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95166A -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166A
KR20080095166A KR1020077025236A KR20077025236A KR20080095166A KR 20080095166 A KR20080095166 A KR 20080095166A KR 1020077025236 A KR1020077025236 A KR 1020077025236A KR 20077025236 A KR20077025236 A KR 20077025236A KR 20080095166 A KR20080095166 A KR 2008009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roup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late
cor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히라카와
다카유키 시라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6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6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organic compounds
    • H01M4/602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분리막을 개재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감아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전극군(3)을 형성한 후, 전극군(3)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2)를 전극군(3)의 권심공(6)에 삽입한 다음, 전극군(3)을 압축함으로써 전극군(3)을 편평형상으로 변형한다. 그 후, 편평형의 전극군(3)을, 각형 편평형상의 유저부 외장 캔(4)에 수납하고, 외장 캔(4)의 개구부를 밀폐시킴으로써 각형 편평 2차 전지를 제조한다.
전극군, 중앙 심부재, 편평형, 압축, 각형 편평 2차 전지

Description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QUARE FLAT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지특성의 안정성이 우수한 고용량의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민생용 전자기기의 휴대화, 무선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전자기기의 구동용 전원은,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혹은 밀폐형 소형 연(鉛)축전지 등의 비수 전해질 2차 전지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에 있어서는, 고효율 충방전을 실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양극(Positive Electrode)판과 음극(Negative Electrode)판을 분리막(Separator)을 개재하고 나선형으로 말아 전극군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전자기기 면적의 효과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2차 전지의 형상도 각형 편평화되고, 또, 외장 캔의 재질도 알루미늄 등의 경량합금이 이용된다.
그러나, 전지의 충방전 주기를 반복하면, 전극군의 팽창 등으로 외장 캔에 내부압력이 가해진다. 원통형 전지의 경우에는, 외장 캔의 측면 전체에 균등하게 내부압력이 가해지는 반면, 각형 편평전지에서는, 외장 캔의 넓은 평면에서의 내압 강도가 낮기 때문에 외장 캔의 넓은 평면이 부풀어오른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 2002-042741호 공보)에는, 외장 캔의 넓은 평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즉, 외장 캔의 넓은 평면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넓은 평면에 걸리는 내부압력이 균일화되어, 외장 캔 넓은 평면의 팽창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지의 충방전 주기를 반복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극군의 팽창은, 전지의 내부저항을 증대시킨다는 또 다른 문제도 발생시킨다. 이는, 감긴 전극군의 중심부에, 권심(券芯)을 뽑아낸 후의 공극(권심공)이 남고, 전극군의 팽창에 의해 극판 일부가 이 권심공 내부로 휘어짐으로써, 극판 간의 거리가 커지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2(일본특허공개 평성08-055637호 공보)에는, 권심을 뽑아낸 후의 권심공에 탄성체를 삽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권심공에 삽입된 탄성체가, 전극군에 가압력을 미침으로써, 전극군의 권심공으로의 휨을 방지하고, 이로써 내부저항의 증가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권심공에 삽입된 부재가 탄성체이므로, 전극군의 팽창을 흡수하는 작용도 발휘하므로, 외장 캔의 팽창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2에 기재된 권심공에 탄성체를 삽입하는 방법은, 극판의 휨에 기인하는 내부저항의 증가를 방지하는 점에서 우수하나, 이러한 탄성체를 삽입해도, 각형 편평전지에 있어서 내부저항이 증가하거나, 혹은 내부저항의 불균일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음극의 활물질로 실리콘(Si)이나 주석(Sn) 등의 화합물(예를 들어 SiO, TiSi2 등)을 이용할 경우, 그 문제가 현저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도 알았다.
실리콘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활물질은, 흑연 등의 탄소재료에 비해 이론용량이 크므로 전지의 고용량화에 적합하나, 이들 활물질은 충방전에 따르는 체적의 팽창수축이 크다. 때문에, 상기 내부저항의 증가 또는 불균일은, 전극군의 팽창 정도가 커진 결과, 극판의 휨 문제가 또 다시 현저해진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전지의 내부저항 증가를 억제한 고용량의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원 발명자들은, 전극군의 권심공에 탄성체를 삽입함에도 불구하고, 내부저항의 증대나 불균일이 발생한 원인으로서, 각형 편평전지의 조립공정에 주목했다.
각형 편평전지는, 분리막을 개재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나선형으로 말아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전극군을 형성한 후, 이 전극군을 압축시켜 편평한 형상의 전극군으로 변형시킨 다음, 편평형으로 변형된 전극군을, 각형 편평형의 유저부 외장 캔에 수납함으로써 조립된다. 만약, 감기공정에서, 권회압의 불균일 등으로 전극군의 말린 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면, 다음의 압축공정에서 전극군의 각 부위에 가해지는 압축압에도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전극군에 부분적으로 과잉 압축압이 가해지고, 이로써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서 전극군에 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전지의 충방전 시에 전극군의 팽창에 기인한 전극의 휨(이하, "충방전 시의 극판 휨"이라 함)과는 별도로, 전지 조립공정에서의 전극군 압축에 기인한 극판의 휨(이하, "초기 극판 휨"이라 함)이 발생한 경우, 전지의 충방전 시에 있어서, 이러한 초기 극판 휨이 기점이 되어 극판의 휨이 조장되고, 이에 기인하여 내부저항의 증가 또는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태에 있어서, 종래의, 권심공에 탄성체를 삽입하는 수단으로는, 극판의 휨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종래의 극판 휨에 기인하는 내부저항의 증가, 혹은 불균일에 있어 초기의 극판 휨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식견에 기초하여 내부저항의 증가 또는 불균일을 저감하기 위해, 초기 전극 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결하다고 생각하여,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전극군에 가압력(권심공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를 전극군의 권심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극군을 압축시켜, 전극군을 편평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은, 분리막을 개재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나선형으로 말아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전극군을 형성하는 공정(a)과, 전극군의 권심공에, 전극군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를 삽입하는 공정(b)과, 전극군을 압축시킴으로써, 이 전극군을 편평형상으로 변형하는 공정(c)과, 편평형상의 전극군을, 각형 편평형상의 유저부 외장 캔에 수납하는 공정(d)과, 외장 캔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공정(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전극군의 압축공정(c)에 있어서, 전극군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가 전극군의 권심공에 삽입되므로, 압축 시 발생하는 초기 극판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충방전 주기의 반복에 따른 내부저항의 증대, 혹은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효과는, 음극판 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이, 실리콘(Si) 또는 주석(Sn) 중 적어도 한가지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게 발휘된다.
또, 전극군의 압축 시 극판의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앙 심부재는, 2.0×10-3GPa 이상의 영률(Young's modulus)을 갖는 판상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군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를 전극군의 권심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극군을 압축시켜 편평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압력이 가해지는 압축 시에 발생하는 초기 극판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지의 내부저항 증가를 억제한, 고용량의 각형 편평 2차 전지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전극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B)는, 전극군을 외장 캔에 삽입한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C)는, (B)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 중앙 심부재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서 중앙 심부재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부저항의 평가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부호의 설명]
1 : 밀봉판 1a : 액 주입공
2 : 중앙 심부재 2a : 스프링
3 : 전극군 3a : 양극리드
3b : 음극리드 4 : 외장 캔(케이스)
5 : 단자 6 : 권심공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동일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편평형으로 변형된 전극군(3)을 나타낸 개략도, (B)는, (A)에 나타낸 전극군(3)을 외장 캔(케이스)에 삽입한 각형 편평 2차 전지를 나타낸 개략도, (C)는, (B)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각형 편평 2차 전지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다. 우선,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을 개재하고 나선형으로 말아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전극군(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전극군(3)의 권심공(6)에, 전극군(3)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2)를 삽입한다. 그 후, 전극군(3)을 압축시킴으로써 전극군(3)을 편평형상으로 변형한다. 그리고, 편평형의 전극군(3)을, 각형 편평형의 유저부 외장 캔(4)에 수납하고, 마지막으로 외장 캔(4)의 개구부를 밀폐시킴으로써, 각형 편평 2차 전지를 완성한다.
여기서,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군(3)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는, 양극리드(3a) 및 음극리드(3b)가 접속되며, 양극리드(3a) 또는 음극리드(3b)의 어느 한쪽은,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캔(4)의 단자(5)에 접합되고, 다른 쪽은 외장 캔(4)에 접합된다. 또 전극군(3)을 외장 캔(4)에 수납한 후, 액 주입공(1a)에서 전해액을 주입한 후, 외장 캔(4)의 개구부가 밀봉판(1)으로 밀폐된다.
본 실시형태의 각형 편평 2차 전지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감겨 형성된 전극군(3)을 압축시켜 편평형으로 변형시킬 때, 전극군(3)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2)가 전극군(3)의 권심공(6)에 삽입되므로, 압축 시 발생하는 초기 극판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충방전 주기의 반복에 의한 내부저항의 증가, 혹은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음극판 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이, Si 또는 Sn 중 적어도 한가지를 함 유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져, 충방전에 따르는 체적의 팽창수축이 클 경우에도, 초기 극판 휨의 발생을 방지하므로, 충방전 시의 극판 휨을 조장하는 일도 없어, 내부저항의 증가 또는 불균일을 억제한다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발휘할수 있다.
여기서, Si를 함유하는 것으로는, Si, SiOx(0.05<x<1.95),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에, B, Mg, Ni, Ti, Mo, Co, Ca, Cr, Cu, Fe, Mn, Nb, Ta, V, W, Zn, C, N, Sn 원소로 Si의 일부를 치환시킨 합금 혹은 화합물, 또는 고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Sn을 함유하는 것으로는, Ni2Sn4, Mg2Sn, SnOx(0<x<2), SnO2, SnSiO3, LiSnO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군(3)의 압축 시 극판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극군(3)의 권심공(6)에 삽입하는 중앙 심부재(2)는, 2.0×10-3GPa 이상의 영률을 갖는 판상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극군(3)의 권심공(6)에 삽입하는 중앙 심부재(2)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형상, 재료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상, 또는 재료의 중앙 심부재(2)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상 탄성체로서,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되는 재료(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SBR),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 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2.0×10-3GPa 이상의 영률을 가지므로, 전극군(3) 압축 시의 극판 휨의 발생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장 캔(4)에 수납된 후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함으로써, 충방전 시의 극판 휨의 발생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의 탄성체를 쐐기형으로 형성해두어도 된다. 중앙 심부재(2)가 이와 같은 쐐기형의 형상을 가지면, 권심공(6)으로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형의 직선부(L)(당해 부위가, 전극군(3)의 권심공(6)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함) 길이는, 중앙 심부재(2)의 전체길이(권심부(6)의 축 방향)에 대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 심부재(2)를 판상의 탄성체로 할 경우, 탄성체의 영률은, 210GPa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률이 210GPa를 초과하면, 전극군의 팽창을 흡수하는 작용이 발휘되지 않으므로, 외장 캔의 팽창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중앙 심부재(2)가 판상이 아닌 것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심부재(2)를 C자형으로 형성한 탄성체로 구성시켜도 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심부재(2)를, 전극군(3)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a)을 구비한 부재로 구성시켜도 된다. 이들 중앙 심부재(2)도, 전극군(3)의 권심공(6)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적합하게 발휘하기 위해서는, 중앙 심부재(2)의 폭은 전극군(3) 권심공(6)의 편평방향 폭에 대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리튬이온 2차 전지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a) 양극판의 제작
활물질인 코발트산리튬, 결착제인 PVDF, 도전제인 아세틸렌블랙(acetylene black)으로 이루어지는 양극혼합제를, 집전체인 알루미늄박 위에 도포, 건조시키고 롤링 압연 후 29.5mm 폭으로 절단하여 양극판 후프를 얻는다.
(b) 음극판의 제작
활물질인 인조흑연, 결착제인 SBR, 증점제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arboxy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지는 음극혼합제를, 집전체인 구리박 위에 도포, 건조시키고, 롤링 압연 후 30.6mm 폭으로 절단하여 음극판 후프를 얻는다.
(c) 전해액의 조정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및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로 이루어지는 비수 혼합용매(체적비 3:5:2)에 LiPF6를 1M 용해시켜 전해액을 조정한다.
(d) 전지 제작
이들 양극판, 음극판 및 전해액을 사용하여 길이 36mm, 폭 34mm, 두께 5.0mm의 각형 편평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우선, 양극판 후프와 음극판 후프를, 각각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한다. 이들 극판의 혼합제층을 부분적으로 벗겨, 양극리드(3a) 및 음극리드(3b)를 접속하고,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두께 20㎛의 폴리에틸렌수지제 미세다공막 시트로 된 분리막을 배치하여 나선형으로 말아,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로 32.7mm, 세로 33.5mm, 두께 4.25mm의 타원 나선형 말기 형상의 전극군(3)(이론용량 700mAh)을 형성한다.
이 전극군(3)의 권심공(6)에, 두께 0.1mm의 스프링 강재(SUP)를 C자형으로 형성한 중앙 심부재(2)(가로 26.4mm, 세로 30mm, 두께 0.3mm, 영률 210GPa)를 삽입하여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다.
그 후, 전극군(3)을 압축시켜 가로 33.1mm, 세로 34.6mm, 두께 4.6mm인 알루미늄제 케이스(4)에 수납하고, 케이스(4)와 밀봉판(1)을 레이저로 용접하여 밀폐시킨 후에, 전해액 1.9g을 밀봉판(1)의 액 주입공(1a)으로부터 주입하고 액 주입공을 봉입시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완성시킨다. 여기서 전극리드(3a, 3b)는 레이저 밀봉을 실시하기 전에 각각 밀봉판(1)과 단자(5)에 용접한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중앙 심부재(2)의 재질을 폴리프로필렌(영률 4.5GPa)으로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3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중앙 심부재(2)의 재질을 PVDF(영률: 2.0×10-3GPa)로 하고, 또 치수(가로 26.4mm, 세로 30mm, 두께 0.3mm)는 동일하며 형상을 판상으로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4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중앙 심부재(2)의 치수는 바꾸지 않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a)을 이용한 구조로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5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중앙 심부재(2)의 최대치수는 바꾸지 않고, 도 3에 나타낸 구조(쐐기부 치수, 폭 22.7mm, 두께 0.1mm)로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6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탄소섬유를 피복한 SiO를 음극 활물질로 하고, 음극판의 결착제를 폴리아크릴산으로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7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TiSi2를 음극 활물질로 하고, 음극판의 결착제를 폴리아크릴산으로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1 비교예]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중앙 심부재(2)를 삽입하지 않은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2 비교예]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외장 캔(4) 대신 라미네이트 수지필름으로 된 봉지를 이용하여 열용착 밀폐시킨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제 3∼4 비교예]
제 7 및 제 8 실시예에 대하여, 중앙 심부재(2)를 삽입하지 않는 점 이외는 제 7 및 제 8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형 편평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한다.
얻어진 각 전지를 10개 취하여 실온 하에서 다음과 같은 충방전 주기를 실행시켰다. 우선 700mA 정전류로 단자전압이 4.2V에 달할 때까지 정전류 충전한 후, 4.2V 정전압으로 전류값이 70mA가 될 때까지 정전압 충전한다. 계속해서 700mA 정전류로 단자전압이 3.0V에 달할 때까지 방전시킨다. 이를 1주기로 하고, 100주기 실시한 후의 전지 내부저항을 1KHz 교류임피던스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비교한다. 결과를 도 4의 표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중앙 심부재(2)를 구비하지 않는 제 1, 제 3, 및 제 4 비교예와 비교하여 전지 내부저항의 상승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인다. 원소로서 Si, Sn 중 적어도 한가지를 함유하는 활물질을 음극판에 이용한 제 7 및 제 8 실시 예는, 중앙 심부재(2)를 구비하지 않는 제 3 및 제 4 비교예와의 저항값 차가 현저하여, 본 발명의 실시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중앙 심부재(2)에 영률이 작은 PVDF를 이용한 제 3 실시예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하되므로 전지 내부저항이 약간 커진다. 단, PVDF는 전해액에 의해 팽윤되는 재료로서, 팽윤에 의해 전극군(3)의 권심공을 넓히는 방향의 작용이 추가되어, 전지 내부저항의 증가는 그리 현저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중앙 심부재(2)의 구조를, 전극군(3)의 권심공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쐐기형으로 한 제 5 실시예는, 전지 내부저항은 거의 변함이 없기는 하나, 권심공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는 부수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도 4의 표에는 기재하지 않으나, 영률이 210GPa인 제 1 실시예는, 충방전 주기 후에 외장 캔(4)에 약간의 변형을 보인다. 그 이유로서, 중앙 심부재(2)의 영률이 크면 극판 휨을 흡수하기 위해 변형시키기가 어려워지므로, 외장 캔(4)의 변형을 촉진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외장 캔(4) 대신 라미네이트 수지필름으로 된 봉지를 이용한 제 2 비교예는, 전지 내부저항이 크게 상승한다. 이는, 중앙 심부재(2)가 권심공(6)을 넓히는 작용을 가져도, 전극군(3)을 수납하고 있는 봉지가 이를 되밀어낼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극판 휨을 제어하기 위한 누름 효과가 결여된 것이라 생각된다. 이 점에서 전극군(3)을 수납하는 구조물은 외장 캔(4)(구체적으로는 금속이나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물)과 같이, 중앙 심부재(2)와의 사이에 응력의 균형을 취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해왔으나, 상기와 같이 기술한 사항은 한정된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로 개변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예로 설명했으나, 니켈수소 축전지 등 다른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에 적용하여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각형 편평 2차 전지"란, 감긴 전극군을 압축에 의해 편평형상으로 변형시킨 것을 외장 캔에 수납시켜 형성된 전지를 말하며, 외장 캔의 형상 자체로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지의 내부저항 증가를 억제한, 고용량 각형 편평 2차 전지에 유용하다.

Claims (8)

  1. 분리막을 개재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감아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전극군을 형성하는 공정(a)과,
    상기 전극군의 권심공(卷芯孔)에, 상기 전극군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심부재를 삽입하는 공정(b)과,
    상기 전극군을 압축시킴으로써, 이 전극군을 편평형상으로 변형하는 공정(c)과,
    상기 편평형상의 전극군을, 각형 편평형상의 유저부 외장 캔에 수납하는 공정(d)과,
    상기 외장 캔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공정(e)을 갖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 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은, 실리콘(Si) 또는 주석(Sn)의 적어도 한가지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심부재는, 2.0×10-3GPa 이상의 영률(Young's modulus)을 갖는 판상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탄성체는,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탄성체는,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되는 재료는,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SBR),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심부재는, C자형으로 형성된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심부재는, 전극군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77025236A 2006-02-21 2007-02-01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Ceased KR20080095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3367 2006-02-21
JP2006043367 2006-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66A true KR20080095166A (ko) 2008-10-28

Family

ID=3843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236A Ceased KR20080095166A (ko) 2006-02-21 2007-02-01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29048B2 (ko)
JP (1) JPWO2007097172A1 (ko)
KR (1) KR20080095166A (ko)
CN (1) CN101356685A (ko)
WO (1) WO20070971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11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22025495A1 (ko) * 2020-07-31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튼형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9947B2 (en) 2008-08-05 2020-04-21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JP5182477B2 (ja) * 2007-09-21 2013-04-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KR20110052594A (ko) 2008-08-05 2011-05-18 시온 파워 코퍼레이션 전기화학 셀에서 힘의 적용
WO2010107499A2 (en) * 2009-03-19 2010-09-23 Sion Power Corporation Cathode for lithium battery
CN201682023U (zh) * 2009-06-26 2010-12-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
US20110206992A1 (en) * 2009-08-28 2011-08-25 Sion Power Corporation Porous structur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US20120034504A1 (en) * 2009-10-22 2012-02-09 Mayumi Kaneda Flat secondary battery electrode group,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lat secondary battery with flat secondary battery electrode group
CN102576910B (zh) * 2010-03-26 2016-03-0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锂离子二次电池、车辆以及电池搭载设备
JPWO2012004886A1 (ja) * 2010-07-09 2013-09-02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扁平捲回形電極群の製造方法
DE102011005681A1 (de) * 2011-02-15 2012-08-16 Robert Bosch Gmbh Lithium-Ionen Akkumulator und Verfahren zu dess Herstellung
WO2012132345A1 (ja) * 2011-03-25 2012-10-04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6228915B2 (ja) 2011-06-17 2017-11-08 シオン・パワー・コーポレーション 電極用プレーティング技術
JP5935246B2 (ja) * 2011-06-24 2016-06-15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CN102332614B (zh) * 2011-09-21 2016-04-27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卷绕结构及其制备工艺
CN103947027B (zh) 2011-10-13 2016-12-21 赛昂能源有限公司 电极结构及其制造方法
US9343718B2 (en) * 2012-08-08 2016-05-1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2480368B1 (ko) 2012-08-16 2022-12-23 에노빅스 코오퍼레이션 3차원 배터리들을 위한 전극 구조들
WO2014095483A1 (en) 2012-12-19 2014-06-26 Basf Se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12261284B2 (en) 2013-03-15 2025-03-25 Sion Power Corporation Protective structures for electrodes
KR102659783B1 (ko) 2013-03-15 2024-04-22 에노빅스 코오퍼레이션 3차원 배터리들을 위한 분리기들
JP6221383B2 (ja) * 2013-06-14 2017-11-0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芯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6361969B2 (ja) * 2013-11-15 2018-07-2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モジュール
JP2017515277A (ja) 2014-05-01 2017-06-08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Basf Se 電極製造方法および関連システムおよび物品
JP6338149B2 (ja) * 2014-09-09 2018-06-06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KR101851429B1 (ko) 2015-02-13 2018-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102793967B1 (ko) * 2015-05-14 2025-04-09 에노빅스 코오퍼레이션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들에 대한 종방향 구속부들
CN104934640B (zh) * 2015-06-09 2017-05-10 深圳市兴诚捷电子科技有限公司 电芯夹扁机构及电芯夹扁方法
JP6332258B2 (ja) * 2015-12-18 2018-05-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TWI832314B (zh) 2016-05-13 2024-02-11 美商易諾維公司 用於三維電池之尺寸拘束件
CN110178260B (zh) * 2016-11-16 2023-05-02 艾诺维克斯公司 具有可压缩阴极的三维电池
GB201704294D0 (en) 2017-03-17 2017-05-03 Dyson Technology Ltd Energy storage device
GB201704295D0 (en) * 2017-03-17 2017-05-03 Dyson Technology Ltd Energy storage device
GB201704292D0 (en) 2017-03-17 2017-05-03 Dyson Technology Ltd Energy storage device
GB201704293D0 (en) 2017-03-17 2017-05-03 Dyson Technology Ltd Energy storage device
CN110945688A (zh) 2017-05-19 2020-03-31 赛昂能源有限公司 用于电化学电池的钝化剂
US10868306B2 (en) 2017-05-19 2020-12-15 Sion Power Corporation Passivating agent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11264680B2 (en) 2017-11-15 2022-03-01 Enovix Corporatio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10256507B1 (en) 2017-11-15 2019-04-09 Enovix Corporation Constrained electrode assembly
US11211639B2 (en) 2018-08-06 2021-12-28 Enovix Corporatio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 and device
US11984575B2 (en) 2019-11-19 2024-05-14 Sion Power Corporation Battery alignmen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978917B2 (en) 2019-11-19 2024-05-07 Sion Power Corporation Batteries with components including carbon fibe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791511B2 (en) 2019-11-19 2023-10-17 Sion Power Corporation Thermally insulating compressible components for battery packs
JP2023502993A (ja) 2019-11-19 2023-01-26 シオン・パワー・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4830413A (zh) * 2019-12-27 2022-07-29 松下控股株式会社 蓄电装置以及蓄电模块
US11923495B2 (en) 2020-03-13 2024-03-05 Sion Power Corporation Application of pressure to electrochemical devices including deformable solids, and related systems
JP2023547993A (ja) 2020-09-18 2023-11-15 エノビ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電池に使用する電極の製造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4982033B (zh) * 2020-09-30 2025-07-1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极组件、电池和电子设备
DE102020213364A1 (de) 2020-10-22 2022-04-2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tteriezelle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CN116783744A (zh) 2020-12-09 2023-09-19 艾诺维克斯公司 用于制造二次电池的电极组合件的方法及装置
WO2022165725A1 (zh) * 2021-02-04 2022-08-11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及制造电极组件的方法和设备
CN112467231B (zh) * 2021-02-04 2021-09-14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及电极组件的制造方法和设备
DE102021208931A1 (de) 2021-08-16 2023-02-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tteriezel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WO2023050374A1 (zh) * 2021-09-30 2023-04-06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胶粘结构、包含该胶粘结构的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467A (ja) * 1991-03-27 1992-10-20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301798B2 (ja) * 1992-12-28 2002-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 池
JPH0855637A (ja) * 1994-08-11 1996-02-2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533903B2 (ja) * 1997-09-16 2004-06-0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非円筒形電池及びその製造法
JP2000156240A (ja) * 1998-11-18 2000-06-0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池及びこの電池の製造方法
US7094497B2 (en) * 2000-03-07 2006-08-22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2002042741A (ja)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角形扁平電池
US6485859B1 (en) * 2000-11-21 2002-11-26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Resilient mandrel for battery electrode assembly
JP2002198102A (ja) * 2000-12-26 2002-07-12 Fdk Corp 角形電池の製造方法
JP4296467B2 (ja) 2002-06-05 2009-07-15 タイヨーエレック株式会社 組合せ式遊技機
JP2004319469A (ja) 2003-04-02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負極活物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40241548A1 (en) 2003-04-02 2004-12-02 Takayuki Nakamoto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US7285356B2 (en) * 2004-07-23 2007-10-23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11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22025495A1 (ko) * 2020-07-31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튼형 이차전지
US12362434B2 (en) 2020-07-31 2025-07-15 Lg Energy Solution, Ltd.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9048B2 (en) 2012-03-06
JPWO2007097172A1 (ja) 2009-07-09
WO2007097172A1 (ja) 2007-08-30
US20090077794A1 (en) 2009-03-26
CN101356685A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166A (ko) 각형 편평 2차 전지의 제조방법
US8187738B2 (en) Spirally-rolled electrodes with separator and the batteries therewith
US8574736B2 (en) Hybrid-typed electrode assembly of capacitor-battery structure
CN110366794B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及电池模块
JPH11307081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50322A (ja) 密閉角形扁平電池
US20080160399A1 (en) Crude cell for large secondary battery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H1131523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4088732B2 (ja) 二次電池
JP4145056B2 (ja) 電池
JP2002343366A (ja) アルカリ蓄電池用極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ルカリ蓄電池
JP2003282143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1143712A5 (ko)
US20240387859A1 (en)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JP2003173815A (ja) 密閉式角型アルカリ蓄電池
JP2005243274A (ja) 非水系角型二次電池
JP2002025548A (ja) 角型アルカリ蓄電池
JP3568316B2 (ja) 角型アルカリ蓄電池
JP2002175785A (ja) 円筒形二次電池
JP4783980B2 (ja) 円筒形二次電池
KR20150125377A (ko) 원형 이차전지
JP2000164246A (ja) アルカリ蓄電池
JP2002203591A (ja) 円筒形二次電池
JP2002279941A (ja) 角形電池
JP2004171978A (ja) アルカリ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