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16593A -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 Google Patents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593A
KR20080016593A KR1020077028004A KR20077028004A KR20080016593A KR 20080016593 A KR20080016593 A KR 20080016593A KR 1020077028004 A KR1020077028004 A KR 1020077028004A KR 20077028004 A KR20077028004 A KR 20077028004A KR 20080016593 A KR20080016593 A KR 20080016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liding block
cable
fastening
ar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852B1 (ko
Inventor
도메오 콘노
시네츠 구도
노리토시 야마구치
야스유키 히토미
Original Assignee
알프레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레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8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1Apparatus for manipulating flexible wir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9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조작성을 높인 골-체결 케이블 긴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장치는, 파지부와, 전방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 부재 (34) 와, 선단의 매듭 지지 수단 (35) 과,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함께 쥐고 유지하는 케이블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막대 형상 부재에 장착되고 견인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블록 (36) 과, 견인 수단을 구동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매듭 지지 수단 (35) 이,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막대 형상 부재 (34) 의 상방에서 좌우에 나눠 걸 수 있는 매끄러운 지지면을 양측에 구비하고, 케이블 유지 수단이, (a) 슬라이딩 블록 (36) 상부의 전후방향의 관통홈 (42), (b) 관통홈 (42) 의 후단에서, 그 횡단면과 교차하거나 또는 중앙을 따라서 관통홈 (42) 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넓어지는 걸림 리세스 (44) 와, (c) 슬라이딩 블록 (36) 의 상측에서 걸림 리세스 (44) 의 뒤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걸림 리세스 (44) 에 끼워져 전진이 저지되는, 후방으로 탄성지지된 걸림 부재 (4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Description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TIGHTLY BINDING DEVICE FOR BONE JOINING CABLE}
본 발명은, 골절 치료나 뼈 접골 고정술 등의 정형외과 수술에 있어서, 환부의 뼈끼리 유합 일체화될 수 있도록 뼈끼리 견고하게 묶어 유지시켜 두기 위한 골-체결 케이블을, 유지에 필요한 강도로 조이기 위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緊縛)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절, 예를 들어 척추 골절의 접골뼈의 고정 (즉, 유합 일체화) 이나, 골 이식술 등의 뼈 수술에 있어서 뼈끼리의 고정에는, 고정이 완료되기까지, 뼈끼리 어긋나지 않도록 서로 강하게 유지시켜 두어야 한다. 유지를 위해서는 종래에는 강선이 오랜 기간 사용되었고,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 금속제의 로드 (막대), 훅, 볼트 (척추경 나사) 기타 기구와 병용되어 왔다. 그러나, 척추의 수술 중 또는 수술 후에 있어서의 절단된 강선의 가장자리 등에 의한 척수 손상의 리스크를 회피하는 등의 관점에서, 최근에는 강선을 대신하여 금속 섬유로 만들어진 케이블이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같은 고강도의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케이블이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이들을 모두 합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골-체결 케이블」이라고 한다).
골-체결 케이블을 사용한 수술시에서는, 도 1 에 상기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의 대표적인 묶음법에 기초하여 순서를 모식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서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뼈 (둥근 막대로 나타낸다) 끼리를 (필요하면 부목이 되는 로드, 훅 등과 함께), 골-체결 케이블의 루프로 체결한 다음, 예를 들어, (1) 도 1(f) 에 나타나 있는 매듭 (임시 매듭) 을 지지하고, 거기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arm) 을 한 묶음으로 강하게 견인함으로써 루프 직경을 축소시켜 뼈끼리 조이고, 루프의 장력을 필요한 크기까지 높인 다음, 그 상태에서 매듭을 예를 들어 접착제나 금구로 고정시키고, 또는, (2) 도 1(g) 의 상태로부터 2 개의 아암을 화살표방향으로 손으로 당김으로써 임시 매듭을 형성하고, 거기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좌우로 강하게 견인함으로써 루프 직경을 축소시켜 뼈끼리 조이고, 루프의 장력을 필요한 크기까지 높인 다음, 그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서 매듭을, 추가적인 매듭이나 접착 그 밖의 것에 의하여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골-체결 케이블에 의한 상기의 조임은, 루프를 형성하는 케이블에 강한 장력 (예를 들어, 5 ∼ 10kgf) 을 발생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임시 매듭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섬유끼리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케이블끼리 미끄러뜨려 루프를 조여서 그와 같은 강한 장력을 얻기 위해서는, 임시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아암은 그 이상의 장력으로 견인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임시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따로따로 유지하고 그들을 견인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 장치에서는, 임시 매듭에 선단을 갖다 대고, 임시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나눠 갈라 각각을 별개의 위치에서 별도 기구에 의해 유지하여 비스듬한 손잡이측으로 견인함으로써, 조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장치에는, 2 개의 아암의 힘을 당기는 힘의 배분이 시종 동등해지도록 가감하지 않으면, 조임 조작의 도중 중에 임시 매듭이 장치의 선단으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이 있어, 조작성에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그러한 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한 묶음으로 선단의 슬릿을 통과해서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비특허 문헌 1 참조), 및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일단 좌우로 나눈 다음 하나로 하여 당기도록 하고 또한 래칫 기구와 연동시킨 트리거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용이하게 조이게 함과 함께, 또한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 기구를 구비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도 2, 4, 5 및 비특허 문헌 2 참조) 가, 각각 「타이팅 건 (Tighting Gun) [MH]」,「타이팅 건 [NTG]」이란 상품명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각지의 의료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후자의 장치는, 파지부 (3)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 부재 (4) 의 선단에, 측방 (선단방향을 향하여 좌측, 즉 도면 앞측) 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돌출부를 매듭 지지 수단 (5) 으로서 구비하고 있고, 막대 형상 부재 (4) 를 둘러싸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 블록 (6) 이 장착되며, 슬라이딩 블록 (6) 은, 측방 (선단방향을 향하여 좌측, 즉 도면 앞측) 으로 돌출된 매끄러운 원기둥의 측면 부분을 구비한 가이드 돌출부 (7) 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블록 (6) 에는, 가이드 돌출부 (7) 의 바로 상방에 있어서, 역시 측방으로 돌출한 1 쌍의 돌출부 (8, 9) (돌출부 (8) 는, 가이드 돌출부 (7) 와 유합 일체화되어 있다) 가 그들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케이블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극 (10) 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간극 (10) 은 그 단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V 자 형상으로 넓어지고 있으며, 이 단면 형상과 일치하여 슬라이딩 블록 (6) 의 상부에 상방으로 넓어진 횡단홈 (11) 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 (6) 의 상부에는, 막대 형상의 걸림 부재 (12) 가 회전 운동 가능한 아암 (13) 에 지지되어 있고, 걸림 부재 (12) 는, 그 측면에 있어서 1 쌍의 돌출부 (8, 9) 와 횡단홈 (11) 의 쌍방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아암 (13) 은, 매듭 지지 수단 (5) 과는 반대측 (도면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의 건너편) 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6) 상에 축지지 (journalled) 되고, 걸림 부재 (12) 가 간극 (10) 및 횡단홈 (11) 에서부터 상방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 (3) 내에는, 트리거 (14) 를 당김으로써 래칫 기구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계적으로 이송되는 드럼이 구비되고, 이것에 일단이 장착된 견인 케이블 (15) 의 타단이 슬라이딩 블록 (6) 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어, 트리거 (14) 를 반복하여 당김으로써, 슬라이딩 블록 (6) 이 막대 형상 부재 (4) 를 슬라이드하여 후퇴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 (4) 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파지부 (3) 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그 가까운 쪽의 말단이, 나사 기구를 구비한 장력 조절 노브 (17) 에 연결되어 있다.
이 장치는, 도 3 및 4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된다. 즉, 장치를 한쪽 손에 파지하여 체결 대상 뼈 (20) 를 체결하고 있는 케이블의 임 시 매듭 (21) 에, 막대 형상 부재 (4) 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매듭 지지 수단 (5) 을 대고 누른 상태에서, 타방의 손으로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22, 23) 을, 매듭 지지 수단 (5) 의 상측과 하측으로 나누어 걸고, 양단을 겹쳐 막대 형상 부재 (4) 의 측면을 따라 앞쪽으로 당겨 (도 3(h)),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가이드 돌출부 (7) 에 걸어 상방으로 방향 전환시키고, 1 쌍의 돌출부 (8, 9) 의 간극 (10) 에 통과시킨 후, 슬라이딩 블록 (6) 의 상방에 들어 올려져 있는 걸림 부재 (12) 에 걸고 (도 3(i)), 그 주위에 1 회 감은 다음 (도 3(j)), 트리거 (14) 를 2, 3 회 당겨 견인 케이블 (15) 을 당겨서 슬라이딩 블록을 후퇴시킴으로써, 걸림 부재 (12) 를 돌출부 (8, 9) 의 간극 (10) 및 횡단홈 (11) 에 떨어뜨린다. 이것에 의해, 걸림 부재 (12) 에 감긴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22, 23) 은, 간극 (10) 및 횡단홈 (11) 의 양측벽을 구성하는 V 자 형상의 사면과 걸림 부재 (12) 사이에 끼워지고, 그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된다. 그리고, 트리거 (14) 를 반복하여 당김으로써, 슬라이딩 블록 (6) 이 조금씩 손잡이측으로 후퇴하여,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22, 23) 이 강하게 당겨지고, 임시 매듭 내에서 케이블이 미끄러져 루프가 축소되어, 체결 대상 뼈가 강하게 조여져 묶이게 된다. 장력 조절 노브 (17) 에 의해 설정해 놓은 소정 크기의 장력을 넘어선 순간에, 슬라이딩 블록 (6) 으로부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22, 23) 을 통하여 매듭 지지 수단 (5) 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 (4) 에 작용하는 후방으로의 가압력이, 장력 조절 노브 (17) 에 의해 조절된 스프링의 반발력보다 강하여, 막대 형상 부재 (4) 가 처음으로 약간 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이 움직임이, 예를 들어 창 (25) 을 통해서 검출된다. 이렇게 해서, 소정 장력의 달성이 확인된 다음에는, 해제 레버 (26) 를 조작하여 래칫을 해제하고, 슬라이딩 블록 (6) 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22, 23) 을 느슨하게 하고, 장치로부터 떼어낸다. 이 상태에서는, 매듭은 단단히 조여져 있어 원래대로 쉽게는 되돌아가지 않지만, 더욱 매듭을 단단히 하기 위해서, 매듭의 추가, 매듭의 접착, 금구에 의한 고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장치는, 필요한 강한 장력으로 대상 뼈를 확실히 체결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조작성에 있어서 여전히 개량해야 할 점이 있었다. 즉, 임시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한 묶음으로 가이드 돌출부 (7) 에 건 후, 상방으로 방향 전환시켜 걸림 부재 (12) 에 감기까지의 조작을 하는 동안에 장치의 선단이 손떨림에 의해 전후 좌우로 약간 흔들리기 쉬워, 장치의 취급에 익숙하지 않은 시술자인 경우에는, 주의 깊게 실시하지 않으면 매듭 지지 수단 (5) 이 임시 매듭으로부터 빠져, 재차 선단을 임시 매듭에 대고 누르는 부분부터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었다. 뼈 수술에서는 다수의 지점을 체결해야만 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고, 이것은, 원활하게 수술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시술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손 떨림을 일으키는 요인을 줄인, 보다 조작성이 높은 장치가 요구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074205호
비특허 문헌 1 : 의료용 기구 허가번호 12BZ0286 「타이팅 건 [MH]」 팜플렛, 알프레사 파머 주식회사, 2004년 10월 개정판
비특허 문헌 2 : 의료용 기구 허가번호 12BZO286 「타이팅 건 [NTG]」팜플 렛, 알프레사 파머 주식회사, 2004년 10월 개정판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자는 검토의 결과, 상기 배경에 있어서, 이 손 떨림을 일으키기 쉽게하는 주된 원인이, (i) 슬라이딩 블록 (6) 에 있는 가이드 돌출부 (7) 에 골-체결 케이블을 걸고 상방으로 방향 전환할 때에, 골-체결 케이블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막대 형상 부재 (4) 에 대하여 횡단방향의 힘이 필요 이상으로 작용하여, 이 힘과의 균형을 잘 취하면서 걸림 부재 (12) 에 골-체결 케이블을 감기가 장치에 익숙해질 때까지는 비교적 어렵다는 점, (ii) 슬라이딩 블록의 측방의 가이드 돌출부 (7) 에 골-체결 케이블을 걸고, 돌출부 (8, 9) 사이의 홈에 케이블을 통과시켜 걸림 부재 (12) 에 감는 조작이, 장치의 측면을 비스듬한 후방에서 보면서 실시하는 형태로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치의 선단부가 케이블을 쥔 손에 의해 가려지기 쉬움과 함께, (iii) 케이블을 감는 걸림 부재 (12) 의 위치와 장치 선단부의 위치가 시야 내에서 비교적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쌍방에 균등한 주의를 기울이기가 어려워, 선단부의 매듭 지지 수단 (5) 의 위치 유지가 소홀해지기 쉽다는 점에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한, 개량형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위하여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는, 종래형의 장치에서는, 매듭 지지 수단인 장치 선단의 돌출부 (5) 가, 막대 형상 부재 (4) 에 대하여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때문에, 임시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막대 형상 부재 (4) 의 측방에 있어서 그 막대 형상 부재 (4) 의 길이축에 관해서 상하로 나누어 지지하고, 그 결과, 장치의 중심면을 골-체결 케이블의 루프면과 평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음에 반하여, 장치의 중심면을 루프면과 수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장치에 대하여 좌우 균등하게 당기는 것, 및 임시 매듭으로부터 걸림 부재에 감기까지, 골-체결 케이블이 가능한 한 일직선 상에서 조작되도록 하는 것에 착안하여 검토함으로써, 이것에 적합한 구성을 발견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체결 대상에 묶여있는 골-체결 케이블의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아암을 견인함으로써 체결 대상을 견고하게 묶기 위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로서,
손으로 쥐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그 2 개의 아암의 견인시에 있어서 매듭을 지지하기 위한 매듭 지지 수단과,
상기 2 개의 아암을 함께 쥐고 유지하기 위한 케이블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둘러싸고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상기 파지부에 구비된 견인 수단에 장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파지부에 구비된, 상기 견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매듭 지지 수단이, 그 막대 형상 부재의 상측에 있어서,
⑴ 상기 2 개의 아암을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길이축에 관해서 좌우로 나누어 걸 수 있는 지지면을 양측에 구비하고, 그리고/또는
⑵ 상기 2 개의 아암을 통과시킬 수 있는 슬릿 혹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구비된 상기 케이블 유지 수단이,
(a)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전후방향의 관통홈과,
(b) 상기 관통홈의 후단에 있어서, 그 관통홈의 횡단면과 교차하는 형태로 또는 중앙을 따라서 그 관통홈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넓어지는 오목부인 걸림 리세스와,
(c)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에서 그 걸림 리세스보다 뒤에,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진함으로써 그 걸림 리세스에 끼워지고 이것에 측면이 맞닿아 전진이 저지되는, 상기 2 개의 아암을 감기 위한 후방으로 탄성지지된 걸림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 상기 1 에 있어서, 그 걸림 리세스가, 중앙을 따라서 그 관통홈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3) 상기 걸림 부재가 아암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그 막대 형상 부재에 관해서 그 매듭 지지 수단과 동일한 측에 있어서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그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4) 상기 3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걸림 리세스 내에 끼워질 때에, 그 아암을 수용할 수 있는 함입 오목부가 그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5) 상기 3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그 걸림 리세스 내에 끼워질 때에 그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그 아암이, 그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를 피한 윤곽을 갖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6)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7) 상기 6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된 그 아암의 회전 운동축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8)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관하여 상기 매듭 지지 수단과 동일한 측에서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양측에서 비스듬한 측방을 향하여 형성된 동일한 길이를 갖는 1 쌍의 제 1 좌우 아암과,
상기 1 쌍의 제 1 좌우 아암의 각각의 선단에,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비스듬한 안쪽을 향하여 장착된 동일한 길이를 갖는 1 쌍의 제 2 좌우 아암으로서, 그들의 선단끼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인 1 쌍의 제 2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5 절 연쇄 기구의, 제 2 아암의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9) 상기 8 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제 1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0) 상기 9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된 상기 1 쌍의 아암의 적어도 일방의 회전 운동축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1) 상기 2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 상에 구비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2) 상기 2 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부가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3) 상기 12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4) 상기 1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세스가, 상기 관통홈의 횡단면과 교차하여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5) 상기 14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에 수평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에 형성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6) 상기 15 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면으로부터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으로부터 걸림 부재가, 그 걸림 리세스의 후방에 있어서 이것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7) 상기 15 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양 측면으로부터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 상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합체된 후 재차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그 걸림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8) 상기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9) 상기 18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된 상기 아암의 회전 운동축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0) 상기 14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그 슬라이딩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 상에 구비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1) 상기 20 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부가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2) 상기 21 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3) 상기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세스가,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V 자 형상으로 넓어지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4) 상기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세스가,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원호 형상으로 넓어지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발명의 효과
상기 각 구성이 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한 묶음으로 걸림 부재로 유도하기까지의 과정에서 골-체결 케이블의 측방으로의 방향 전환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케이블 감기 조작에 도달할 때까지 가해져야 했던 횡방향의 힘이 없어지고, 케이블 감기 조작에 있어서, 장치 선단이 손에 가려지는 일이 없어지며, 또한, 조작 중의 장치 선단부와 걸림 부재 사이에서 케이블이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쌍방에 균등하게 주의를 기울이기가 용이해진다. 그 결과,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걸림 부재에 케이블을 감기까지의 조작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오른손에 쥐고 조작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본 발명의 장치는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이 되는 결과, 좌우의 어느 손으로 쥐어도 완전히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주로 사용하는 손이 어느 쪽인지에 상관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골-체결 케이블을 뼈에 대하여 감는 조작 및 임시 매듭의 방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를 사용한, 뼈를 견고하게 조여 묶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를 사용한, 뼈를 견고하게 조여 묶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실시예 1 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1 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실시예 1 의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1 의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 은, 실시예 1 의 장치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12 는, 장력 조절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3 은, 실시예 1 의 장치에 의해 뼈를 견고하게 묶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 는, 장력 조절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6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8 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파지부 4 : 막대 형상 부재
5 : 매듭 지지 수단 6 : 슬라이딩 블록
7 : 가이드 돌출부 8 : 돌출부
9 : 돌출부 10 : 간극
11 : 횡단홈 12 : 걸림 부재
13 : 아암 14 : 트리거
15 : 견인 케이블 17 : 장력 조절 노브
33 : 파지부 34 : 막대 형상 부재
35 : 돌출부 36 : 슬라이딩 블록
37 : 견인 케이블 40 : 조작 레버
42 : 관통홈 44 : 걸림 리세스
46 : 걸림 부재 48 : 아암
50 : 함입 오목부 (indentation) 55 : 회전 드럼
57 : 기어 59 : 기어
61 : 래칫 휠 63 : 판 스프링
65 : 이송 폴 (feed pawl) 67 : 이송 폴의 선단
69 : 핀 71 : 복귀 방지편 (one-way detent)
73 : 해제 레버 75 : 장력 조절 노브
79 : 통 형상(筒狀) 부재 81 : 스페이서
83 : 코일 스프링 85 : 창
87 : 눈금 90 : 뼈
91 : 뼈 93 : 루프
94 : 아암 95 : 아암
100 : 슬라이딩 블록 102 : 제 1 아암
103 : 제 1 아암 104 : 제 2 아암
105 : 제 2 아암 106 : 함입 오목부
110 : 슬라이딩 블록 112 : 기판
114 : 코일 스프링 120 : 슬라이딩 블록
122 : 아암 124 : 걸림 부재
130 : 관통홈 132 : 걸림 리세스
134 : 돌출부 136 : 슬라이딩 블록
138 : 아암 140 : 걸림 부재
150 : 슬라이딩 블록 152 : 기판
154 : 코일 스프링 156 : 걸림 부재
160 : 관통홈 162 : 걸림 리세스
170 : 원통부 S : 슬릿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쥐기 쉽고 취급하기 쉽다면, 파지부의 형상 및 크기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파지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막대 형상 부재는 파지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소정의 힘으로 견인되었을 때에 슬라이드하여 후퇴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막대 형상 부재의 길이 및 굵기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길이는, 슬라이딩 블록이 적어도 수 cm 정도 후퇴할 수 있을 만큼의 여유를 갖는 것이면 되고, 굵기는, 전후방향의 수십 kgf 의 압축력에 견딜 수 있으면 된다. 또한 그 단면 형상도 적당히 할 수 있어, 슬라이딩 블록이 슬라이드 가능한 것이면 된다.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편리하다.
매듭 지지 수단은, 임시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후방으로 견인할 때에 있어서, 장력에 저항하여 임시 매듭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매듭 지지 수단은, (1) 그 중앙에 임시 매듭을 위치시키고, 거기서부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좌우로 나누어 후방으로 당기는 타입의 것이어도 되고, (2)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통과시켜 후방으로 당길 수 있는 (단, 케이블의 임시 매듭을 통과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폭의 슬릿 혹은 구멍을 구비하는 타입의 것이어도 되며, 나아가서는, (3) 이러한 2 가지 타입을 복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매듭 지지 수단의 구체예로는, 타입 (1) 의 것에서는,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1 개 또는 좌우 대칭으로 정렬한 1 쌍의 돌출부로서 구성해도 되고, 또한,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을 상방으로 구부린 부분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매듭 지지 수단은, 그 좌우 양측면을 따라서 케이블이 당겨짐으로써, 적어도 케이블을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면은 여분의 마찰을 피하도록 매끄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이 매듭 지지 수단의 좌우를 따라 당겨질 때, 케이블이 매듭 지지 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미끄러져 빠져버리는 일이 없도록, 매듭 지지 수단의 양측면에는 오목부 (예를 들어 안장형 곡면의 오목부) 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입 (2) 의 것의 구체예로는, 막대 형상 부재에 구비된, 후방으로 케이블을 통과시킬 수 있는 슬릿 (전후방향의 깊이는 상관하지 않는다) 을 사이에 두고 구획하여 배열된 1 쌍의 돌출부나, 전후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통 형상 또는 고리 형상 구조 부분을 들 수 있다. 타입 (1) 및 (2) 를 복합시킨 것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타입 (1) 의 것을 1 쌍의 돌출부로 서 구성하고 그들의 간극을 타입 (2) 의 슬릿으로 한 것이나, 타입 (1) 의 것을 1 개의 돌출부로 구성하고, 여기에 전후방향의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된 관통홈은, 서로 한 묶음으로 당겨지는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그들 홈에 케이블의 측면 상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낮추어 통과시킬 수 있는 깊이와 폭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걸림 리세스는, 걸림 부재가 그 안에 들어갔을 때에, 걸림 리세스의 양 측면이 걸림 부재의 측면에 맞닿아 걸림 부재의 전진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형상 및 크기는, 이 목적에 적합하도록 걸림 부재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통상적으로는 V 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원호 형상 등의 둥그스름한 부분을 가진 단면의 홈으로 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걸림 부재에 감긴 2 개의 케이블이, 걸림 리세스의 원호 형상 단면 중, 양측의, 경사 부분에 있어서 걸림 부재와의 사이에 협지되도록 치수를 정하면 된다. V 자 형상의 단면이나 원호 형상의 단면이나 상관없이, 케이블을 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는 면의 경사는, 케이블이 견인되는 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5°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이다. 또한, 걸림 부재의 측면 및 걸림 리세스의 표면의 일방 또는 쌍방에, 케이블과의 마찰을 높여 유지를 한층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미세한 줄무늬를 새겨넣거나 하여 표면에 볼록 오목을 형성한 조면 가공을 실시해 둘 수 있다.
걸림 리세스는, 중앙을 따라서 슬라이딩 블록의 관통홈의 횡단면을 포함한 형태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또, 이것과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전자의 경 우, 걸림 리세스의 바닥은 관통홈의 단면에 의해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리세스는 맞물림에 관여하는 양 측면만이 남는다. 걸림 리세스를 관통홈과 교차시켜 형성한 경우에는, 걸림 리세스는, 그 중앙 부근에서 관통홈의 횡단면에 의해 분단된 형태가 되지만, 나머지 부분에서는 완전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 부재는, 걸림 리세스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향된다. 걸림 부재는, 막대 형상 부재에 관하여 매듭 지지 수단과 동일한 측에 있어서, 예를 들어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된 아암의 선단에 장착되고, 아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수평면 내의 원 궤도 상을 전후로 움직여 걸림 리세스 내에 후방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다. 이 때. 아암이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아암을 갈고리형상으로 구부려 두거나 함으써, 아암의,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측에, 내측으로 리세스된 윤곽을 형성하고 그 속에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도록 해도 된다. 대안으로서,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아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절결하여 함입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아암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블록에 장착된 축 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시켜 놓으면 된다. 걸림 부재의 (따라서 아암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는, 슬라이딩 블록 내의 축 부재 주위에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단일 아암을 대신하는 구성의 하나로서, 걸림 부재가, 슬라이딩 블록도 포함하는 5 절 연쇄 기구의 선단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즉, 막대 형상 부재에 대하여 매듭 지지 수단과 동일한 측에 있어서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비스듬한 측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블록의 양측에 거의 대칭으로 형성된 동일한 길이를 갖는 1 쌍의 제 1 좌우 아암과, 이 1 쌍의 제 1 아암의 각각의 선단에, 수평면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비스듬한 안쪽을 향하여 대칭으로 장착된 동일한 길이를 갖는 1 쌍의 제 2 좌우 아암으로서 그들의 선단끼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1 쌍의 제 2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5 절 연쇄 기구의, 제 2 아암의 선단에 걸림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은, 팬터그래프와 유사한 기구이고, 이것에 의하면, 걸림 부재는 원주 상이 아닌, 직선 상에서 전후로 움직여 걸림 리세스에 끼울 수 있다. 이 경우, 1 쌍의 제 1 아암의 손잡이측 말단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블록에 장착된 각각의 축 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시켜 둘 수 있고, 또한, 걸림 부재를 후방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블록 내의 축부재의 일방 또는 쌍방의 주위에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들 단일 또는 복수의 아암을 사용하는 구성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 블록 상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 예를 들어 플레이트상 부재에 걸림 부재를 구비해 두고, 슬라이딩 부재를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시켜도 된다.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에는, 이를 위한 가이드 (슬라이딩 가이드) 를 슬라이딩 블록 상에 형성해 두면 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로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부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구멍일 수도 있고, 또한 슬라이딩 부재 의 양측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사이에 끼우는 단면 L 자 형상의 1 쌍의 돌출부와, 전후방향의 움직임을 소정 범위로 한정하는 돌출부를 슬라이딩 부재의 전후에 형성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서 걸림 부재를)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은,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구멍 내에 또는 상기 돌출부 (예를 들어 뒷쪽의 돌출부) 와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걸림 리세스가, 전후방향의 관통홈의 단면과 교차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때에는, 그것에 따라서, 여기에 끼워지는 걸림 부재도 횡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에도, 걸림 부재의 전후의 움직임도, 슬라이딩 블록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 상에 배치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블록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 상에 배치함으로써,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평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한 아암의 선단에 걸림 부재를, 걸림 리세스의 후방에서 이것에 평행하게 형성해도 되고, 또는, 슬라이딩 블록의 양 측면에서 수직면 내로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되며, 슬라이딩 블록 상에서 안쪽으로 구부러져 중앙에서 일체화되고 다시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된 아암의 선단에, 걸림 부재를, 걸림 리세스의 후방에서 이것에 평행하게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걸림 부재는 원 궤도 상 또는 직선 궤도 상에서 전후로 움직여, 걸림 리세스 내에 끼울 수 있다.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 방법에 관해서는, 종방향의 걸림 부재인 경우에 관해서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파지부의 구체적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파지부에는, 조작 레 버를 당김으로써, 이것에 연동되는 래칫 기구에 의해서 (직접 또는 별도의 기어 등과 같은 적절한 기구를 통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계적으로 이송되는 드럼 등의 케이블 감기 수단에 견인 케이블의 일단이 장착되고, 견인 케이블의 타단은, 슬라이딩 블록의 후면에 설치해두면 된다. 조작 레버를 반복하여 당김으로써, 케이블 감기 수단이 회전하여 케이블을 손잡이측으로 견인하고, 슬라이딩 블록이 그것에 의해 막대 형상 부재를 슬라이드하여 후퇴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또한, 막대 형상 부재는, 손잡이측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파지부에 의해서 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막대 형상 부재의 손잡이측 말단을, 파지부에 장착된 스프링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의 일단에 맞닿게 해두고, 슬라이딩 블록의 후방으로의 견인에 의해서 이것에 유지된 골-체결 케이블을 통해 막대 형상 부재가 후방으로 견인되어서, 견인력이 소정 값을 초과하였을 때 비로소 막대 형상 부재가 후퇴를 시작하도록 해 둘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장력이 소정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장치가 시술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막대 형상 부재의 후퇴가 시작되는 인장력의 크기는, 막대 형상 부재의 후단에 맞닿아 있는 스프링을, 그 인장력의 크기와 동일한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위치까지 미리 압축시켜 둠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파지부의, 스프링을 수용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스프링을 압축하여 최대 길이를 규제할 수 있는 프레임 안에 끼우고, 프레임의 최대 길이를 스크루 기구로 조절 가능하도록 해 두면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금속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도가 상기 압축력에 견디기에 충분하고 또한 수술에 있어서 사용 전후의 가열 멸균에 몇 번이고 견딜 수 있는 것이면, 내열성 수지, 세라믹 등과 같은 기타 재료를 부분적으로 병용해도 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이 그들의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6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31) 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들 그림에 있어서, 33 은 파지부이고, 그 앞쪽에서부터 전방으로 막대 형상 부재 (34) 가 연장되어 있다.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는 장치가 다양한 각도를 향하게 되지만, 구조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장치는, 막대 형상 부재 (34) 의 길이방향을 수평으로 하고, 그 선단을 전방을 향하게 하며, 또한, 파지부 (33) (전체적으로 면대칭이다) 의 대칭면을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을 규정한다. 막대 형상 부재 (34) 는, 파지부 (33) 에 의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부터 강하게 스프링 지지되어 도면에서의 위치에 머물러 있다. 막대 형상 부재 (34) 의 선단에는 상방을 향하여 좌우 1 쌍의 돌출부 (35) 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1 쌍의 돌출부 (35) 는 중앙이 리세스된 안장형의 매끄러운 측면을 가지며, 골-체결 케이블을 견고하게 조여 묶을 때에, 임시 매듭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1 쌍의 돌출부 (35) 사이에는 슬릿 (S) 이 구성 되어 있다.
막대 형상 부재 (34) 에는, 이것을 둘러싸고 슬라이딩 블록 (36) 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슬라이딩 블록 (36) 의 뒷쪽에는, 유지부 (33) 의 앞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금속성 견인 케이블 (37) 의 선단이 고정되어 있다. 견인 케이블 (37) 의 타단은, 파지부 (33) 내부에 있는 회전 드럼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 드럼은, 파지부 (33) 로부터 연장되는 트리거 형태의 조작 레버 (40) 에 의해 동작하는 래칫 기구를 통해서, 일정 방향으로만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에 일단이 고정된 견인 케이블 (37) 은, 조작 레버 (40) 를 당김으로써 발생하는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 후방으로 견인되어, 그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딩 블록 (36) 을 후방으로 견인한다.
슬라이딩 블록 (36) 은 그 상부에 전후방향의 관통홈 (42) (도 7 및 도 10 을 참조) 를 구비하고 있고, 관통홈 (42) 후방의 좌우의 가장자리 (도 7 및 도 10 을 참조) 에는,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V 자 형상으로 넓어진 걸림 리세스 (44) 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리세스 (44) 의 후방에는, 관통홈 (42) 의 폭보다 직경이 굵고 걸림 리세스 (44) 보다 직경이 가는 막대모양의 걸림 부재 (46) 가 배치되어 있다. 걸림 부재 (46) 의 표면은, 미세한 세로방향의 줄무늬가 새겨 넣어짐으로써 조면화되어 있다.
걸림 부재 (46) 는, 그 기부에 있어서 아암 (48) 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아암 (48) 의 타단은, 수직축 둘레로 수평면 내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블록 (36) 에 축지지됨과 함께, 축지지 부분에 있어서 축 주위에 형성된 스 프링 (도면에서는 슬라이딩 블록 내부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에 의해, 걸림 부재 (46) 를 걸림 리세스 (44) 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후방으로 스프링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걸림 리세스 (44) 안으로 아암 (48) 이 전방으로 움직일 때, 이것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36) 에 함입 오목부 (50) 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걸림 부재 (46) 는, 스프링 탄성지지에 의해 통상은 걸림 리세스 (44)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전방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 리세스 (44) 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11 은,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의 나타내는 측방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견인 케이블 (37) 은, 후단이 회전 드럼 (55) 에 고정되고 그 드럼면을 따라 당겨져 있다. 회전 드럼 (55) 은 그 드럼면과 동심의 일체화된 기어 (57) 를 갖고 있고, 기어 (57) 는, 별도의 기어 (59) 와 맞물려 있다. 기어 (59) 는, 동심의 래칫 휠 (61) 과 일체화되어 있다. 래칫 휠 (61) 과 동축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 레버 (40) 의 하단에는 판 스프링 (63) 의 하단이 결합되어 있고, 판 스프링 (63) 은, 조작 레버 (40) 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한 상태에서 상단이 파지부 (33) 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레버 (40) 에는 이송 폴 (65) 이, 그 선단이 래칫 휠 (61) 을 향하여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 (40) 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에 이송 폴 (65) 을 도면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 선단을 래칫 휠 (61) 로부터 떼어내도록, 이송 폴 (65) 의 후단 (67) 이, 파지부 (33) 의 하우징에 고정된 핀 (69) 과 맞닿아 캠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래칫 휠 (61) 에는 스프링 탄성지지된 복귀 방지 편 (71) 이 맞물려 있고, 복귀 방지편 (71) 은, 파지부 (33) 외측에 설치된 해제 레버 (73) 의 축과 결합되어 있어, 해제 레버 (73) 를 내림으로써 복귀 방지편 (71) 을 래칫 휠 (61) 로부터 해제시켜서, 래칫 휠 (61) 의 역회전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기어 (59, 57) 및 회전 드럼 (55) 의 역회전이 가능해져 견인 케이블 (37) 의 견인이 해제된다.
도 12 는, 골-체결 케이블에 의해 뼈를 견고하게 묶을 때의 케이블의 장력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75 는 장력 조절 노브이다. 장력 조절 노브 (75) 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막대 형상 부재 (34) 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 (77) 에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막대 형상 부재 (34) 의 후단은, 파지부 (33) 의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된 통 형상 부재 (79)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장력 조절 노브 (75) 는, 통 형상 부재 (79) 의 후단에, 슬라이딩 마찰 계수가 작은 스페이서 (81) 를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다. 막대 형상 부재 (34) 의 후단과 통 형상 부재 (79) 의 뒷벽 내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83) 이 삽입되어 있다. 장력 조절 노브 (75) 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것과 나사 결합된 막대 형상 부재 (34) 의 후단이 회전량에 따라서 후방으로 당겨져 후퇴하고, 코일 스프링 (83) 이 압축된다. 따라서, 장력 조절 노브 (75) 의 회전량이 많을수록 코일 스프링 (83) 의 압축량은 많아져, 보다 큰 반발력이 스프링에 축적된 상태가 된다. 통 형상 부재 (79) 에는 창 (85) 이 형성되고 있고, 창 (85) 의 가장자리에는 장력의 크기에 대응한 눈금 (87) 이 표시되어 있다. 막대 형상 부재 (34) 의 후단 부근에는 바 (89) 가 표시되어 있고, 이것은 통 형상 부재 (79) 의 창 (85) 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실시예의 장치에 의해서 2 개의 뼈를 견고하게 묶은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93 은, 뼈 (90, 91) 를 견고하게 묶고 있는 골-체결 케이블의 루프이고, 94 및 95 는, 골-체결 케이블의 임시 매듭 (돌출부 (35) 에 가져 보이지 않음) 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아암이다. 임시 매듭의 형성까지의 순서는, 종래의 장치에 관하여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94, 95) 은, 돌출부 (35) 에 의해서 임시 매듭이 지지된 상태에서, 돌출부 (35) 의 좌우로 나뉘어져 후방으로 당겨지고, 한 묶음으로 관통홈 (42) 에 통과시킨 후, 걸림 부재 (46) 에 1 회 감기고, 이어서, 조작 레버 (40) 가 2, 3 회 당겨져서 슬라이딩 블록 (36) 이 후퇴함으로써, 그 결과,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94, 95) 이 걸림 부재 (46) 와 돌출부 (35) 사이에서 팽팽하게 긴장되고, 그것들에 감긴 걸림 부재 (46) 가 걸림 리세스 (44) 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 (40) 가 다시 반복적으로 당겨져, 슬라이딩 블록 (36) 이 더욱 후퇴하는데, 걸림 부재 (46) 와 돌출부 (35) 사이의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94, 95) 의 추가적 긴장에 의해서 걸림 부재 (46) 가 V 자 형상의 걸림 리세스 (44) 에 더욱 견고하게 끼워져,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94, 95) 을 걸림 리세스 (44) 와의 사이에 한층 더 강하게 조이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마찰력 증대의 결과,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94, 95) 은 그 위치에서 단단히 유지된다. 또,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94, 95) 은, 돌출부 (35) 의 좌우로 나눠서 가르는 대신에, 돌출부 (35) 사이에 있는 슬릿 (S) 을 통해서 후방으로 당겨도 된다.
조작 레버 (40) 를 다시 반복하여 당김으로써 슬라이딩 블록 (36) 이 더욱 후퇴하여, 케이블의 2 개의 아암 (94, 95) 의 긴장이 증가되면, 임시 매듭에 있어서 케이블끼리의 접촉면이 서로 미끄러져, 루프 (93) 가 줄어들고 뼈 (90, 91) 를 서서히 강하게 조인다. 이 동안, 막대 형상 부재 (34) 도, 돌출부 (35) 에 있어서 걸림 부재 (46) 및 슬라이딩 블록 (36) 을 통하여 견인 케이블에 의해서 후방으로 견인되어 있지만, 후단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 (83) 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탄성지지력이 후방으로의 견인력보다 작아질 때까지는, 최초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다. 도 14 를 참조하면, 뼈 (90, 91) 를 조이는 루프 (93) 의 장력이 원하는 크기에 달하고 이것에 상호 관련된 견인력이 소정의 설정치를 약간 초과한 순간, 막대 형상 부재 (34) 는, 후방으로 약간 후퇴한다. 이 후퇴는, 장력 조절 노브 (75) 의 후퇴로써 검출할 수도 있고, 통 형상 부재 (79) 의 창 (85) 으로부터 보이는 바 (89) 의 움직임으로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막대 형상 부재 (34) 가 최초의 위치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어긋났을 때에, 시술자는, 소정의 장력이 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소정의 장력이 달성된 후에는, 해제 레버 (73) 가 내려져 래칫 기구의 복귀 방지편 (71) 이 래칫 휠 (61) 의 이 (teeth) 로부터 빠져, 래칫 기구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 (36) 의 견인이 해제되기 때문에, 걸림 부재 (46) 도 걸림 리세스 (44) 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걸림 부재 (46) 로부터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떼어낼 수 있다. 장치를 사용한 조작은 이것으로 완료되고, 그 후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매듭은 추가적인 매듭이나, 접착 기타에 의해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된다.
[실시예 2]
도 15 는, 본 발명의 별도의 일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실시예 1 에서의 그들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블록 (97) 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 (98) 은 갈고리 형상을 하고 있어, 그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내측의 리세스된 윤곽으로 인해, 전방으로의 회전 운동시에 아암 (98) 이 걸림 리세스 (44) 의 가장자리와 간섭하는 것이 회피된다. 본 실시예의 그 밖의 구조, 기능 및 사용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도 16 은, 본 발명의 또다른 별도의 일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실시예 1 에서의 그들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100) 은, 양측에서부터 비스듬한 측방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장되는 1 쌍의 제 1 아암 (102, 103) 과, 이들 아암의 선단으로부터 회전 운동 가능하게 비스듬한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아암 (104, 105) 을 구비하고, 제 2 아암 (104, 105) 은 양단에서 서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블록 (100), 1 쌍의 제 1 아암 (102, 103) 및 1 쌍의 제 2 아암 (104, 105) 에 의해 5 절 연쇄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1 쌍의 제 2 아암의 선단에는, 걸림 부재 (46) 가 고정되어 있다. 1 쌍의 제 1 아암 (102, 103) 은, 슬라이딩 블록 (100) 에 축지지되고, 축 주위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서 각각 후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제 2 아암 (104, 105) 이 전진할 때에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슬라이딩 블록 (100) 에는, 걸림 리세스 (44) 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함입 오목부 (106) 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걸림 부재 (46) 는, 통상적으로는 걸림 리세스 (44) 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지만, 전방으로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전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걸림 리세스 (44) 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 밖의 구조, 기능 및 조작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4]
도 17 은, 본 발명의 또다른 별도의 일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실시예 1 에서의 그들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110) 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기판 (112) 이, 그 후방에 있어서 가두어져 있는 코일 스프링 (114) 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걸림 부재 (46) 는 기판 (112)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걸림 부재 (46) 는, 통상적으로는 걸림 리세스 (44) 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지만, 전방으로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직선으로 전진하여 걸림 리세스 (44) 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 밖의 구조, 기능 및 사용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 (35) 는, 실시예 1 내지 실 시예 3 과 상이하며, 단일 구조를 갖는 것이다.
[실시예 5]
도 18 은, 본 발명의 또다른 별도의 일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실시예 1 에서의 그들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블록 (120) 의 일측면으로부터 아암 (122) 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비스듬한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슬라이딩 블록 (120) 상방에 있어서 그 선단에 내측을 향한 걸림 부재 (124) 가 장착되어 있다. 아암 (122) 은 슬라이딩 블록 (120) 의 내부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 (120) 에는 관통홈 (130) 이 형성되고, 그 횡단면과 교차하는 형태로 단면 V 자 형상의 걸림 리세스 (132) 가, 관통홈의 후단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걸림 부재 (124) 는, 통상적으로는 걸림 리세스 (132) 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지만, 전방으로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전진하여 걸림 리세스 (132) 에 끼워 넣을 수 있다. 걸림 부재 (124) 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돌출부 (134) 는, 관통홈 (130) 의 바로 위에서만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이 감기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관통홈 (130) 내에 정확히 끼워 넣을 수 있는 폭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그 밖의 구조, 기능 및 사용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6]
도 19 는, 본 발명의 또다른 별도의 일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 분적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실시예 1 에서의 그들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블록 (136) 의 양측면에서 아암 (138) 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비스듬한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그 슬라이딩 블록 상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중앙에서 합체된 후 비스듬한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에 그 걸림 부재 (140) 가 장착되어 있다. 아암 (138) 은 슬라이딩 블록 (136) 의 내부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 (136) 에는 관통홈 (130) 이 형성되고, 그 횡단면과 교차하는 형태로 단면 V 자 형상의 걸림 리세스 (132) 가, 관통홈의 후단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걸림 부재 (140) 는, 통상적으로는 걸림 리세스 (132) 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지만, 전방으로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전진하여 걸림 리세스 (132) 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 밖의 구조, 기능 및 사용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7]
도 20 은, 본 발명의 또다른 별도의 일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실시예 1 에서의 그들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150) 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기판 (152) 이, 그 후방에 있어서 가두어져 있는 코일 스프링 (154) 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걸림 부재 (156) 는 기판 (152) 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슬 라이딩 블록 (150) 에는 관통홈 (160) 이 형성되고, 그 횡단면과 교차하는 형태로 단면 V 자 형상의 걸림 리세스 (162) 가, 관통홈의 후단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걸림 부재 (156) 는, 통상적으로는 걸림 리세스 (44) 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지만, 전방으로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직선적으로 전진하여 걸림 리세스 (44) 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 밖의 구조, 기능 및 사용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8]
도 21 은, 본 발명의 또다른 별도의 일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부분적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는 돌출부 (35) 대신에 원통부 (170) 를 구비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다. 원통부 (170) 는, 그 구멍 안에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임시 매듭을 원통부의 선단에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구멍에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금속 섬유로 만들어진 케이블의 경우에는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지만,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케이블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양단에 와이어를 걸어 둘 수 있는 구조 부분 (예를 들어, 실로 만들어진 루프) 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그 구조 부분에 와이어를 걸고, 와이어를 가이드로서 사용하여 통과시키면 된다.
본 발명은, 골-체결 케이블의 2 개의 아암을 한 묶음으로 걸림 부재로 유도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케이블의 측방으로의 방향 전환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케이블 감기 조작에 도달하기까지의 횡방향의 부하가 해소되고, 또한, 조작 중의 장치 선단부와 걸림 부재의 동시 시인성도 개선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걸림 부재에 대하여 케이블을 감기까지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체결 대상에 묶여있는 골-체결 케이블의 매듭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아암을 견인함으로써 체결 대상을 견고하게 묶기 위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로서,
    손으로 쥐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그 2 개의 아암의 견인시에 있어서 매듭을 지지하기 위한 매듭 지지 수단과,
    상기 2 개의 아암을 함께 쥐고 유지하기 위한 케이블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둘러싸고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상기 파지부에 구비된 견인 수단에 장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인 슬라이딩 블록과,
    그 파지부에 구비된, 그 견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그 매듭 지지 수단이, 그 막대 형상 부재의 상측에 있어서,
    ⑴ 상기 2 개의 아암을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길이축에 관해서 좌우로 나누어 걸 수 있는 지지면을 양측에 구비하고, 그리고/또는
    ⑵ 상기 2 개의 아암을 통과시킬 수 있는 슬릿 혹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고,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구비된 상기 케이블 유지 수단이,
    (a)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전후방향의 관통홈과,
    (b) 상기 관통홈의 후단에 있어서, 그 관통홈의 횡단면과 교차하는 형태로 또는 중앙을 따라서 그 관통홈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넓어지는 오목부인 걸림 리세스와,
    (c)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에서 그 걸림 리세스보다 뒤에,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진함으로써 그 걸림 리세스에 끼워지고 이것에 측면이 맞닿아 전진이 저지되는, 상기 2 개의 아암을 감기 위한 후방으로 탄성지지된 걸림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세스가, 중앙을 따라서 상기 관통홈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아암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관해서 그 매듭 지지 수단과 동일한 측에 있어서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그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된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걸림 리세스 내에 끼워질 때에, 상기 아암을 수용할 수 있는 함입 오목부가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걸림 리세스 내에 끼워질 때에 그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이, 상기 걸림 리세스의 가장자리를 피한 윤곽을 갖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아암이, 그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 (journalled) 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된 상기 아암의 회전 운동축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관하여 상기 매듭 지지 수단과 동 일한 측에서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양측에서 비스듬한 측방을 향하여 형성된 동일한 길이를 갖는 1 쌍의 제 1 좌우 아암과,
    상기 1 쌍의 제 1 좌우 아암의 각각의 선단에, 수직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비스듬한 안쪽을 향하여 장착된 동일한 길이를 갖는 1 쌍의 제 2 좌우 아암으로서, 그들의 선단끼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인 1 쌍의 제 2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5 절 연쇄 기구의, 제 2 아암의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제 1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된 상기 1 쌍의 아암의 적어도 일방의 회전 운동축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 상에 구비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된, 그 슬라이딩 부재의 일부가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그 슬라이딩 가이드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세스가, 상기 관통홈의 횡단면과 교차하여 연장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에 수평축 둘레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에 형성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면으로부터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되 고, 상기 선단으로부터 걸림 부재가, 그 걸림 리세스의 후방에 있어서 이것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양 측면으로부터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슬라이딩 블록 상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합체된 후 재차 대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단에 그 걸림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축지지된 상기 아암의 회전 운동축 주위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 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 상에 구비되어 있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된, 그 슬라이딩 부재의 일부가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의 후방으로의 탄성지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그 슬라이딩 가이드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한 것인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세스가,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V 자 형상으로 넓어지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세스가, 후방을 향하여 단면폭이 원호 형상으로 넓어지는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KR1020077028004A 2005-05-02 2006-04-28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Active KR101183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3906A JP3721189B1 (ja) 2005-05-02 2005-05-02 骨締結ケーブル用緊縛装置
JPJP-P-2005-00133906 2005-05-02
PCT/JP2006/309005 WO2006118259A1 (ja) 2005-05-02 2006-04-28 骨締結ケーブル用緊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593A true KR20080016593A (ko) 2008-02-21
KR101183852B1 KR101183852B1 (ko) 2012-09-18

Family

ID=3547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004A Active KR101183852B1 (ko) 2005-05-02 2006-04-28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29513B2 (ko)
EP (1) EP1878397B1 (ko)
JP (1) JP3721189B1 (ko)
KR (1) KR101183852B1 (ko)
CN (1) CN100506179C (ko)
AT (1) ATE535200T1 (ko)
ES (1) ES2380151T3 (ko)
WO (1) WO2006118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9966B2 (en) * 2004-09-23 2013-06-25 Smith & Nephew,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ensioning an orthopedic surgical cable
US7658708B2 (en) * 2005-09-20 2010-02-09 Ai Medical Devices, Inc. Endotracheal intubation device
US8100946B2 (en) 2005-11-21 2012-01-24 Synthes Usa, Llc Polyaxial bone anchors with increased angulation
EP2117454A2 (en) * 2007-01-10 2009-11-18 DSM IP Assets B.V. Method and device for tightening a surgical cable
US9439681B2 (en) 2007-07-20 2016-09-13 DePuy Synthes Products, Inc. Polyaxial bone fixation element
US8257367B2 (en) * 2008-08-12 2012-09-04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Surgical cable tensioning apparatus and method
PL2337512T3 (pl) 2008-09-12 2012-09-28 Synthes Gmbh System usztywniający do stabilizacji i kierowania wzrostem kręgosłupa
EP2339975B1 (en) 2008-09-29 2015-03-25 Synthes GmbH Polyaxial bottom-loading screw and rod assembly
CA2742399A1 (en) 2008-11-03 2010-06-03 Dustin M. Harvey Uni-planar bone fixation assembly
JP2012523927A (ja) 2009-04-15 2012-10-11 ジンテ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脊椎構成物のための修正コネクタ
EP2421456B1 (en) * 2009-04-25 2015-09-09 Synthes GmbH System for minimally invasive crimp and cable for bone cerclage
JP5654584B2 (ja) 2009-06-17 2015-01-14 ジンテ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脊柱構築用の修正コネクタ
US9364276B2 (en) * 2009-07-09 2016-06-14 Smith & Nephew, Inc Tissue graft anchor assembly and instrumentation for use therewith
CN102655817B (zh) * 2009-10-23 2014-11-12 爱芙乐赛制药株式会社 骨紧固线缆用扎紧装置
US9084644B2 (en) 2011-02-02 2015-07-21 DePuy Synthes Products, Inc. Bone fixation assembly
US9113975B2 (en) * 2011-06-17 2015-08-25 Figure 8 Surgical, Inc Sternum band tensioner device, system and method
FR2981841B1 (fr) * 2011-10-28 2013-12-20 Implanet Dispositif de mise en tension d'une bande souple et ensemble comprenat un tel dispositif avec bande souple
US20160287299A1 (en) * 2012-07-14 2016-10-06 Aubrey Group, Inc. Bone fixation device and method
US9675386B2 (en) 2013-03-11 2017-06-13 K2M, Inc. Flexible fastening system
WO2015106300A2 (en) * 2014-01-10 2015-07-16 Van Der Walt Leon Normam Orthopaedic tying device
US9820793B1 (en) * 2014-04-21 2017-11-21 Dallen Medical, Inc. Tensioning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suture systems
EP3137003B1 (en) * 2014-04-30 2020-02-26 DePuy Synthes Products, Inc. Tensioning instrument and related bone fixation systems
AU2015267531B2 (en) * 2014-05-30 2020-02-27 DePuy Synthes Products, Inc. Bone fixation assembly
FR3026636B1 (fr) * 2014-10-01 2017-09-15 Cousin Biotech Ancillaire de mise en tension d'un element longiligne pour la fixation d'un implant sur un element osseux
US9757167B2 (en) 2015-03-11 2017-09-12 K2M, Inc. Inserter and method for securing an implant to a spinal process with a flexible fastening system
CN105877911B (zh) * 2016-03-29 2017-12-12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用于导航系统的骨折块固定牵引示踪装置
WO2018071514A1 (en) 2016-10-11 2018-04-19 K2M, Inc. Spinal impla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9171937B (zh) * 2018-09-21 2023-12-29 江苏荷普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医用紧缆器
AU2020231414A1 (en) * 2019-03-06 2021-10-07 Speed Clip Solutions, LLC Suture tensioning and secur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s
CN109730731A (zh) * 2019-03-20 2019-05-10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适用于踝关节镜手术的新型牵引装置
US11819255B2 (en) 2019-10-07 2023-11-21 Ortho Development Corporation Tether tensioning instrumentation and related methods
US12048818B2 (en) 2020-07-05 2024-07-30 New Wave Endo-Surgical Corp. Handheld elongate medical device advancer and rel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12120776B (zh) * 2020-08-27 2022-03-11 北京市春立正达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缆索固定捆扎器
WO2024184364A1 (en) 2023-03-06 2024-09-12 Moving Spine Ag Ligament tensioning device
CN118512254B (zh) * 2024-07-23 2024-11-12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捆扎拧线工具及捆扎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7579A (en) * 1918-09-21 1920-07-27 Henrikson Bernhardt Hose-clamp tool
US4966600A (en) * 1989-01-26 1990-10-30 Songer Robert J Surgical securance method
US5116340A (en) * 1989-01-26 1992-05-26 Songer Robert J Surgical securance apparatus
JP3074205B2 (ja) 1991-06-11 2000-08-07 マルホ発條工業株式会社 骨手術糸用結紮装置
US5312410A (en) * 1992-12-07 1994-05-17 Danek Medical, Inc. Surgical cable tensioner
US5395374A (en) 1993-09-02 1995-03-07 Danek Medical, Inc. Orthopedic cabling method and apparatus
US5536270A (en) * 1994-02-24 1996-07-16 Pioneer Laboratories, Inc. Cable system for bone securance
US5899921A (en) * 1997-07-25 1999-05-04 Innovasive Devices, Inc. Connector device and method for surgically joining and securing flexible tissue repair members
EP1192908A3 (en) * 2000-10-02 2004-05-26 Howmedica Osteonics Corp. System and method for spinal reconstruction
JP3512766B2 (ja) 2001-08-09 2004-03-3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液晶表示装置
US6752810B1 (en) * 2002-05-31 2004-06-22 Pilling Weck Incorporated Instrument and method for pulling and twisting a tie onto two separated items
JP2008167869A (ja) * 2007-01-10 2008-07-24 Alfresa Pharma Corp 骨固定用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82821A1 (en) 2009-03-26
US8029513B2 (en) 2011-10-04
ATE535200T1 (de) 2011-12-15
EP1878397A1 (en) 2008-01-16
ES2380151T3 (es) 2012-05-09
CN101170951A (zh) 2008-04-30
JP2006305211A (ja) 2006-11-09
WO2006118259A1 (ja) 2006-11-09
CN100506179C (zh) 2009-07-01
EP1878397A4 (en) 2009-03-25
KR101183852B1 (ko) 2012-09-18
EP1878397B1 (en) 2011-11-30
JP3721189B1 (ja)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852B1 (ko) 골-체결 케이블용 긴박 장치
JP5624552B2 (ja) 骨締結ケーブル用緊縛装置
KR101925771B1 (ko) 골 고정 조립체
US66891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inal reconstruction
CN109288550B (zh) 柔性锚输送系统
EP0602757B1 (en)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knots in surgical suture material
JP2022179502A (ja) 外部器具チャネルを有する内視鏡縫合システム
CA2897180C (en) Devices and methods for advancing knots
US20050177179A1 (en) Surgical cable system
CN1090160A (zh) 外科手术用钢丝张紧装置
JP4758417B2 (ja) 可変トリガー・リンク機構を有するケーブル結束工具
WO2006088452A2 (en) Surgical cable system
JP6498209B2 (ja) 結び目を前進させるデバイス及び方法
US9226740B2 (en) Surgical instrument
JP2010166828A (ja) 釣糸の接続方法とこれに用いる釣糸接続具
WO2011064567A1 (en) Res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ing such a device
JPH07106736B2 (ja) 結束装置
JP2022548002A (ja) スキンタグの周りに糸ループ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444909A (zh) 深部打结器
JPH05317332A (ja) 骨手術糸用結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