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47799A -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799A
KR20080047799A KR1020060117689A KR20060117689A KR20080047799A KR 20080047799 A KR20080047799 A KR 20080047799A KR 1020060117689 A KR1020060117689 A KR 1020060117689A KR 20060117689 A KR20060117689 A KR 20060117689A KR 20080047799 A KR20080047799 A KR 2008004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printhead
printing
print media
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7799A/ko
Publication of KR2008004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79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11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ink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프린트헤드 측으로 복수의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이송되는 인쇄매체들 중 소정 선행 인쇄매체에 인쇄를 하는 단계와; 선행 인쇄매체에 인쇄완료 후 후행 인쇄매체가 프린트헤드 측으로 진입하기 전에 프린트헤드의 노즐을 구동시켜 소정량의 잉크를 분사하는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스피팅동작 이후에 후행 인쇄매체에 인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잉크카트리지, 프린트헤드, 스피팅, 엔코더, 센서, 노즐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A method for driv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잉크카트리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프린트헤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화상형성장치 본체 11..급지카세트
12..픽업롤러 13..구동롤러
14..피들로러 15..배지롤러
20..제어부 30..구동모터
40..엔코더모듈 50..매체센서
60..픽업센서 100..잉크카트리지
150..프린트헤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하는 과정 중에 프린트헤드의 복수 노즐로부터 동시에 잉크를 분사시켜 스피팅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 잉크의 미소한 액적(droplet)을 용지나 직물 등 인쇄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시켜서 그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 색상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매체, 예컨대 용지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용지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그 용지상에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왕복 이동하며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 카트리지를 가진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속도가 느린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용지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배열된 다수의 프린트 헤드를 가진 잉크 카트리지를 채용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의 왕복 이동 없이 빠른 속도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를 소위 어레이 프린트헤드 방식의 잉크젯 프린터라고도 한다.
종래의 어레이 프린트헤드 방식의 잉크 카트리지는, 인쇄용 잉크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잉크 탱크와,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부압 조절부와, 인쇄 매체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프린트 헤드와,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다수의 프린트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채널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색상의 잉크, 예컨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 잉크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부압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 각각과 연통된다. 이러한 복수의 부압조절부는 부압(negative pressure)을 생성하여 잉크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잉크 채널유닛은 상기 부압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부압조절부를 통해 유입되는 잉크를 다수의 프린트 헤드 각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잉크 채널유닛의 전면에는 다수의 프린트 헤드가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부착된다. 상기 다수의 프린트 헤드 각각에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즐들을 통해 상기 잉크 채널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잉크가 인쇄매체 상으로 토출됨으로써, 인쇄매체 상에 화상이 인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노즐은 칼라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용지의 이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칼라별 노즐이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어레이 프린트 헤드 타입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출력속 도의 획기적인 향상과 기기의 구조가 단순화 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프린트헤드는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되어 배열된다. 또한, 폭방향으로 배열된 프린트 헤드 각각은 인쇄매체의 진행방향으로 각 칼라별 노즐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프린트헤드 각각은 입력된 인쇄데이터에 따라서, 각각의 프린트헤드가 별개로 구동되며, 각 프린트헤드의 노즐들도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각 프린트헤드의 일부 노즐들은 인쇄동작 중에도 잉크를 분사하지 않거나, 다른 노즐들에 비하여 적은 횟수만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노즐들에 비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횟수가 적은 노즐들은 인쇄동작시간 내내 외부 공기에 노출된다. 따라서, 잉크 분사 횟수가 적으면서도, 공기에 오래 노출된 노즐의 잉크가 굳게 된다. 잉크가 굳은 노즐은 다음 인쇄시 잉크를 정상적으로 노출하지 못하는 불량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복수의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인쇄할 경우에, 선행 인쇄매체의 인쇄완료 후 일정시간동안 인쇄동작을 중지시킨 위, 스피팅동작(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 잉크를 소정량 분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피팅동작이 이루어진 뒤에 다음 인쇄매체를 공급하여 인쇄동작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피팅동작을 하게 되면, 하나의 인쇄매체에 인쇄를 완료하여 배출시킨 뒤에 스피팅동작을 수행하고, 스피팅동작이 완료된 뒤에 다음의 인쇄매체에 인쇄를 시작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인쇄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 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인쇄동작 중에 스피팅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은,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프린트헤드 측으로 복수의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송되는 인쇄매체들 중 소정 선행 인쇄매체에 인쇄를 하는 단계와; 상기 선행 인쇄매체에 인쇄완료 후 후행 인쇄매체가 상기 프린트헤드 측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프린트헤드의 노즐을 구동시켜 소정량의 잉크를 분사하는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피팅동작 이후에 후행 인쇄매체에 인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선행 인쇄매체의 후단 및 후행 인쇄매체의 선단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선행 및 후행 인쇄매체들이 소정 시간동안 이동된 제1 및 제2측정거리를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거리 각각을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기준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스피팅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기준거리는 상기 선행 인쇄매체의 후단을 감지한 지점부터 상기 프린트헤드의 노즐들 중 상기 감지시점으로부터 가장 먼 곳의 첫째 노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제2기준거리는 상기 후행 인쇄매체의 후단을 감지한 지점부터 상기 프린트헤드의 노즐들 중 상기 감지지점에 가장 가까운 곳의 마지막 노즐까지의 거리(L3)에서 상기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거리(L3)를 뺀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측정거리가 상기 제1기준거리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측정거리가 상기 제2기준거리보다 작은지를 비교/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가지 비교/판단하는 단계 각각을 만족할 경우에 상기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행 인쇄매체가 공급된 후 상기 스피팅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정 거리보다 큰 간격을 두고 후행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프린트헤드의 첫째 노즐과 마지막 노즐 사이의 거리와, 상기 프린트헤드 노즐 전체의 스피팅구동시키느느데 필요한 시간에 대응되는 거리를 합한 거리인 것이 좋다.
또한,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상기 선행 인쇄매체의 후단을 픽업센서에서 감지된 시점부터의 인쇄매체 이송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큰 시점에서 상기 후 행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이 적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어레이 타입 잉크젯 프린터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바닥부분에 인쇄매체(P;이하 용지라 함)가 적재되는 카세트(11)가 마련된다. 용지(P)의 선단부에는 픽업롤러(12)가 설치되어 적재된 용지(P)의 상단에 마련된 용지부터 낱장씩 픽업하여 공급한다. 픽업된 용지(P)는 구동롤러(13)에 의해 피드롤러(14)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드롤러(14)는 이송된 용지(P)의 선단을 정렬시키고, 그 정렬된 용지(P)를 잉크카트리지(100)에 마련된 프린트헤드(150)의 하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프린트헤드(150)는 하부로 통과하는 용지(P)의 일면으로 인쇄데이터에 대응되게 잉크를 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프린트헤드(150)의 하부를 통과한 용지(P)는 배지롤러(15)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픽업롤러(12), 구동롤러(13), 피드롤러(14), 프린트헤드(150) 및 배지롤러(15)의 구동은 제어부(20)에 의해 그 구동시점이나 구동속도 등이 제어된다.
특히 구동롤러(13) 및 피드롤러(14)와 배지롤러(15)는 하나의 구동모터(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 부착된 엔코더모듈(40)에 의해 체크되어 제어부(20)로 구동모터(30)의 구동속도와 회 전량에 대한 정보가 인가된다.
또한, 상기 잉크카트리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잉크카트리지(100)는, 용지(P)의 폭방향(A)에 대응되게 복수의 프린트헤드(150)가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즉, 잉크카트리지(100)는, 인쇄용 잉크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잉크 탱크(121, 122, 123, 124)와,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121, 122, 123, 124)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부압조절부(131, 132, 133, 134)와, 인쇄 매체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프린트 헤드(150)와,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121, 122, 123, 124)로부터 상기 다수의 프린트 헤드(150)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채널유닛(140)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121, 122, 123, 124)는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이러한 잉크 탱크들(121, 122, 123, 124)은 여러 가지의 색상, 예컨대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잉크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각각의 잉크 탱크(121, 122, 123, 124)가 장착되는 탱크 장착부(111)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부압조절부(131, 132, 133, 134)는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잉크 탱크(121, 122, 123, 124) 각각과 연통된다. 이러한 복수의 부압조절부(131, 132, 133, 134)는 부압(negative pressure)을 생성하여 잉크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잉크 채널유닛(140)은 상기 부압조절부(131, 132, 133, 134)와 연결되 며, 상기 잉크 탱크(121, 122, 123, 124)로부터 부압조절부(131, 132, 133, 134)를 통해 유입되는 잉크를 다수의 프린트 헤드(150) 각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잉크 채널유닛(140)은 일 예로서, 복수의 채널 플레이트(141, 142, 143, 144)가 적층된 상태로 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플레이트(141, 142, 143, 144) 중에서 부압조절부(131, 132, 133, 134)와 연결되는 채널 플레이트(141)는 가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잉크 채널유닛(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141)에 세 개의 채널 플레이트(142, 143, 144), 즉 제1채널 플레이트(142), 제2채널 플레이트(143) 및 제3채널 플레이트(144)가 순차 적층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플레이트(141)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잉크 채널유닛(140)은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채널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채널 플레이트들(141, 142, 143, 144)은 잉크가 통과하는 채널들(141a, 142a, 143a, 144a)을 가진다. 상기 채널들(141a, 142a, 143a, 144a)은 잉크의 색상별로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프린트 헤드(150)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의 폭방향(A)에 대해 나란하며, 용지의 이송방향(B)으로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열의 프린트헤드(Head #1)(Head #2)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린트헤드(150)는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들을 구비하되, B방향으로는 이격되어 서로 다른 칼라의 잉크를 분사하는 칼라별 노즐(151,152,153,154)을 가진다. 각 칼라별 노 즐(151,152,153,154)들은 A 방향으로 나란하며, 그 각각이 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용지(P)의 이송방향(B)을 기준으로 첫째 노즐(151)은 블랙, 둘째 노즐(152)은 시안, 셋째 노즐(153)은 마젠타, 넷째 노즐(154)은 옐로우 칼라의 잉크를 각각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칼라별 노즐(151,152,153,154)은 각 프린트헤드(150)에 수백개가 마련되어 있어서, 프린팅동작시 용지(P)의 원하는 위치에 칼라별 잉크를 분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린트헤드들(150)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제어되어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시마다 각각의 노즐(151,152,153,154)에서 소정량의 잉크를 임의로 토출하는 소위 스피팅(spitting)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스피팅 동작에 의해서 각 노즐(151,152,153,154)에 잔류하는 잉크가 굳어져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드롤러(14)로 향하는 용지(P)의 선단과 후단을 감지하는 매체센서(50)와,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된 용지의 후단을 감지하는 픽업센서(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센서(50,60)에서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전발받은 신호들을 근거로 픽업된 용지(P)의 이송상태와 이송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엔코더모듈(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근거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피드롤러(14)의 기구적인 설계값을 통해 용지(P)의 이송속도 및 이송거리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제어부(20)는 용지(P)가 소정 시간 동안 이동되는 거리를 환산하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값에 해당되는 거리 L1, L2, L3 및 L4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갖고 있다. 여기서, L1은 센서(50)로부터 첫째 노즐(151)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L2는 센서(50)에서 넷째(마지막) 노즐(154)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L3는 프린트헤드(150)의 노즐(151,152,153,154) 전체를 스피팅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에 대응되는 거리를 나타낸다. 즉, 노즐들(151,152,153,154)을 동시에 스피팅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 용지(P)가 이송되는 거리를 나타낸다. L4는 프린트헤드(150)의 전체 노즐(151,152,153,154)을 동시에 스피팅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거리들(L1, L2, L3, L4)은 화상형성장치의 사이즈나 제품모델별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의 구동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용지들에 인쇄를 하는 인쇄동작중에 스피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는 인쇄모드(S10)를 수행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입력된 인쇄데이터에 따라서 n번째 (n = 1,2,3...)용지(P1), n+1번째 용지(P2)를 차례로 픽업하여 공급하고, n번째 용지(P1)의 인쇄를 시작한다(S11).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용지(P1)가 공급되어 프린트헤드(150)의 하부를 경유하면서 인쇄가 진행되고, n+1번째 용지(P2)는 최소한 상기 거리 L4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뒤이어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센서(50)에서는 n번째 용지(P1; 이하 선행용지라 함)의 후단과 n+1번째 용지(P2;이하 후행용지라 함)의 선단을 차례로 감지한다. 이와 같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20)로 입력되고, 제어부(20)에서는 선행용지의 후단과 후행용지의 선단을 각각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엔코더모듈(4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모터(30)의 회전량을 근거로, 제1측정거리와 제2측정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여기서, 제1측정거리는 선행용지(P1)의 후단이 센서(50)에서 감지된 뒤, 그 후단이 이동된 거리를 나타낸다. 제2측정거리는 후행 용지(P2)의 선단이 감지된 뒤, 그 선단이 이동된 거리를 나타낸다.
제어부는 선행 용지(P1)의 인쇄가 완료되면(S12), 상기와 같이 입력 및 계산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측정거리가 L1보다 큰지 확인한다(S13). 즉, 제어부(20)는 상기 단계(S3)를 통해 선행용지(P1)의 후단이 프린트헤드(150)의 첫째 노즐(151)을 벗어났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 용지(P1)의 후단이 첫째 노즐(151)를 통과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20)는 제2측정거리가 (L2 - L3)보다 작은지 확인한다(S14). 즉, 상기 단계(S14)를 통해서 제어부(20)는 후행용지(P2)의 선단이 노즐들 전체(151,152,153,154)의 피팅동작에 필요한 시간에 대응되는 거리(L3)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마지막 노즐(154)에 근접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두 단계(S13,S14)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20)는 프린트헤드(150)를 구동제어하여 스피팅동작을 수행한다(S15). 그러면, 프린트헤드(150)의 모든 노즐들(151,152,153,154)에서 잉크가 소정량씩 분사된다. 이와 같이, 선행용지(P1)의 인쇄 후에 곧바로 스피팅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선행용지(P1)의 인쇄동작시 사용되지 않은 노즐이 있더라도, 그 미사용된 노즐의 잉크가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선행용지(P1)의 스피팅동작이 완료되면(S16), 제어부(20)는 프린트헤드(150)를 구동제어하여 후행용지(P2)의 인쇄를 시작한다(S17).
더 이상의 인쇄데이터가 없다고 판단될 때(S19)까지 앞선 단계들(S13,S14,S15)을 반복하여 인쇄동작 중에 스피팅동작을 연속해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앞선 상기 두 단계(S13,S14)에서의 조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스피팅동작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스피팅 에러로 판단하고(S20) 인쇄동작을 종료시킨다. 즉, 상기 두 단계(S13,S14)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피팅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선행용지(P1)의 후단부 또는 후행용지(P2)의 선단부로 토출되는 잉크가 묻게 되어 인쇄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상기 두 단계(S13,S14)에서의 조건 모두를 만족할 경우에만, 상기 거리(L3)에 대응되는 소정 시간동안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린트헤드(150)를 구동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동작 중에 이송되는 용지들의 이송이나 인쇄동작을 멈추지 않고, 선행용지(P1)와 후행용지(P2)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스피팅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쇄시간을 지연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인쇄동작과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면서도,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용지 이송방향으로 제1열(Head #1)의 프린트헤드(150)가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뒤의 제2열(Head #2)의 프린트헤드를 생략한 것뿐이다. 즉, 뒤의 제2열(Head #2)의 프린트헤드의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앞선 제1열(Head #1)의 프린트헤드(150)의 스피팅동작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 방법에 따르면, 인쇄 중에 노출된 각 프린트헤드의 노즐에 대해 주기적으로 즉, 인쇄용지들간의 이송간격을 이용하여, 스피팅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노즐 막힘을 방지하여 헤드성능을 유지시킴으로써 화상품질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를 연속적으로 급지하는 인쇄매체와 인쇄매체 사이 공간의 범위 내에서 스피딩 동작이 프린트헤드의 모든 노즐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인쇄매체의 오염 없이 용지간 거리를 최소한으로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 범위에 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프린트헤드 측으로 복수의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송되는 인쇄매체들 중 소정 선행 인쇄매체에 인쇄를 하는 단계와;
    상기 선행 인쇄매체에 인쇄완료 후 후행 인쇄매체가 상기 프린트헤드 측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프린트헤드의 노즐을 구동시켜 소정량의 잉크를 분사하는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피팅동작 이후에 후행 인쇄매체에 인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선행 인쇄매체의 후단 및 후행 인쇄매체의 선단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선행 및 후행 인쇄매체들이 소정 시간동안 이동된 제1 및 제2측정거리를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거리 각각을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기준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스피팅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거리는 상기 선행 인쇄매체의 후단을 감지한 지점부터 상기 프린트헤드의 노즐들 중 상기 감지시점으로부터 가장 먼 곳의 첫째 노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제2기준거리는 상기 후행 인쇄매체의 후단을 감지한 지점부터 상기 프린트헤드의 노즐들 중 상기 감지지점에 가장 가까운 곳의 마지막 노즐까지의 거리(L3)에서 상기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거리(L3)를 뺀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측정거리가 상기 제1기준거리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측정거리가 상기 제2기준거리보다 작은지를 비교/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가지 비교/판단하는 단계 각각을 만족할 경우에 상기 스피팅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행 인쇄매체가 공급된 후 상기 스피팅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정 거리보다 큰 간격을 두고 후행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프린트헤드의 첫째 노즐과 마지막 노즐 사이의 거리와, 상기 프린트헤드 노즐 전체의 스피팅구동시키느느데 필요한 시간에 대응되는 거리를 합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상기 선행 인쇄매체의 후단을 픽업센서에서 감지된 시점부터의 인쇄매체 이송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보다 큰 시점에서 상기 후행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제어방법.
KR1020060117689A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Withdrawn KR20080047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689A KR20080047799A (ko)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689A KR20080047799A (ko)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799A true KR20080047799A (ko) 2008-05-30

Family

ID=3966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689A Withdrawn KR20080047799A (ko)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77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16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 보상 방법 및 장치
JP5277853B2 (ja) 画像形成装置
JP523359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組み立てシステム
JP4847249B2 (ja) 画像記録装置、その装置によるインク予備吐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0482469C (zh) 以多次传输打印执行高分辨率打印的喷墨成像装置和方法
CN101683783A (zh) 喷墨打印装置和喷射部的加湿方法
US6352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nozzle clogging in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2013144446A (ja) インクジェット式画像形成装置
CN102198752B (zh) 液体喷射装置
JP2010105306A (ja) インク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256963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US8480199B2 (en) Method of printing with anti-curl solution
US11602930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429604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印刷位置ずれ調整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9749065A (zh) 喷墨记录装置
US20130083113A1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KR100694120B1 (ko)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화질 향상방법
KR20080047799A (ko)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US8439470B2 (en) Liquid ejecting device
JP5217777B2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方法
JP539668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173835A (ja) 液体吐出装置
US20210331497A1 (en) Inkjet recording device
KR10069413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JP2010052142A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