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14706A -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및 이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및 이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706A
KR20080014706A KR1020070080874A KR20070080874A KR20080014706A KR 20080014706 A KR20080014706 A KR 20080014706A KR 1020070080874 A KR1020070080874 A KR 1020070080874A KR 20070080874 A KR20070080874 A KR 20070080874A KR 20080014706 A KR20080014706 A KR 2008001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portion
tension
tension support
elev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른스트 아흐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1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70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10Driving belts having wedge-shap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10Driving belts having wedge-shaped cross-section
    • B29D29/103Multi-ribbed driv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07B5/0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by the properties of an outer surface polymeric coa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22Flat or flat-sided ropes; Sets of ropes consisting of a series of parallel rop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홈 (2.1) 배열체를 갖는 제 1 벨트부 (2) 를 제조하는 단계, 배열체의 홈에 인장 지지체 (3) 를 배치하는 단계, 및 인장 지지체 (3) 가 벨트 (1) 내측에 수용되도록 제 1 벨트부 (2) 와 제 2 벨트부 (4) 를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 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및 이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BELT FOR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BELT}
본 발명은 벨트를 갖는 승강기 시스템, 이러한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및 이러한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시스템은 승강실, 및 승강로 또는 프리스탠딩 가이드 장치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균형추를 구비한다. 이동을 위해서, 승강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벨트를 통해 승강실 및 균형추를 지지하고 및/또는 이들 승강실과 균형추에 필요한 견인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동 시브를 각각 갖춘 하나 이상의 구동장치를 갖는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구동 시브는 견인 시브 또는 더 작은 직경의 시브와 동등하게, 또한 특히 구동장치 자체의 구동축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승강실 및 균형추는 구동 시브(들) 로 편향되는 동일한 벨트(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승강실 및 균형추는, 승강실이 하강할 때 균형추가 상승하고 또는 이와 반대로 되는 방식으로 구동 시브(들) 에 별개의 벨트를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시브는 견인 벨트에 장력을 작용시켜 승강실 또는 균형추를 상승시키지만, 순수 서스펜션 벨트는 구동 시브로 편향되지 않으며, 단지 편향 요소, 특히 스위블링 또는 고정된 편향 풀리만을 편향하며, 승강실 및 균형추의 무게력의 일정한 부분을 감아올린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견인 및 서스펜션 벨트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는 각각 전술한 기능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구동 및/또는 서스펜션 벨트, 수개의 벨트중 하나, 및/또는 승강실 및/또는 균형추에 체결되는 벨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구동 시브 및 편향 풀리는 일반적으로 "벨트 시브" 로 언급한다.
승강기 시스템용의 이러한 벨트는 통상 엘라스토머 벨트체를 포함한다.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강 및/또는 플라스틱 코드 형태의 인장 지지체는 단일 또는 다중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섬유 또는 플라스틱 방사(yarn)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벨트체로 구체화된다. 이점으로는, 벨트 시트를 감는 중에 인장 응력 또는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벨트 단면의 중심 섬유에 인장 지지체가 배치된다.
제조시 벨트에서 정확한 위치에 인장 지지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가소성 플라스틱, 특히 PU 가 동시에 압출기로부터 적용되는 곳에 제 1 성형 시브에 공급될 강 및/또는 플라스틱 코어 형태로 존재하는 인장 지지체가 WO 2006/000500 A1에 공지되어 있다. 성형 시브는 화살 형태로 배치되는 크로스 리브를 갖춘 외주면을 갖는다. 와이어의 인장의 결과로, 인장 지지체는 크로스 립의 헤드면 위에 가압된다. 가소성 플라스틱의 압출은, 인장 지지체가 자유롭게 놓여지는 영역 에서 성형 시브의 화살형 크로스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홈을 하부측에 갖는 제 1 벨트부을 형성한다. 이 벨트부는 제 2 성형 시브를 안내하며, 이 벨트부에는 제 2 성형 시브와 제 1 벨트부의 하부측 사이에 가소성 플라스틱 (특히, PU) 으로 도포되어 제 1 벨트부의 홈을 충전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인장 지지체를 둘러싸며, 제 1 벨트부의 하부측에 열적으로 밀접하게 결합되는 제 2 벨트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벨트는 동일한 재료의 두 벨트부로부터 두 부분에 형성되며, 인장 지지체는 양 벨트부의 접촉면에 배치되어, 두 벨트부는 포지티브 핏 (positive fit) 뿐만 아니라 재료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발명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승강기 벨트는 수 개의 문제점을 갖는다.
벨트 내에서의 개별 인장 지지체의 위치는, 인장 지지체가 제 1 성형 시브 위에서 연장하기 전에 인장 지지체를 안내하는 공급 장치에 의해 한정된다. 압출 공정중에, 즉 인장 지지체가 제 1 성형 시브 위를 통과하면, 인장 지지체의 측방향 안내가 인장 지지체를 구비하는 코드(cord)에 의해 제 1 성형 시브 위에 부과되는 마찰 맞물림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인장 지지체의 와이어에서의 상당한 인장을 요하며 마찰 결합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직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인장 지지체는 인장 없이 벨트에 봉입될 수 없다. 그러나, 와이어의 인장이 높을지라도, 벨트 내의 인장 지지체의 정확한 측방향 위치는 보장될 수 없다.
동일한 재료의 두 벨트부로부터의 구조는 영구 결합의 형성에 이롭지만, 구동 시브와의 마찰 결합 및 포지티브 핏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견인 면 상에 벨트로의 인장력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편향 요소를 둘러싸는 견인 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있는 벨트의 반대면에 동일한 마찰 계수를 갖는 벨트를 필요로 한다. 벨트의 견인 및 구동 성능을 증가시키는 견인 면이 높은 마찰 계수를 갖기 때문에, 벨트의 반대면 상의 마찰은 벨트의 편향의 바람직하지 않은 증가를 초래하여, 예컨대 편향 풀리 상의 벨트의 측방향 안내가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에서 인장 지지체의 정확한 위치적 배치가 신뢰성있게 실현되는 승강기 설비용의 일반적인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편향중 하중이 감소되는 승강기 설비용의 일반적인 벨트를 제조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 12 항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 배열체를 갖는 제 1 벨트부를 제조하는 단계,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홈에 인장 지지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인장 지지체가 벨트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제 1 벨트부와 제 2 벨트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제 1 벨트부의 홈에 인장 지지체를 배치하는 것으로 인해, 제조 공정중 인장 지지체를 위치적으로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이 단순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이는 인장 지지체가 벨트에 엇갈리게 홈을 통해 포지티브 결합됨으로써 안내되어, 서로에 대한 또한 벨트의 나머지에 대한 정확한 위치 배열체가 홈의 기하학 특히, 홈의 폭 및 서로에 대한 간격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인장 지지체가 각각의 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복수의 인장 지지체가 동일한 홈에 배치되어 이에 의해 이들 인장 지지체의 적어도 위치적으로 정확한 배치가 다른 홈에서 추가의 인장 지지체 배치에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 벨트부의 홈마다 인장 지지체를 배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컨대 상이한 수의 인장 지지체가 일반적인 제 1 벨트부에 끼움장착될 수 있어, 다양한 인장 강도를 갖는 복수 개의 상이한 벨트가 반제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인장 지지체를 수용하는 홈에 추가하여, 제 1 벨트부는 추가의 개구 및/또는 돌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들은 제 2 벨트부의 대응하는 돌기와 개구에 의해 포지티브 핏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이에 의해 두 벨트부 사이의 결합을 보강한다.
인장 지지체는 예비장력없이 제 1 벨트부의 홈에 매립될 수 있다. 특히, 이에 의해 저응력 벨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WO 2006/000500 A1 로부터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인장 지지체는 성형 시브 및 벨트 내에서 소망하는 위치에 신뢰할 수 있게 고정될 수 없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홈은 벨트의 폭을 가로질러 인장 지지체의 위치의 신뢰할 만한 판정을 야기한다.
제 2 벨트부가 제 1 벨트부에 연결되어 벨트 내에 인장 지지체를 완전히 봉입하기 이전에, 제 1 벨트부의 홈에 인장 지지체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장 지지체는 제 2 벨트부에 먼저 균일하게 잘 배치될 수 있다. 제 1 벨트부와의 연결을 통해서, 홈으로 인해서 제 2 벨트부는 필요하다면 인장 지지체에서 미리 적용된 예비장력의 해제에 의해서 인장 지지체를 단지 약간만 최종 위치로 잡아당긴다.
제 1 벨트부를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컨대, 폴리아미드 (PA),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보네이트 (PC), 또는 폴리염화비닐 (PVC) 일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블렌드, 즉 2 이상의 상이한 플라스틱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제 1 벨트부는 이들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하나의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이들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추가로 매립하거나 또는 함침될 수 있다.
이러한 다소 경질의 제 1 벨트부는 그 홈에 신뢰할 수 있게 개별 인장 지지체를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 1 벨트부가 제 2 벨트부에 결합된 후에, 제 1 벨트부는 가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다시 플라스틱화될 수 있어, 제 2 벨트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며 이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적 배치에 고정되는 인장 지지체가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제 1 벨트부의 홈에 양호하게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홈은 제 1 벨트부의 열 변형 및/또는 기계적 변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홈들은 제 1 벨트부의 몰딩 및/또는 후속하는 제 1 벨트부의 새로운 가열 하에서의 기계가공 또는 변형, 예컨대 밀링, 핫 프레싱, 롤링 등에 의해 이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홈은, 바람직하게는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구체화된다. 이는 통상 홈의 저부 폐쇄 단부에서 회전 대칭, 특히 본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별개의 인장 지지체를 중점으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이한 직경의 인장 지지체를 동일한 제 1 벨트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장 지지체는 직경에 따라 상이한 깊이로 V자형 또는 U자형 홈에 진입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홈은 인장 지지체의 (부분) 외부 윤곽과 본질적으로 매치할 수 있다. 홈 내에 배치된 인장 지지체가 벨트 시브, 특히 구동 시브의 감김시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이발생하지 않거나 단지 작게만 발생하는 전체 벨트의 단면의 중심 섬유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홈은, 인장 지지체가 홈 내의 전체 높이에 배치되지 않고, 제 2 벨트 내에서 텐션 지지체를 넘어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지지체와 제 2 벨트부 사이의 견인 표면은 확장하며, 특히 승강기 시스템의 구동 시브와 맞물림하게 제공된다면 더욱 바람직하여, 장력이 구동 시브로부터 제 2 벨트부를 통해 인장 지지체 위에 전달된다. 이점에서, 홈은 편평한 것이 바람직하며, 홈은 인장 지지체의 위치적으로 정확한 배치를 보장하며, 인장 지지체는 제 2 벨트부 내로 가능한 멀게 돌출한다.
인장 지지체는 단일 와이어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또는 단일 또는 다중 적 층식 스트랜드 또는 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자는 강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레이드 인장 지지체는 추가의 코어 특히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 공정중 홈의 개별 인장 지지체의 일정한 위치결정의 결과, 로우-트위스트 로프에 추가하여, 로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벨트를 십자형 (crosswise) 으로 꼴 수 있다.
제 2 벨트부는 엘라스토머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클로로프렌,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요구조건에 각각 적용될 수 있는 상이한 재료를 양 측면에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홈에서 인장 지지체의 안정적인 안내를 보장하고 또한 외부측 곡선 세그먼트로서 벨트 시브 위에 편향될 때의 적절한 가요성을 갖도록 제 1 벨트부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제 2 벨트부용으로, 구동 시브로부터 인장 지지체 위로의 장력의 전달에 특히 적합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인장 지지체에 대해 적절하게 부착되고, 구동 시브에 바람직한 견인 성능을 가지며, 동시에 힘의 전달로 발생하는 인장 및 변형을 견디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특히 쇼어 경도 (A) 로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쇼어 경도 (A) 로 75 내지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쇼어 경도 (A) 로 80 내지 85 를 갖는 엘라스토머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 2 벨트부는 압출 및/또는 접착 결합에 의해 제 1 벨트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벨트부가 제 1 벨트부 위에 압출된다면, 특히 단순한 제조 공정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제 1 및 제 2 벨트부는 고정적으로 영구 결합된 다. 압출시 제 2 벨트부는, 제 1 벨트부의 홈에 존재하지 않으며, 제 1 및 제 2 벨트부와 인장 지지체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는, 외주면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인장 지지체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 벨트부는 제 1 벨트부에 결합되는 반제품 및 접착제로 미리 제조될 수 있다. 미리 제조된 제 2 벨트부는 바람직하게는 홈에 배치되는 인장 지지체에 본질적으로 상호보완적인 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개구는 인장 지지체보다 다소 작을 수 있어, 두 벨트부를 결합할 때, 인장 지지체가 제 2 벨트부의 변형하에 두 벨트부 사이에서 밀접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벨트부에서 멀리 있는 제 1 벨트부의 측면에는 예컨대, 폴리아미드 (PA),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보네이트 (PC), 또는 폴리염화비닐 (PVC) 과 같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제 3 벨트가 배치된다. 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또한 폴리블렌드 즉, 2 이상의 상이한 플라스틱 혼합물일 수도 있다. 제 3 벨트부는 이들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하나로 만들어진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3 부분 구조는 다른 최적의 적합한 재료를 개별 벨트 부품의 각각의 기능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중간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1 벨트부의 재료가 인장 지지체의 안내 즉, 적절한 홈의 안정적이며 양호한 생산성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동 시브로부터 인장 지지체, 및/또는 제 3 벨트부로의 장력의 전달에 관한 제 2 부분 홈의 재료는 최적의 가능한 가역성, 특히 낮은 마찰 계수, 높은 가요성, 및/또는 높은 내마모성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벨트부에서 멀어지는 제 2 벨트부의 측면은 승강기 시스템의 구동 시브에 상호작용하도록 견인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견인 표면은 코팅 및/또는 하나 이상의 V-리브를 가져 승강기 시스템의 구동 시브의 대응하는 홈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에 의해, 한편으로는 구동 시브와의 마찰 결합이 가능해질 수 있는 제 2 벨트부의 재료의 마찰 계수와 상이할 수 있는 정의된 마찰 계수가 가능할 수 있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표면 특징, 예컨대 내마모성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다소 연질인 제 2 벨트부가 가능하며, 이점에서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의 박 코팅이 제공되도록 용이하게 편향될 수 있다.
구동 시브에 프레스 온 (press-on) 압력, 동일한 반경 방향 힘을 갖는 견인 및 구동 성능, 및 동일한 베어링 부하 및 벨트 인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견인 표면에는 V-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V-리브는 구동 시브에 십자형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벨트를 안내한다. 이 리브는 60°내지 120°의 플랭크각, 바람직하게는 80°내지 100°의 플랭크각을 갖는 V자형 단면을 갖는다. 플랭크각은 V자 형상리브의 양측면(플랭크) 사이에 존재하는 각이다.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낸 이 범위는 견인 시브에서 벨트 막힘의 위험과 높은 견인 성능 사이에서 절충된다.
견인 표면에서 멀어지는 벨트의 측면, 예컨대 제 1 벨트부 또는 존재한다면 제 3 벨트부의 표면은 승강기 시스템의 편향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슬라이딩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의 재료 및/또는 코팅의 상응하는 선택을 통해 편향시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 표면의 내마모성 및/또는 마찰 계수가 목표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의 제 1 벨트부 또는 제 3 벨트부의 슬라이딩 표면이 최대 0.35, 바람직하게는 최대 0.3,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의 마찰 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는 특히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홈의 배열체를 갖는 제 1 벨트부, 홈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홈에 있는 인장 지지체, 및 인장 지지체가 벨트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제 1 벨트부에 연결되는 제 2 벨트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벨트는 제조가 용이하며, 벨트 내에서 인장 지지체의 위치적으로 정확한 배치가 홈에 바람직하게 영향을 미친다. 제 1 및 제 2 벨트부 및 제 3 벨트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의 재료가 상이하다면, 마찰 계수,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또는 개별 벨트부 및 벨트부에 의해 형성되는 견인 및/또는 슬라이딩 표면의 유사한 특성 등이 이러한 벨트에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0.3 의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용으로 제 1 및 제 3 벨트부가 선택될 수 있다. 제 1 및 제 3 벨트부로부터 형성되며, 예컨대 편향 풀리 등의 편향 요소를 부분적으로 또는 다중으로 감는 슬라이딩 표면을 갖는 벨트가, 낮은 마찰력에서만 편향을 발생시키며, 특히 이 낮은 마찰력은 편향 풀리의 벨트의 측방향 안내에 적은 문제점을 유발시키며, 승강기 시스템에 요구되는 구동력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
견인 표면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표면이 하나 이상의 리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또한 벨트가 슬라이딩 표면에서 벨트 시트와 접촉하는 벨트 시브 위에서 편향될 때, 이러한 벨트 시브의 벨트를 측면에서 떨어져 나가지 못하게 측방향으로 벨트가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부는 상이한 색을 가져, 벨트의 정확한 장착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견인 및 슬라이딩 표면은 상이하게 채색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 벨트부는 상이한 색의 재료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하위 클레임 및 하기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로부터 설명된다.
도 2 는 폴리아미드제의 제 1 벨트부 (13) 를 도시한다. 이 부분은 V자형 홈 (13.1) 을 갖는다. 이러한 벨트는 예컨대,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 홈은 몰딩 공정에서 미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벨트부가 벨트 시브를 가능한 낮게 통과할 때 제 1 벨트부의 가요적인 부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 1 벨트부는 최대 2㎜ 의 두께 또는 전체 벨트 두께의 최대 1/3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12) 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인장 지지체 (14) 가 도 2 에 도시된 제 1 벨트부 (13) 의 홈 (13.1) 에 각각 제일 먼저 배치된다.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방법으로, 인장 지지체는 별개로 함께 놓여지는 별개의 강 와이어로 자체적으로 구성되는 와이어 로프 또는 와이어 스트랜드의 코드로서 구체화된다.
플랫폼과 같은 제 1 벨트부를 가지며, 다양한 인장 강도를 갖는 다양한 벨트가 제조될 수 있다면, 각각의 홈에 인장 지지체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컨대, 각각의 제 2 홈이 자유롭게 남겨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동일한 제 1 벨트부는 본질적으로 인장 강도의 절반이지만 가요성이 더 큰 승강기 벨트를 갖게 된다. 서로 다른 승강기 벨트를 위해 동일한 제 1 벨트부를 사용하는 능력은 공구의 비용, 재고 등을 감소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가벼운 예비 인장을 받으면서, 인장 지지체 (14) 는 V자 형상 홈 (13.1) 내로 위에서 부터 가압되며, 그 결과 V자 형상 홈이 탄성 변형되며, 본질적으로 인장 지지체의 윤곽을 취하게 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제조 방법의 후속하는 부분적인 단계에서는, 제 1 벨트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홈에 충분히 다시 가소성화되어 소성 변형 하에서 인장 지지체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장 지지체는 홈 (13.1) 에서 본질적으로 인장에 관계없이 놓여질 수 있으며, 홈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적으로 정확하게 배치된다. "놓여지는(laid)" 은 인장 지지체를 공급하는 방식 또는 수단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이어서, 폴리우레탄의 제 2 벨트부 (15) 가 홈 (13.1) 에 배치되는 인장 지지체 (14) 에 의해 제 1 벨트부 (13) 위에 압출된다. 제 2 벨트부는 인장 지지체의 자유면을 둘러싸며, 동시에 제 2 벨트부에 면하며 인장 지지체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표면에 제 1 벨트부 (13) 와 열적으로 자체 결합된다. 부분적으로 매 립되는 제 2 벨트부 (15) 와 인장 지지체 (14) 사이의 접착은 인장 지지체 위에 제 2 벨트부를 통해 하나의 구동 시브로부터 승강기 시스템에서 상승하는 장력을 전달할 정도로 충분히 크다.
도 1 은 그에 따른 벨트 (12) 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1 벨트부 (13) 으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에서, 제 2 벨트부 (15) 는 90°의 플랭크각 (γ) 을 가진 V-리브 (15.2) 를 갖는다. 이들은 제 2 벨트부를 기계 가공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제 2 벨트부를 몰딩함으로써, 예컨대, 제 2 벨트부의 높이에 위치되며, 대응하는 보완 V-리브 프로파일을 갖는, 압출 시스템 (도시되지 않음) 의 몰딩 벨트와 제 1 벨트부 (13) 사이에 폴리우레탄을 삽입함으로써, 균일하게 양호한 상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벨트는 통상 복수 개의 인장 지지체 (14) 를 포함하며, 제 1 벨트부 (13) 는 인장 지지체를 안내하는 수개의 홈 (13.1) 을 가지며, 인접한 홈과 인장 지지체 사이의 틈은, 동일한 수의 인장 지지체 (14) 가 각각의 V-리브 (15.2) 에 할당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V-리브 (15.2) 에 할당되는 인장 지지체의 각 그룹은 V-리브의 중심 축 (15.3) 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 1 벨트부 (13) 는 제 2 벨트부 (15) 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에, 편향 요소 (4.2)(도 3 참조) 둘레의 편향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한다. 폴리아미드의 슬라이딩면은 높은 내마모성 뿐만 아니라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풀리에서 벨트를 안내하기 위해 극복되어야만 하는 마찰력이 감소되며, 이에 의해, 예컨대 편향 풀리의 안내 플랜지에 의해 벨트에 가해지는 측방향 하중 및 요구되는 견인력이 감소된다. 벨트와 편향 요소의 사용 수명 또한 연장된다.
제 2 벨트부 (15) 는 제 1 벨트부 (13) 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에, 구동 시브 (4.1)(도 3 참조) 와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견인면을 형성한다. 서로 다른 마찰 계수가 제 2 벨트부 (15) 의 폴리우레탄에 의해 부여되는 것보다 바람직하여, 벨트가 견인면에 코팅 (도시되지 않음) 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시브의 대응 V-리브 프로파일과 접촉하게 되는 V-리브 (15.2) 의 플랭크는 폴리아미드 박판 (thin foil) 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조의 단순화를 위해서, 전체 견인면을 이러한 박판으로 균일하게 코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벨트 (12) 는 제 2 벨트부 (15) 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벨트부 (13) 의 측면에 배치되는 폴리우레탄의 제 3 벨트부 (16) 를 포함한다. 도 1 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상이한 제 3 벨트부 (16) 를 특별히 점선으로 표시한다.
도 3 은 승강로 (1) 에 설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승강기 시스템은, 구동 시브 (4.1) 가 승강로 (1) 에 고정된 구동 장치 (2), 승강실 가이드 레일 (5) 상에서 안내되며, 승강실 서스펜션 풀리 (4.2) 의 형태인 편향 풀리가 아래에 장착되는 승강실 플로어 (6) 에서 안내되는 승강실 (3), 균형추 서스펜션 풀리 (4.3) 의 형태인 추가의 편향 풀리에 의해 균형추 가이드 레일 (7) 에 안내되는 균형추 (8), 및 구동 장치 (2) 의 구동 시브 (4.1) 로부터 승강실 및 균형추까지 견인력을 전달하는 승강실 (3) 및 균형추 용 벨트 (12) 를 구비한다.
일단부에서, 벨트 (12) 는 구동 시브 (4.1) 아래에서 제 1 벨트 체결점 (10) 에 체결된다. 여기서부터, 균형추 서스펜션 풀리 (4.3) 까지 가능한 멀리 하방으로 연장하며, 균형추 서스펜션 풀리를 감고, 여기서부터 구동 시브 (4.1) 로 연장하고, 균형추 서스펜션 풀리를 감고, 균형추 측 승강실 벽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하여, 승강실 (3) 아래에서 승강실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가 장착되는 승강실 서스펜션 풀리 (4.2) 에 각각 90°로 감기며, 균형추 (8) 로부터 제 2 벨트 체결점 (11) 까지 상방으로 멀어지는 승강실 벽을 따라 연장한다.
구동 시브 (4.1) 의 평면은 균형추 측 승강실 벽에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수직 투영은 승강실 (3) 의 수직 투영 외부측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좌측용 승강실 벽과 승강로 (1) 의 대향벽 사이의 간격이 가능한 작을 수 있도록 소직경을 갖는 구동 시브 (4.1) 가 바람직하다. 또한, 소직경 구동 시브는 비교적 낮은 견인 토오크를 갖는 기어가 없는 구동 모터의 구동 장치 (2) 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동 시브 (4.1) 와 균형추 서스펜션 풀리 (4.3) 에는 벨트 (12) 의 홈 (15.2) 에 대응하는 홈이 그들 각각의 둘레에 제공된다. 벨트 (12) 가 벨트 시브 (4.1 또는 4.3) 중 하나를 감고, 그 견인 표면에 배치되는 리브가 벨트 시브의 대응하는 홈에 놓여지며, 이에 의해 이들 벨트 시브 상에서 벨트의 양호한 안내가 보장된다. 또한, 구동 시브와 벨트 (12) 의 홈으로서 기능하는 벨트 시브 (4.1) 의 홈 사이에서 발생하는 쐐기 효과 (wedge effect) 는 견인 성능을 향상시 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실시예에서, 벨트 (12) 의 슬라이딩 면과 승강실 지지 풀리 (4.2) 는 대응하는 V-리브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승강기 시스템에 비해, 승강실 (3) 아래의 승강실 서스펜션 풀리 (4.2) 의 감김은 승강실 서스펜션 풀리 (4.2) 와 벨트 (12) 사이의 측방향 안내를 제공하는데, 이는 벨트가 승강실 서스펜션 풀리 (4.2) 에 면하는 측면에 리브를 갖기 때문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인장 지지체의 배치 이전에 도 1 의 제 1 벨트부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를 갖는 승강기 시스템의 승강기 승강실 프론트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Claims (16)

  1.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홈 (13.1) 배열체를 갖는 제 1 벨트부 (13) 를 제조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홈 (13.1) 에 인장 지지체 (14) 를 배치하는 단계, 및
    인장 지지체 (14) 가 벨트 (12) 내측에 수용되도록 제 1 벨트부 (13) 와 제 2 벨트부 (15) 를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벨트부 (13) 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벨트부 (13) 는 특히, 폴리아미드 (PA),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보네이트 (PC), 또는 폴리염화비닐 (PVC), 또는 폴리블렌드, 및/또는 이러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직물로부터 제조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13.1) 은 제 1 벨트부 (13) 의 열 변형 및/또는 기계적 변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 지지체 (14) 는 별개의 강 와이어 및/또는 플라스틱 섬유로부터 스트랜드 또는 로프로서 제조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벨트부 (15) 는 엘라스토머, 특히 폴리우레탄 (PU), 폴리클로로프렌 (CR),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EPDM) 로 제조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쇼어 경도 (A) 로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쇼어 경도 (A) 로 75 내지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쇼어 경도 (A) 로 80 내지 85 를 갖는 엘라스토머가 사용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벨트부 (15) 는 압출 및/또는 접착 결합에 의해 제 1 벨트부에 결합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벨트부 (15) 에서 멀리 있는 제 1 벨트부의 측면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특히 폴리아미드 (PA),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보네이트 (PC), 또는 폴리염화비닐 (PVC) 또 는 폴리블렌드, 및/또는 이러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직물로 만들어지는 제 3 벨트부 (16) 가 배치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벨트부 (13) 에서 멀리있는 제 2 벨트부 (15) 의 측면은 승강기 시스템의 구동 시브 (4.1) 와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견인면 (15.1) 을 형성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견인면 (15.1) 은 승강기 시스템의 구동 시브 (4.1) 의 대응하는 홈과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V-리브 (15.2) 를 갖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벨트는 수개의 인장 지지체 (14) 를 구비하며, 제 1 벨트부 (13) 는 인장 지지체 (14) 를 안내하는 복수 개의 홈 (13.1) 을 포함하며, 인접한 홈 (13.1) 과 인장 지지체 (14)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개수의 인장 지지체 (14) 가 각각의 V-리브 (15.2) 에 할당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V-리브 (15.2) 에 할당된 인장 지지체 (14) 의 각각의 그룹은 V-리브 (15.2) 의 중심축 (15.3) 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면 (15.1) 은 코팅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면에서 멀리 있는 벨트 (12) 의 측면은 승강기 시스템의 편향 풀리 (4.2) 와 상호작용하게 되는 슬라이딩 표면을 형성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의 제조 방법.
  15. 특히,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홈 (13.1) 의 배열체를 갖는 제 1 벨트부 (13),
    홈 배열체중 하나 이상의 홈에 있는 인장 지지체 (14), 및
    인장 지지체 (14) 가 벨트 (12) 내측에 수용되도록 제 1 벨트부 (13) 에 연결되는 제 2 벨트부 (15) 를 구비하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12).
  16. 승강실 (3), 구동장치 (2), 및 제 15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벨트 (12) 를 갖는 벨트 구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KR1020070080874A 2006-08-11 2007-08-10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및 이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 Withdrawn KR200800147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8816.5 2006-08-11
EP06118816 2006-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706A true KR20080014706A (ko) 2008-02-14

Family

ID=3757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74A Withdrawn KR20080014706A (ko) 2006-08-11 2007-08-10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및 이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2305591B1 (ko)
JP (1) JP2008044789A (ko)
KR (1) KR20080014706A (ko)
CN (1) CN101121302A (ko)
AR (1) AR062345A1 (ko)
AT (1) ATE527101T1 (ko)
AU (1) AU2007205741A1 (ko)
BR (1) BRPI0703978A2 (ko)
CA (1) CA2596713A1 (ko)
ES (2) ES2390829T3 (ko)
MX (1) MX2007009608A (ko)
NO (1) NO20074118L (ko)
NZ (1) NZ556751A (ko)
RU (1) RU2007130682A (ko)
SG (1) SG139707A1 (ko)
TW (1) TW200825015A (ko)
ZA (2) ZA20070660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96B1 (ko) * 2006-09-29 2014-08-20 인벤티오 아게 인장 지지체를 갖는 평벨트형 지지 및 구동 수단
KR102808473B1 (ko) * 2024-07-31 2025-05-16 진성로프 주식회사 컴펜벨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24576A2 (pt) * 2009-06-12 2016-08-30 Otis Elevator Co conjunto de acionamento para uma transportadora de passageiros.
EP2608950B1 (de) 2010-08-27 2015-12-02 SGL Carbon SE Lastzugsystem
EP2872690B1 (en) * 2012-07-13 2020-04-08 Otis Elevator Company Belt including fibers
EP2799217B1 (en) * 2013-04-30 2015-06-03 Kone Corpora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pe, a rope and an elevator
DE102014217309A1 (de) * 2014-08-29 2016-03-03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Riemen für die Antriebstechnik, insbesondere riemenartiges Zugelement für die Aufzugstechnik, mit brandhemmenden Eigenschaften
CN104963998B (zh) * 2015-06-26 2017-10-10 广东元星工业新材料有限公司 一体式聚氨酯同步带及其制备方法
EP3350109B2 (en) 2015-09-14 2024-01-31 Otis Elevator Company Woven elevator belt with multifunctional coatings
US10894696B2 (en) 2016-07-11 2021-01-19 Otis Elevator Company Belt with guide elements
ES2828441T3 (es) * 2016-12-29 2021-05-26 Kone Corp Disposición de cable y dispositivo de elevación
CN108131246B (zh) * 2017-12-19 2020-03-06 江苏金风科技有限公司 变桨系统的同步带、变桨系统和风力发电机组
DE102019217625A1 (de) * 2019-11-15 2021-05-20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ufzugsgurt mit Corden aus beschichteten Litzen
EP3835617A1 (en) * 2019-12-10 2021-06-16 Habasit AG Conveyor belt, in particular spindle tape, with ultrasound or laser cut lateral sid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9043A (en) * 1943-05-12 1948-04-06 Goodrich Co B F Method of making endless belts
NL111808C (ko) * 1957-05-07
US3948113A (en) * 1974-11-29 1976-04-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ulti-ribbed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king said belt
DE3527640C2 (de) * 1985-08-01 1997-08-14 Norddeutsche Seekabelwerk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iemen aus plastifizierbarem Werkstoff
WO1993018315A1 (en) * 1992-03-02 1993-09-16 Dayco Products, Inc. Toothed belt construction formed mainly of thermoplastic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9851761B4 (de) * 1998-11-10 2014-10-09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Antriebsriemen
US6609990B2 (en) * 2001-07-18 2003-08-26 The Gates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DE10222015A1 (de) * 2002-05-17 2003-12-04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Fertigung von Flachriemen
DE102004030722A1 (de) 2004-06-25 2006-01-19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Mit Festigkeitsträgern versehener Flachriemen für Aufzugsanlag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96B1 (ko) * 2006-09-29 2014-08-20 인벤티오 아게 인장 지지체를 갖는 평벨트형 지지 및 구동 수단
KR102808473B1 (ko) * 2024-07-31 2025-05-16 진성로프 주식회사 컴펜벨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05741A1 (en) 2008-02-28
CA2596713A1 (en) 2008-02-11
JP2008044789A (ja) 2008-02-28
ES2390829T3 (es) 2012-11-16
SG139707A1 (en) 2008-02-29
CN101121302A (zh) 2008-02-13
NZ556751A (en) 2009-03-31
ATE527101T1 (de) 2011-10-15
RU2007130682A (ru) 2009-02-20
MX2007009608A (es) 2009-02-04
NO20074118L (no) 2008-02-12
EP2305591B1 (de) 2012-07-18
ZA200706602B (en) 2008-05-28
TW200825015A (en) 2008-06-16
ZA200706660B (en) 2008-09-25
BRPI0703978A2 (pt) 2009-04-07
ES2374982T3 (es) 2012-02-23
AR062345A1 (es) 2008-11-05
EP2305591A1 (de)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4706A (ko) 승강기 시스템용 벨트 및 이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
KR20080014705A (ko) 승강기 설비용 벨트, 이 벨트의 제조 방법 및 이 벨트를갖춘 승강기 설비
US9758345B2 (en) Elevator belt,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elevator belt, and elevator system having such a belt
EP2356054B1 (en) Elevator belt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king the same
MX2007011868A (es) Cable de fibras sinteticas y sistema de elevador con ese cable de fibras sinteticas.
AU2007205743A1 (en) Lift installation with a belt, belt for such a lift installation, method of producing such a belt, composite of such belts and method for assembly of such a composite in a lift installation
AU2014240196A1 (en) Rope for a hoisting device and elevator
CA2596699A1 (en) Lift installation with a lift support means, lift support means for such a lift installation and production method for such lift suppport means
CA2777541A1 (en) Elevator system and load bearing member for such a system
US20080116014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belt, belt for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of producing such a belt, composite of such belts and method for assembly of such a composite in an elevator installation
EP3243785B1 (en) Rope, elevator arrangement and elevator
US20190062118A1 (en) Elevator rope, elevator arrangement and elevator
EP2655234B1 (en) Elevator system
JP2008044792A (ja) エレベータ装置用のエレベータベルトと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ベルトの製造方法
US20080073156A1 (en) Belt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production method for such a belt and elevator installation with such a belt
US20080067007A1 (en) Belt for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belt
US20080067008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n elevator support means, elevator support means for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production method for such elevator support means
HK1117460A (en) Belt for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belt
CN114599508A (zh) 电梯的悬挂体和电梯
HK1174320B (en) Hoist unit and load-bearing medium for such a unit
HK1137726B (en) Lift belt, manufacturing method for such a lift belt and lift system with such a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