드에서 단문메시지의 작성과 관리 기능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단문메시지 단축 키를 구비한다. 입력부(17)는 키 패드(key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터치 패드(touch pa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단문메시지의 발신과 수신 등의 무선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폰 북, 착신 알림 설정 등과 같이 무선통신과 관련된 기능과 메모 기능, 일정관리 기능, 알람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응용 기능이 수행된다.
특히,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단문메시지가 메모로 변환되어 저장부(21) 에 저장되고 메모가 단문메시지로 변환되어 무선통신부(13)를 통하여 발신된다. 또한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메모가 일정관리 기능의 일정 데이터로 등록되고 메모에 알람이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입력부(17)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에 대한 일정 등록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일정 등록 시점을 입력받으며 그 일정 등록 시점의 일정으로 메모를 등록하여 저장부(21)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입력부(17)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의 알람 발생 시점을 입력받고 알람 발생 시점에 메모의 알람을 발생시킨다. 제어부(11)로서는 퀄컴사의 MSM 칩을 비롯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마이컴(MICOM)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는 S111과정에서 무선통신부(13)를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S113과정에서 그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부(19)를 통하여 표시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115과정에서 입력부(17)에 키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키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11)는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계속 표시한다. 판단 결과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는 S117과정에서 키 입력이 메뉴 키의 입력인지 판단한다.
S11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가 메뉴 키이면, 제어부(11)는 S119과정에서 메뉴 목록을 표시부(19)에 표시한다. 메뉴 목록은 수신 단문메시지의 처리와 관련된 기능들의 목록이다. 이때 답장, 재전송, 삭제 등의 기능 항목과 함께 메모 전환의 기능 항목이 메뉴 목록에 표시된다. 만일 S117과정에서의 판별 결과가 메뉴 키가 아니면, 제어부(11)는 S129과정에서 그 키 입력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S119과정에 이어 제어부(11)는 S121과정에서 키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부(17)에서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는 S123과정에서 키 입력이 메모 전환의 기능 항목인지 판단한다. 메모 전환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125과정에서 메모명을 입력받는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1)는 메모명을 입력받는 입력창을 표시부(19)에 표시하고 입력부(17)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메모명의 입력은 제어부(11)가 수신 단문메시지의 수신 날자나 내용의 일정 부분이 메모명으로 자동 생성하여 메모명이 설정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로 메모명을 입력받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메모명을 입력받으면 제어부(11)는 S127과정에서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하여 저장부(21)에 저장한다.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메모의 내용으로 설정하고 수신 날자가 메모의 작성일시로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문메시지의 수신과 함께 단문메시지가 메모로 전환되는 예를 소개하였다. 본 발명은 그 밖에도 저장이 완료된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S211과정에서 저장부(21)에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선택한다. 여기서, 저장된 단문메시지는 수신 단문메시지뿐만 아니라 발신이 완료된 단문메시지일 수 있다. S211과정에서 단문메시지의 선택이 완료되면, 제어부(11)는 S213과정에서 그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부(19)를 통하여 표시되게 한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215과정에서 입력부(17)에 키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키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11)는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계속 표시한다. 판단 결과 입력부(17)에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는 S217과정에서 메뉴 키의 입력인지 판단한다.
S217과정에서 메뉴 키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219과정에서 메뉴 목록을 표시부(19)에 표시한다. 이때 메뉴 목록은 전술한 바 있듯이, 답장, 재전송, 삭제 등의 기능 항목과 함께 메모로 저장의 기능 항목일 수 있다. 만일 S217과정에서 메뉴 키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231과정에서 그 키 입력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221과정에서 키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입력부(17)에서 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223과정에서 키 입력이 메모 전환의 기능 항목인지 판단한다. 메모 전환이면, 제어부(11)는 S225과정에서 메모 명을 입력받는다. 메모명을 입력받으면 제어부(11)는 S227과정에서 저장부(21)에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저장한다. 이 과정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 있듯이, 메모명의 입력 과정이 생략 가능하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229과정에서 다른 단문 메시지의 선택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다른 단문메시지의 선택이 있으면, S213과정으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S229과정에서 다른 문자메시지의 선택이 없으면 종료한다.
전술한 제2 실시예는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저장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한 후 저장하여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모의 일정 등록과 알람 설정 및 단문메시지 발신 등 메모의 관리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한편 하기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는 S310과정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저장부(21)에 저장된 메모를 선택하고 그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부(19)를 통하여 표시되게 한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315과정에서 입력부(17)에 키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키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11)는 메모의 내용을 계속 표시한다. 판단 결과 입력부(17)에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는 S317과정에서 일정 등록의 키 입력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가 일정 등록의 키 입력이면 제어부(11)는 S319과정에서 일정 이 등록될 시점을 입력받는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321과정에서 입력받은 시점에 기 등록된 일정이 있는지 검색한다. 그리고 S323과정에서 일정의 중복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정의 중복이 아니면 제어부(11)는 S325과정에서 메모를 일정으로 등록한다. 메모의 내용과 수신 정보 등이 일정관리 기능의 일정 데이터에서 일정 내용으로 처리될 수 있다. 만일 S323과정에서 일정 중복으로 판별되면, 제어부(11)는 S327과정에서 일정의 중복을 알리고, 일정의 등록 시점을 입력하는 S319과정으로 복귀시킨다.
한편, S317과정에서 판별 결과가 일정 등록 요청이 아니면, 제어부(11)는 S331과정에서 키 입력이 알람 설정 요청인지 판별한다. 알람 설정 요청의 키 입력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333과정에서 알람 발생 시점을 입력받는다. 알람 발생 시점의 입력 창을 표시부(19)에 표시하고 입력부(17)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335과정에서 입력받은 알람 발생 시점에 메모에 대한 알람을 설정한다. 이후에 제어부(11)는 S337과정에서 알람 발생 시점이 도래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알람 발생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339과정에서 메모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메모의 내용을 팝업 창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알람음이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만일 알람 발생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계속해서 알람 발생 시점의 도래를 판단한다. 이 과정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S331과정에서 판별 결과가 알람 설정의 키 입력이 아니면, 제어부(11)는 S441과정에서 단문메시지 발신의 키 입력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단문메시지 발신이면, 제어부(11)는 S443과정에서 발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부(17)를 통하여 입력받는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445과정에서 메모를 단문메시지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S447과정에서 변환된 단문메시지를 입력받은 전화번호로 발신한다. 만일 S441과정에서 판별 결과 단문메시지 발신이 아니면, 제어부(11)는 S551과정에서 키 입력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 메모의 선택 및 내용 표시 과정은 하기와 같이 단문메시지 단축 키를 입력하여 쉽게 접근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메모 선택 및 표시 과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는 S401과정에서 대기 모드의 수행 중에 S402과정에서와 같이 단문메시지 단축 키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단문메시지 단축 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403과정에서 단문메시지의 처리와 관련된 기능 항목과 함께 메모 기능으로의 접근을 위한 메모 접근 항목을 표시부(19)에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404과정에서 메모 접근 항목의 입력을 판단한다. 메모 접근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1)는 S405과정에서 저장부(21)에 저장된 메모의 목록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S406과정에서 메모 목록에서 메모의 선택이 있는지 판단한다. 메모의 선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407과정에 서 선택된 메모의 내용을 표시부(19)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은 대기 모드에서 단문메시지 단축 키의 입력을 통하여 용이하게 메모 기능에 접근이 가능하다. 하기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화 과정을 설명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은이 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문메시지의 수신과 함께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a)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9)에 표시되는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뉴 키가 입력되면 (b)에서와 같이 메뉴 표시 창(61)이 표시된다. 메뉴 표시 창(61)에 "1.답장", "2.재전송", "3.삭제", "4.메모 전환"의 메뉴 목록이 표시된다.
메뉴 목록에서 "메모 전환"이 선택되면, (c)에서와 같이 메모명의 입력을 위한 입력 창(63)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입력 창(63)에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창(63)에 입력이 완료되고 저장에 해당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단문메시지가 메모로 변환되어 저장되고 (d)와 같이 팝업 창(65)을 통하여 메모로 저장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관리 방법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와 같은 대기 화면(71)에서 단문메시지 단축 키의 입력이 있으면 (b)와 같은 메뉴 화면(73)에서 단문메시지의 처리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1.수신메시지", "2.발신메시지", "3.문장보관함"과 그 외에 메모 기능의 접근 항목으로서 "4.메모장"이 표시된다. "메모장"이 선택되면, 저장되어 있는 (c)와 같이 메모 목록이 메모 목록 화면(75)으로 표시되고, 그 메모 목록에서 특정 메모가 선택되면 (d)와 같이 선택된 메모의 내용이 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관리 방법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와 같이 메모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 키가 입력되면 (b)와 같이 메뉴 표시 창(81)이 표시된다. 메뉴 표시 창(81)에서 "1.수정", "2.삭제", "3.일정등록", "4.알람설정", "5.SMS발신"의 항목 등이 표시된다.
이후에 "일정등록"이 선택되면, (c)와 같이 일정등록 화면(85)이 표시된다. 메모의 내용이 일정 내용으로 표시되고 일정등록시점의 입력필드(86)에 일정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날자가 입력될 수 있다. 저장에 해당하는 키 입력을 통하여 일정관리 기능의 일정 데이터로 저장된다.
만일 (b)의 화면에서 "알람설정"이 선택되면, (d)와 같이 알람설정화면(91)이 표시된다. 알람설정화면(91)에서 알람발생시점의 입력필드(92)가 제공되어 알람발생시점의 입력이 이루어지고 알람 유형 설정 필드(93)에서 알람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만일 (b)의 화면에서 "SMS발신"이 선택되면, (E)와 같이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화면(95)이 표시되어 전화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어 발신 요구에 해당하는 키 입력이 있으면 메모가 단문메시지로 변환된 후 입력받은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단문메시지가 발신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메모 기능이 단문메시지 기능, 알람 기능, 일정관리 기능과 서로 연계되어 실행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7)

  1. 단문메시지의 메모 전환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 전환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전환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은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내용이 표시된 단문메시지의 메모 전환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은
    단문메시지의 수신 시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은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과정 후에 상기 메모의 일정 등록이 요청되면 일정이 등록될 시점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시점에 기 등록 일정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 결과 기 등록 일정이 없으면 상기 입력된 시점에 상기 메모를 일정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에서 기 등록 일정이 있으면 일정의 중복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과정 후에 상기 메모의 알람 설정이 요청되면 알람 발생 시점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알람 발생 시점에 상기 메모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8. 메모에 대한 일정 등록과 알람 설정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이 메모의 일정 등록이면 상기 메모를 일정으로 등록하는 과정, 및
    상기 요청이 메모의 알람 설정이면, 상기 메모에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은
    메모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메모의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내용이 표시된 메모의 일정 등록과 알람 설정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과정은
    단문메시지 단축키가 입력되면 메모 모드의 선택 메뉴를 문자메시지 모드의 메뉴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 모드의 선택 메뉴가 선택되면 저장된 메모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메모 목록에서 메모를 선택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등록 과정은
    상기 선택된 메모의 일정 등록 요청이 있으면 일정 등록 시점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일정 등록 시점에 기 등록 일정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 결과 기 등록 일정이 없으면 상기 입력된 시점에 일정으로 등록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과정에서 기 등록 일정이 있으면 일정의 중복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설정 과정은,
    상기 선택된 메모의 알람 설정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알람 설정이 요청된 메모의 알람 발생 시점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알람 발생 시점에 상기 메모에 대한 알람의 발생을 설정하는 과정임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요청을 확인하는 과정은
    메모에 대한 단문메시지 발신 요청을 더 확인하고, 상기 발신 요청이 확인되면 착신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를 단문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 발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15. 단문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단문메시지 및 메모가 저장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메모 전환이 요청되면 상기 단문메시지를 메모로 전환하고 전환된 메모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에 대한 일정 등록 요청이 있으면 일정 등록 시점을 입력받고 상기 일정 등록 시점의 일정으로 상기 메모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의 알람 발생 시점을 입력받고 상기 알람 발생 시점에 상기 메모의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67357A 2007-07-05 2007-07-05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02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357A KR20090002940A (ko) 2007-07-05 2007-07-05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357A KR20090002940A (ko) 2007-07-05 2007-07-05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40A true KR20090002940A (ko) 2009-01-09

Family

ID=4048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357A KR20090002940A (ko) 2007-07-05 2007-07-05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9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2824A (zh) * 2013-01-31 2013-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备忘录创建方法及装置
US9426277B2 (en) 2013-07-10 2016-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ssage function in connection with note function
KR20160112327A (ko) * 2015-03-19 2016-09-28 인포뱅크 주식회사 수신 메시지에 메모를 추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60112325A (ko) * 2015-03-19 2016-09-28 인포뱅크 주식회사 수신 메시지에 메모를 추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695923B1 (ko) * 2015-08-18 2017-01-12 네이버 주식회사 메시지 수신 알림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2824A (zh) * 2013-01-31 2013-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备忘录创建方法及装置
US9426277B2 (en) 2013-07-10 2016-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ssage function in connection with note function
KR20160112327A (ko) * 2015-03-19 2016-09-28 인포뱅크 주식회사 수신 메시지에 메모를 추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60112325A (ko) * 2015-03-19 2016-09-28 인포뱅크 주식회사 수신 메시지에 메모를 추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695923B1 (ko) * 2015-08-18 2017-01-12 네이버 주식회사 메시지 수신 알림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10855638B2 (en) 2015-08-18 2020-12-01 Naver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notifying reception of me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1677B2 (en) Communication conversion between text and audio
US9860686B2 (en)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20120079901A (ko)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통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듀얼 심카드 단말기와 네트웍 시스템
US8265604B2 (en) Mobile phone and call processing method of mobile phone
CN110716676A (zh) 一种消息提醒的方法和终端
CN103813000A (zh) 移动终端及其寻找方法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90002940A (ko)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7756B1 (ko)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KR20110011025A (ko)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132187A (ko)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통화 제어 시스템
KR100735412B1 (ko) 동일 송수신 번호에 대해 빠른 단문 메시지 검색을 위한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US7248864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incoming calls on a mobile device having an earplug
JPWO2008081945A1 (ja) 携帯情報端末
KR200900134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이전 연락 이력 표시 방법
US750274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452719B1 (ko)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JP4535860B2 (ja) 電子機器、電子メール処理方法、通話着信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29221B1 (ko)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KR100776305B1 (ko)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
KR1008514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차단 방법
JP2006180171A (ja) 情報消去方法、移動通信端末装置、サーバシステム、情報消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64044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 이력 정보 관리 방법
KR1007626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부가 기능 수행 방법
KR100744298B1 (ko) 문자 메시지의 효과음 출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