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438A -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1438A KR20080071438A KR1020070009667A KR20070009667A KR20080071438A KR 20080071438 A KR20080071438 A KR 20080071438A KR 1020070009667 A KR1020070009667 A KR 1020070009667A KR 20070009667 A KR20070009667 A KR 20070009667A KR 20080071438 A KR20080071438 A KR 200800714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e
- list
- line
- mobile terminal
- mem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날짜 구분장치는 송수신부와; 카메라와; 메모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송수신 된 신호리스트와 촬영된 영상 리스트와 입력된 메모 리스트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들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와; 상기 유닛들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날짜 구분방법은 날짜 구분선을 표시하는 과정 및; 날짜 구분선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저장된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용이하게 구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휴대단말기, 날짜, 날짜 구분선.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된 문자메시지 리스트에 날짜 구분선을 설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화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110: 송수신부
120: 카메라 130: 키패드
140: 메모리 150: 표시부
160: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리스트들의 날짜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용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제반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빠른 속도로 보급화가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단말기로 가입된 서비스 지역 내에서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상대 가입자와 통화를 하거나 메시지 및 사진 등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나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함)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정지영상 및 동영상의 촬영, 메모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리스트는 단순히 목록만 나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날짜에 송수신 된 문자 메시지와 통화기록, 촬영된 영상 및 작성된 메모 등을 확인하고 싶거나, 저장된 리스트의 날짜를 알고 싶은 경우 일일이 선택하여 확인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말기의 날짜 구분장치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메모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수신 된 신호리스트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리스트와 상기 키패드에서 입력된 메모 리스트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들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유닛들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리스트는 송수신 된 문자메시지 리스트와 통화기록 리스트를 포함하는 리스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리스트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정지영상 및 동영상 리스트를 포함하는 리스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는 송신 문자메시지 보관함과; 수신 문자메시지 보관함과; 송수신 통화기록 보관함과; 정지영상 보관함과; 동영상 보관함 및;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는 날짜 구분선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짜 구분선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에 출력시키는 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짜 구분선은 라인(Line) 또는 날짜를 포함하는 라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말기의 날짜 구 분방법은, 날짜 구분선을 표시하는 과정 및; 날짜 구분선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휴대단말기의 리스트 출력화면에서 메뉴를 설정하여 날짜 구분선 표시의 유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날짜 구분선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짜 구분선은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기 위해 출력되는 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짜 구분선은 라인(Line) 또는 날짜를 포함하는 라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스트는 송수신 문자메시지 리스트와, 송수신 통화기록 리스트와, 촬영된 영상 리스트와, 작성된 메모 리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리스트는 정지영상 리스트와 동영상 리스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 치(100)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110)와; 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120)와; 메모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130)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수신 된 신호리스트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리스트와 상기 키패드에서 입력된 메모 리스트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140)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들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150) 및; 상기 유닛들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송수신부(110)는 링크된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문자 메시지 또는 전화를 송수신하면, 제어부(160)는 이를 메모리(140)에 날짜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40)는 송신된 문자 메시지를 보관하는 송신 문자 보관함과 수신된 문자를 보관하는 수신 문자 보관함과 송수신 된 통화기록을 보관하는 전화통화 보관함을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가 카메라(120)를 통하여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이를 메모리(140)에 날짜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40)는 정지영상 보관함과 동영상 보관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메모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이를 메모리(140)에 날짜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40)는 메모 보관함을 더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가 송수신 된 문자메시지의 확인을 위해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문자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면 송수신 된 문자 메시지의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날짜 구분선이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또는, 사용자가 전화통화 기록의 확인을 위해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통화 모드로 전환하면 송수신 된 통화기록의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날짜 구분선으로 구분되어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의 확인을 위해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면 촬영된 영상의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날짜 구분 선으로 구분되어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작성한 메모의 확인을 위해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메모 모드로 전환하면 작성된 메모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날짜 구분선으로 구분되어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짜 구분선은 상기 표시부(150)에 상기 리스트들의 날짜 구분을 위해 선 또는 날짜를 포함하는 선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된 문자메시지 리스트에 날짜 구분선을 설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화면들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수신 문자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여 수신된 문자 메시지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 메시지 리스트를 날짜별로 구분하여 보고 싶 을 때는 "메뉴"를 선택하여 "3. 날짜구분"(210)을 선택하면 도 2(a)와 같이 두 가지의 서브 메뉴가 출력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날짜를 표시하는 구분선을 원할 경우 "3.1 날짜표시"(220)를 선택하면 도 2(b)와 같이 날짜가 표시된 수신 문자 메시지 리스트가 출력된다.
수신된 문자 메시지 리스트는 날짜가 포함된 구분선(240)으로 구분됨으로 사용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 리스트를 날짜별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날짜가 포함된 구분선(240)이 화면에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수신된 문자 메시지 리스트가 적게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도 2(a)의 "3.2 구분선"(230)을 선택하여 도 2(c)와 같이 구분선(250)만을 출력함으로써 도 2(b)보다 많은 수의 수신된 문자 메시지 리스트를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 리스트만을 대상으로 기술하였으나, 송신된 문자 메시지, 전화통화 기록, 촬영된 영상, 메모 리스트 등도 도 2(a) 내지 도 2(b)와 같은 방식으로 날짜를 포함하는 구분선 또는 단순한 선을 이용하여 날짜별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화면에서 메뉴를 선택하여 휴대단말기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리스트에 날짜 구분선을 표시하도록 설정한다(3410).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송수신 문자 메시지 리스트, 전화통화 기록 리스트, 촬영된 영상 리스트, 메모 리스트 등의 리스트들을 보는 중에 각 모드 상에서 메뉴아이콘을 선택하여 날짜구분 모드를 선택한다.
그 후 상기 메뉴에서 날짜구분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서브메뉴에서 상기 사용자는 날짜 구분선의 종류를 선택한다(S420).
즉, 상기 사용자는 날짜구분 모드의 서브 메뉴에서 날짜 구분선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짜 구분선은 상기 화면에 상기 리스트들의 날짜 구분을 위해 선 또는 날짜를 포함하는 선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 구분선에 의해 상기 리스트들은 날짜별로 구분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된다(S430).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보관된 리스트를 날짜별로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은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용이하게 구분함으로써 저장된 리스트들의 검색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도 있 다.
Claims (12)
-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메모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수신 된 신호리스트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리스트와 상기 키패드에서 입력된 메모 리스트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와;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들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 및;상기 유닛들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리스트는송수신 된 문자메시지 리스트와 통화기록 리스트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리스트는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정지영상 및 동영상 리스트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송신 문자메시지 보관함과;수신 문자메시지 보관함과;송수신 통화기록 보관함과;정지영상 보관함과;동영상 보관함 및;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는 날짜 구분선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 구분선은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에 출력시키는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 구분선은라인(Line) 또는 날짜를 포함하는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 날짜 구분선을 표시하는 과정 및;날짜 구분선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휴대단말기의 리스트 출력화면에서 메뉴를 설정하여 날짜 구분선 표시의 유무를 설정하는 단계와;상기 날짜 구분선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 구분선은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리스트들을 날짜별로 구분하기 위해 출력되는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 구분선은라인(Line) 또는 날짜를 포함하는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송수신 문자메시지 리스트와, 송수신 통화기록 리스트와, 촬영된 영상 리스트와, 작성된 메모 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리스트는정지영상 리스트와 동영상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9667A KR20080071438A (ko) | 2007-01-30 | 2007-01-30 |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9667A KR20080071438A (ko) | 2007-01-30 | 2007-01-30 |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1438A true KR20080071438A (ko) | 2008-08-04 |
Family
ID=3988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9667A KR20080071438A (ko) | 2007-01-30 | 2007-01-30 |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71438A (ko) |
-
2007
- 2007-01-30 KR KR1020070009667A patent/KR200800714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09309B2 (ja) | 携帯用端末機で関係基盤情報を出力する装置及び方法 | |
US7627349B2 (en) | Alternative notifier for multimedia use | |
KR101922467B1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첨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20080182621A1 (en) | Sim application toolkit application to track phone usage and location | |
EP1732039A1 (en) | Method of zoom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2007007018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 |
CN105630490A (zh) | 消息通知显示页面的布局调整方法及装置 | |
KR101108837B1 (ko) |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저장장치 및 방법 | |
JP2011509009A (ja) |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 |
CN104182419A (zh) | 对图片中的文字信息进行处理的方法及装置 | |
KR20100116279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100630165B1 (ko) |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 |
KR100565314B1 (ko) |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방법 | |
KR20080071438A (ko) | 휴대단말기의 날짜 구분장치 및 방법 | |
KR10110811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 |
KR20050053887A (ko) |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 |
KR100630184B1 (ko) |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 |
KR100557152B1 (ko) |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 |
KR100640348B1 (ko) |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 |
KR100605956B1 (ko) |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 |
KR100735379B1 (ko) |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자동 재전송 방법 | |
KR100620693B1 (ko) | 집계용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의견 조사에 대한 자동집계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집계용 메시지 서버 | |
JP5745015B2 (ja) |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装置 | |
JP5427933B2 (ja) |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 |
KR20060068143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정보 저장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