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7152B1 -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152B1
KR100557152B1 KR1020030078971A KR20030078971A KR100557152B1 KR 100557152 B1 KR100557152 B1 KR 100557152B1 KR 1020030078971 A KR1020030078971 A KR 1020030078971A KR 20030078971 A KR20030078971 A KR 20030078971A KR 100557152 B1 KR100557152 B1 KR 10055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shortcut
input
image data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035A (ko
Inventor
김휘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하나의 단축번호로 등록한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북의 번호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북의 번호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다이얼링, SMS, 영상데이터, 폰 북, 단축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METHOD FOR EXECUTING OF MULTI ABBREVIATED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 도 3b는 도 2의 멀티단축기능 중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 도 4f는 도 2의 멀티단축기능 중 SMS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 - 도 5e 도 2의 멀티단축기능 중 영상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a - 도 7f는 도 6의 멀티단축기능 중 SMS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a - 도 8e 도 6의 멀티단축기능 중 영상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멀티 단축기능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기능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키 조작을 통해 메뉴 화면을 선택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의 경우에도 항상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메뉴를 선택하여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메뉴기능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위해 메뉴항목을 탐색한 후 대기상태로 돌아왔을 때 다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기상태에서부터 메뉴를 차례차례 탐색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특정 메뉴에서 타이머가 종료되어 대기상태 화면으로 빠져버리는 경우도 역시 처음부터 다시 메뉴를 탐색해야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대기상태 이전의 기능을 재차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수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하나의 단축번호로 등록한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북의 번호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북의 번호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등록한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하나의 단축번호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번호를 일정시간 내에 입력 시, 상기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번호로 시작하는 번호들을 일정시간 이상 입력 시, 상기 동일인의 관련번호들 중 해당번호를 다이얼 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메시지 작성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촬영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사진촬영 선택 시,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 선택 시,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 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통호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선택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메시지 작성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촬영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사진촬영 선택 시,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 선택 시,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 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문장 보관함, 영상 보관함, 특정 키 및 단축메뉴의 종류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 단축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130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들이 저장된 문장보관함과, 정지화상 및 동영상과 같은 영상데이터들이 저장된 영상보관함과 번호들이 저장된 폰 북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단축메뉴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 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축메뉴를 표시한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 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3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3 및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 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단축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단축메뉴 중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 는 폰 북의 번호를 자동 다이얼링을 한다. 또는 상기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자동 전송한다. 또는 상기 단축메뉴 중 영상전송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자동 전송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 2 -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번호를'1'번이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대기모드인 2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27의 '1'번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키 입력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키 입력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의 '1'번 단축번호를 가지는 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하는 210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키 입력이 일정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단축메뉴 중 다이얼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해당 번호의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다이얼링 수행과정을 도 3a - 도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다이얼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의 '1'번 단축번호를 가지는 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3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다이얼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1'번의 단축번호로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표시하는 32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번호들은 동일인의 관련번호로 즉 핸드폰번호, 집 번호, 회사번호등을 나타낸다. 상기 번호들은 저장 시 하나의 단축번호인 '1'로 함께 저장되며, 또한 각각의 번호들은 상기 단축번호'1'로 시작하는 번호들 '11', '12', '13'등을 각각의 단축번호로 가지게 된다. 상기 동일인의 관련번호를 하나의 단축번호로 저장하여 수행하는 방법은 도 9의 동작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320단계의 '1'번의 단축번호로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해당번호를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32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SMS 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SMS 기능 수행과정을 도 4a - 도 4f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장보관함에서 '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는 메시지를 검색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10은 검색된 메시지를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자동 전송하는 4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42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메시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423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43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메시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32단계애서 이를 감지하고 433단계에서 폰 북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434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 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3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435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새 문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44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40단계에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442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새 문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45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50단계에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5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53단계에서 폰 북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454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5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455단계를 진행한 다.
또는 상기 도 4f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문장보관함에서'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46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메시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확인 후 상기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 검색 또는 직접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하는 46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번호로 전송하는 463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메시지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 기능 수행과정을 도 5a - 도 5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영상보관함에서 '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영상보관함에서 '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자동 전송하는 5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52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데이터들은 소화면 크기인 썸네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썸네일로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각각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52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2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번호의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53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데이터들은 소화면 크기인 썸네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썸네일로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각각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32단계애서 이를 감지하고 533단계에서 폰 북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53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3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53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53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3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번호의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영상촬영메뉴를 표시하는 54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영상촬영메뉴 중 사진촬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54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4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촬영된 사진 영상데이터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54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4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번호의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4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54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4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하는 54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4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번호의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영상보관함에서'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55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방향키등과 같은 특정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순서적으로 표시하 도록 제어한다.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후 상기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 검색 또는 직접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하는 55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번호로 전송하는 55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5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폰 북에서'1'번의 단축번호를 가지며 저장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번호를'1'번이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통화모드인 6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27의'1'번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하면 6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6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단축메뉴 중 번호표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6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1'번의 단축번호로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표 시하는 6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번호들은 동일인의 관련번호로 즉 핸드폰번호, 집 번호, 회사번호등을 나타낸다. 상기 번호들은 저장 시 하나의 단축번호인 '1'로 함께 저장되며, 또한 각각의 번호들은 상기 단축번호'1'로 시작하는 번호들 '11', '12', '13'등을 각각의 단축번호로 가지게 된다. 상기 동일인의 관련번호를 하나의 단축번호로 저장하여 수행하는 방법은 도 9의 동작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SMS 전송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SMS 전송기능 수행과정을 도 7a - 도 7f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장보관함에서'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메시지를 검색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검색된 메시지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자동 전송하는 7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72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메시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723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 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73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메시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32단계애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하는 73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743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73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735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새 문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74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740단계에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742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7e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새 문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75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750단계에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5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53단계에서 폰 북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754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75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755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7f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SM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문장보관함에서'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76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메시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확인 후 상기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7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 검색 또는 직접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하는 76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번호로 전송하는 763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메시지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 기능 수행과정을 도 8a - 도 8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영상보관함에서 '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영상보관함에서'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자동 전송하는 8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82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데이터들은 소화면 크기인 썸네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썸네일로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각각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82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2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83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데이터 들은 소화면 크기인 썸네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썸네일로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각각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전송하고 하는 적어도 1개의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32단계애서 이를 감지하고 833단계에서 폰 북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83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3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선택된 수신자의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83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83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3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 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영상촬영메뉴를 표시하는 84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영상촬영메뉴 중 사진촬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84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84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촬영된 사진 영상데이터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84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4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4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84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84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84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4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8e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메뉴 중 영 상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영상보관함에서 1'번의 저장순번을 가지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85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방향키등과 같은 특정키의 입력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보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후 상기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 검색 또는 직접입력을 통해 수신번호를 선택하는 85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수신번호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번호로 전송하는 85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85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기지국의 서버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알린다. 상기 SMS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수신됨을 인지한 상기 수신자는 상기 기지국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현재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폰 북을 통해 한 사람의 영상이미지, 핸드폰 번호,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등을 저장하는 경우, 상기 번호들은 각기 다른 단축번호를 가지며 폰 북에 저장된다. 결국 폰 북에는 동일인과 관련된 번호들이 각각 저장된 다수개의 단축번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폰 북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단축번호를 기억할 수 없어 일일이 폰 북에 저장된 번호들을 검색하여 전화 를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하나의 단축번호로 등록한다. 이런 경우 해당 사람의 영상이미지도 하나만 등록하면 된다. 그리고 폰 북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단축번호가 '1' 이라면, '11'을 입력 시 핸드폰번호로 , '12' 이라면 '집 전화번호', '13' 이라면 '회사번호'를 다이얼링한다. 상기와 같이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하나의 단축번호로 등록한 후 다이얼링하는 동작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단축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번호를'1'번이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함께 상세히 설명 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대기모드인 2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27의 '1'번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9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키 입력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키 입력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9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의'1'번 단축번호를 가지는 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하는 920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키 입력이 일정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9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1'번을 단축번호로 저장된 번호들을 표시하는 9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904단계에는 단축번호 '1'로 저장된 동일한 사람의 핸드폰 번호, 집 번호, 회사번호등이 표시된다, 상기 904단계에서 표시된 번호들은 폰 북에 저장될 때 하나의 단축 번호인 '1'을 대표 단축번호로 저 장되며, 각각의 번호들은 상기 대표 단축번호를 시작번호로 하여 또 다른 단축번호가 주어지면 저장된다. 그러므로 상기 904단계에서 표시된바와 같이 핸드폰 번호의 단축번호는 '11'이 되며, 집 전호의 단축번호는 '12', 회사번호의 단축번호는 '13'이 된다. 상기 표시된 번호 중 해당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9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번호가 다이얼링하는 9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폰 북에'1'을 대표 단축번호로 하면서 전화번호들을 저장했을 때,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11'중 마지막 번호인'1'을 일정 시간이상 길게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은 9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11'을 단축번호로 가지며 저장된 동일인의 핸드폰 번호로 다이얼링하는 908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12'중 마지막 번호인'2'를 일정 시간이상 길게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은 9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를 단축번호로 가지며 저장된 동일인의 집 번호로 다이얼링하는 9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13'중 마지막 번호인'3'을 일정 시간이상 길게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은 9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3'을 단축번호로 가지며 저장된 동일인의 회사번호로 다이얼링하는 912단계를 진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능수행에 있어 사용자에게 빠르고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하나의 단축번호로 등록한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북의 번호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북의 번호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번호의 키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메시지 작성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촬영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사진촬영 선택 시,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 선택 시,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 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등록한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선택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메시지 작성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데이터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촬영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사진촬영 선택 시,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 선택 시,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하나의 단축번호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번호를 일정시간 내에 입력 시, 상기 동일인의 관련번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번호로 시작하는 번호들을 일정시간 이상 입력 시, 상기 동일인의 관련번호들 중 해당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번호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 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4.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5.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메시지 작성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 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촬영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사진촬영 선택 시,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 선택 시,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다이얼링을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특정번호를 단축번호로 가지는 폰 북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7.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호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8.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문장보관함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들 중 선택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영상보관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들 중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9.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메시지 작성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촬영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사진촬영 선택 시, 사진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사진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메뉴 중 동영상촬영 선택 시, 동영상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촬영모드에서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촬영된 동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0.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 단축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에서 특정번호의 키를 일정시간 내 입력 시,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SMS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문장보관함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에서 영상전송 선택 시, 상기 특정번호를 저장순번으로 가지는 영상보관함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통화가 연결된 수신자의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번호 입력 시, 상기 표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78971A 2003-11-10 2003-11-10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KR10055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71A KR100557152B1 (ko) 2003-11-10 2003-11-10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71A KR100557152B1 (ko) 2003-11-10 2003-11-10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35A KR20050045035A (ko) 2005-05-17
KR100557152B1 true KR100557152B1 (ko) 2006-03-03

Family

ID=3724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971A KR100557152B1 (ko) 2003-11-10 2003-11-10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619B1 (ko) * 2005-09-26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KR100735329B1 (ko) * 2006-07-2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35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308B1 (ko) 촬영 사진 입력된 주소정보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를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9017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0606076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처리방법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KR100557152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KR100630165B1 (ko)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67821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KR10054776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방법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28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KR20050053887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6302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KR1006300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재구성방법
KR10073537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자동 재전송 방법
KR100640348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KR1007248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통한 통화수행 방법
KR200400670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삭제 방법
KR100663531B1 (ko) 휴대 단말기의 시간 표시방법
KR100666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답신 메시지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KR1010233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mp3파일 편집 및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