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74977A -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977A
KR20080074977A KR1020087013806A KR20087013806A KR20080074977A KR 20080074977 A KR20080074977 A KR 20080074977A KR 1020087013806 A KR1020087013806 A KR 1020087013806A KR 20087013806 A KR20087013806 A KR 20087013806A KR 20080074977 A KR20080074977 A KR 20080074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remix
metadata
piece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미야지마
고세이 야마시타
모토유키 다카이
아키히로 고모리
노리카즈 히라키
유이치 아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40Rhyth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05Composing aid, e.g. for supporting creation, edition or modification of a piece of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25Medley, i.e. linking parts of different musical pieces in one single piece, e.g. sound collage, DJ mix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31Morphing, i.e. transformation of a musical piece into a new different one, e.g. remix
    • G10H2210/136Morphing interpolation, i.e. interpolating in pitch, harmony or time, tempo or rhythm, between two different musical pieces, e.g. to produce a new musical 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75Tempo or beat alterations; Music timing control
    • G10H2210/391Automatic tempo adjustment, correction or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16File editing, i.e. modifying musical data files or streams as su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61MP3, i.e. 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lossy audio compre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66MPEG audio-visual compression file formats, e.g. MPEG-4 for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91Info, i.e. juxtaposition of unrelated auxiliary information or commercial messages with or between music f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95Packet switched network, e.g. token ring
    • G10H2240/305Internet or TCP/IP protocol use for any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data or musical parameter transmiss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리믹스 처리부는,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생성되고, 적어도 시간축 상의 비트 위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와, 리믹스 패턴을 결정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리믹스 처리를 행한다. 동기 재생 제어부는, 마스터 비트를 생성하고, 이 마스터 비트를 리믹스 처리부에 보내는 동시에, 리믹스 처리부가 리믹스 패턴과 메타데이터에 대응하여 지시한 리믹스 처리에 따라 복수의 악곡을 재생한다. 혼합부는 동기 재생 제어부에 의해 재생된 악곡을 혼합한다.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다수의 악곡의 전체 또는 부분을 비트를 정렬하여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편집을 실현할 수 있는 음악 편집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87013806
리믹스 처리부, 동기 재생 제어부, 메타데이터, 마스터 비트, 리믹스 패턴 파일

Description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MUSIC EDIT DEVICE AND MUSIC EDIT METHOD}
본 발명은 예컨대 악곡을 악곡 파트, 소절 등으로 세분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음악 컨텐츠 등을 소재로서 사용하여 편집함으로써 새로운 악곡(음악 컨텐츠)을 생성하는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형 오디오의 보급과 함께 사용자가 대량의 악곡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 대량의 악곡을 미디어의 교환 없이 연속하여 듣는 메모리형 오디오에서는, 원래의 CD 앨범 단위로 듣는 것뿐만 아니라, CD 앨범에서 모든 악곡을 셔플(shuffle)하여 듣거나 자신의 취향에 맞는 곡만을 플레이 리스트로서 재구성하여 듣는 스타일이 보편화되고 있다. 미리 앨범에 녹음되어 있는 순번을 지키지 않고, 사용자가 스스로 듣고자 하는 곡을 듣고 싶은 순서로 듣는 자유도가 커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곡 한 곡에 대하여는 처음부터 끝까지 듣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고, 또한 곡과 곡의 사이에는 무음 부분이 존재한다. 즉, 곡은 한 곡이라는 단위가 최소로 되어 있어, 그 한 곡으로 완결하는 청취 방식밖에 없다. 그러므로, 곡과 곡 사이의 이러한 무음 부분에서 사용자의 집중 또는 소위 열정이 단절되어 버 릴 경우가 있으므로, 어느 일정한 긴장감을 유지한 채로 악곡을 계속 듣는 것이 어렵다.
도 23은 악곡 A와 악곡 B를 사용한 종래의 음악 재생을 나타낸다. 2개의 악곡은 각각 악곡이 갖는 원래의 템포로 재생된다. 물론, 곡 사이에는 무음 부분이 존재한다.
그래서, 복수의 음악 소재를 조합시켜 편집하는 기술이 고려되었다. 일본 공개 특허 2003-44046호 공보에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음소재(music material)를 조합시켜 악곡을 대화식으로 편집하거나 재생하여 즐기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키보드의 각 키에 대하여, 사운드 패턴과 원샷(one-shot) 등의 음편(sound piece), 및 이들 음편에 적용하는 이펙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팁(tip)이 할당되어 있다. 사용자가 키를 누름으로써, 그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팁이 실행된다. 복수의 키를 동시에 누르면, 해당하는 팁이 합성되어 출력된다. 또한, 각 키를 차례로 눌러 팁을 시계열적으로 조합시켜 악곡을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공개 특허 2003-44046호 공보의 기술에 의해서도, 예컨대, 디스크 자키(DJ)가 행하는 리믹스와 같이 곡의 일부분을 다른 곡과 연결하여, 복수의 곡이 마치 1개의 곡인 것처럼 비트를 정렬하여 연결하도록 재구성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DJ가 현재는 일반적인 직업이고, 리믹스 음악도 리믹스 음악 전용의 라벨 회사(label company)가 있어, 리믹스 음악을 즐기고 있는 사용자층도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다수의 악곡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비트를 정렬하여 중첩하거나, 또는 연결하는 편집을 실현할 수 있는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악곡의 전체 또는 일부를 리얼타임으로 위치별로(situation by situation) 연결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편집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생성되고 적어도 시간축 상의 비트 위치(time-based beat position)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와, 리믹스 패턴을 결정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리믹스 처리를 행하는 리믹스 처리부, 마스터 비트를 생성하고, 이 마스터 비트를 상기 리믹스 처리부에 보내는 동시에, 상기 리믹스 처리부가 상기 리믹스 패턴 파일과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응하여 지시한 리믹스 처리에 따라 각각의 상기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악곡을 재생하는 동기 재생 제어부, 및 상기 동기 재생 제어부에 의해 재생된 악곡을 혼합하는 혼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편집 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생성되고 적어도 시간축 상의 비트 위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와, 리믹스 패턴을 결정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리믹스 처리를 행하는 리믹스 처리 단계, 마스터 비트를 생성하고, 이 마스터 비트를 상기 리믹스 처리 단계에 보내는 동시에, 상기 리믹스 처리 단계가 상기 리믹스 패턴과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응하여 지시한 리믹스 처리에 따라 복수의 악곡을 재생하는 동기 재생 제어 단계, 및 상기 동기 재생 제어 단계에 의해 재생된 악곡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음악 편집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동기 재생 제어 장치와 음성 믹싱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음악 편집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음악 편집 장치가 CPU에 의해 실행하는 음악 편집 프로그램의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시간축 상의 메타데이터(time-based metadat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시간축 메타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시간축 메타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메타데이터의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리믹스 패턴 파일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재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크로스-페이드(cross-fade)에 의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컷-인(cut-in)에 의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효과음(sound effect)을 이용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효과음을 이용한 크로스-페이드에 의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동시 동기 재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이펙트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부분 재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구비한 음악 편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구비한 음악 편집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0은 센서값 취득부를 구비한 음악 편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1은 센서값 취득부를 구비한 음악 편집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센서값 취득부를 구비한 음악 편집 장치의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음악 재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와 방법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음악 편집 장치(1)의 블록도이다.
이 음악 편집 장치(1)는, 하드 디스크(HD), 컴팩트 디스크(CD), 미니 디스크(MD), 디지털 버저틀 디스크(DVD : 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각종의 기록 매체 및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악곡의 음악 콘텐츠 데이타(원본 데이터)에 대하여, 후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컨대, 본래 템포가 상이한 악곡 A와 악곡 B를 비트를 정렬하여 재생하거나 중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즉, 자동으로 DJ 재생을 행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음악 편집 장치(1)는 버스(3)를 통해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2)에 기억 장치(4) 및 동기 재생 장치(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2)에 버스(3)를 통해 ROM(13), RAM(14), 사용자 조작 I/F 장치(1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표시 장치(16)가 접속되어 있다.
CPU(2)는 리얼타임으로 악곡의 연결 방식을 결정하고, 동기 재생 장치(8)에 대하여 필요한 악곡 소재를 필요한 타이밍에 제공한다. 또한, CPU(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기 재생 장치(8)에 대하여 템포의 지시 및 비트 동기/비동기의 지시를 행한다.
기억 장치(4)는 악곡용 기억 장치(5),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6) 및 리믹스 패턴용 기억 장치(7)로 이루어진다. 악곡용 기억 장치(5)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억 장치이다. 이러한 기억 장치는, 거치용의 음악 재생 장치 또는 휴대용의 음악 재생 장치가 갖고 있는 것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그리고, 악곡용 기억 장치(5)에 기억되는 악곡 데이터는 압축된 것도 가능하고, 압축되지 않은 것도 상관없다.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6)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각종의 기억 장치이며, 악곡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축 상의 메타데이터를 기억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메타데이터는 악곡에 부가된 시간축 상의 보조 데이터이며, 템포뿐만 아니라 비트의 위치 정보, 소절의 선두(간략하여 서두(beginning)로도 지 칭함)의 위치 정보, 및 전주(인트로)와 테마(theme)(또는 캐치 파트(catchy part)) 등의 멜로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리믹스 패턴용 기억 장치(7)는, 악곡용 기억 장치(5)와 마찬가지로, 기억 장치이면 특별하게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리믹스 패턴용 기억 장치(7)는 리믹스 패턴 지정 방법을 지시하는 리믹스 패턴 파일을 유지하는 기억 장치이다. 리믹스 패턴 파일에 대하여는, 상세를 후술되지만, 곡의 순서가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곡 순서에 더하여, 어떤 식으로 조합시킬지 또는 악곡 A와 악곡 B의 어디를 사용하여 어디에 조합시킬지와 같은 것이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다.
동기 재생 장치(8)는 음악 편집 장치(1)가 자동으로 DJ 재생을 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 블록이고, CPU(2)의 리믹스 제어 기능에 의해 지시된 악곡 소재를 기준 비트에 동기하여 재생한다. 동기 재생 장치(8)는 동기 재생 제어 장치(9), 음성 믹싱 장치(1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D/A)(11) 및 음성 출력 장치(12)로 이루어진다.
동기 재생 제어 장치(9)는 복수의 음성 신호 생성부를 가지며, 복수의 음악 신호를 자신의 내부에서 생성한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재생한다. 또한, 동기 재생 제어 장치(9)는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6)로부터의 메타데이터에 따라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의 위치를 항상 감시하고, CPU(2)의 리믹스 처리 기능부에, 현재 어느 곳을 재생하고 있는지의 위치(악곡의 재생을 하고 있는 샘플수 등의 위치), 및 어느 소절째의 몇 번째 비트를 재생하고 있는지의 위치를 보낸다.
음성 믹싱 장치(10)는 동기 재생 제어 장치(9) 내의 복수의 음성 신호 생성 부에서 생성된 복수 계통의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D/A(11)는 음성 믹싱 장치(10)에서 재생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음성 출력 장치(12)는 D/A(11)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또는 헤드폰 등에 출력한다.
ROM(13)은 본 발명의 음악 편집 방법에 따른 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음악 편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디폴트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RAM(14)은 CPU(2)가 상기 음악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작업 영역이 된다. 또한, 상기 음악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각종 갱신 데이터를 기억한다.
사용자 조작 I/F 장치(15)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받아들이는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이다. U/I 표시 장치(16)는 현재의 조작 상황, 음악 편집 처리 상황,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 표시부이며,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이다. 물론, CRT이어도 된다.
도 2는 동기 재생 제어 장치(9)와 음성 믹싱 장치(1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기 재생 제어 장치(9)는 마스터 비트 생성부(90)와 3계통의 음성 신호 생성부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비트 생성부(90)는 비트에 대응하는 클록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리믹스 시의 템포와 그 템포에 동기한 비트 신호를 출력한다. 마스터 비트 생성부(90)는 지정된 박자(4/4 박자 또는 3/4 박자 등)에 맞추어, 소절의 서두 신호(beginning signal)와 그 이외의 통상의 비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3계통(트랙)의 음성 신호 생성부는, 리얼타임으로 복수의 스테레오 음을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예로서 악곡 A, 악곡 B, 효과음(SE)이라는 3개의 트랙으로 되어 있다. 물론, 악곡의 구성수에 따라 4트랙, 5트랙 또는 그 이상의 트랙 수이어도 상관없다. 이 음성 신호 생성부는 마스터 비트 생성부(90)가 생성한 동기 신호(클록 또는 비트)를 기초로 악곡의 소절/비트 위치를 마스터 비트의 소절/비트 위치에 맞추어 동기 재생을 행한다.
각 트랙에는, 각각, 디코더(Decoder)(91a, 91b, 91c)와, 타임 스트레치 장치(Time Stretch)(92a, 92b, 92c)가 구비되어 있다. 디코더(91a, 91b, 91c)는, MP3 또는 ATRAC 등의 압축 음성을 디코드하고, PCM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SE는 길이가 짧고, 데이터 사이즈도 작으므로, 반드시 압축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이 SE 트랙의 디코더는 생략해도 된다. 타임 스트레치 장치(92a, 92b, 92c)는 음정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재생 속도를 변환하는 장치이며,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6)로부터의 메타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템포를 갖는 악곡 소재를 기준 비트의 템포에 맞춘다. 또한, 타임 스트레치 장치(92a, 92b, 92c)는 악곡의 오리지날 템포와 마스터 비트의 비율을 감안하여 재생 속도를 리얼타임으로 변화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악곡의 오리지날 템포를 마스터 비트의 템포에 맞게 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음정은 변화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음성 신호 생성부에는 피치 시프트(Pitch Shifter) 기능을 탑재해도 된다. 피치 시프트 기능은 재생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음정을 변경한다. 피치 시프트 기능은 상이한 키나 음정을 갖는 악곡 소재를 음악적으로 조화시키는데 이용되지만, 반드시 필요한 기능은 아니고 부가적인 기능이다.
음성 믹싱 장치(10)는, 상기한 3트랙의 음성 신호 생성부에 대응하여, 3계통의 이펙트 처리부(100a, 100b, 100c)와 음량 조정 장치(101a, 101b, 101c)를 구비한다. 이들 3계통의 출력은 음성 믹스 장치(102)에 의해 믹스되고나서 음성 출력 장치(103)에 의해 증폭되어 외부의 스피커 또는 헤드폰에 출력된다. 음성 믹싱 장치(10)는 음성 신호 생성부의 각 트랙으로부터의 출력 음성 신호에 대하여 각각 이펙트 처리와 음량 조정 처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동기 재생 제어 장치(9)와 음성 믹싱 장치(10)는 CPU 버스 또는 동기 재생 장치 내부의 로컬 버스를 통해 CPU(2)와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음악 편집 장치(1)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나타낸 CPU(2)의 기능은 리믹스 처리부(20)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리믹스 처리부(20)는 또한 메타데이터 처리부(21)와 리믹스 패턴 판독부(22)로 나누어져 있다.
리믹스 처리부(20)는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6)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21)에 의해 처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악곡에는 시간축 상의 메타데이터가 부가되어 있고, 템포뿐만 아니라 비트의 위치 정보, 소절의 서두 위치 정보, 및 인트로와 테마 등의 멜로디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21)는 악곡에 대응한 시간축 상의 메타데이터를 판독하고, 리믹스 패턴 판독부(22)에서 판독한 리믹스 패턴 정보의 지시에 따라 해당 악곡의 위치 정보를 조사한다. 예컨대, 지금 현재의 비트 위치와, 지금 조합시키고자 하는 악곡의 비트가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한 후에, 복수 개의 악곡과 효과음을 어느 시점에서 어떤 방식으로 재생할지를 결정한다.
또한, 리믹스 처리부(20)는, 리믹스 패턴용 기억 장치(7)에 저장된 리믹스 패턴 파일(7a)을 리믹스 패턴 판독부(22)에 의해 판독한다. 리믹스 패턴 파일(7a)은 페이드-아웃을 행할지의 여부, 컷-인을 행할지의 여부, 어떠한 SE를 사용할지와 같은 것을 지정하는 파일이다. 리믹스 패턴은 사용자 또는 제3자의 손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시된 데이터열(이 곡의 후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하라고 지시하는)이어도 좋고, 자동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어도 좋다(자유롭게 기계측이 결정하는 리믹스와 같은).
동기 재생 제어 장치(9)는 마스터 비트 생성부(90)에 의해 마스터 비트를 생성하고, 이 마스터 비트를 리믹스 처리부(20)에 보내는 것과 동시에, 리믹스 처리부(20)가 리믹스 패턴과 메타데이터에 따라 지시한 리믹스 처리에 따라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6)로부터의 각각의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악곡을 재생한다.
도 4는 음악 편집 장치(1)가 CPU(2)에 의해 실행하는 음악 편집 프로그램의 처리 순서이다. 이 음악 편집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음악 편집 방법의 구체예이다.
먼저, CPU(2)의 리믹스 처리부(20)는 리믹스 패턴용 기억 장치(7)로부터의 리믹스 패턴 파일(7a)를 리믹스 패턴 판독부(22)에 의해 판독하여 취득한다(단계 S1). 다음에, 악곡, 예컨대 첫 번째 악곡을 동기 재생 제어 장치(9)에 취득시킨다(단계 S2). 또한, 다음 곡이 있으면(단계 S3에서 YES), 동기 재생 제어 장치(9)의 마스터 비트 생성부(90)의 템포를 결정한다(단계 S4). 이것은 14O이라면 140으로 고정되어도 좋고, 사용자가 지정하여도 된다. 다음에, 연결 패턴(이것도 패턴 파일에 기술되어 있다)을 취득한다(단계 S5).
이것으로 곡을 연결하는 방식의 패턴이 결정되었으므로, 악곡의 메타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6). 악곡 A이면, 악곡 A의 메타데이터가 취득된다. 다음에, 이펙트 처리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리믹스 패턴 파일로부터 판단하고(단계 S7), 필요하면(YES), 이펙트 처리부(100)에 의해 적합한 이펙트를 걸도록 이펙트 처리부(100)가 작동된다(단계 S8).
다음에, 음량 페이드 처리(sound volume fading)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리믹스 패턴 파일로부터 판단한다(단계 S9). 예컨대, 악곡 A와 악곡 B를 편집하여 중첩할 때에 음량을 올리거나 내리는 음량 페이드가 필요한지를 선택한다. 음량 페이드가 필요하면(YES), 페이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단계 S10). 음량을 자동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음량의 파라미터를 설정해 둔다.
다음에, 동기 재생 제어 장치(9)의 마스터 비트 생성부(90)에 대하여, 악곡의 원래의 템포를 세팅한다(단계 S11). 악곡의 원래의 템포는 메타데이터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동기 재생 제어 장치(9) 내의 비어 있는 음성 신호 생성부(free audio signal generating section)를 취득한다. 3채널의 구체예를 전술하였으나, 비어 있는 음성 신호 생성부를 취득하여, 재생하려는 악곡을 세트한다(단계 S13).
그리고, 각 악곡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취득하고나서(단계 S14), 다음의 악곡을 준비하는 포인트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5). 예컨대, SE가 크로스-페이드이면, 크로스 페이드가 그 소절의 몇 소절 앞에서 종료하고, SE가 컷-인 이면, 컷-인은 바로 시작되므로, 1소절 전부터 준비하여도 충분하다. 물론, 동시 재생은 완전하게 동시에 재생된다. 그러한 포인트에 도달하였는지를 기초로 하여, 만약 악곡을 준비하는 포인트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단계 S14로 복귀하고, 악곡을 준비하는 포인트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만약, 다음 악곡을 준비하는 포인트에 도달하였다면(YES), 단계 S2로 돌아간다.
도 5는 시간축 상의 메타데이터(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메타데이터(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악곡에 부가된 시간축 상의 보조 데이터이며, 템포뿐만 아니라 비트의 위치 정보, 소절의 서두 위치 정보, 및 인트로와 테마 등의 멜로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소절/비트(31)는 첫 번째 소절의 몇 번째 비트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11」은 첫 번째 소절의 첫 번째 비트를 나타낸다. 「14」는 첫 번째 소절의 4번째 비트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21」은 두 번째 소절의 첫 번째 비트를 나타낸다. 특히, 「1l」과 「21」은 각 소절의 선두의 비트를 나타낸다. 속성(32)은 그 위치에 무엇이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속성(32)은 소절의 서두, 보통의 비트, 멜로디, 테마 등의 위치를 나타낸다. 「018000O1」은 상기한 「11」과 「21」의 속성으로서 소절의 선두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샘플 위치는, 예컨대 악곡이 44.1 kHz로 샘플링되어 있으면, 1초 사이에 44100회 샘플링되지만, 그 위치가 샘플 단위로 기술되어 있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타데이터(30)는 텍스트 형식 또는 바이너리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도 6은 시간축 메타데이터의 구체예이다. 도 6은 음성 신호(40)와 비트 신호(41, 42)의 시간축의 메타데이터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음성 신호(40)는 좌 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동되고 있고, 이 음성 신호에 비트가 올려져 있다. 도 6에서 길이가 긴 선(41)이 소절의 선두 비트를 나타내고, 길이가 짧은 선(42)이 통상의 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소절의 선두 비트(41)와 그 이외의 비트(42)(4박자인 경우, 소절의 서두 뒤에서 4분 음표의 타이밍에서 3비트) 위치를 악곡의 샘플 위치에 대응시켜 유지하고 있다.
도 7 또한 시간축 메타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음성 신호(50)에, 비트 위치(55)뿐만 아니라 악곡의 인트로(51), A 멜로디(52, 53), B 멜로디(54), 테마 등의 멜로디 구성을 나타낸 위치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악곡의 소절 위치 또는 특정한 멜로디의 개시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1 등에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는 음악 편집 장치(1)에서는, 메타데이터가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6)에 저장된다. 메타데이터의 저장 방법은,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도 된다. 도 8a는 MP3와 같이 메타데이터(71)와 악곡 데이터(72)가 논리적으로 별개이고 물리적으로 동일한 미디어에 존재하는 예이다. 또한, 도 8b는 MPEG4와 같이 악곡 데이터(74)에 메타데이터(73)가 혼재하고 있는 예이다. 또한, 도 8c는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하여 악곡 데이터(76)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75)가 검색되는 예이다. 악곡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는 논리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서로 별개의 것이다. 이 구조는, 후술하는 음악 편집 장치(80, 110)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형태로 할 때에 적용된다. 악곡 ID에 따라 네트워크 상의 사이트로부터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9는 리믹스 패턴 파일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악곡의 메타데이터는 악곡에 대하여 1대1의 것이지만, 리믹스 패턴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악곡과는 어떠한 의존 관계도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믹스 패턴 파일은 악곡들을 연결하는 방식을 기술하는 파일이다. 리믹스의 패턴(60)에서의 곡 ID(파일)(61)의 ID_A∼ID_E는 곡명 A∼E와 동일하여도 되며, 이와 달리 절대적인 파일 이름이나 파일 경로가 될 수도 있다. 재생 부분(62)은 각각의 악곡에 대하여 어디를 재생하는지를 나타낸다. 곡 A에 대하여는 「테마」, 곡 B에 대하여는 「인트로」, 곡 C에 대하여는 「8번째 소절부터 20번째 소절까지」, 곡 D에 대하여는 곡 전체, 곡 E에 대하여는 「테마」라는 위치를 지정한다. 재생시 이펙트(63)는 각 곡의 각각의 부분에 어떤 이펙트를 가하는지를 지정한다. 연결 방식 패턴(64)은, 곡 A에 대하여 크로스-페이드이고, 곡 B와 연결할 때에 크로스-페이드로 연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곡 B로부터 곡 C는 컷-인이고, 곡 C로부터 곡 D는 크로스-페이드이며, 곡 D와 곡 E는 테마의 부분을 동시 재생으로 연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연결시 이펙트(65)는 연결 시에 이펙트로서 리버브(reverb), 로우 컷(low-cut) 또는 디스토션(distortion)을 가하는 것을 지정한다. 연결 SE(66)는 효과음을 지정한다.
도 9에 나타낸 패턴을 지시한 경우, 실제의 재생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ID_A의 테마가 재생된다 → ID_A의 테마 마지막 부근에서 ID_B 인트로가 크로스-페이드된다 → ID_B의 인트로의 종료와 동시에 ID_C의 8번째 소절의 재생이 개시된 다 → ID_C의 20소절의 수 개의 소절에서부터 ID_D가 크로스-페이드된다. 동시에 SE_A도 믹스된다 → ID_D의 테마가 재생되면, ID_E의 테마도 동시에 재생된다」
이와 같이, 리믹스 패턴은 개념적으로 종래의 플레이 리스트에 대해 곡의 어디를 어떻게 연결하라는 지시를 추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악곡을 연결하는 방법의 실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음악 재생에서는 도 23과 같이 2개의 악곡 A와 악곡 B는 각각의 악곡이 갖는 원래의 템포로 재생되고, 곡과 곡의 사이에는 무음 부분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재생 장치가 구조적으로 무음 부분 없게 연결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악곡의 전후에 다소의 무음 부분이 있는 곡도 많고, 이들 곡은 곡의 전후에 곡의 일부로서 무음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아무래도 곡 사이에 무음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도 1에 구성을 나타낸 음악 편집 장치(1)에 의하면, 도 10과 같이, 악곡의 원래의 템포에 의하지 않고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결정한 템포에 모든 악곡 A, B 및 C의 템포를 맞추고, 그리고 이들 악곡 A, B 및 C의 비트 위치(다운 비트 위치)도 맞추어 재생함으로써, 곡을 위화감 없이 끊김없게 논스톱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음악 편집 장치(1)가 악곡 A, 악곡 B 및 악곡 C를 전술한 바와 같이 비트 동기 재생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이한 템포의 3개의 악곡의 비트를 동기시켜 재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악곡 A, B 및 C의 원래의 템포와 비트 위치를 알아야 한다. 또한, 재생시에는 템포와 비트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악곡 A, B 및 C의 재생 속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원래의 템포와 비트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음악 편집 장치(1)에서는 악곡 A, B 및 C와 각각 쌍을 이루는 시간축 상의 메타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재생시에는, 악곡의 원래의 템포와 현재의 마스터 비트 템포의 비율에 기초하여 재생 속도를 변화시킨 후에, 각각의 악곡의 소절의 서두 위치를 맞추어 재생을 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악곡의 템포와 비트 위치를 정확하게 취급함으로써, 리얼타임으로 재생 위치를 제어하여 동기 재생을 행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악곡을 끊김없이 연결하는 방법은 모두 이 비트 동기 재생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도 11은, 악곡 A와 악곡 B를 비트를 정렬하여 중첩하면서, 크로스-페이드 처리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낸다. 현재의 악곡 A를 페이드아웃(음량을 서서히 작게 함)하면서 다음에 오는 악곡 B를 페이드인(음량을 서서히 크게 함)하고, 그 양쪽을 동시에 재생함으로써 양쪽의 곡이 끊김없이 바뀌는 효과가 얻어진다. 크로스-페이드는 종래부터 FM 라디오 방송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지만, 본 발명의 포인트는 이들 악곡 A와 악곡 B의 템포와 비트 위치가 나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위화감 없게 논스톱으로 악곡이 연결되는 것에 있다.
음악 편집 장치(1)에서는 도 12에 개요를 나타낸 컷-인 처리도 행할 수 있다. 악곡 A, 악곡 B 및 악곡 C의 연결이 음악적으로 깨끗한 때에는, 크로스-페이드를 행하는 것보다 도 12와 같이 그대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또한, 악곡의 비트가 잘린 곳에서 의도적으로 잘라, 다음 비트에서부터 다음 곡으 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음악 편집 장치(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음(SE)을 사용하여 악곡을 연결하고 있다. 즉, 악곡뿐만 아니라, 악곡 연결 부분이나 임의의 부분에 효과음(SE : Sound Effect)을 삽입할 수 있다. 도 13은 악곡 A, 악곡 B 및 악곡 C의 각각의 악곡 사이에 효과음을 삽입한 예이다. 도 14는 SE를 이용한 악곡 A와 악곡 B의 크로스 페이드에 의한 연결을 나타내는 예이다. 물론, 이 경우의 효과음도 마스터 비트 템포에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SE를 사이에 끼우거나 중첩함으로써, 곡조가 크게 상이한 악곡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음악 편집 장치(1)에서는 동시 재생을 행해도 된다. 상이한 악곡을 연결할뿐만 아니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트 동기를 행하여 동시에 재생을 계속한다. 템포와 비트 위치가 동기하고 있으므로, 마치 처음부터 1곡인 것으로 느낄 수도 있다.
또한, 음악 편집 장치(1)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악곡 A 중에 이펙트를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음악 편집 장치(1)는 악곡 A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이펙트(음향 효과)를 적용하여 음질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음향 효과는 단지 저음이나 고음을 강조하는 것뿐만 아니라 리버브, 딜레이, 디스토션, 맥시마이저(mzximizer) 등의 음색을 변화시키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이펙트로서, 악곡 A에는 리버브가 가해지고, 악곡 B에는 로우 컷 필터가 가해지면서, 동시에 재생하거나 상기 다양한 연결 방법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고 매력적인 연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1)에서는, 상기한 연결 방법을 적용하는 곳이 악곡 전체로 한정되지 않고, 도 17과 같이 각 악곡의 테마 부분에 적용하거나 인트로 부분에 적용하여도 상관없다. 악곡의 부분을 연결할 때에는, 예컨대 오직 테마만이 리믹스되도록 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음악 편집 장치(1)에 의하면, 리믹스 패턴을 기술한 리믹스 패턴 파일을 기초로 악곡의 리믹스를 논스톱으로 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지정한 템포로 마스터 비트 템포를 결정해도 되고, 메인이 되는 악곡의 템포에 전체를 맞추어도 된다.
따라서, 음악 편집 장치(1)에 의하면, 사용자는 종래의 방식뿐만 아니라 다음의 새로운 방식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이러한 새로운 방식은 음악을 수동적으로 청취하는 것에 의해서는 결코 얻을 수 없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을 음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음악 청취 방법을 창출하도록 하며, 자신의 현시욕구(exhibitionism)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즉, 악곡의 좋아하는 부분을 근사하게 연결하여 논스톱의 리믹스 음악으로서 들을 수 있다. 또한, 악곡의 연결 방법을 스스로 시행착오를 거쳐 선택하여 리믹스를 근사하게 만든다는 창조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다른 음악 편집 장치(8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9는 음악 편집 장치(80)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음악 편집 장치(80) 는 네트워크 통신 장치(81)를 포함하여, 인터넷(82)에 접속할 수 있다.
음악 편집 장치(80)가 네트워크 통신 장치(8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메타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의 사이트(site)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악곡의 ID만 알면, 메타데이터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 상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리믹스 패턴 파일을 인터넷(82) 등의 네트워크로 교환 및 공유함으로써 어느 사용자가 작성한 리믹스를 제3자가 다운로드하여 즐길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사용자에게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 서비스측이 제공한 리믹스 패턴을 사용해도 된다.
이 음악 편집 장치(80)에 의하면, 악곡의 연결 방법을 인터넷 등에 공개하여, 그것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복수의 사람에 의해 리믹스를 생성하여 서로 평가하는, 새로운 음악을 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악곡의 ID만 알면, 그 악곡의 메타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또 다른 음악 편집 장치(110)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음악 편집 장치(110)는 A/D 컨버터(111)를 통하여 센서(112)로부터 센서값을 취득하는 구성이며, 기능적으로 센서값 취득부를 포함한다.
센서값 취득부(113)는, 예컨대, "재생 양태 제어 장치 및 재생 양태 제어 방법(일본 공개 특허 2005-156641)"의 발명에서와 같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템포를 검출하고, 그 보행 템포에 맞추어 악곡의 템포를 변동시키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 예를 응용하면, 보행 템포에 맞추어 마스터 비트 생성부의 템포 를 변경하고, 모든 악곡을 보행 또는 조깅의 템포에 맞추어 리믹스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악곡의 전환 방법("오디오 신호의 재생기 및 재생 방법"(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5-303099))"에서와 같이 보행 또는 조깅의 템포에 맞추어 악곡을 선택하는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이들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센서가 필수적이며, 그 센서와 이들 발명의 알고리즘을 본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에 맞추어 악곡이 선택되고, 또한 이들이 리믹스되어 논스톱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a 및 도 22b는 센서 우선 모드를 갖는 음악 편집 장치(110)의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 단계는 리믹스 패턴 우선 모드 이외에 센서 우선 모드를 가지므로, 예컨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처리가 상이하게 된다. 센서 우선 모드에서는, 보행 패턴인지 또는 조깅 패턴인지를 센서가 검출하고, 그 패턴에 따라 비트를 변화시킨다.
먼저, 음악 편집 장치(110)의 모드가 센서 우선 모드인지 아니면 패턴 우선 모드인지를 결정한다(단계 S211). 이 경우, 센서 우선 모드는 사용자가 보행하고 있는지 아니면 조깅하고 있는지에 따라 선곡하는 기술이며, 곡의 순번 및 선곡 그 자체가 센서에 의해 결정되므로, 패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음악 편집 장치(110)는, 미리 픽스되어 있는 패턴 파일을 읽는 것이 아니라, 센서로부터의 값에 의해 패턴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한다.
단계 S211에서 센서 우선 모드가 아니라 패턴 우선 모드가 선택된 때에는, 전술한 도 4의 처리 단계와 마찬가지로 된다.
단계 S211 또는 단계 S212에서 센서 우선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조깅에 맞추어 악곡이 자동으로 선택되고, 선택된 악곡이 거기에 맞추어 자동으로 연결된다.
서브 루틴으로 되어 있지만, 센서의 입력으로부터 악곡과 템포를 결정한다(단계 S213). 단계 S214에 의해 다음 곡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215에 의해 마스터 비트 템포를 설정한다. 이 경우, 보행의 템포로부터 검출되어 설정된 템포로 된다. 이 경우에는, 곡의 연결이 미리 결정된 것이라고는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자동으로 결정한다(단계 S216). 예컨대, 조깅 모드라면, 악곡 전부를 크로스-페이드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도 있고, 다음 곡의 메타데이타가 그 곡이 페이드인되는 것으로 지정하고 있는 때에는, 그대로 중첩되는 경우도 있다. 단계 S217이후의 처리에 대하여는 도 4의 단계 S6 내지 S15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음악 편집 장치(11O)에 의하면, 조깅의 템포에 맞춰 악곡을 선택하고, 또한 이들을 논스톱으로 연결함으로써 조깅의 텐션 및 템포를 무너뜨리지 않고 쾌적하게 조깅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깅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에 따라서는 다른 리드미컬한 운동(댄스 등) 또는 심장 박동에 맞춘 리믹스 등이 실현될 수 있다.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사용하여, 곡을 선택하고, 또한 그 템포도 조깅의 템포에 맞추어 리믹스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곡을 자신의 템포에 맞추어 즐길 수 있다.
또한, 타이머 리믹스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음에 든 앨범의 곡 또는 자신이 만든 플레이 리스트를 통근 시간의 30분 사이에 듣고 싶은 요구가 있다. 종래에는, 앨범이 60분인 경우, 매회 30분 재생한 곳에서 곡의 재생을 도중에 정지하는 수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지정한 악곡집이 30분에 알맞게 되도록, 템포 및 곡의 사용할 부분을 선택하여 리믹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깅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30분 동안만 달리고 싶을 때에는, 조깅 템포에 대응하는 30분 동안의 곡의 리믹스가 생성될 수 있다.
테마만을 통근시의 30분에 맞도록 리믹스하고,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에 정확히 리믹스가 끝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도착 시각 부근에서는, 템포를 점점 늦게 하거나 특정의 SE를 중첩되게 하여, 이제 도착한다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악 편집 장치(80, 110)에 의하면, 악곡의 연결 방법을 인터넷 등에 공개하여, 그것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복수의 사람이 리믹스를 생성하여 서로 평가하는, 새로운 음악을 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사이트로부터 악곡에 대응시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를 이용하여, 더욱 자신의 상황 및 상태에 맞는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지금까지의 전문적인 크리에이터 및 뮤지션이 만든 작품을 그대로 즐기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세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이들 작품을 자신의 표현을 위한 소재로서 재이용하고 재구성하여 즐긴다는 새로운 세계를 사용 자가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음악에서 즐거움을 발견하는 사용자가 증가하면, 음악 업계 전체가 활성화된다. 또한, 음악 업계측에서 보아도, 사용자측에서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악곡 작품과 그것을 창출하는 새로운 크리에이터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업계와 사용자에 의한 새로운 음악 문화 창조의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의 이용 가능한 특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는, 기억 장치에 기록된 복수의 악곡의 템포와 다운비트(down-beat)를 정해진 타이밍에서 정렬하고, 복수의 재생 제어 장치를 유지하는 재생부에서, 상기 복수의 악곡을 모두 동시에 동기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생성 및 재생 장치이다. 또한, 상기 악곡은 곡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악곡은 음악적으로 구성된 1개의 곡뿐만 아니라, 효과음, 회화, 어나운스먼트(announcement) 등의 음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는 동기 재생 시에 임의의 악곡에 대하여 임의의 악곡 개시 위치 및 임의의 타이밍에서 자유롭게 발음의 개시/정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임의의 위치 및 임의의 타이밍은 특히 소절 단위, 박자 단위, 멜로디 구성 단위로의 지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특징을 이용하고, 현재 재생 중인 악곡에 대하여 상이한 다른 악곡의 임의 부분을 임의의 타이밍에서 동시에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특징을 이용하고,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의 임의의 부분에서 재생 을 정지하고, 중단되는 일 없이 상이한 다른 악곡의 임의 부분을 즉시 재생 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는, 동기 재생시에 동시에 재생 중인 각각의 악곡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음량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음량 조정을 이용하고, 동시 재생 시에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의 음량을 내리고 다음 악곡의 음량을 올리면서 동시에 합성하여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는 동기 재생 시에 동시에 재생 중인 각각의 악곡에 대하여, 신호 처리에 의한 이펙트 처리를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기 재생 동안, 상기 악곡에 대응하여 미리 기록된 템포, 박자, 다운비트 위치, 멜로디 구성 변화 위치 정보 등으로 구성되는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타이밍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가 악곡과 동일한 파일에 기록되어 있거나 또는 별개의 파일로서 기록되어, 악곡과의 대응을 데이터 베이스 및 식별자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기 재생시의 악곡의 범위, 발음 개시 타이밍, 음량의 제어 방법 및 이펙트 처리의 종류는, 생성 및 재생 방법을 기술한 패턴 파일을 별도로 준비하고, 그것을 기초로 리얼타임으로 재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템포는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는 자동으로 결정되는 템포로서 센서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심박 센서(heart rate sensor), 체온 센서, 신체 움직임 센서, 뇌파 센서 등의 본 발명의 음악 편집 장치는에 부가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 파일은 본 장치 내의 기억 장치에 기록될 뿐만 아니라, 외부 기억 장치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취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다수의 악곡의 전체 또는 부분을 비트를 정렬하여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편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악곡의 전체 또는 일부를 리얼타임으로 위치별로 연결하여 재생할 수 있다.

Claims (10)

  1. 음악 편집 장치에 있어서,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생성되고 적어도 시간축 상의 비트 위치(time-based beat position)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와, 리믹스 패턴을 결정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리믹스 처리를 행하는 리믹스 처리부;
    마스터 비트를 생성하고, 이 마스터 비트를 상기 리믹스 처리부에 보내는 동시에, 상기 리믹스 처리부가 상기 리믹스 패턴 파일과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응하여 지시한 리믹스 처리에 따라 각각의 상기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악곡을 재생하는 동기 재생 제어부; 및
    상기 동기 재생 제어부에 의해 재생된 악곡을 혼합하는 혼합부
    를 포함하는, 음악 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믹스 처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메타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리믹스 패턴 파일을 판독하는 리믹스 패턴 판독부를 포함하는, 음악 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재생 제어부는, 마스터 비트를 생성하여, 상기 리믹스 처리부에 공급하는 마스터 비트 생성부와, 복수의 악곡의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 계통의 음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음악 편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타데이터용 기억 장치, 상기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악곡용 기억 장치, 및 리믹스 패턴을 기억하고 있는 리믹스 패턴용 기억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음악 편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재생 제어부는 복수의 악곡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사용하는, 음악 편집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재생 제어부의 복수 계통의 각각의 상기 음성 신호 생성부는, 디코더 및 타임 스트레치부(time stretch section)를 포함하는, 음악 편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음악 편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믹스 패턴 파일을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하는,
    음악 편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행 또는 조깅의 템포를 계측하여 취득하는 센서값 취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계측된 템포에 기초하여 마스터 비트 템포를 생성하는,
    음악 편집 장치.
  10. 음악 편집 방법에 있어서,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생성되고 적어도 시간축 상의 비트 위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와, 리믹스 패턴을 결정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리믹스 처리를 행하는 리믹스 처리 단계;
    마스터 비트를 생성하고, 이 마스터 비트를 상기 리믹스 처리 단계에 보내는 동시에, 상기 리믹스 처리 단계가 상기 리믹스 패턴과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응하여 지시한 리믹스 처리에 따라 복수의 악곡을 재생하는 동기 재생 제어 단계; 및
    상기 동기 재생 제어 단계에 의해 재생된 악곡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
    를 포함하는, 음악 편집 방법.
KR1020087013806A 2005-12-09 2006-12-07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 KR20080074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6825 2005-12-09
JPJP-P-2005-00356825 2005-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977A true KR20080074977A (ko) 2008-08-13

Family

ID=3812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806A KR20080074977A (ko) 2005-12-09 2006-12-07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5333B2 (ko)
EP (1) EP1959429A4 (ko)
JP (1) JPWO2007066819A1 (ko)
KR (1) KR20080074977A (ko)
CN (1) CN101322180B (ko)
WO (1) WO20070668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63A (ko) 2018-06-25 2020-01-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악기 시각화 기반 미디 음악 편곡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02717175T1 (de) * 2001-04-17 2004-07-08 Kabushiki Kaisha Kenwood System zum transferieren von informationen über attribut zum beispiel einer cd
JPWO2007066813A1 (ja) * 2005-12-09 2009-05-21 ソニー株式会社 音楽編集装置、音楽編集情報の作成方法、並びに音楽編集情報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5259083B2 (ja) * 2006-12-04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マッシュアップ用データの配布方法、マッシュアップ方法、マッシュアップ用データのサーバ装置およびマッシュアップ装置
JP5007563B2 (ja) * 2006-12-28 2012-08-22 ソニー株式会社 音楽編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11466B2 (ja) * 2007-03-28 2009-08-12 ヤマハ株式会社 演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US7956274B2 (en) * 2007-03-28 2011-06-07 Yamaha Corporation Performan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7525037B2 (en) * 2007-06-25 2009-04-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eat mixing a plurality of songs using an electronic equipment
JP2009093779A (ja) * 2007-09-19 2009-04-30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7915512B2 (en) * 2008-10-15 2011-03-29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adence of music on a personal audio device
JP5967564B2 (ja) * 2010-04-17 2016-08-10 Nl技研株式会社 電子オルゴール
US9024166B2 (en) * 2010-09-09 2015-05-05 Harmonix Music Systems, Inc. Preventing subtractive track separation
JP5594052B2 (ja) * 2010-10-22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楽曲再構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03603A (ja) * 2010-11-12 2012-05-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楽曲区間抽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70352B1 (en) * 2011-10-25 2015-06-30 Mixwolf LLC System and method for mixing song data using measure groupings
US9111519B1 (en) * 2011-10-26 2015-08-18 Mixwolf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uepoints for mixing song data
GB201202565D0 (en) 2012-02-15 2012-03-2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Packaging
JP2014052469A (ja) * 2012-09-06 2014-03-20 Sony Corp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70351B2 (en) * 2012-09-19 2015-06-30 Ujam Inc. Adjustment of song length
CN103928037B (zh) * 2013-01-10 2018-04-13 先锋高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音频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8927846B2 (en) * 2013-03-15 2015-01-06 Exomens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and creation of music
US9280313B2 (en) * 2013-09-19 2016-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ally expanding sets of audio samples
US9798974B2 (en) 2013-09-19 2017-10-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ommending audio sample combinations
US9372925B2 (en) 2013-09-19 2016-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bining audio samples by automatically adjusting sample characteristics
US9257954B2 (en) 2013-09-19 2016-02-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audio harmonization based on pitch distributions
US9613605B2 (en) * 2013-11-14 2017-04-04 Tunesplice, Ll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duration of a song
CN103902647A (zh) * 2013-12-27 2014-07-0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能设备上的乐谱识别方法及智能设备
JP6330619B2 (ja) * 2014-10-24 2018-05-3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音楽編集装置、及び、音楽編集プログラム
EP4218975A3 (en) 2015-05-19 2023-08-30 Harmonix Music Systems, Inc. Improvised guitar simulation
US10101960B2 (en) 2015-05-19 2018-10-16 Spotify Ab System for managing transitions between media content items
GB2539875B (en) * 2015-06-22 2017-09-20 Time Machine Capital Ltd Music Context System, Audio Track Structure and method of Real-Time Synchronization of Musical Content
US9799314B2 (en) 2015-09-28 2017-10-24 Harmonix Music Systems, Inc. Dynamic improvisational fill feature
US9773486B2 (en) 2015-09-28 2017-09-26 Harmonix Music Systems, Inc. Vocal improvisation
US9502017B1 (en) * 2016-04-14 2016-11-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Automatic audio remixing with repetition avoidance
GB2571340A (en) * 2018-02-26 2019-08-28 Ai Music Ltd Method of combining audio signals
CN108202334B (zh) * 2018-03-22 2020-10-23 东华大学 一种能够识别音乐节拍和风格的舞蹈机器人
CN108831425B (zh) * 2018-06-22 2022-01-04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混音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867174B (zh) * 2018-08-28 2024-11-19 努音有限公司 自动混音装置
CN112347300A (zh) 2019-08-08 2021-02-09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用于实现节奏型曲目智能匹配与添加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282A (ja) * 1993-04-08 1994-12-13 Sony Corp 音楽出力装置
JP2970396B2 (ja) * 1994-04-22 1999-11-02 ヤマハ株式会社 波形処理装置
JP2956569B2 (ja) * 1996-02-26 1999-10-0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861381B2 (ja) * 1997-06-13 2006-12-20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698553B2 (ja) * 1998-08-05 2005-09-21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000244811A (ja) * 1999-02-23 2000-09-08 Makino Denki:Kk ミキシング方法およびミキシング装置
JP3570309B2 (ja) * 1999-09-24 2004-09-29 ヤマハ株式会社 リミックス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610841B2 (ja) * 1999-10-13 2005-01-19 ヤマハ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及び方法
JP4293712B2 (ja) * 1999-10-18 2009-07-08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オーディオ波形再生装置
JP3843688B2 (ja) 2000-03-15 2006-11-08 ヤマハ株式会社 楽曲データ編集装置
JP3870671B2 (ja) 2000-06-26 2007-01-24 ヤマハ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03022660A (ja) * 2001-07-05 2003-01-24 Kenwood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モード表示方法
JP3778024B2 (ja) 2001-07-30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3114678A (ja) 2001-07-30 2003-04-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3114677A (ja) 2001-07-30 2003-04-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3050588A (ja) 2001-08-06 2003-02-21 Pioneer Electronic Corp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4646099B2 (ja) * 2001-09-28 2011-03-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オーディオ情報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情報再生システム
US6933432B2 (en) 2002-03-28 2005-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dia player with “DJ” mode
US20030205124A1 (en) * 2002-05-01 2003-11-06 Foote Jonathan T.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and sequencing music by rhythmic similarity
JP2003345351A (ja) 2002-05-27 2003-12-03 Nec Corp 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方法
JP4226313B2 (ja) * 2002-12-19 2009-02-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楽音再生装置及び楽音再生プログラム
US7208672B2 (en) * 2003-02-19 2007-04-24 Noam Camiel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ing and mixing audio tracks
US7521623B2 (en) * 2004-11-24 2009-04-21 Apple Inc. Music synchronization arrangement
US7189913B2 (en) * 2003-04-04 2007-03-13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audio data with dynamic tempo change during playback
US20040254660A1 (en) * 2003-05-28 2004-12-16 Alan Seefeldt Method and device to process digital media streams
JP2005156641A (ja) 2003-11-20 2005-06-16 Sony Corp 再生態様制御装置及び再生態様制御方法
US7026536B2 (en) * 2004-03-25 2006-04-11 Microsoft Corporation Beat analysis of musical signals
JP2005303099A (ja) 2004-04-14 2005-10-27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プラズマ処理方法
US7592534B2 (en) * 2004-04-19 2009-09-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usic composition reproduction device and composit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518053B1 (en) * 2005-09-01 2009-04-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eat matching for portable audio
US20070074618A1 (en) * 2005-10-04 2007-04-05 Linda Vergo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music to guide a user through an activity
US20080097633A1 (en) * 2006-09-29 2008-04-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eat matching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63A (ko) 2018-06-25 2020-01-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악기 시각화 기반 미디 음악 편곡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2180A (zh) 2008-12-10
US20090133568A1 (en) 2009-05-28
JPWO2007066819A1 (ja) 2009-05-21
WO2007066819A1 (ja) 2007-06-14
CN101322180B (zh) 2012-01-11
US7855333B2 (en) 2010-12-21
EP1959429A4 (en) 2011-08-31
EP1959429A1 (en)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4977A (ko)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
KR101287984B1 (ko) 음악 편집 장치 및 음악 편집 방법
US7678983B2 (en) Music edit device, music edit information cre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here music edit information is recorded
JP4412128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Huber The Midi manual: A practical guide to Midi within Modern Music production
JP3978909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639154B1 (ko) 하나의 파일로 일반 음악, 반주 음악, 가사 미리불러주기, 코러스 기능, 뮤직비디오 제작이 가능한 음원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장치
JP4739598B2 (ja) 音楽データ再生装置
KR20090023912A (ko)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JP4489650B2 (ja) 歌詞文字に基づいて切り貼り編集を行うカラオケ録音編集装置
US12236926B2 (en) System for selection and playback of song versions from vinyl type control interfaces
KR20100078457A (ko) 멀티소스 음악 컨텐츠를 이용한 선택적 다운믹싱 음악컨텐츠 서비스방법
JP3900576B2 (ja) 音楽情報再生装置
JP2001318670A (ja) 編集装置、方法、記録媒体
JP4229064B2 (ja) 音声合成装置および音声合成プログラム
JP2007079413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オーディオ配信システム、オーディオ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オーサリングプログラム
JP2007133440A (ja) 音楽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