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112020A -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 Google Patents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020A
KR20080112020A KR1020070060704A KR20070060704A KR20080112020A KR 20080112020 A KR20080112020 A KR 20080112020A KR 1020070060704 A KR1020070060704 A KR 1020070060704A KR 20070060704 A KR20070060704 A KR 20070060704A KR 20080112020 A KR20080112020 A KR 20080112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rism
resin composition
cured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모
안종남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2020A/ko
Publication of KR2008011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02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 및 중합 개시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1
(화학식2)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2
고굴절률, 프리즘 필름,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Description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Prism Film And Prism Film}
본 발명은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174910/1995호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정면밝기(front brightness)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특정 굴절률을 갖는 투명물질로부터 특정 형상으로 성형된다. 프리즘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허는 특정범위의 굴절률을 갖는 투명유리를 사용하여 일체 성형하는 방법 및 UV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프리즘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174910/1995호에 의해 인정된 바와 같이, 상기 UV 경화성 수지에 의해 대표되는 플라스틱 물질은 내열성을 요구하는 용도에 제한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즉, 종래 UV 경화성 수지로부터 얻은 프리즘 시트의 대표적인 렌즈 시트가 고온 환경에서 사용된다면, 렌즈 시트의 일부는 백라이트의 표면상에서 융착되고, 끈적끈적한 흔적을 남긴다. 이는 제품의 광학적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결점이다. 게다가, 곡면(曲面) 디스플레이 표면을 갖는 박형화 및 대형화 액정 셀을 제조하는 관점에서 종래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필름을 기판으로서 사용한 액정표시소자에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이 기판으로 사용될 때, 기판의 외 표면은 쉽게 손상되어 외관을 손상시키고, 불규칙한 반사를 일으켜 손상을 입는다. 그럼으로써 액정표시소자의 광학적 특징에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이유로, 기판의 표면상에 UV 경화성 수지의 코팅층을 부여하여 기판표면의 경도를 증가시켜, 표면이 손상되기 어려운 액정표시소자를 얻는다.
그러나 상기 코팅층이 종래의 UV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면, 얻은 이미지는 불충분한 투명도, 내광착색성 등으로 인해 유리기판을 사용한 액정표시소자로부터 얻은 화상에 비해 화상이 어둡고, 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 단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해, 점도가 우수하여 생산성이 좋고, 투명성이 높고, 경화물의 굴절률이 높고, 표면경도가 높고, 접착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컬링 특성이 좋고, 산갈림 현상이 적은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 및 중합 개시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3
(R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메틸기이며, n은 1내지 20인 정수이다)
(화학식2)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4
(상기 식에서, X는 2~10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7~80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15개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또한,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는 굴절률이 1.5 이상이고, 25℃에서 점도가 50cps 내지 2000cps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o-페닐페녹시에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성분(A)의 화합물이 5 내지 50 중량부, 성분(B)의 화합물이 5 내지 50 중량부, 성분(C)이 20 내지 60중량부 및 성분(D)이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에 전술한 조성물로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 한다.
본 발명의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 및 중합 개시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5
(R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메틸기이며, n은 1내지 20인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굴절률이 1.58이상의 고굴절 물질로서 경화 후 프리즘층의 고굴절률을 유지시켜 주어 휘도 및 경화 후 경도가 향상 되고, 특히 기재필름과의 부착력이 증대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A)는 조성물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굴절률 및 부착력의 향상 기대를 충족시키기 힘들고, 50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지나친 경도의 증가로 인해 유연성이 부족해져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B)를 더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6
(상기 식에서, X는 2~10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7~80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15개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자기 복원력을 지니고 있어 산갈림 현상을 감소시켜 작업성 및 불량율을 저하시켜 필름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삼량체의 이소시아네이트로 더 자세하게 기술하면,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로파네이트, 어덕트형의 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하며,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트리머 계열로 상업적으로는 바이엘사의 N3300N, N3300A, 바스프사의 HI 100, HA 100, 아사이 카사이사의 TPA 100, 24A-100등과 합성을 통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드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3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에 수산기를 함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하여 자기 복원력이 강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가진 아크릴레이트로는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형 하이트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B)는 조성물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자기복원력에 기인 하기 쉽지 않고, 50 중량부 초과일 경우는 점도 조절이 어렵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를 가공에 알맞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에 대한 용해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며, 용해후의 조성물 점도를 낮추기에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가진 모노머로서, 굴절률이 1.50이상이고,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2000cps이하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o-페닐페녹시에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는 조성물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점도 저하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6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경도와 굴절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D)는 포스핀 옥사이드(phospine oxide)계, 프로파논(propanone)계, 케톤(ketone)계, 포르메이트(formate)계의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광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후 광개시제가 잔존하게 되어 장시간 방치 시 잔존 광개시제의 표면 석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물질 이외에도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블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이 상기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중합성 조성물은 미세구조-포함 광학 물품(예 필름)과 같은 다른 광학 물질용으로 유리할 수 있다. 예시적 광학 물질 프레넬렌즈와 같은 광학렌즈, 고굴절률 필름과 같은 광학필름, 예를 들면 완전 내부 반사 필름과 같은 미소반복형 필름, 또는 광도 강화 필름, 평판형 필름, 다층필름, 재귀반사 시트, 광섬유 또는 광학튜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프리즘 형상을 구비한 프리즘 시트를 제공한다. 프리즘 시트의 구성은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조성물을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광학용 고분자 기재 또는 상기 기재에 수분산 폴리우레탄 층이 1~2㎛ 프라이머 형식으로 코팅되어 있는 필름에 코팅할 수 있으며 필름의 두께는 10 ~ 10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300㎛가 사용된다. 코팅방식으로는 그라비아 코팅, 롤코팅, 라이프 코팅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포두께는 보통 1 ~ 2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UV광의 조사량은 약 0.1~2J/cm2이고, 바람직하게는 0.4~0.8J/cm2이며 파장은 365nm를 주 파장으로 하는 메탈 할라이드 계열의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경화시켜 프리즘층을 형성할 경우, 경화속도가 빨라 생산성이 우수하며, 경화한 후 제조된 필름은 컬링 현상이 없고, 고휘도와 형상의 파괴가 적으며, 색변화와 내황변성, 필름과의 부착력이 우수하며, 고분자 몰드와의 이형성이 양호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백라이트 장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일례로, LED 등의 광원과 광원의 광을 도광시키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상면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전술한 프리즘 시트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411 중량부의 N3300 (바이어사)와 카프로 락톤 변성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인 453 중량부의 FA2D(다이셀사) 134 중량부의 2-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드(오사카 유끼사), 반응 촉매로 0.6중량부의 디이부틸 틴디 라울레이트, 중합금지 제로는 0. 4 중량부의 메톡시 하이드로 퀴논을 사용하였다. 4시간 동안 75℃에서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반응 종료는 적외선 스펙트럼의 이소시아네이트 특성피크인 2265cm-1, 가 완전히 소멸된 시점으로 하였다. 합성이 완료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25℃에서 굴절률 1.499, 점도는 12,000cps 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로서 각각의 조성 및 조성비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 표1 >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자외선경화형단량체 자외선경화형단량체(A) 17 10 5 27 34 37
자외선경화형단량체(B) 27 34 39 17 10 7
자외선경화형단량체(C) 53 53 53 53 53 53 45 55
고굴절 모노머(a) 42 32
고굴절모노머(b) 10 10
광개시제 1 - 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프로파논 1.5 1.5 1.5 1.5 1.5 1.5 1.5 1.5
올리고 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1-논 1.5 1.5 1.5 1.5 1.5 1.5 1.5 1.5
자외선경화형단량체(A) : 페놀 노볼락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자외선경화형단량체(B) :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자외선경화형단량체(C) :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고굴절모노머(a) : 비스페놀 A 글리시딜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고굴절모노머(b) : 아크릴로일 모르폴린
상기 실시예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조성물의 점도 평가
25oC에서의 점도는 JIS K7117에 따른 회전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조성물의 굴절률 평가
조성물의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해 굴절계(모델명 : 1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굴절률을 측정한다.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한다.
(3) 접착력 평가(떨어진 개수/100)
투명 PET 기재필름에 조성물을 코팅한 후, 표면위에 표면이 매끈한 금속판을 겹쳐 두께 3㎛가 되도록 압력을 가한 후, 경화하여 금속판을 제거한 후, 경화된 두께만을 10×10㎟의 영역내에서 100개의 매트릭스 구조로 절개한 후, 그 위에 테이프를 접착하고 수직으로 강하게 이형하면서 떨어져 나온 매트릭스의 개수를 표기한다.
(4) 산갈림 현상
상기 2번과 같이 17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코팅된 필름을 장착한 후 분 당 60회의 왕복운동을 하는 장치에 백라이트 유닛을 장착하고 10시간 동안 왕복운동을 하여 산갈림 현상이 1cm이상인 부분이 10곳 이상이면 매우 불량, 7~9곳 이면 불량, 4~6곳이면 보통, 1~3곳이면 양호, 없으면 매우 양호로 구분하여 표기 하였다.
(4) 연필경도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 사제)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 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였다. 기스가 2개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기스: 0 OK
기스: 1 OK
기스: 2 이상 NG
(6) 컬링
A4 사이즈(29.7X21.0cm)의 정방형 형상으로 절단한 시료를 평탄한 글라스 판 위에, 필름의 도포된 면을 위로해서 두고, 4각의 유리판으로부터의 떨어진 거리를 25℃, 50%RH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매우 양호: 0~15mm, 양호: 15~30mm, 불량: 30~50mm, 매우 불량: 50mm를 이상.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상술한 평가 결과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 결과는 다음 표2와 같다.
< 표2 >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점도(cps/25oC) 864 755 632 541 940 764 692 562
굴절률 1.534 1.541 1.544 1.547 1.551 1.549 1.536 1.531
접착력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3/100
산갈림현상 매우양호 매우양호 매우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연필경도 2H 2H 2H 2H 2H 2H 2H 1H
컬링 매우양호 매우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매우불량
본 발명은 고굴절의 조성물로서,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을 형성하기에 용이한 점도 특성을 가지며, 프리즘 필름 형성 후 표면경도와 기재필름과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휘도가 우수한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 및 중합 개시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7
    (R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X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메틸기이며, n은 1내지 20인 정수이다)
    (화학식2)
    Figure 112007044737219-PAT00008
    (상기 식에서, X는 2~10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7~80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15개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는 굴절률이 1.5 이상이고, 25℃에서 점도가 50cps 내지 2000cps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점도 조절을 위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o-페닐페녹시에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A)의 화합물이 5 내지 50 중량부, 성분(B)의 화합물이 5 내지 50 중량부, 성분(C)이 20 내지 60중량부 및 성분(D)이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5.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
  6. 제5항의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6항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070060704A 2007-06-20 2007-06-20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Withdrawn KR20080112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704A KR20080112020A (ko) 2007-06-20 2007-06-20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704A KR20080112020A (ko) 2007-06-20 2007-06-20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020A true KR20080112020A (ko) 2008-12-24

Family

ID=4037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704A Withdrawn KR20080112020A (ko) 2007-06-20 2007-06-20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20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5470957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100937293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시트상 광학 물품용 경화물 및 시트상 광학 물품
KR20170103644A (ko) 하드코팅필름
KR102225825B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US9752064B2 (en) Transparent UV-curable adhesive
KR20100022910A (ko) 광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휘도 강화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74830A (ko) 안티블로킹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안티블로킹용 하드코팅층
KR20140024562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1194553B1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3646A (ko) 하드코팅필름
KR20130042393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JP5132946B2 (ja) モールドプリン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賦型物
JP2009140599A (ja) 光情報記録媒体
KR20150000745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080112020A (ko)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KR20080102749A (ko) 광경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기복원력을지닌 프리즘 시트
KR101255661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필름
TWI708808B (zh) 光學物品用活性能量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光學片
KR20120131419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21140151A (ja) 柔軟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1465260B1 (ko) 프리즘 필름 또는 프리즘 기능성 복합필름의 프리즘층형성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필름 및 액정표시장치
JP665182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20090045836A (ko)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KR20100053275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