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757A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6757A KR20080006757A KR1020060065884A KR20060065884A KR20080006757A KR 20080006757 A KR20080006757 A KR 20080006757A KR 1020060065884 A KR1020060065884 A KR 1020060065884A KR 20060065884 A KR20060065884 A KR 20060065884A KR 20080006757 A KR20080006757 A KR 200800067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lat panel
- panel display
- air conditioning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LCD 또는 PDP 등의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이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설치공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실내에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기가 설치될 때 각각 설치되어야 했던 것에 비해,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이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이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판표시유닛과 공기조화유닛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의 팝업창이 표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의 동시 작동 시 팝업창이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의 동시 작동 시 상태표시줄이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 : 압축기 12 : 실외열교환기
13 : 실외송풍기 14 : 팽창밸브
15 : 센서부 20 : 캐비닛
22 : 프론트패널 24 : 베이스
30 : 실내송풍기 50 : 실내열교환기
60 : 필터 70 : 컨트롤박스
80 : 드레인팬 90 : 토출유닛
100 : 공기조화유닛 200 : 평판표시유닛
210 : 신호수신부 220 : 신호변환부
250 : 영상패널 260 : 오디오 출력부
300 : 전원부 400 : 조작부
410 : 조작패널 420 : 무선리모콘
411, 412 : 조작버튼 414 : 팝업버튼
500 : 제어부 510 : 공기조화유닛 제어부
520 : 평판표시유닛 제어부 530 : 메인 제어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의 전면에 TV 영상 등을 표시하는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캐비닛의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표시유닛이 일반 브라운관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실내 공간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평판표시유닛이 함께 설치되는 경우, 실내 공간을 다수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와 평판표시유닛을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서, 실내 공간의 점유 면적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평판표시유닛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서,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고 부품을 공유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평판표시유닛과; 상기 평판표시유닛과 결합되어 설치되는 공기조화유닛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패널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리모콘과; 상기 무선리모콘에 입력된 조작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을 온/오프시키는 조작버튼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유닛의 작동상태를 상기 평판표시유닛에 표시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에 표시된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표시화면을 온/오프하는 팝업버튼이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유닛 제어부와; 상기 평판표시유닛을 제어하는 평판표시유닛 제어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편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실내온도, 실내습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내용을 상기 평판표시유닛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과, 상기 영상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영상패널에 표시되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평판표시유닛과; 상기 영상패널의 배면에 위치되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유닛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유닛은 상기 공기조화유닛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평판표시유닛의 신호수신부는 TV튜너, DMB, 외부입력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영상패널은 액정표시화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느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을 제어한 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판표시유닛과 공기조화유닛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100)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과 일체로 설치되어 TV 또는 모니터 등의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표시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평판표시유닛(200)은 공중파 TV영상, 위성/지상파 DMB 영상 또는 영화 등의 동영상이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100)은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고, 실내 공기의 냉/난방, 제습, 공기청정 등의 공기조화를 수행한다.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12)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2)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송풍기(13)와, 액체상태로 응축된 냉매를 분무상태의 액체로 분사시키는 팽창밸브(14)와,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5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 공기를 송풍함과 아울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송풍기(30)와, 상기 압축기(11)의 토출압력 및 온도, 실내열교환기(50) 또는 실외열교환기(12)의 온도, 실내의 온도 또는 실외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유닛(100)의 실내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프론트패널(22)과, 베이스(24)로 구성된 캐비닛(20)과, 상기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송풍기(30), 오리피스(40), 실내열교환기(50), 컨트롤박스(70), 드레인팬(80) 및 상기 캐비닛(20)의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캐비닛(2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2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22)과, 상기 프론트패널(22)의 배면에 설치되는 베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에는 중앙에 흡입구(25)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은 상기 베이스(2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24)에는 복수개의 토출구(26)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상기 베이스(24)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송풍기(30)는 축중심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그래서 상기 베이스(24)에는 양측부 및 하측에 각각 토출구(26)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각 실내송풍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24a)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24)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실내송풍기(24)에서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를 측부의 토출구(26)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24b)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26)에는 상기 토출구(26)를 개폐하는 토출유닛(90)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토출구(26)를 개폐하는 베인(92)과, 상기 베인(92)의 작동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40)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컨트롤박스(7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40)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80)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프론트패널(22) 또는 상기 오리피스(40)에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면에는 플라즈마 필터(110)가 설치되어 상기 흡 입구(25)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집진 및 필터링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20)의 모서리에는 배관커버(21)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커버(21)는 상기 베이스(24)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상기 실내기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배관커버(21)는 상기 캐비닛(20)에 4 모서리 중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커버(21)를 관통해 외부 냉매배관이 상기 캐비닛(2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캐비닛(20)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250)과, 음향이 출력되는 오디오출력부(260)와,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210)와, 상기 영상패널(250)에 또는 상기 오디오출력부(260)에 적합한 신호로 상기 수신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Flat display Panel로 구성된 영상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화면(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한다) TV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 TV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캐비닛(20)과 연결유닛(60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은 상기 연결유닛(600)을 통해 상기 캐비닛(20)에 설치되는 케이스(61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10)에는 상기 영상패널(250)이 설치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0) 내부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260), 상기 신호수신부(210) 및 상기 신호변환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10)에 외부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입력단자(614)(예를 들어 DVI, RGB, 컴포넌트, S-Video, 컴포지트, 옵티컬, AV단자, HDMI, DVI 등이다.)가 설치되어 상기 신호변환부(220)와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610)는 상기 영상패널(250)의 전면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프론트커버(611)와, 상기 프론트커버(611)의 배면에 위치되어 상기 프론트커버(611)와 결합되는 프론트베이스(6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패널(250)은 상기 프론트커버(611)와 상기 프론트베이스(613) 사이에 위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영상패널(250)의 배면에 설치된 신호수신부(210), 신호변환부(220) 및 제어부(500)는 상기 프론트베이스(613)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0)에는 외장 메모리가 연결되는 메모리슬롯(612)(예를들어 MMC/SD, CF, XD, MS 등이다.)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10) 내부에는 내장메모리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외장메모리와 상기 내장메모리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부(270)이고, 상기 메모리슬롯(612) 또는 상기 외부입력단자(614)는 상기 제어부(500)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캐비닛(2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신호수신부(210)는 TV 튜너, DMB 등의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신호변환부(220)는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영상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260)는 상기 신호변환부(220)를 통해 변환된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610)에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스피커(616) 및 외부출력단자(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400)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되는 전압은 서로 상이한 바,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적합한 전류를 승압 또는 감압하도록 입력전원을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영상패널(250) PDP 패널인 경우,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PDP 패널에서 이루어지는 방전의 과정에 필요한 리셋전압, 스캔전압, 서스테인 전압을 각각 상기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구동보드에 전달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에 필요한 압축기(11)의 전압, 실내/ 외 송풍기(13, 30)의 모터(32) 전압, 토출유닛(90)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 및 상기 센서부(15), 상기 팽창밸브(14)의 작동에 필요한 각 전압을 제어한다.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케이스(610)에 설치된 조작패널(410)과, 무선리모콘(420)과, 상기 무선리모콘(420)의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하는 수신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패널(410)은 상기 케이스(610)에 버튼(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명령을 상기 제어부(500)에 직접 입력한다.
상기 무선리모콘(420)은 사용자가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5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무선리모콘(420)에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무선리모콘(420)에서 발신된 신호는 상기 수신부(430)를 거쳐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연결유닛(60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케이스(610)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프론트패널(22)을 연결하여, 상기 필터(60)의 교체 또는 청소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개폐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유닛(600)은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과 상기 프론트패널(22)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 1, 2 링크(620)(6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링크(630)는 상기 제 1 링크(620)의 하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링크(62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링크(620)(630)는 본 실시에에서 모두 끝단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전되게 힌지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2 링크(620)(630)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브래킷(622)(632)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의 전면에도 상기 제 1, 2링크(620)(630)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브래킷(623)(6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630)의 타단은 상기 브래킷(63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평판표시유닛(200)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분리 시 상기 제 2 링크(630)의 타단은 상기 브래킷(633)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프론트패널(22)과 분리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10)와 상기 프론트패널(22)은 서로 끼움결합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에는 후크(642)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2)에는 상기 후크(642)와 끼움결합되는 후크브래킷(64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과 상기 캐비닛(20)의 결합 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케이스(610)는 상기 제 1, 2 링크(620)(630)가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642)와 상기 후크브래킷(644)이 끼움결합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10)의 배면에는 상기 이격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그릴 (650)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평판표시유닛의 작동과정 및 공기조화유닛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무선리모콘(420) 또는 조작패널(410)을 통해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을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냉방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센서부(15)를 통해 실내공기의 온도, 실외공기의 온도, 실내열교환기(50)의 배관온도 등을 감지한 뒤, 공기조화유닛(100)의 희망온도와 비교하여 공기조화유닛(100)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조작패널(410) 및 무선리모콘(420)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각각 온/오프 시키기 위한 조작버튼(411)(412)이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조작명령에 의해 공기조화유닛(100)이 냉방운전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압축기(11)를 작동시켜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2)에서 응축되며,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14)를 통해 분무상태로 팽창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서 증발되고, 증발된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1)로 이동됨으로서 냉방사이클을 구성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동작 중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패널(250)에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패널(250)에 실내온도, 습도, 희망온도, 실외온도, 풍량 등을 표시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이 작동상태는 상기 영상패널(250)의 전체 또는 일부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은 압축기(11)-실내열교환기(50)-팽창밸브(14)-실외열교환기(12)로 냉매가 이동되면서 난방사이클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과정 중에,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자의 작동명령에 따라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가 TV를 켜는 조작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TV튜너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변환을 거쳐 상기 영상패널(250)에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중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던 영상은 상기 영상패널(250)의 일부에 화면 속 화면 방식(251, 畵面-畵面, picture in picture: PIP)으로 표시한다.
더불어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작동 시, 사용자는 조작부(400)를 통한 조작명령으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 표시를 오프(off)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조작패널(410) 또는 상기 무선리모콘(420)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상기 영상패널(250)에 온/오프하기 위한 팝업버튼(414)이 설치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패널(250)에 도시되는 공기조화유닛(100)의 상태창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태표시줄(252)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에게 표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공기조화유닛(100)의 정지 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평판표시유닛(200)만 작동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평판표시유닛(200)만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4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함으로서, 상기 화면 속 화면 방식으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실내 온도 및 습도 등은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센서부(1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패널(250)에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유닛(100)이 작동되면, 상기 실내송풍기(30)가 구동되고, 상기 실내송풍기(30)의 구동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상기 캐비닛(20)을 거쳐 순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실내송풍기(30)는 원심팬인바, 상기 캐비닛(20)의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된 후 캐비닛(20)의 각 토출구(26)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25)가 상기 프론트패널(22)에 형성되는 바, 상기 흡입공기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케이스(610)와 상기 프론트패널(22) 사이로 이동된 후 상기 필터(60)를 거쳐 상기 실내송풍기(30)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26)에 설치된 각 토출유닛(90)은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에만 상기 베인(92)이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구(26)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상기 흡입구(25)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배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흡입구(25)로 이동되는 바,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냉각시킨다.
그래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작동되면,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도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이 배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가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 시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서 발열되는 부분이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에 설치되어야 할 냉각장치가 필요치 않고, 이로 인해 평판표시유닛(200)의 구성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어부(500)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유닛 제어부(510)와, 상기 평판표시유닛(200)을 제어하는 평판표시유닛 제어부(520)와,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조화유닛 제어부(510) 및 상기 평판표시유닛 제어부(520)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5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530)에 의해 제어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 제어부(510) 또는 상기 평파표시유닛 제어부(5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40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조작패널(410), 무선리모콘(420) 및 수신부(430)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53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전달한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LCD 또는 PDP 등의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공기조화유닛이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설치공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종래 실내에 평판표시유닛과 실내기가 설치될 때 각각 설치되어야 했던 것에 비해,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이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유닛에 의해 평판표시유닛의 발열부분이 냉각되기 때문에 평판표시유닛에 사용된 냉각장치의 부품이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평판표시유닛이 공기조화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에 설치된 공기조화유닛의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가 평판표시유닛의 영상패널에 표시되기 때문에, 화면 속 화면 기능을 통해 공기조화기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실내 상황 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앉아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조작부의 무선리모콘을 통해 공기조화유닛과 평판표시유닛 모두가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각의 무선리모콘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평판표시유닛과;상기 평판표시유닛과 결합되어 설치되는 공기조화유닛과;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와;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조작부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패널과;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리모콘과;상기 무선리모콘에 입력된 조작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을 온/오프시키는 조작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유닛의 작동상태를 상기 평판표시유닛에 표시하되,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에 표시된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표시화면을 온/오프하는 팝업버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유닛 제어부와;상기 평판표시유닛을 제어하는 평판표시유닛 제어부와;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편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공기조화유닛은 실내온도, 실내습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내용을 상기 평판표시유닛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과, 상기 영상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영상패널에 표시되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평판표시유닛과;상기 영상패널의 배면에 위치되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유닛과;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와;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 또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평판표시유닛은 상기 공기조화유닛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평판표시유닛의 신호수신부는 TV튜너, DMB, 외부입력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영상패널은 액정표시화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느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판표시유닛 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884A KR20080006757A (ko) | 2006-07-13 | 2006-07-13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PCT/KR2006/005785 WO2008007840A2 (en) | 2006-07-13 | 2006-12-27 |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
EP07250860A EP1878980A3 (en) | 2006-07-13 | 2007-03-01 |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
CN2007101019382A CN101105305B (zh) | 2006-07-13 | 2007-04-27 | 具有图像显示功能的空调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884A KR20080006757A (ko) | 2006-07-13 | 2006-07-13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6757A true KR20080006757A (ko) | 2008-01-17 |
Family
ID=3856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5884A Withdrawn KR20080006757A (ko) | 2006-07-13 | 2006-07-13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1878980A3 (ko) |
KR (1) | KR20080006757A (ko) |
CN (1) | CN101105305B (ko) |
WO (1) | WO2008007840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01414B (zh) * | 2009-01-27 | 2014-12-10 | 三菱电机株式会社 | 状态显示装置以及状态显示装置的显示方法 |
KR20100123486A (ko) * | 2009-05-15 | 2010-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DE102009035711A1 (de) * | 2009-07-31 | 2011-02-03 | Kampmann Gmbh | Klimatisierungsvorrichtung |
EP2431672A1 (de) * | 2010-03-03 | 2012-03-21 | Meltem Wärmerückgewinnung GmbH & Co. KG | Lufttechnische Ein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Gebäudes |
US8537018B2 (en) * | 2010-06-09 | 2013-09-17 |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 Refrigeration system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play |
KR20120040602A (ko) * | 2010-10-19 | 2012-04-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JP5814544B2 (ja) * | 2010-12-13 | 2015-11-17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車両用空気調和装置 |
US20130147812A1 (en) * | 2011-12-13 | 2013-06-13 | Lennox Industries Inc. |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proportional animation graphic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US20130147723A1 (en) * | 2011-12-13 | 2013-06-13 | Larry S. Bias |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an integrated screen/housing ski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CN104791915A (zh) * | 2015-05-08 | 2015-07-22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器 |
CN104943505A (zh) * | 2015-07-01 | 2015-09-30 | 陈杨 | 车内环境智能调节系统 |
CN106052032A (zh) * | 2016-06-21 | 2016-10-2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用于空调室内机的空调面板的控制方法和系统 |
CN107023934A (zh) * | 2017-03-07 | 2017-08-08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空调器、数据服务器及移动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81526A (ja) * | 1984-02-28 | 1985-09-17 | Mitsubishi Heavy Ind Ltd | テレビジョン映像装置組込型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 |
JPH03213921A (ja) * | 1990-01-18 | 1991-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表示画面付空気調和装置 |
JPH0989288A (ja) * | 1995-09-21 | 1997-04-04 | Saburo Kubo | 空気調和機 |
EP1092927B1 (en) * | 1999-10-14 | 2006-07-26 | Sharp Kabushiki Kaisha | Air conditioner and humidifying/dehumidifying apparatus attached thereto |
JP3735592B2 (ja) * | 2001-06-19 | 2006-01-18 |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 空調装置 |
KR100437384B1 (ko) * | 2001-08-11 | 2004-06-2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0626444B1 (ko) * | 2003-11-24 | 2006-09-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AU2004318831B2 (en) * | 2004-04-20 | 2008-09-25 | Lg Electronics Inc. | Air conditioner |
-
2006
- 2006-07-13 KR KR1020060065884A patent/KR20080006757A/ko not_active Withdrawn
- 2006-12-27 WO PCT/KR2006/005785 patent/WO2008007840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
- 2007-03-01 EP EP07250860A patent/EP1878980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4-27 CN CN2007101019382A patent/CN10110530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05305B (zh) | 2010-06-16 |
CN101105305A (zh) | 2008-01-16 |
EP1878980A2 (en) | 2008-01-16 |
EP1878980A3 (en) | 2009-10-21 |
WO2008007840A3 (en) | 2009-05-14 |
WO2008007840A2 (en) | 200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06757A (ko)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
US6701738B2 (en) | Wire fixing structure, electrical equipment mou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KR101280368B1 (ko)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
KR20080006758A (ko)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
JPH10332181A (ja) | 換気装置 | |
WO2007081078A2 (en) |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CN101105303B (zh) | 空调器 | |
JP4371990B2 (ja) | 空気調和機 | |
KR101280367B1 (ko) | 공기조화기 | |
CN112888903A (zh) | 空调室内机的组装结构 | |
KR101280369B1 (ko)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
KR101245254B1 (ko)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
EP1878977A2 (en) |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 |
KR20080065035A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06759A (ko) |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 |
KR20080065034A (ko)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
WO2008007843A2 (en) |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 |
KR20080055464A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63574A (ko) |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이의 조립방법 | |
KR20080065038A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63573A (ko) |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 |
JPS60181526A (ja) | テレビジョン映像装置組込型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 | |
CN211503095U (zh) | 空调新风一体机 | |
KR20080063575A (ko) |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 |
KR20080063637A (ko) |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