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497A - Pointing device for computer using touch pad - Google Patents
Pointing device for computer using touch p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2497A KR20080052497A KR1020070126851A KR20070126851A KR20080052497A KR 20080052497 A KR20080052497 A KR 20080052497A KR 1020070126851 A KR1020070126851 A KR 1020070126851A KR 20070126851 A KR20070126851 A KR 20070126851A KR 20080052497 A KR20080052497 A KR 200800524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 button
- touch pad
- function
- computer
- point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59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57 finger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8 ref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67 tired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255 tire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에 의해 수행되는 포인팅모드에서의 소정의 기능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부를 구비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기능버튼부가 눌러져서 온 상태인 경우, 상기 기능버튼부의 표면의 높이가 상기 기능버튼부 주위면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Specifically, a touch pad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pointer on a screen, and a command of a predetermined function in a pointing mode performed by the touch pad. In the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having a function button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when the function button uni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unction button unit is pressed,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It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드에 구비된 기능버튼을 누르기가 더욱 용이해지고, 특히 기능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포인터의 위치제어를 하는 것이 보다 편리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ier to press a function button provided in the touch pad, and in particular, it is more convenient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using the touch pad while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에 의해 수행되는 포인팅모드에서의 소정의 기능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부를 구비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서 사용되는 기능버튼부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pad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on a screen,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in a pointing mode performed by the touch pad.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button unit used in the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having a function button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컴퓨터가 GUI(graphic user interface)시스템으로 전환되게 한 것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실행 명령의 내용과 위치를 지정하여 주는 포인터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장치로 마우스가 등장하고 나서부터이다. The computer was converted in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 since the advent of the mouse as a device that allows the computer monitor to move the pointer that specifies the content and location of the executable command.
그 이후로 컴퓨터가 휴대용으로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하기 위해 컴퓨터의 외부에 연결된 마우스를 대체하기 위해 컴퓨터에 일체형으로 터치패드 포인팅 장치가 내장용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Since then, as computers have become smaller and more portable, touch pad point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s integral parts of the computer to replace a mous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for added convenience.
도 1은 포인팅장치로 터치패드를 구비한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notebook computer having a touch pad as a pointing device.
포인팅장치의 구성은 터치패드(110), 제1기능버튼(120), 스크롤 휠(140), 제2기능버튼(130)으로 구성된다. The pointing device includes a
제1기능버튼은 오른손잡이에게 명령선택/실행 기능을 담당하여 모니터에서 포인터를 메뉴를 선택하고 실행시키고, 제2기능버튼은 메뉴확장기능을 담당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 시스템에서 숨겨진 명령, 정보, 메뉴를 드러내게 된다. The first function button plays the command selection / execution function to the right-handed user, and selects and executes the pointer on the monitor menu. The second function button plays the menu expansion function. , The menu will be revealed.
스크롤 휠은 모니터상의 내용을 좀 더 효율적으로 검색하기위해 화면의 내용을 상하로 신속하게 움직이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The scroll wheel is responsible for quickly moving the contents of the screen up and down to navigate the contents of the monitor more efficiently.
한편, 제1기능버튼 및 제2기능버튼은 왼손잡이에게도 동일한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능버튼의 기능이 오른손잡이와 반대로 프로그램을 통해 적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unction button and the second function button may be applied through the program as opposed to the right-handed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to provide the same convenience to the left-handed.
도 1에서와 같이, 마우스나, 터치패드, 포인팅스틱 등의 포인팅장치는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부분과 추가적으로 수반되는 실행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능의 명령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a touch pad, and a pointing stick is provided with a part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and a button for additional function command to input an accompanying execution command.
한편, 마우스는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 마우스 자체를 이동시키지만, 키보드 등에 일체화되는 터치패드나 포인팅스틱의 경우 장치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대신 손가락을 움직여서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use moves the mouse itself to se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but in the case of a touch pad or pointing stick integrated with a keyboard, the position of the device is fixed, and instea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is set by moving a finger.
그런데 고정된 장치 위에서 손가락을 움직여서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하고 각종 기능버튼을 누르는 것은, 마우스와 같이 장치 자체를 움직이고 손이 포인팅장치 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능버튼을 누르는 것에 비해 대단히 불편하다는 단 점이 있다. However, moving the finger on a fixed devic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pressing various function buttons has the disadvantage of moving the device itself like a mouse and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while the hand is fixed on the pointing device. .
즉, 마우스의 경우 포인터의 위치 설정에 필요한 동작과 그에 따르는 실행 명령을 위한 명령버튼을 작동하는 손동작이 마우스의 움직임이 끝난 후에 손가락이 정지된 상태에서 누름동작에 의해 종료되므로 편리한데 반해, 터치패드나 포인팅스틱은 포인트의 위치를 설정한 후에 추가적으로 손가락의 위치가 이동해야 하므로 입력행위의 연속성과 신속성에서 마우스에 비해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거나, 엄지가 기능버튼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검지가 움직여야 하므로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a mouse, the touch pad is convenient because the operation required to se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the operation of the command button for executing the command are terminated by pressing the finger in a stopped state after the movement of the mouse. B. Pointing stick needs to be moved additionally after setting point position,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compared to mouse in continuity and promptness of input action, or index finger should move while thumb is fixed on function button. The force will enter the discomfort.
예를 들면, 마우스는 위치좌표 선정과 동시에 손이나 손가락의 추가적인 이동 없이 실행명령을 엄지, 검지, 중지에 의해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음에 반해 터치패드 장치는 명령버튼을 작동시키기 위해 부자연스럽거나 추가적인 손목, 손가락의 움직임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손을 사용하여야만 실행명령의 입력이 완성되게 된다. For example, a mouse can perform various commands by using the thumb,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without additional movement of the hand or finger at the same time as selec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whereas the touchpad device may use an unnatural or additional wrist to operate the command button. In this case, the input of the execution command is completed only when both hands are used.
이런 연유에서 아직까지 노트북의 본체에 이들 포인터 입력장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For this reason, even though these pointer input devices exist in the main body of the notebook, a separate mouse is connected and used.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었는데, 이러한 노력의 일환을 보여주는 예가 한국특허 10-0259264호(등록번호)인데 도 2에 그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 특허에서는 터치패드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탈착식 터치패드를(210)을 고안하였는데 터치패드의 반대편에 볼마우스의 형태의 부가적인 입력장치를 형성하여 필요시에 컴퓨터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무선으로 작동하게 함으로 써 마우스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improve such inconvenience in use, an example of this effort is shown in Korean Patent No. 10-0259264 (registration number), the structure is shown in FIG. In this patent, the
또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7-003481호의 경우 터치패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손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은 키보드에 위치하고 단지 양손의 엄지손가락만으로 터치패드로 위치좌표를 설정 및 명령실행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게 명령버튼 두 개를 키보드의 스페이스 바 아래에 위치한 터치패드의 좌측에 배치하였다(도 3). In addition, in the case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97-003481,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are placed on the keyboard to reduce the movement of the hand to operate the touch pad. Two command buttons were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touchpad located below the space bar of the keyboard so as to operate (Fig. 3).
또 다른 한국특허출원 제2000-0013510호에는 키보드의 키를 터치패드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여 마우스 혹은 터치패드를 사용하기 위한 손의 움직임을 줄이거나 마우스나 터치패드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In another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0-0013510, a method of reducing the movement of a hand or a space occupied by a mouse or a touch pad by allowing a key of a keyboard to function as a touch pad. Also presented.
그리고 일본 특허출원 제2000-213492호는 터치패드(410)와 실행버튼(420) 및 스크롤버튼(430)을 도 4와 같이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이후 수반되는 명령을 추가적인 손의 움직임이 없이 검지와 중지로 클릭버튼을 작동시켜 실행할 수 있는 형태를 고안하였다.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0-213492 arrange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구들은 기능버튼 등의 위치나 터치패드에 새로운 부가기능의 추가 등에 관해서만 제시하고 있을 뿐, 기능버튼 자체에 대해서 연구된 바는 아직 없다. However, the above studies only suggest the position of the function button or the like and the addition of a new additional function to the touch pad, and the function button itself has not been studied yet.
즉, 포인팅장치로서 터치패드가 마우스에 비해 사용상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드래그(drag)(기능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작업) 등의 작업시 마우스는 단순히 기능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고 손 자체를 움직이면 되지만, 터치패드의 경우 기능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손가락을 계속 움직여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기능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인데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That is, one of the reasons that the touch pad as a pointing device causes inconvenience in use compared to the mouse is that the mouse during operations such as drag (controlling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pointer while pressing a function button) Simply press the function button and move the hand itself without moving the finger.However, in the case of the touchpad, keep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and keep moving the finger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It is not easy to maintain, and there is no research on this.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누르기가 더 용이하고, 누른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위치의 제어가 편리한 기능버튼을 구비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제어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having a function button which is easier to press, and has a convenient function of controlling a position using the touch pad in a pressed state, and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에 의해 수행되는 포인팅모드에서의 소정의 기능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부를 구비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기능버튼부가 눌러져서 온 상태인 경우, 상기 기능버튼부의 표면의 높이가 상기 기능버튼부 주위면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pad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on a screen, and a function button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predetermined function in a pointing mode performed by the touch pad. In the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provided, when the function button unit is in a state that the function button unit is pressed,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or more Provided is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pad.
여기서,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면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기능버튼부의 외측 표면에, 상기 기능버튼부의 주위면 이상으로 돌출하여 구비된 기능버튼;The function button unit may include a function butt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so as to be pressed by a us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by protruding beyo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상기 기능버튼과 상기 기능버튼부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기능버튼이 눌러진 경우 이를 다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체; 및 상기 기능버튼이 소정 깊이 이상 눌러진 경우 상기 기능버튼에 의해 눌러져서 온이 되고 상기 기능버튼이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원 위치로 복원된 경우 오프가 되도록 상기 기능버튼부의 저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function butt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and restoring the function button again when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And a switch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part so that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on by the function button when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depth and turned off when the function butt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기능버튼은 하면에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스위치의 측면에, 상기 기능버튼부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능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기능버튼에 구비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Here, the function button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on the lower surface, the function button porti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witch, when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guide projection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상기 기능버튼은 레버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에 의해 수행되는 포인팅모드에서의 소정의 기능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부를 구비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부는 인체의 접촉에 의해 기능이 온이 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The function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ever.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having a touch pad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on a screen, and a function button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predetermined function in a pointing mode performed by the touch pad. In the above, the function button unit provides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that is turned on by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여기서, 상기 기능버튼부에서 상기 인체의 접촉에 의해 기능이 온이 되는 스위치는 터치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witch that is turned on by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in the function button unit is preferably a touch pad.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패드부와, 상기 터치패드에 의해 수행되는 포인팅모드에서의 소정의 기능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능버튼부가 인체의 접촉에 의해 기능이 온이 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화면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부에 인체의 접촉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체의 접촉이 있는 경우, 접촉되어 있는 동안의 시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의 시간 및 접촉의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능버튼부에 입력된 명령의 종류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명령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화면제어방법을 제공한다.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pad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pointer on a screen, and a function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predetermined function in a pointing mode performed by the touch pad. In the screen control method using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a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button unit, the function button unit is provided with a switch that is turned on by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Determining if there is contact; Classifying a type of command input to the function button unit by using the contact time, the time during contact, the time during which no contact is made, and the number of touches;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tinguished command. The screen control method using the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using the touch pad is provided.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드에 구비된 기능버튼을 누르기가 더욱 용이해지고, 특히 기능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포인터의 위치제어를 하는 것이 보다 편리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ier to press a function button provided in the touch pad, and in particular, it is more convenient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er using the touch pad while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터치패드를 구비한 포인팅 장치에서 기는버튼이 눌림 스위치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먼저 예로 들어 설명한다. First, in the pointing device with a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button operates in a push switch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의 1차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기능버튼이 눌러진 경우 표면의 높이가 기능버튼 주위의 높이 이상, 즉 적어도 주위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One of the primary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the height of the surface is set to be at least the height around the function button, ie at least the same height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5 is as follows.
도 5는 터치패드(502)와 기능버튼(501)을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손가락 누름 위치에 따라 5b~b"와 5c~c"에 나타내고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5의 5a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포인팅 장치의 일 예로, 설명의 편의상 터치 패드(502) 외에 기능버튼(501)이 하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5A of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ointing device having a touch pad,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re is one
도 5b(5b`, 5b``)는도 5a서 A-A`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기능버튼의 개념을 도입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c(5c`, 5c``)는 본 발명의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FIG. 5B (5b 'and 5b') is a sectional view based on AA 'in FIG. 5A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cept of a conventional function button is introduced, and FIG. 5C (5c' and 5c '). Illustrates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5b와 5c는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먼 쪽의 기능버튼 모서리를 누르기 전 상태로서 기능버튼이 off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5b는 손가락이 닿는 기능버튼 면이 주위의 높이와 같은 경우를 5c는 off 상태에서 주위보다 높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5b and 5c show that the function button is off before the finger presses the edge of the function button away from the touchpad. 5b shows a case where the function button surface touched by the finger is the same as the surrounding height, and 5c shows a case where the finger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s in the off state.
5b'와 5c'는 각각 눌려져서 on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손가락(엄지)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5b''와 5c''는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가까운 기능버튼 모서리를 누를 경우 각각 off 상태와 on 상태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5b 'and 5c' represent the position of the finger (thumb) when pressed and turned on, respectively, and 5b '' and 5c '' are off and on respectively when the finger presses the edge of the function button close to the touchpad. Is showing.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포인팅장치로 사용되는 터치패드가 가지는 단점은 도 5b~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손가락이 닿는 기능버튼 접촉면이 주변의 주위면과 높이가 같아 오프(off) 상태에서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만, 온(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능버튼이 주위면보다 함몰되는 관계로 가운데 부분만을 눌러줘야 하고 가장자리를 누를 경우 기능버튼의 주위면에 의해 누름동작이 방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손가락이 기능버튼의 중앙에 있어야 누름동작이 원활하여 진다.As shown in FIG. 5, the disadvantage of the touchpad used as a conventional pointing device is that the function button contact surface where the finger touches is the same height as the surrounding surface as shown in FIGS. In the case of the finger movements naturally, but in order to maintain the on state, the function button is recessed from the surrounding surface, so only the center part should be pressed, and when the edge is pressed, the pressing operation is disturbed by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The finger must be at the center of the function button for smooth pressing.
특히 기능버튼의 중앙을 누르기 위해서는 손가락이 주위면과 평행하게 누워서는 안 되고 어느 정도 기울어져 손가락 끝만을 이용하여야 누름이 원활해진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ss the center of the function button, the finger should not lie in parallel with the surrounding surface, but tilted to some extent, and only the fingertips should be used for smooth pressing.
이에 반해 도 5c~c''에 나타난 본 발명에 제공하는 기능버튼의 구조는 오프(off) 상태에서 기능버튼이 주위면에 비해 돌출되어 있지만 눌려진 상태에서는 주위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거나 주위면보다 높게 되므로, 손가락을 세워서 누를 필요가 없고, 따라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심지어 손가락이 주위의 주위면을 이용하여 누름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기준면으로 작용하여 손가락이 기능버튼과 맞닿는 주위면만을 누르고 있어도 온(on)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 butt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c ~ c '' in the off (off) function button protrudes compared to the peripheral surface but in the pressed state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peripheral surface or higher than the peripheral surfac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finger uprigh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free, and even if the finger presses only the peripheral surface wher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function button, it acts as a reference surface to keep the pressing state using the surround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n state.
따라서 기능버튼을 누르는 손가락이 기능버튼의 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대한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이 단지 기능버튼과 맞닿는 주위면을 확인하는 정도의 최소한의 힘만을 유지하면, 혹은 중력에 의한 손의 무게만으로도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finger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does not need to apply the maximum force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unction button, but only to maintain the minimum force enough to check the peripheral surface contact with the function button, or the weight of the hand by gravity You can stay on alone.
그리고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능버튼의 또 다른 장점은 기능버튼을 작동시키는 손가락(주로 엄지)이 주위면과 평행하게 누운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손가락에 걸리는 힘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그 이유는 도 5b에 나타난 엄지의 모양을 갖기 위해서는 손바닥이 주위면으로부터 떨어져야 하고 이렇게 손바닥이 주위면으로부터 떨어지면 손을 지지하는 힘이 터치패드를 조작하는 손가락(검지)과 기능버튼을 조작하는 손가락(엄지)에 집중되게 된다. And another advantage of the function butt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c is that the finger (mainly thumb) for operating the function button can be operated even while lying parallel to the peripheral surface. This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because the palm must be away from the periphery in order to have the shape of the thumb shown in Figure 5b. The focus is on the finger (finger) and the finger (thumb) operating the function button.
하지만 도 5c에 나타난 손가락의 모양은 손바닥이 주위면에 닿아도 괜찮기 때문에 손을 지지하는 힘이 손바닥에 집중하여 상대적으로 손가락에 작은 힘이 걸리고 이러한 작은 힘은 기능버튼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작게 하여도 문제가 없기 때 문에 결과적으로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의 누름동작도 편하게 하는 것이다. However, the shape of the finger shown in Figure 5c is because the palm can touch the surrounding surface, so the force supporting the hand is concentrated on the palm and relatively small force is applied to the finger, and this small force reduc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of the function button. This is because there is no problem, so as a result, it is easy to press the finger operating the function button.
더 나아가서 기능버튼이 온 상태에서 주위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경우 온 상태에서도 도 5c''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패드 위쪽으로 더 나아갈 수도 있어서 결과적으로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터치패드를 작동하는 손가락과 같이 자유롭게 주위면과 평행하게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점이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버튼의 기술이다.Furthermore, when the function button is on and has the same height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even when the function button is on, the finger may move further upward above the touch pad as shown in FIG. 5C '', an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finger operating the function button operates the touch pad. It is possible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in parallel with the surrounding surface freely like a finger. This is the description of the function button to b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도 7은 기능버튼의 폭(도 6과 도 7에서 'C')의 변화가 가져오는 편리성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폭이 5mm이하인 경우(도 6)와 10mm이상인 경우(도 7)를 비교해 보면 폭이 작은 경우(도 6)는 손가락이 기능버튼의 아래위로 맞닿는 두 개의 주위면 모서리 모두를 항상 감지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들이고 누름상태를 유지하며 움직일 수 있는데 반해 폭이 큰 경우(도 7)는 기능버튼과 맞닿는 주위면 모서리 중 하나만을 감지하며 누름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하며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기능버튼의 폭이 커지면 그만큼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커지게 되어 작동상의 편리함을 가져온다. 6 and 7 illustrate the convenienc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width of the function button ('C' in FIGS. 6 and 7). If the width is less than 5mm (Fig. 6) and more than 10mm (Fig. 7), if the width is small (Fig. 6), the two peripheral edges where the finger touches the up and down of the function button are always detected and are relatively small. In the case of a large width (FIG. 7), only one of the edges of the peripheral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unction button should be kept pressed and must be pressed with a relatively large force. However, the greater the width of the function button, the greater the movement of the finger to operate the function button, bringing convenience in operation.
한편, 도 9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터치패드의 기능버튼(70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기능버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having a touch pad, taken along a line BB ′ of the
도 9는 기능버튼(702)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온/오프가 가능하게 하는 돔(dome)스위치(703)와 스프링(704)를 이용한 구조이다. 터치패드(702)의 기능버튼(702)을 오프 상태(9a)일 때와 온 상태(9b, c, d)일 때를 보여 주며 손가락의 위 치가 왼쪽(9b), 오른쪽(9d)과 그 중간 위치인 기능버튼의 가운데(9c)를 누를 때 기능버튼의 높이의 변화를 가져오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FIG. 9 illustrates a structure using a
도 9에 도시된 터치패드의 기능버튼부를 보면 기능버튼(702), 스위치(703), 탄성체(7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9, the function button part of the touch pad illustrated in FIG. 9 includes a
구체적으로, 기능버튼(702)은 상면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기능버튼부의 외측 표면에 기능버튼부의 주위면(705)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기능버튼(70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눌러진 경우에도 주위면(705) 아래로는 내려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탄성체(704)는 기능버튼(702)과 기능버튼부의 저면(706) 사이에 구비되어, 기능버튼(702)을 지지하고, 기능버튼(702)이 눌러진 경우 이를 다시 복원시킨다. 탄성체(704)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로는 스프링이 있으며,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눌려진 기능버튼을 위로 다시 복원시킬 수 있는 물건이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The
스위치(703)는 기능버튼(702)이 소정 깊이 이상 눌러진 경우 기능버튼(702)과 접촉하고 기능버튼(702)에 의해 눌러져서 온이 되고 기능버튼(702)이 탄성체(704)의 탄성에 의해 원 위치로 복원된 경우 오프가 되도록 기능버튼부의 저면(706)에 설치된다. The
한편, 도 9과 같은 형태로 기능버튼부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약간의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unction button unit is configur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ure 9 has some disadvantages.
스위치(703)를 작동시키기 위해 기능버튼(702)을 누르는 손가락의 기능버튼 상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를 온 시키는 높이가 달라진다. 즉, 기능버튼(702)의 가운데가 아닌 좌, 우의 끝단을 누르게 되는 경우에는 중앙을 누르는 경우보다 더 깊이 눌러야 온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The height at which the switch is turned on depends on the position on the function button of the finger pressing the
따라서 도 5c에 나타난 바와 달리 도 9의 경우는 기능버튼을 누르는 손가락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기능버튼 위를 움직일 경우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unlike FIG. 5C, in the case of FIG. 9, when the height of the finger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is fixed, the ON state cannot be maintained when the function button is moved over the function button.
예를 들면 손가락이 9c의 위치에서 9d의 위치로 이동할 경우 기능버튼의 높이를 동일하다고 여겨 움직이게 되고 그럴 경우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바뀌게 되어 사용자의 작업이 다시 반복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For example, when the finger moves from the position of 9c to the position of 9d, the height of the function button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and in this case,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so that the user's work must be repeated again.
즉 도 5의 5c의 경우에는 도 5c는 그냥 기준면(주위면)에 닿기만(touch) 하면 되지만 도 9의 경우는 닿기만 해서는 안 되고 항상 눌러줘야(depress)만 하는 것이어서 작업의 어려움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5c of FIG. 5, FIG. 5c only needs to touch the reference plane (peripheral surface), but in FIG. 9, it should not be touched and should always be depressed, thus showing the difficulty of operation. .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기능버튼(702)의 하부에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기능버튼부의 저면(706)에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방법이 있다. In order to alleviate this disadvantage, there is a method of providing a guide groov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10은 기능버튼(702)의 하부에 가이드 홈(707)을 구비하고, 기능버튼부의 저면(706)에는 가이드 돌기(708)가 구비된 기능버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function button unit having a
가이드홈(707) 및 가이드 돌기(70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존재할 수도 있고, 하나만 있는 경우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의 복수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0, two
또한 가이드홈(707) 및 가이드 돌기(708)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 각 가이 드홈(707) 및 가이드 돌기(70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스위치(703)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가이드 홈(707) 및 가이드 돌기(708)는 서로 맞물리도록 크기가 설정되므로, 기능버튼(702)이 눌러질 때에는 가이드 돌기(708)가 가이드 홈(707)을 따라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기능버튼(702)의 끝단을 누르는 경우에도 기능버튼(703)은 수편을 유지하면서 눌러지게 되고, 결국 어디를 누르더라도 스위치(703)의 온이 유지되는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Since the
이상에서는 기능버튼이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눌러진 경우 기능버튼이 맞닿는 주위면과 높이가 같은 경우를 중심으로 논의하였지만 실제로 온 상태에서 주위면보다 높아도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의 자유로움과 작동상의 원리도 동일하여 문제가 되지 않는다.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to maintain the on state has been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case where the function button is in contact with the same height as the surrounding surface, but even when the function button is actually higher than the surrounding surface in the on state, as shown in FIG. The principle of loom and operation is the same, so it does not matter.
또한, 도 12와 같이 기능버튼의 손가락이 닿는 면이 평면이 아닌 곡면 구조를 갖는 경우도 가능한데, 도 12의 12a는 온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최고점이 주위면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이고 12b는 온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최고점이 주위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surface where the finger of the function button touches may have a curved structure that is not flat. 12a in FIG. 12 is a case where the highest point of the function button i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surrounding surface while 12b is in the on state. In this state, the highest point of the function button is in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surrounding surface.
온 상태에서의 기능버튼이 주위면보다 높은 경우에도 도 9에 나타나는 기능버튼의 단점(기능버튼에 손가락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온되는 높이의 차이가 발생하여 손가락이 기능버튼 위를 움직임에 따라 기능버튼이 높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점)이 없고 온 상태에서 주위면과의 높이 차가 10mm이상 바람직하게는 5mm이상 되지 않는다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Even when the function button in the on state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surface, the disadvantage of the function button shown in FIG. 9 (a difference in the height caused by the position of the finger on the function button occurs, and the function button is moved as the finger moves over the function button. If there is no mov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height difference from the surrounding surface in the on state is not more than 10mm, preferably more than 5mm can be used equally.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기능버튼이 레버형태로 구비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unction butt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ev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기능버튼(1302)의 일측단에 구비된 홈이 원통형 축(1309)에 연결되어 기능버튼부 장치의 허용 각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타측단은 탄성체(1304)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하여 복원이 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버튼의 누름과 누름해제가 수행된다. That is, the groove provided at one end of the
이 경우에도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기능버튼(1302)의 최고점은 주위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계된다. Even in this case, the highest point of the
도 13과 같은 기능버튼부의 경우 기능버튼이 축(1309)에 의해 고정되므로 좌우 어느 끝을 누르더라도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눌러지게 되고, 따라서 기능버튼(1302)을 누른 상태에서 손이 이동하더라도 온 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unction button unit as shown in FIG. 13, the function button is fixed by the
이상과 같이, 기능버튼의 어느 쪽을 누르더라도 기능버튼의 전체면이 바닥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눌러지게 되면, 현재의 기능버튼 상의 손가락이 놓여 있는 자리에서 손가락이 감지하고 있는 높이가 손가락이 기능버튼 위를 따라 움직이더라도 변화되지 않으면 그 자체가 기준면으로 작동하게 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이 편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entire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while keep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parallel to the floor, the height detected by the finger at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on the current function button is placed is as described above. If you do not change even if you move over the function button itself will act as a reference plane to ease the movement of the finger.
정리하면 도 5c와 도 6 등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능버튼의 높이가 기능버튼과 맞닿는 주위면과 동일한 경우는 주위면이 기준면으로 작동하는 것이고, 도 11 등과 같이 온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면이 주위면보다 높은 경우에는 기능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손가락 닿는 면이 기준면으로 작동하여 이 면을 따라 손가락이 움직이기만 하며 온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In summary, when the height of the function button is the same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function button, as shown in FIGS. 5C and 6,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cts as a reference plane, and the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in the on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If it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surface, the finger touching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acts as a reference surface while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and the finger moves along this surface to keep it on.
따라서 기준면이 평면이든 곡면이든, 고정면(주위면)이든 동작면(기능버튼 위면)이든 기능버튼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이 이 면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Therefore, whether the reference plane is a flat surface, a curved surface, a fixed surface (peripheral surface) or an operating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the finger operating the function button can be freely moved along this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on state of the function button. It is the key.
따라서 터치패드의 포인팅작업 중 드래깅(drag) 작업이나 긴 문장 선택작업은 포인팅작업 중에 손가락으로 기능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기능 버튼을 누르는 손가락과 포인팅작업을 위해 터치패드위에서 움직여야 하는 손가락 모두 힘이 들어 피로감을 초래하는데 본 발명의 기능버튼 구조 하에서는 이러한 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져 마우스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dragging or long sentence selection during the pointing operation of the touchpad requires holding the function button with the finger during the pointing operation. Therefore, both the finger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and the finger that needs to move on the touchpad for pointing operation In this case, it causes fatigue, but under the function butt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work is easily made, which brings convenience in use such as a mouse.
또한, 도 13과 같이 기능버튼이 레버 형태를 갖는 경우도 오프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손가락이 닿는 면이 주위면과 기울기를 가질지라도(도 13a) 기능버튼이 눌러졌을 때 동일한 높이를 유지(도 13b)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버튼의 작동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function button has a lever shape as shown in FIG. 13, even when the surface of the function button touches the finger has an inclination with the surrounding surface (FIG. 13A), the same height is maintained when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FIG. 13B). It can be used as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function button.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능버튼을 누름식 스위치가 아닌 인체의 접촉에 의해 기능이 온이 되는 스위치를 이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4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use of a switch that is turned on by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rather than the push-type switch as a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체의 접촉에 의해 기능이 온이 되는 스위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터치패드가 있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switch in which a function is turned on by contact of a human body is a touch pad using capacitance.
도 14에서와 같이 도 1에서 사용된 통상적인 정전용량의 터치패드를 두 개를 사용하여 하나는 기능버튼의 기능만을 담당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two conventional capacitive touch pads used in FIG. 1 may be used so that one functions only a function of a function button.
기능버튼의 수가 복수개 필요한 경우, 기능버튼용으로 복수개의 터치패드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기능버튼용 터치패드(1402)를 필요한 기능버튼의 수만큼 영역을 분할하고,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를 감지하여 어떤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If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re required, a plurality of touch pads may be provided for the function buttons. However, the
또한, 기능버튼 전용의 터치패드(1402)는 제1기능버튼(오른손잡이용 마우스의 경우 왼쪽 기능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포인터 위치 제어용 터치패드(1401)는 제2기능버튼(오른손잡이용 마우스의 경우 오른쪽 기능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제2기능버튼의 경우 드래그 기능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포인터 위치 제어용 터치패드(1401)를 탭(tap) 하는 경우 제2기능버튼의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하면 기존의 포인팅 장치에 추가적으로 하나의 터치패드만을 더 구비하면 2개의 기능버튼이 구비된 일반적인 포인팅 장치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second function button does not include a drag function, when the
또한, 기능버튼 전용의 터치패드(1402)를 영역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영역분할된 수 + 1'만큼의 기능버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도 14의 14c는 접촉되어 있는 동안의 시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의 시간 및 접촉의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능버튼부에 입력된 명령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14C of FIG. 1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classifying a type of a command input to the function button unit by using a time during contact, a time during which no contact is made, and the number of touches.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번 탭하면 단순한 클릭으로, 한 번 탭 한후 바 로 다시 접촉하여 그 상태를 유지(탭앤드터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홀드(Hold: 드래그 등의 경우에 사용)로, 두 번 연속 탭 한 경우에는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when tapping once, it is a simple click. When tapping and touching again, it is held (tap and touch). In the case of one consecutive tap, it can be set to recognize by double clicking.
이 때 단순한 클릭인지, 홀드인지 더블 클릭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터치패드에 접촉한 시간(ton)과 접촉하지 않은 시간(tff)이 중요한데, 이 ton과 toff 시간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ther a simple click, it holds that the double-click recognize nine minutes important for one hour (t on) and time (t ff) does not touch contacts on the touch pad to the, the t on and t off time users can set up direct It is desirable to.
이러한 탭핑에 의한 기능버튼 기능의 구현은 우연한 접촉에 의한 기능버튼 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터치패드를 작동하는 손가락이 기능버튼용 터치패드(1402)에 접촉하고 있어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더 나아가서 드래깅(dragging) 작업을 위한 기능버튼의 홀드(hold) 상태도 탭핑에 이어지는 접촉으로 구현하면 이 역시 우연한 접촉과 구별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function button function by tapping can prevent the function button operation due to accidental contact, so even if a finger operating the touch pad is in contact with the
그리고, 기능버튼용 터치패드(1402)는 몸체는 하나이지만 실질적인 기능은 여러 개로 분할할 수 있는 확장성이 기계적 누름스위치보다 훨씬 향상되는 이점을 가져온다. In addition, the
또한, 누름스위치에 수반되는 누름 동작(press and hold) 자체를 없앨 수 있어 터치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기능버튼을 누르기 위한 엄지의 피곤함을 많이 해소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ress (hold and hold) itself associated with the push switch can be eliminated a lot of tiredness of the thumb for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when using the touch pad.
본 발명의 터치에 의한 기능버튼의 구현은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터치패드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인체가 접촉하였는지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기만 하면 되 므로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function button by the t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capacitive touch pad, but only another device may be used because only a human body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ody has been touched.
따라서 터치스크린 등에 터치스위치 방식으로 이용되는 광센서, 도전필름, 금속세선 매립, 압력센서, 표면파 반사 방식 모두 본 발명의 기능버튼을 대체할 수 있는 방식이 된다. Therefore, an optical sensor, a conductive film, a thin metal wire embedding, a pressure sensor, and a surface wave reflection method, which are used as a touch switch method in the touch screen, can all replace the function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다양한 회로의 구현도 가능한데 그 예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Various circuits may also be implemented,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FIGS. 15 and 16.
도 15는 IC(IC 4011)를 이용한 전자식 터치스위치의 회로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A단자에 신체가 접촉하면 C-D 단자에 연결된 외부회로가 연결되어 온 상태가 되고, B단자에 접촉하면 C-D 단자에 연결된 외부회로가 단절되어 오프 상태로 변환시켜 준다. 15 show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 touch switch using an IC (IC 4011). When a body is in contact with terminal A, an external circuit connected to the CD terminal is connected. When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erminal B, the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to a CD terminal. The circuit is disconnected and turned off.
일반적인 기능버튼과 동일한 작동 기작을 가지려면 B 단자가 신체의 일부가 항상 접촉될 수 있도록 손바닥 거치면에 금속판을 배열하고 여기에 B 단자를 연결하면 기능버튼 스위치는 항상 오프 상태로 있게 되며 온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A 단자를 도 14에 보이는 기능버튼(1402)과 연결하고 이에 손가락이 접촉하여야 한다. To have the same operation mechanism as a normal function button, a metal plate is placed on the palm of the palm so that the B terminal is alway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body, and when the B terminal is connected to it, the function button switch is always in the off state and is turned on. In order to connect the A terminal with the
회로에 표시된 바와 같이 A와 B 단자에 이어진 저항치의 차이(A 단자 - 10kΩ, B 단자 - 10MΩ)에 의해 신체가 A-B 단자를 동시에 접촉하여도 A 단자와의 접촉이 우세하여 on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B 단자와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A 단자와의 신체 접촉이 끊어지면 C-D 단자에 연결된 회로는 오프 상태로 환원된다.As shown in the circuit, even though the body contacts the AB terminal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with the A terminal is domina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esistances between the A and B terminals (A terminal-10 kΩ, B terminal-10 MΩ). If the body contact with the A terminal is lost while the contact with the B terminal is maintained, the circuit connected to the CD terminal is reduced to the OFF state.
도 16은 트랜지스터(C9012, C458)를 이용한 전자식 터치스위치의 회로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A-B 단자에 손가락 혹은 신체의 일부가 동시에 접촉하면 C-D 단자에 연결된 외부회로가 온 상태로 되고 손가락 혹은 신체의 일부의 접촉이 끊기면 외부회로가 오프 상태로 변환시켜 준다. 따라서, A 단자는 도 14의 기능버튼(엄밀한 의미에서 전도성 판)에 연결하고, B 단자는 신체의 일부가 항상 닿게 되는 손바닥 거치면의 전도체 판에 연결하여 터치패드를 조작할 때 이 전도판에 손바닥이 닿도록 하여 C-D 단자에 연결된 외부회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FIG. 16 show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 touch switch using transistors C9012 and C458. When a finger or a part of a body contacts the AB terminal at the same time, an external circuit connected to the CD terminal is turned on and a finger or a part of the body is touched. This break causes the external circuit to switch off. Therefore, the A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unction button (conductive plate in the strict sense) of FIG. 14, and the B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plate of the palm mounting surface where a part of the body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conductive plate when operating the touch pad. To make sure that the external circuit connected to the CD terminal is kept off.
도 17은 기능버튼부로 터치패드, 터치스위치 등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17 is a block diagram funct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touch pad, a touch switch, etc. as a function button unit.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접촉판단부(1701), 명령구분부(1702), 제어부(17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7,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터치패드(1401)에 기능버튼 기능이 할당되어 있고, 기능버튼 전용의 터치패드(1402)가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영역에 각기 다른 기능버튼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function button function is assigned to the
접촉판단부(1701)는 터치패드 등에 인체의 접촉이 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터치패드(1401)에 접촉이 있었는지, 제2터치패드(1402)에 접촉이 있었는지 파악하고, 제2터치패드에 접촉이 있는 경우 제1영역에 접촉이 있었는지, 제2영역에 접촉이 있었는지를 파악하고, 접촉한 시간 및 접촉이 해제된 시간을 측정한다. The
명령구분부(1702)는 접촉판단부(1701)에서 파악한 접촉되어 있는 동안의 시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의 시간 및 접촉의 횟수를 이용하여 기능버튼부에 입력된 명령의 종류를 구분한다. The
구체적인 예는 도 14의 14c에 도시되어 있고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명령구분부(1702)에서 각 명령을 구분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시간, 즉 각 명령을 구분하기 위해서 접촉한 시간(ton)과 접촉하지 않은 시간(tff)의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A specific example is shown in 14c of FIG. 14 an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t this time, the threshold value of the time used as a reference for distinguishing each command in the
제어부(1703)는 명령부분부(1702)에 의해 구분된 기능버튼의 명령이 실행되도록 컴퓨터를 제어한다. The
도 18은 기능버튼부로 터치패드, 터치스위치 등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터치 패드를 구비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using a computer pointing device having a touch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touch pad, a touch switch, or the like as a function button unit.
도 18도 도 17에서와 같이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제1터치패드(1401)에 기능버튼 기능이 할당되어 있고, 기능버튼 전용의 터치패드(1402)가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영역에 각기 다른 기능버튼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8 and 17, the function button function is assigned to the
먼저, 접촉판단부(1701)는 터치패드 등의 어느 부위에 인체의 접촉이 있는지 접촉한 시간 및 횟수가 어떻게 되는지를 파악한다(1801). First, the
다음으로, 명령구분부(1702)는 접촉판단부(1701)에서 파악한 접촉되어 있는 동안의 시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의 시간 및 접촉의 횟수를 이용하여 기 능버튼부에 입력된 명령의 종류를 구분한다(1802). Next, the
이렇게 명령의 종류가 구분되면, 제어부(1703)는 명령부분부(1702)에 의해 구분된 기능버튼의 명령이 실행되도록 컴퓨터를 제어한다(1803). When the types of commands are divided in this way, the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도 1은 포인팅장치로 터치패드를 구비한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notebook computer having a touch pad as a pointing device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포인팅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2 to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inting device
도 5는 터치패드와 기능버튼을 자른 단면을 손가락 누름 위치에 따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the touch pad and a function button according to a finger pressing position;
도 6과 도 7은 기능버튼의 폭(도 6과 도 7에서 'C')의 변화가 가져오는 편리성에 대하여 보여주는 도면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convenience brought about by the change of the width of the function button ('C' in FIGS. 6 and 7).
도 8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의 일 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8 illustrates a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pointing device using a touch pad;
도 9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의 또 다른 일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9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with a touchpad.
도 10은 기능버튼의 하부에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기능버튼부의 저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된 기능버튼부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nctional button portion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nction button, the bottom of the functional butt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도 11은 터치패드를 구비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의 또 다른 일 예의 단면도로 온 상태에서 기능버튼이 주위면보다 높이 유지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with a touch pad in a state where the function button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peripheral surface.
도 12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의 또 다른 일 예의 단면도로, 기능버튼의 손가락이 닿는 면이 평면이 아닌 곡면 구조를 갖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till another example of a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having a touch pad, in which a surface of a function button touches a surface having a curved structure rather than a plan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기능버튼이 레버형태로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unction butt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기능버튼을 누름식 스위치가 아닌 인체의 접촉에 의해 기능이 온이 되는 스위치를 이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using a switch that the function is turned on by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instead of the push-type switch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은 전자식 터치스위치의 회로도15 and 16 are circuit diagrams of an electronic touch switch.
도 17은 기능버튼부로 터치패드, 터치스위치 등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17 is a block diagram funct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touch pad, a touch switch, etc. as a function button unit;
도 18은 기능버튼부로 터치패드, 터치스위치 등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터치 패드를 구비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using a computer pointing device having a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touch pad, a touch switch, or the like as a function button unit.
Claims (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123431 | 2006-12-07 | ||
KR1020060123431 | 2006-12-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2497A true KR20080052497A (en) | 2008-06-11 |
Family
ID=3980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6851A Abandoned KR20080052497A (en) | 2006-12-07 | 2007-12-07 | Pointing device for computer using touch p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2497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07332B (en) * | 2010-04-16 | 2013-09-01 | Inventec Corp | Button structure for improving the tactile sensation |
KR101425469B1 (en) * | 2013-01-07 | 2014-07-31 | 주식회사 마블덱스 |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selecting button of double button structure |
-
2007
- 2007-12-07 KR KR1020070126851A patent/KR20080052497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07332B (en) * | 2010-04-16 | 2013-09-01 | Inventec Corp | Button structure for improving the tactile sensation |
KR101425469B1 (en) * | 2013-01-07 | 2014-07-31 | 주식회사 마블덱스 |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selecting button of double butt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14702A (en) | Pointing device with wrap-around buttons | |
US6046728A (en) | Keyboard actuated pointing device | |
US10452174B2 (en) |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 |
US5666113A (en) | System for using a touchpad input device for cursor control and keyboard emulation | |
EP2820590B1 (en) | Key strike determination for pressure sensitive keyboard | |
JP5667002B2 (en) | Computer input device and portable computer | |
KR20080038247A (en) |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 |
JP4933263B2 (en) | Modular assembly for self-searching computer pointing device | |
KR20040081697A (en) | Mouse typed touch pad by implementing click and draw operation like as mouse operation | |
US9627162B1 (en) | Finger activated mouse device/switching device | |
US7119795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oper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 |
US6320569B1 (en) | Miniature track ball pointer with built-in selector | |
KR100802456B1 (en) | Fixed mouse | |
US8847905B2 (en) | Multi-texture for five button click pad top surface | |
KR20080052497A (en) | Pointing device for computer using touch pad | |
KR100750159B1 (en) |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touch pad and switch | |
KR100997840B1 (en) | Interface unit that can be operated by touching a finger | |
KR101631069B1 (en) | An integrated exclusive input platform supporting seamless input mode switching through multi-touch trackpad | |
WO2008069629A1 (en) | Pointing apparatus for computer comprising touch pad | |
JP4521335B2 (en) | Mobile device | |
KR19990011238U (en) | Ball mouse built into the notebook | |
KR20080050641A (en) | Ergonomic Touchpad Pointing Device | |
EP3526656B1 (en) | A finger activated mouse device/switching device | |
KR100310536B1 (en) | Interface Units for Touchpads and Their Interface Methods | |
WO2023101670A1 (en) | Touch sensitive handheld inpu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6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