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99514A -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514A
KR20080099514A KR1020070045150A KR20070045150A KR20080099514A KR 20080099514 A KR20080099514 A KR 20080099514A KR 1020070045150 A KR1020070045150 A KR 1020070045150A KR 20070045150 A KR20070045150 A KR 20070045150A KR 20080099514 A KR20080099514 A KR 2008009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ovable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9514A/ko
Priority to US12/055,557 priority patent/US20080279600A1/en
Publication of KR2008009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51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간단한 조작에 의해 닙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이송경로에 배치되는 제 1 유닛; 상기 인쇄매체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 1 유닛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닛을 선택적으로 오픈시키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 움직임 가능한 제 2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유닛과 이송경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닙, 정착, 배지, 가이드, 연동, 링크, 레버, 잼, 회전, 가압력.

Description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정착유닛, 배지유닛 및 간격조절유닛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간격조절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화상형성장치 본체 120: 화상형성부
130: 정착유닛 140: 배지유닛
150: 간격조절유닛 151: 연동부
152: 연동레일 153: 연동링크
154: 링크돌기 155: 가동부
156: 제 1 레버 157: 제 2 레버
158: 가동돌기 159: 지지부재
본 발명은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린터, 복사기, 팩스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구현하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정 화상을 인쇄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급지하는 급지카세트, 화상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유닛,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유닛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 정착유닛(30)과 배지유닛(40)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과 같이, 상기 정착유닛(30)과 배지유닛(4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정착유닛(30)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지유닛(40)은 인쇄매체의 이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정착유닛(30)은 열과 압력을 인쇄매체에 가하도록 서로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소정 닙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정착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배지유닛(40)은 인쇄매체의 이송을 위해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배지롤러(41)와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배지가이드(4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는 정착유닛(30)을 경유함으로써 화상이 정착된 후 배지유닛(4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외부로 배지된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가 정착유닛(30)의 고열과 고압에 의해 이송이 중지되는 잼(JAM)과 같은 이송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상기 배지롤러(41)를 회전시켜 정착유닛(30)을 외부로 개방시킨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유닛(30)의 일측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레버(50)를 조작하여, 두 정착롤러(미도시) 사이의 간격을 벌린다. 이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잼된 인쇄매체를 확인하여 잼된 인쇄매체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잼된 인쇄매체 제거동작이 적어도 2단계 즉, 배지롤러(41) 회전에 의한 정착유닛(30) 개방단계와 간격조절레버(50)의 조작단계를 각각 직접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결국,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유지/보수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동작에 의해 닙 간격을 조절하여 잼된 인쇄매체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이송경로에 배치되는 제 1 유닛; 상기 인쇄매체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 1 유닛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닛을 선택적으로 오픈시키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 움직임 가능한 제 2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유닛과 이송경로 사이의 간격을 조 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제 2 유닛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제 1 유닛을 가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소정 닙을 형성하도록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 1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 1 이송부재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송부재; 및 일단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연동레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양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링크; 및 상기 연동링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동레일에 삽입되는 링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동링크와 제 1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레버; 상기 제 1 레버와 제 2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레버; 상기 제 2 레버의 일단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시키는 제 3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돌기; 및 상기 제 1 이송부재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제 4 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동돌기에 의해 가동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턱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이며,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유닛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 이송부재는 각각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롤러와 탄성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롤러이며,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축을 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한 쌍의 정착롤러를 구비하여, 인쇄매체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상기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지시키며 상기 정착유닛을 선택적으로 오픈시키는 배지유닛; 및 상기 배지유닛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배지유닛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배지유닛은 배지롤러; 및 일단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배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배지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배지가이드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연동레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양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링크; 및 상기 연동링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동레일에 삽입되는 링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동링크와 제 1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레버; 상기 제 1 레버와 제 2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레버; 상기 제 2 레버의 일단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시키는 제 3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제 4 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동돌기에 의해 가동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는, 한 쌍의 정착롤러;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를 선택적으로 오픈시키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오픈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회전동작에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화상형성부(120), 정착유닛(130), 배지유닛(140) 및 간격조절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10)는 인쇄매체(P)에 소정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일련의 부품들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는 소정매수의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내부에는 급지된 인쇄매체(P)의 이송경로가 복수의 이송롤러(112)와 이송가이드(11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화상형성부(120)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급지카세트(111)로부터 급지된 인쇄매체(P)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킨다. 상기 화상형성부(120)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21)와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122)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형성부(120)의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정착유닛(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부(120)를 경유함으로써 소정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P)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인쇄매체(P)에 화상을 정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정착유닛(130)은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롤러(131)는 내부에 열원(미도시)이 내장되며, 이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소정 정착온도로 가열된다. 여기서, 상기 열원은 일반적인 할로겐 램프, 발열코일 또는 저항발열체 등과 같은 다양한 발열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상기 가압롤러(132)는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33)이 탄성 스프링(134)에 의해 가열롤러(131) 측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롤러(132)와 가열롤러(131) 사이에는 닙(NIP)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스프링(134)은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는 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며, 다른 하나는 접촉에 의해 피동된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모두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배지유닛(140)은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를 외부로 배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정착유닛(130) 인근 하류에 배치된다. 상기 배지유닛(140)은 적어도 하나의 배지롤러(141)와 인쇄매체(P)의 배지를 가이드하는 배지가이드(142)를 포함한다.
상기 배지가이드(142)는 일단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고정되는 고정단이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자유단을 포함하는 회전부재이다. 이로써, 상기 배지가이드(14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 회전에 의해 정착유닛(130)을 선택적으로 오픈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지가이드(142)에는 인쇄매체(P)의 원활한 배지를 위해 가이드롤러(143)가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유닛(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가이드(142) 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정착유닛(130)과 이송경로 사이의 간격(G) 즉, 상기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 간격(G)을 조절한다. 이러한 간격조절유닛(150)은 연동부(151)와 가동부(155)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부(151)는 상기 배지가이드(142)의 움직임에 연동하며, 연동레일(152), 연동링크(153) 및 링크돌기(154)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레일(152)은 상기 배지가이드(14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레일이다. 상기 연동레일(152)은 상기 자유단과 고정단 사이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링크(1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동링크(153)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미도시)에 의해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돌기(154)는 상기 연동레일(152)에 삽입되도록 연동링크(153)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링크돌기(154)가 상기 연동레일(152)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상기 연동레일(152)도 함께 움직인다.
상기 가동부(155)는 상기 연동부(151)의 동작에 의해 정착유닛(130)을 가동시켜,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 간격(G)을 조절한다. 이러한 가동부(15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버(156), 제 2 레버(157), 가동돌기(158) 및 지지부재(159)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버(156)는 상기 연동링크(153)에 마련되는 제 1 축(161)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레버(156)가 제 1 축(161)에 의해 연동링크(153)와 연결 됨으로써, 연동링크(153)의 움직임에 의해 제 1 레버(156)도 함께 C방향으로 연동한다.
상기 제 2 레버(157)는 상기 제 1 레버(156)와 제 2 축(16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레버(156)의 움직임과 함께 C방향으로 연동한다.
상기 가동돌기(158)는 상기 제 2 레버(157)의 일단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고정시키는 제 3 축(163)에 결합되어, 제 2 레버(157)의 움직임과 함께 C방향으로 가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돌기(158)는 제 2 레버(157)의 회전각도만큼 회전된다. 상기 가동돌기(158)는 제 2 레버(157)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159)는 상기 정착유닛(130)의 가압롤러(132)의 회전축(133)을 지지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와 제 4 축(164)에 의해 연결되어 가동돌기(158)에 의해 가동된다. 이 지지부재(159)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돌기(158)에 의해 C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 간격(G)이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59)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가동돌기(158)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턱(159a)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축(161)과 제 2 축(162)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고정되지 않고 두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축인 반면에, 상기 제 3 축(163)과 제 4 축(164)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고정되는 고정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간격조절동작 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지카세트(111)로부터 급지된 인쇄매체(P)가 이송롤러(112)와 이송가이드(113)에 의해 이송되어 화상형성부(120)로 진입함으로써, 소정 화상을 전사받는다. 이 인쇄매체(P)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유닛(130)의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이렇게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140)의 배지롤러(141)와 배지가이드(142)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110) 외부로 배지된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P)가 원활히 이송되어 배지되지 못하고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에서 잼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가이드(142)를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에 걸린 인쇄매체(P)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지가이드(142)의 A방향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링크돌기(154)가 배지가이드(142)의 연동레일(152)을 따라 B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동레일(152)도 함께 B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동레일(152)의 B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연동레일(152)과 제 1 축(161)에 의해 연결된 제 1 레버(156) 및 제 1 레버(156)와 제 2 축(162)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축(163)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고정된 제 2 레버(157)가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 레버(156)와 제 2 레버(157)의 C방향 회전에 의해 제 3 축(163)을 중심으로 제 2 레버(157)에 연동하는 가동돌기(158)가 지지부재(159)를 C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가동돌기(158)는 상기 지지부재(159)에 마련된 안착턱(159a)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재(159)가 C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지지부재(159)가 지지하는 가압롤러(132)의 회전축(133)도 함께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롤러(132)의 회전축(133)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스프링(134)이 압축됨과 동시에,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 간격(G)이 벌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에 걸린 인쇄매체(P)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별도의 레버 조작 없이 벌어진 닙 사이로 잼된 인쇄매체(P)를 원할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잼된 인쇄매체(P)가 제거되면, 사용자는 상기 배지가이드(142)를 도 5와 같은 원위치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배지가이드(142)에 연동하는 연동부(151)와 가동부(155)도 원복 된다. 이로써, 상기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에 접촉에 의한 닙이 다시 형성되어, 또 다시 정착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간격조절동작이 정착유닛(130)의 가열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간격조절유닛(150)이 감광매체(121)와 현상기(122) 사이의 간격, 감광매체(121)와 전사매체 사이의 간격 또는 한 쌍의 이송롤러(112) 사이의 간격 등과 같이, 서로 마주하여 접촉되는 두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지가이드를 회전시킴에 연동하여 가열 및 가압롤러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잼된 인쇄매체를 한 번의 조작에 의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인쇄매체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이송경로에 배치되는 제 1 유닛;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 1 유닛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닛을 선택적으로 오픈시키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 움직임 가능한 제 2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유닛과 이송경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제 2 유닛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제 1 유닛을 가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소정 닙을 형성하도록 접촉 회전하면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 1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 1 이송부재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이송부재; 및
    일단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연동레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양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링크; 및
    상기 연동링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동레일에 삽입되는 링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동링크와 제 1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레버;
    상기 제 1 레버와 제 2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레버;
    상기 제 2 레버의 일단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시키는 제 3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돌기; 및
    상기 제 1 이송부재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제 4 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동돌기에 의해 가동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이며,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이송부재는 각각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롤러와 탄성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롤러이며,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축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한 쌍의 정착롤러를 구비하여, 인쇄매체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상기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지시키며 상기 정착유닛을 선택적으로 오픈시키는 배지유닛; 및
    상기 배지유닛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배지유닛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유닛은 배지롤러; 및 일단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배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배지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배지가이드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연동레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양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링크; 및
    상기 연동링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동레일에 삽입되는 링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동링크와 제 1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레버;
    상기 제 1 레버와 제 2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레버;
    상기 제 2 레버의 일단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시키는 제 3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제 4 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동돌기에 의해 가동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는 각각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롤러와 탄성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롤러이며,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축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한 쌍의 정착롤러;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를 선택적으로 오픈시키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오픈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사이의 닙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회전동작에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연동레일;
    상기 하우징에 양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링크; 및
    상기 연동링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동레일에 삽입되는 링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동링크와 제 1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레버;
    상기 제 1 레버와 제 2 축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레버;
    상기 제 2 레버의 일단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3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과 제 4 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동돌기에 의해 가동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는 각각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롤러와 탄성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롤러이며,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축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KR1020070045150A 2007-05-09 2007-05-09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eased KR20080099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50A KR20080099514A (ko) 2007-05-09 2007-05-09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055,557 US20080279600A1 (en) 2007-05-09 2008-03-26 Image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50A KR20080099514A (ko) 2007-05-09 2007-05-09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14A true KR20080099514A (ko) 2008-11-13

Family

ID=3996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150A Ceased KR20080099514A (ko) 2007-05-09 2007-05-09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279600A1 (ko)
KR (1) KR200800995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03B1 (ko) * 2012-09-19 2014-09-19 주식회사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KR101878439B1 (ko) * 2017-04-10 2018-07-13 주식회사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3975A (en) * 1979-05-17 1980-12-01 Canon Inc Picture image forming device
JPS6091377A (ja) * 1983-10-25 1985-05-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300998A (en) * 1990-12-18 1994-04-05 Canon Kabushiki Kaisha Heat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film protection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H0990801A (ja) * 1995-09-20 1997-04-04 Ricoh Co Ltd 定着装置における駆動装置
US5826141A (en) * 1996-07-09 1998-10-20 Mita Industrial Company, Ltd. Fixing device in an image-forming machine
JP3845150B2 (ja) * 1996-08-07 2006-11-1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
JP4130373B2 (ja) * 2003-03-27 2008-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83198B2 (ja) * 2003-05-16 2007-09-2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TWI233890B (en) * 2003-12-22 2005-06-11 Benq Corp Fuser mechanism i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7455295B2 (en) * 2005-08-08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ip pressure
JP4666620B2 (ja) * 2005-10-31 2011-04-0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カバー体のロック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03B1 (ko) * 2012-09-19 2014-09-19 주식회사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KR101878439B1 (ko) * 2017-04-10 2018-07-13 주식회사신도리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79600A1 (en)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555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70059061A1 (en) Image heating apparatus
CN115808863A (zh) 成像装置和定影单元
JP2005351939A (ja) 画像加熱装置
JP587382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47913A (ja) 定着装置およびその定着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8072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age reading device
KR20080099514A (ko) 간격조절유닛, 정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095341B2 (ja) 画像形成装置
US99146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votally-movable image reading device above sheet discharge tray
JP5506416B2 (ja) 画像形成装置
JP7411753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64306B2 (ja) エンドレスベルト斜行規制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76691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03088A (ja) 画像形成装置
JP5989244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4381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4974286B2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部構造
JP7456872B2 (ja) 用紙分離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22711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9454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9057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23260B2 (ja) シート折り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275018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14061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