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332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9332A KR20080029332A KR1020060095241A KR20060095241A KR20080029332A KR 20080029332 A KR20080029332 A KR 20080029332A KR 1020060095241 A KR1020060095241 A KR 1020060095241A KR 20060095241 A KR20060095241 A KR 20060095241A KR 20080029332 A KR20080029332 A KR 200800293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backlight assembly
- disposed
- groove
- heat s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8—Illuminating devices with coo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방열 향상을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광발생 유닛 및 방열판을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상면에 제1 홈 및 하면에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바닥판 및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광발생 유닛은 제1 홈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다. 방열판은 제2 홈에 배치되고,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광발생 유닛 및 방열판을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복수의 수납홀들이 이격되어 형성된 바닥판 및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광발생 유닛은 수납홀들 사이에 대응하는 바닥판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포함한다. 방열판은 수납홀 내부에 배치되고,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에 따라, 방열판을 수납용기의 홈 또는 홀에 수납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방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열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광발생 유닛 210 : 점광원
220 : 구동기판 300 : 수납용기
310 : 바닥판 311 : 제1 홈
312 : 제2 홈 314 : 수납홀
400 : 방열판 410 : 베이스 기판
420 : 방열핀 6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700 : 표시패널 800 : 표시장치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 향상을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는 비발광성 소자이기 때문에 별도의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필요로 한다. TV, 모니터 등의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들을 광원으로 사용한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우수한 색 재현성, 고휘도 및 높은 내구성 등의 장점을 가진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발광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들이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 및 이들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납용기의 내부에는 발광 다이오드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다. 이때, 수납용기 및 인쇄회로기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발광 다이오드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킨다.
이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외부로 방출해 줄 필요성이 있다. 상기 열을 방출해주지 못하는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수명이 감소되고, 휘도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의 배면에 배치된 방열판을 더 포함한다. 하지만, 수납용기 외곽에 배치된 방열판으로 인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광발생 유닛 및 방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면에 제1 홈 및 하면에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다. 상기 광발생 유닛은 상기 제1 홈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제2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상기 방열판의 두께는 상기 제2 홈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으며, 상 기 방열판의 면적은 상기 제2 홈의 면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광발생 유닛 및 방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복수의 수납홀들이 이격되어 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다. 광발생 유닛은 상기 수납홀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수납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광발생 유닛 및 방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면에 제1 홈 및 하면에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다. 상기 광발생 유닛은 상기 제1 홈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제2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광발생 유닛 및 방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복수의 수납홀들이 이격되어 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다. 광발생 유닛은 상기 수납홀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수납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수납용기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방열판을 배치함으로써,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수납용기(300), 광발생 유닛(200)들, 방열판(400)들 및 확산판(500)을 포함한다.
수납용기(300)는 바닥판(310) 및 바닥판(310)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32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광발생 유닛(200)들 및 확산판(500)이 수납된다. 수납용기(300)는 강도가 우수하고 변형이 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수납용기(300)는 열 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납용기(300)의 바닥판(310)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바닥판(310)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는 구동기판(220)이 배 치되고, 바닥판(310)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는 방열판(400)이 배치된다. 이때, 구동기판(220)과 방열판(400)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열판(400)이 바닥판(310)에 형성된 홈들에 배치됨으로써, 바닥판(310)과 방열판(4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바닥판(310)에 형성된 홈들 및 홈들 내에 방열판(400)과 구동기판(220)이 배치된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광발생 유닛(200)들은 점광원(210)들 및 구동기판(220)들을 포함한다.
점광원(210)들은 상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시키며, 구동기판(220) 상에 배치된다. 점광원(210)들은 구동기판(220)을 통해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반응하여 광을 출사시킨다. 점광원(210)들은 일례로,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점광원(210)들은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광을 발생시키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 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두 개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한 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발광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상기 발광 그룹은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혼합되어 백색광을 구현한다.
구동기판(220)들은 수납용기(300)의 바닥판(310)의 상면, 즉, 상면에 형성된 홈들 내부에 배치된다. 구동기판(220)들의 상면에는 점광원(210)들이 배치된다. 구동기판(220)은 외부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점광원(210)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동 기판(220)들은 일례로, 바닥판(310)의 장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바닥판(3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어, 구동기판(220)들은 전원라인(미도시)들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들 또는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코어기판(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 : MCPCB)들일 수 있다.
방열판(400)들은 점광원(210)들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로 인해, 점광원(210)들 자체의 수명 감소 및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방열판(400)들은 바닥판(310)의 하면, 즉, 바닥판(310)의 하면에 형성된 홈들 내부에 배치된다. 방열판(400)들은 일례로, 구동기판(220)들의 장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300)에 형성된 홈들 내부에 방열판(400)들이 배치됨으로써, 방열판(400)들이 수납용기(300)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400)들로 인해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산판(500)은 점광원(210)들 상부에 배치된다. 확산판(500)은 점광원(210)들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확산판(500)은 광의 투과를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확산판(500)은 일례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확산 판(500) 상부에 배치된 확산시트, 집광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납용기(300)의 바닥판(310)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닥판(310)의 상면에는 제1 홈(311)들이 형성되고, 바닥판(310)의 하면에는 제2 홈(312)들이 형성된다. 즉, 바닥판(310)은 제1 및 제2 홈(311,312)들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일례로, 제1 및 제2 홈(311,312)들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바닥판(310)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홈(311,312)들은 제2 홈(312)들에 대응하는 바닥판(310)의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3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홈(311)들에는 구동기판(220)들이 배치된다. 즉, 구동기판(220)들은 수납용기(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구동기판(220)들의 상면에는 광을 방출하는 점광원(210)들이 배치된다. 일례로, 제1 홈(311)들은 바닥판(310)의 장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31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홈(312)들에는 방열판(400)들이 배치된다. 즉, 방열판(400)들은 수납용기(3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2 홈(312)들은 구동기판(220)들 사이에 대응하여 바닥판(3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일례로, 제2 홈(312)들은 구동기판(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동기판(220)들은 바닥판(3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홈(311)들에 배치되고, 방열판(400)들은 바닥판(31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홈(312)들에 배치 된다. 이때, 제1 홈(311)들과 제2 홈(312)들이 바닥판(310)에 교대로 형성되므로, 방열판(400)들과 구동기판(220)들도 교대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방열판(400)들의 두께(h2)는 제2 홈(312)들의 깊이(h1)와 동일하거나 작다. 즉, 제2 홈(312)들은 방열판(400)들의 두께(h2)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때, 방열판(400)들의 두께(h2)는 제2 홈(312)들의 깊이(h1)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열판(400)들이 제2 홈(312)들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방열판(400)들이 수납용기(300) 외곽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400)들로 인해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방열판(400)들의 면적은 제2 홈(312)들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방열판(400)은 각각의 제2 홈(312)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열판(400)이 제2 홈(312) 전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방열판(400)의 면적을 최대로 형성함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의 열 방출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홈(311,312)들로 인해 바닥판(310)이 요철 형상을 가짐에 따라, 구동기판(220)들과 바닥판(310)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되고, 방열판(400)들과 바닥판(310) 간의 접촉면적도 증가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열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방열판(400)은 베이스 기판(410) 및 베이스 기판(410)으로 부터 돌출된 복수의 방열핀(420)들을 포함한다. 방열판(400)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방열판(400)은, 일례로,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기판(410)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이다. 베이스 기판(410)의 일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방열핀(420)들이 형성된다.
방열핀(420)들은 베이스 기판(410)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방열핀(420)들은 일례로, 가늘고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판(400)이 복수의 방열핀(420)들을 포함함에 따라, 방열판(400)은 점광원(210)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점광원(210)들로부터 발생된 열의 전달 경로를 살펴본다. 점광원(210)들로부터 발생된 열은 구동기판(220)을 통해 바닥판(310)으로 전달된다. 이후, 열은 바닥판(310)의 하면에 접촉된 방열판(400)들로 전달된다. 이때, 방열판(400)들은 바닥판(31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홈(312)들에 배치된다. 방열판(400)의 베이스 기판(410)은 바닥판(3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열을 흡수하고, 방열핀(420)들은 외부로 열을 방출시킨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의 형상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수납용기(300), 광발생 유닛(200)들, 방열판(400)들 및 확산판(500)을 포함한다.
수납용기(300)는 바닥판(310) 및 바닥판(310)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32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광발생 유닛(200)들 및 확산판(500)이 수납된다. 수납용기(300)는 강도가 우수하고 변형이 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판(310)에는 복수의 수납홀(314)들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수납홀(314)들은 바닥판(310)의 장변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310)에는 구동기판(220)들 및 방열판(400)들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기판(220)들은 수납홀(314)들 사이에 대응하는 바닥판(310)의 상면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방열판(400)들은 수납홀(314)들 내부에 배치되며, 수납홀(314)들은 방열판(400)들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판(310)의 배면은 바닥판(310)의 일부 및 방열판(400)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방열판(400)의 면적과 수납홀(314)들의 면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판(310)에 형성된 수납홀(314)들은 방열판(400)에 의해 완전히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방열판(400)의 면적을 최대화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판(400)들은 바닥판(3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열판(400)들의 하면은 바닥판(310)의 하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열판(400)들은 수납용기(300) 외곽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열판(400)들이 수납홀(314)들 내에 배치되어 수납용기(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400)들이 점광원(210)들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되어, 방열판(400)들의 열 흡수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800)는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600) 및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70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수납용기(300), 광발생 유닛(200)들, 방열판(400)들 및 확산판(500)을 포함한다. 이때, 수납용기(300)는 제1 및 제2 홈(311,312)들이 형성된 바닥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납용기(300)는 수납홀(314)들이 형성된 바닥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홈(311,312)들 또는 수납홀(314)들에는 점광원(210)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400)들이 배치된다. 한편, 광발생 유닛(200)들 및 방열판(400)들은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패널(70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700)은 제1 기판(710), 제1 기판에 대응하는 제2 기판(720) 및 상기 두 기판(710,720)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730) 및 제1 기판(7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740)를 포함한다.
제1 기판(710)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상기 TFT들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된다.
제2 기판(720)은 제1 기판(7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고, 색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 필터 및 제1 기판(710)의 상기 화소 전극과 마주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표시패널(700)은 상기 TFT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TFT가 턴온(turn on)되면,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제1 기판(710)과 제2 기판(720)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730)의 액정 배열이 변화되고, 액정의 배열 변화에 따라서 광의 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구동 회로부(740)는 표시패널(700)에 데이터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748), 표시패널(700)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744), 데이터 인쇄회로기판(748)을 표시패널(700)에 연결하는 데이터 구동회로필름(746)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744)을 표시패널(700)에 연결하는 게이트 구동회로필름(742)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용기에 홈 또는 홀을 형성하고, 홈 또는 홀 내에 방열판을 배치함으로써, 수납용기와 방열판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열 방출 효율을 향상시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들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홈 또는 홀에 대응하여 수납용기 안쪽으로 방열판을 배치함으로써, 방열판이 수납용기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으로 인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 상면에 제1 홈 및 하면에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상기 제1 홈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 광발생 유닛; 및상기 제2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두께는 상기 제2 홈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면적은 상기 제2 홈의 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홈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며 열을 방출시키는 복수의 방열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 트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ㄷ-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복수의 수납홀들이 이격되어 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상기 수납홀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 광발생 유닛; 및상기 수납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홀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배면과 상기 방열판의 배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상면에 제1 홈 및 하면에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상기 제1 홈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 광발생 유닛; 및상기 제2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복수의 수납홀들이 이격되어 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상기 수납홀들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구동기판 및 상기 구동기판 상에 배치된 점광원을 갖는 광발생 유닛; 및상기 수납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점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241A KR20080029332A (ko) | 2006-09-29 | 2006-09-29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241A KR20080029332A (ko) | 2006-09-29 | 2006-09-29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9332A true KR20080029332A (ko) | 2008-04-03 |
Family
ID=3953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5241A KR20080029332A (ko) | 2006-09-29 | 2006-09-29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29332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2801A (ko) * | 2010-06-03 | 2011-12-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US8314901B2 (en) | 2010-06-03 | 2012-11-20 | Lg Innotek Co., Ltd.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US8540411B2 (en) | 2010-01-07 | 2013-09-24 | Lg Innotek Co., Ltd.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US9274269B2 (en) | 2011-05-31 | 2016-03-01 | Lg Innotek Co., Ltd.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
2006
- 2006-09-29 KR KR1020060095241A patent/KR200800293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40411B2 (en) | 2010-01-07 | 2013-09-24 | Lg Innotek Co., Ltd.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KR20110132801A (ko) * | 2010-06-03 | 2011-12-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US8314901B2 (en) | 2010-06-03 | 2012-11-20 | Lg Innotek Co., Ltd.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US9274269B2 (en) | 2011-05-31 | 2016-03-01 | Lg Innotek Co., Ltd.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8899B1 (ko) | 액정표시장치모듈 | |
KR101252846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101472131B1 (ko) | 백라이트 유닛 | |
KR101546741B1 (ko) | 광 출사 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
KR101774277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80040434A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JP2007286467A (ja) |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 |
KR20080023803A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
TW201133086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20120099045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
KR101119172B1 (ko) |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
US20070147080A1 (en) | Backlight module with a heat conductive block | |
JP2009245882A (ja)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
US7427148B1 (en) | Light modules | |
KR20080029332A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
KR101772512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70026970A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
KR20090119405A (ko) | 백라이트 유닛 | |
KR101679077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101729776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101252851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101594864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274789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101770640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
KR101443387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