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679A -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4679A KR20080024679A KR1020060089097A KR20060089097A KR20080024679A KR 20080024679 A KR20080024679 A KR 20080024679A KR 1020060089097 A KR1020060089097 A KR 1020060089097A KR 20060089097 A KR20060089097 A KR 20060089097A KR 20080024679 A KR20080024679 A KR 200800246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function
- module
- composite device
- camer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electively disabling software appl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8)
-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슬라이딩되고,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갖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슬라이딩 개방상태에서 닫힘상태로 슬라이딩하는 단계;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모드는 상기 제1몸체에 구비된 모듈을 이용가능한 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는 상기 모듈을 이용불가능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모드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는 영상을 재생하거나 음악을 재생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모드는 정지영상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또는 웹 촬영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는 정지영상 재생모드, 동영상 재생모드, 음악재생 모드, 음성 녹음모드, 기능설정 모드, 또는 저장매체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슬라이딩되고,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갖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슬라이딩 닫힘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슬라이딩하는 단계;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복합기기의 모드를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모드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는 영상을 재생하거나 음악을 재생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슬라이딩되고,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갖는 디지털 복합 기기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슬라이딩 닫힘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슬라이딩하는 단계;현재모드가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현재모드가 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제1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현재모드가 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제2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모드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는 영상을 재생하거나 음악을 재생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기의 전원제어방법.
- 본체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제1 기능모드로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모듈; 및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모듈이 이용불가능하게 되고, 현재모드가 상기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동작하는 제2 기능모드로 판별되면, 상기 현재모드가 상기 제2 기능모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모듈이 이용불가능하게 되는 것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모듈의 노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모듈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렌즈, 스피커, 기설정된 특정 키, 조이스틱, 및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기능모드는 정지영상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및 웹 촬영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이용모드이고, 상기 제2 기능모드는 정지영상 재생모드, 동영상 재생모드, 기능설정 모드, 음악재생 모드, 녹음모드, 저장매체 모드, 포토프린터 모드,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방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비이용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상기 모듈이 이용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현재모드가 상기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동작하는 제2 기능모드로 판별되면, 상기 본체의 외측에 마련된 핫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능모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제1 기능모드로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모듈이 마련된 본체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모듈이 이용불가능하게 되면, 현재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및상기 현재모드가 상기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동작하는 제2 기능모드로 판별되면, 상기 현재모드를 상기 제2 기능모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판별단계에서,상기 모듈이 이용불가능하게 되는 것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모듈의 노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모듈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렌즈, 스피커, 기설정된 특정 키, 조이스틱, 및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1 기능모드는 정지영상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및 웹 촬영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이용모드이고, 상기 제2 기능모드는 정지영상 재생모드, 동영상 재생모드, 기능설정 모드, 음악재생 모드, 녹음모드, 저장매체 모드, 포토프린터 모드,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방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비이용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단계는,상기 판별단계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상기 모듈이 이용불가능하게되어, 상기 현재모드가 상기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동작하는 제2 기능모드로 판별되면, 상기 본체의 외측에 마련된 핫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능모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9097A KR20080024679A (ko) | 2006-09-14 | 2006-09-14 |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US11/708,011 US7855747B2 (en) | 2006-09-14 | 2007-02-20 | Portable integrated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
CNA2007101010299A CN101146176A (zh) | 2006-09-14 | 2007-04-23 | 便携式集成设备及其电源控制方法 |
EP07107610A EP1903421A3 (en) | 2006-09-14 | 2007-05-07 | Portable integrated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9097A KR20080024679A (ko) | 2006-09-14 | 2006-09-14 |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4679A true KR20080024679A (ko) | 2008-03-19 |
Family
ID=3832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9097A Ceased KR20080024679A (ko) | 2006-09-14 | 2006-09-14 |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7855747B2 (ko) |
EP (1) | EP1903421A3 (ko) |
KR (1) | KR20080024679A (ko) |
CN (1) | CN10114617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9895A (ja) * | 2007-10-31 | 2009-05-21 | Fujifilm Corp |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
KR100967128B1 (ko) * | 2007-11-23 | 2010-07-05 | 주식회사 힘스코리아 |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
JP5943752B2 (ja) * | 2012-07-18 | 2016-07-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交換レンズ、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
JP6083884B2 (ja) * | 2015-06-12 | 2017-02-22 | 任天堂株式会社 | 支持装置、充電装置、および、操作システム |
CN208015781U (zh) * | 2018-02-09 | 2018-10-2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6589A (ja) * | 1996-08-12 | 1998-02-24 | Olympus Optical Co Ltd | 電子的撮像装置 |
US6750916B1 (en) * | 1997-05-30 | 2004-06-15 | Olympus Corporation | Protective lid having a flash unit incorporated therein for a digital camera |
US7079185B2 (en) * | 2001-03-02 | 2006-07-18 | Olympus Optical Co., Ltd. | Camera with optical axis bending optical system |
US7356361B1 (en) * | 2001-06-11 | 2008-04-08 | Palm, Inc. | Hand-held device |
JP3787760B2 (ja) * | 2001-07-31 | 2006-06-2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
JP2003110675A (ja) | 2001-09-28 | 2003-04-11 | Sanyo Electric Co Ltd | 携帯電話 |
JP4139942B2 (ja) * | 2002-02-01 | 2008-08-2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発光体付きカメラ |
US6914729B2 (en) * | 2002-02-07 | 2005-07-05 | Olympus Corporation | Lens barrel and picture ta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JP2003298699A (ja) | 2002-03-29 | 2003-10-17 | Nec Corp |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 |
JP3910112B2 (ja) * | 2002-06-21 | 2007-04-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カメラ付携帯電話機 |
JP2004253897A (ja) | 2003-02-18 | 2004-09-09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デジタルカメラ |
JP3938131B2 (ja) * | 2003-10-09 | 2007-06-27 | ソニー株式会社 | スライドカバー及びスライドカバーを備えた電子機器 |
JP3888354B2 (ja) * | 2004-01-16 | 2007-02-2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モード切換動作プログラム |
JP2005215576A (ja) * | 2004-02-02 | 2005-08-11 |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 スライドバリア付きカメラ |
JP2005341126A (ja) | 2004-05-26 | 2005-12-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電話端末 |
JP4363642B2 (ja) * | 2004-07-02 | 2009-11-1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地図表示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
JP2006067356A (ja) * | 2004-08-27 | 2006-03-09 | Olympus Corp | 電子的撮像装置 |
JP4403398B2 (ja) * | 2004-09-08 | 2010-01-27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4434020B2 (ja) * | 2005-01-07 | 2010-03-17 | 株式会社ニコン |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カメラ |
JP4522334B2 (ja) * | 2005-07-07 | 2010-08-1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携帯電子機器 |
US7969497B2 (en) * | 2005-11-21 | 2011-06-28 | Sony Corporation |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
-
2006
- 2006-09-14 KR KR1020060089097A patent/KR20080024679A/ko not_active Ceased
-
2007
- 2007-02-20 US US11/708,011 patent/US7855747B2/en active Active
- 2007-04-23 CN CNA2007101010299A patent/CN101146176A/zh active Pending
- 2007-05-07 EP EP07107610A patent/EP1903421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855747B2 (en) | 2010-12-21 |
EP1903421A3 (en) | 2012-12-05 |
EP1903421A2 (en) | 2008-03-26 |
CN101146176A (zh) | 2008-03-19 |
US20080067045A1 (en) | 2008-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36057B2 (ja) | 携帯型情報処理装置、携帯型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情報処理方法及び携帯型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プログラム格納媒体 | |
JP5228796B2 (ja) | 携帯情報端末、ホールド状態切替方法およびホールド状態切替プログラム | |
US20080212041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jection program | |
US10205872B2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2009077227A (ja) |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 |
US20060215052A1 (en) |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key assignment changing method | |
CN111182213A (zh) | 视频制作方法、电子设备及介质 | |
JP2009077228A (ja) |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 |
KR20080024679A (ko) |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
US782233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back, and program | |
JP3870123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JP2005267000A (ja) | 電子機器および機能割り当て方法 | |
JP4516371B2 (ja) | 再生装置、カメラおよび再生装置の音量制御方法 | |
JP5473349B2 (ja) |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 |
JP2007295100A (ja) | テレビジョン受像機 | |
JP2007028229A (ja) | 撮影装置 | |
JP2011049653A (ja) | 撮像装置 | |
JP5377168B2 (ja) | 撮像装置 | |
JP4564865B2 (ja) | 撮影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JP4677467B2 (ja) | ビデオカメラ | |
JP4592084B2 (ja) | 撮像装置及び操作制御方法 | |
KR100530376B1 (ko) |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 |
CN119629264A (zh) | 电子设备、拍照方法以及存储介质 | |
KR101024026B1 (ko) |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 | |
JP2007158899A (ja) | 撮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5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9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514 Appeal identifier: 2009101000772 Request date: 20090129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129 Effective date: 20100514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5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129 Decision date: 20100514 Appeal identifier: 20091010007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