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88775A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775A
KR20080088775A KR1020070031492A KR20070031492A KR20080088775A KR 20080088775 A KR20080088775 A KR 20080088775A KR 1020070031492 A KR1020070031492 A KR 1020070031492A KR 20070031492 A KR20070031492 A KR 20070031492A KR 20080088775 A KR20080088775 A KR 20080088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conductive members
contact portion
sens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8775A/ko
Priority to US12/032,163 priority patent/US8738096B2/en
Publication of KR2008008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77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에 상응하게 위치된 도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접촉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조작되면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단말기의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도전성 부재, 접촉부, 접촉 감지부, 입력 장치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하우징의 입력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하우징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도전성 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제1, 제2 하우징 203: 입력 장치
231: 접촉부 233: 도전성 부재
235: 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 플립형 또는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개폐 방식에 따라 회전형 또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열거된 것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용 단말기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가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뿐만 아니라 화상통화, 동영상 제공 서비스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카메라 렌즈 등의 부가 장치는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메뉴, 기능 등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 키 및 데이터 입력 키 등이 장착되어 있다. 아울러, 기능 키는 단말기의 이용에 있어서 편익을 제공하고자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경우가 빈번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키패드 형태의 기능 키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면 단말기의 외관로부터 돌출된다. 이로 인해, 단말기의 디자인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기능 키는 단말기의 외관으로부터 돌출을 방지하고자 터치 키패드 형태로 단말기에 설치되고 있다. 터치 키패드 형태의 기능 키는 단말기의 외관에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단말기에 내장된 기능을 활성화시키게 된 다. 이러한 터치 키패드를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터치 키패드는 단말기의 내부에 센서가 설치된 구성으로써, 단말기 케이스의 특정 부분에 손가락 등이 접촉됨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센서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설치되어 단말기의 케이스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이로써, 센서가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의 접촉을 감지하는 데 제한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을 대신하여 가요성 인쇄회로(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센서를 부착한 상태로 단말기의 케이스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열 처리에 의해 융착시킨다. 따라서, 센서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한다. 그러나, 가요성 인쇄회로를 부착하기 위한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 공정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아름다운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에 상응하게 위치된 도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접촉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조작되면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제2 하우징(100, 20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하우징(100, 200)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은 그 일면 하측에 키패드(201)와 송화부(202)가 설치 된다.
상기 키패드(201)는 다수 개의 키들로 구성되고, 각 키들의 일면에는 각각에 할당된 신호 값이 인쇄된다. 상기 키패드(101)가 눌러지면 숫자, 문자 등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상기 송화부(102)는 마이크 폰을 내장하면서 상기 키패드(10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송화부(102)로 입력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하우징(100) 상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0)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키패드(101)와 송화부(102)가 노출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일면에 디스플레이(201), 수화부(202) 및 입력 장치(203)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01)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티에프티(TFT; thin film transistor)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10)의 상태 정보, 데이터 송수신 정보,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내용, 상기 키패드(101)의 조작으로 입력된 값 등이 표시된다.
상기 수화부(202)는 상기 디스플레이(20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스피커 폰을 내장하여 상기 단말기(10)에 수신된 음성 또는 저장된 음악 파일의 음향 등을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수화부(202)가 상기 송화부(102)와 서로 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입력 장치(203)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단 말기(10)의 다양한 기능들을 호출하는 데 이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입력 장치(203)가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하우징(100)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하우징(200)의 입력 장치(203)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도전성 부재(233)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입력 장치(203)의 인쇄회로기판(23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의 입력 장치(203)는 접촉부(231), 도전성 부재(233) 및 인쇄회로기판(235)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부(231)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인체가 상기 접촉부(231)에 접촉됨으로써 조작된다. 아울러, 상기 접촉부(231)에는 아이콘(icon)(231a, 231b, 231c, 231d)들이 인쇄된다. 상기 접촉부(231)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들에 상응하는 신호가 상기 단말기(10)에서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들은 사용자에 의해 접촉됨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단말기(10)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들을 제1 아이콘(231a), 제2 아이콘(231b), 제3 아이콘(231c) 및 제4 아이콘(231d)으로 구분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아이콘(231a)은 단문 메시지 송수신과 관련된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아이콘(231b)은 상기 단말기(10)의 작동 메뉴를 이전 단계로 이동시키거나 취소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3 아이콘(231c)은 상기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에 관련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메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4 아이콘(231d)은 상기 단말기(10)의 저장된 음악파일을 선택 및 재생 등에 관련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들의 기능을 특정하여 한정하였지만, 상기에서 언급된 기능뿐 아니라 또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부재(233)들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231)에 인쇄된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들과 상응하게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도전성 부재(233)들은 고무 재질로써, 절연체인 고무에 흑색 안료나 금속 섬유를 섞어서 전기가 통할 수 있게 제작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전성 부재(233)들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안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231)가 조작됨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35)에 전달한다.
상기 도전성 부재(233)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는 장착 홈(23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 홈(232)은 상기 접촉부(231)에 인쇄된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들에 상응한다. 이로 인해, 상기 도전성 부재(233)는 상기 장착 홈(23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들에 상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200)을 구성하기 위한 사출물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외부 충격에 의한 강도를 고려하여 0.5mm 이상으로, 상기 접촉부(231)의 조작을 감지 하는 감지 수단의 감도를 고려하여 1.6mm 이내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 홈(232)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도전성 부재(233)들은 상기 접촉부(231)로부터 0.5mm 이상 1.6mm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감지 수단의 동작 감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200)을 구성하는 사출물의 두께, 즉 상기 도전성 부재(233)들과 상기 접촉부(231) 사이의 간격은 1.5mm 이내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는 상기 접촉부(231)의 조작되는 부분과 상기 장착 홈(232)에 삽입, 밀착된 상기 도전성 부재(233)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도전성 부재(233)들의 일부는 상기 장착 홈(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도전성 부재들(233)에는 그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이르기까지 관통하여 관통 홀(23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홀(233a)은 상기 도전성 부재(233)가 상기 장착 홈(232)에 삽입됨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장착 홈(232)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235)은 상기 제2 하우징(200)내 설치되고, 그 일면에 상기 감지수단으로써 접촉 감지부(235b)와 발광 소자(235a)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인쇄회로기판(235)이 상기 제2 하우징(200) 내에 설치되면, 상기 도전성 부재(235)들이 상기 접촉 감지부(235b)에 상응하게 접촉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도전성 부재(235)들이 상기 장착 홈(232)에 장착되면, 상기 접촉부(231)의 조작은 상기 도전성 부재(235)들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235)으로 전달된다.
상기 접촉 감지부(235b)는 상기 도전성 부재(233)의 형상에 상응하는 고리 형상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접촉 감지부(235b)에는 상기 장착 홈(232)에 삽입된 상기 도전성 부재(233)가 접속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233)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35),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 감지부(235b)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촉 감지부(235b)는 상기 접촉부(231)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도전성 부재(233)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 감지부(235b)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5)을 통해 상기 단말기(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200)에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한다면, 상기 도전성 부재(233)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작용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 감지부(235b)는 상기 도전성 부재(233)에 의해 상기 접촉부(231)의 조작을 감지할 뿐 아니라 외부 충격이 작용하여도 상기 도전성 부재(233)와 안정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접촉 감지부(235b)가 상기 도전성 부재(233)에 상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발광 소자(235a)는 상기 접촉 감지부(235b)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관통 홀(233a) 내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발광 소자(235a)가 빛을 외부로 발산할 때, 상기 도전성 부재(233),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 홀(233a)은 상기 발광 소자(235a)의 빛을 상기 접촉부(231) 방향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 소자(235a)가 발산하는 빛은 상기 관통 홀(233a)을 지나 상기 접속부(231)에 인쇄된 상기 아이콘(231a, 231b, 231c, 231d)을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어두운 환경 속에서도 상이 아이콘(231a, 231b, 231c, 231d)을 확인하면서 상기 입력 장 치(203)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상기 도전성 부재(233)와 인쇄회로기판(235)이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우징 플레이트(204)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04)는 상기 제2 하우징(20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전성 부재(233)는 상기 장착 홈(232)과 접촉 감지부(235b)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04)의 일면 상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을 상기 제1 하우징(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성 요소가 배치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접촉부, 도전성 부재 및 접촉 감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를 조작하는 데 이용된다. 접촉부에는 아이콘이 인쇄되고, 아이콘이 인쇄된 접촉부에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도전성 부재를 통해 접촉 감지부는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부에 접촉됨을 감지하여 접촉부에 인쇄된 아이콘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접촉 감지부에 발생된 신호에 의해 단말기는 작동하게 된다. 즉, 도전성 부재는 접촉부와 접촉 감지부를 연결하여 접촉부의 접촉에 따른 신호를 접촉 감지부에서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서, 입력 장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대신하여 도전성 부재가 구비 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감소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단순한 삽입 공정만이 이루어져 제조 공정이 감소하게 되었다. 아울러, 도전성 부재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단말기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접촉부와 접촉 감지부 사이에서 안정되게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하는 접촉부에 아이콘이 인쇄됨에 따라 외관상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져 아름다운 외관을 가진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에 상응하게 위치된 도전성 부재들;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접촉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조작되면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장착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 홈에는 상기 도전성 부재들이 삽입되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인쇄되는 아이콘(icon)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신호가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들은 고무 재질이고, 상기 장착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감지부에 접속된 상태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하우징에 작용한 외력은 상기 도전성 부재들로 흡수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들은 상기 접촉 감지부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발광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가 빛을 외부로 발산할 때, 상기 도전성 부재들은 상기 발광 소자의 빛을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에는 이를 관통하여 형성하는 관통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상기 관통 홀을 지나 상기 아이콘을 통해 외부로 발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들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접촉 감지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관통 홀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단말기를 작동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들이 상기 장착 홈에 삽입되면, 상기 접촉부와 상기 도전성 부재들 사이의 간격은 0.5mm 이상 1.6mm 이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들이 상기 장착 홈에 삽입되면, 상기 접촉부와 상기 도전성 부재들 사이의 간격은 1.5mm 이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조작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인체가 접촉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1020070031492A 2007-03-30 2007-03-30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Ceased KR20080088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492A KR20080088775A (ko) 2007-03-30 2007-03-30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US12/032,163 US8738096B2 (en) 2007-03-30 2008-02-15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492A KR20080088775A (ko) 2007-03-30 2007-03-30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775A true KR20080088775A (ko) 2008-10-06

Family

ID=3979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492A Ceased KR20080088775A (ko) 2007-03-30 2007-03-30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8096B2 (ko)
KR (1) KR200800887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299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589483S1 (en) * 2008-01-25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592171S1 (en) * 2008-08-01 2009-05-12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592656S1 (en) * 2008-08-01 2009-05-19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592172S1 (en) * 2008-08-01 2009-05-12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600666S1 (en) * 2008-08-01 2009-09-22 Nokia Corporation Handset
KR101613919B1 (ko) * 2008-09-25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D615942S1 (en) * 2009-01-16 2010-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619114S1 (en) * 2009-03-31 2010-07-06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618654S1 (en) * 2009-05-28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618228S1 (en) * 2009-06-19 2010-06-22 Nokia Corporation Handset front cover
TWM381807U (en) * 2010-01-06 2010-06-01 Amtran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touch-control device thereof
US9124680B2 (en) * 2012-01-19 2015-09-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anaged material fabric for composite housing
TWI735237B (zh) * 2020-05-22 2021-08-01 茂傑國際股份有限公司 360度全景影像選擇顯示之攝影機及方法
KR20220124425A (ko) * 2021-03-03 2022-09-14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536A (ja) * 1983-01-24 1984-08-03 Sharp Corp キ−入力装置
ATE216541T1 (de) * 1997-02-17 2002-05-15 Ego Elektro Geraetebau Gmbh Berührungsschalter mit sensortaste
KR200194628Y1 (ko) 2000-03-16 2000-09-01 주식회사동남실리콘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TW574719B (en) * 2001-10-29 2004-02-01 Sharp Kk Double-side key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529364B2 (en) * 2003-11-19 2009-05-05 Imbibo, Inc.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7655901B2 (en) * 2005-11-18 2010-02-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Light assisted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299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42377A1 (en) 2008-10-02
US8738096B2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877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CN100566349C (zh) 便携设备
KR100911844B1 (ko) 휴대 단말 장치
US8773847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8774879B2 (en) Mobile terminal
EP2720443B1 (en) Mobile terminal with light diffuser for a key
US7547857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100910197B1 (ko) 단자 및 휴대 단말 장치
US7852618B2 (en) Function extending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11205494A (ja) 携帯端末装置
CN101188631A (zh) 移动终端装置
CN100446636C (zh) 具有防静电装置的移动终端
US20080113695A1 (en) Keypad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US8013266B2 (en) Key button and key assembly using the ke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pad assembly
US20120106092A1 (en) Navigation tool holder
US20080303582A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2073570B1 (ko)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JP2010263298A (ja) 防水型携帯端末
JP5381855B2 (ja) 取り付け部品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27017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JP4818954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400550B1 (ko) 휴대폰의 버튼장치
KR10093551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멤브레인 키패드 장치
CA2755092A1 (en) Navigation too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8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