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5908U - 접히는 종이컵 - Google Patents

접히는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908U
KR20080005908U KR2020070008882U KR20070008882U KR20080005908U KR 20080005908 U KR20080005908 U KR 20080005908U KR 2020070008882 U KR2020070008882 U KR 2020070008882U KR 20070008882 U KR20070008882 U KR 20070008882U KR 20080005908 U KR20080005908 U KR 200800059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per cup
contents
user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아영
도경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070008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908U/ko
Publication of KR20080005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08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은, 상단이 개방되며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용기 및,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용기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용기 및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식품의 내용물 등을 포장할 경우 접혀진 채로 함께 동봉하여 별도의 종이컵이 필요 없도록 하며 또한, 용기에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시켜 식품 등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의 증진 되고, 제조비용 및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종이컵, 접힘선, 손잡이, 실링, 밀봉

Description

접히는 종이컵{A folded paper cup}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전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200,300,400. 종이컵 110,210,310,410. 용기
120,220,420. 손잡이부 112,212,312. 정면부
114,214,414. 배면부 140. 손잡이실링면
350. 실링덮개 450. 절개부
본 고안은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히는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종이컵은 컵형상을 갖춘 종이컵과, 작은 봉투형태로 된 접이식 종이컵의 두 종류가 있다.
전자의 종이컵은 용기형태가 컵형상으로 고정되어 있어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 전 다수 개를 보관할 때 부피를 크게 차지하므로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는 수량에 제한이 따르고 또한 물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후자의 종이컵은 종이컵의 보관 수량에 따르는 단점을 보완하고 물류 비용을 줄이는 이점이 있으나, 종이컵 자체를 손으로 잡기 때문에 뜨거운 내용물을 손으로 드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놓여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차 음료, 컵라면, 스프 등의 뜨거운 물을 부어서 취식하는 식품용 종이컵으로는 사용되지 못하고 주로 음용수용으로 사용되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뜨거운 물을 부어서 취식하는 식품용 종이컵이 식품과 함께 포장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컵 이 없어도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적재의 용이 및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종이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은, 상단이 개방되며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및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장되는 일면 중 다른 면과 접합하도록 하기 위한 일정 부분의 실링면이 접혀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다른 태양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은, 상단이 개방되고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내용물이 담긴 용기의 상단을 실링하여 밀폐하는 실링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및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식할 때 용이하게 상기 실링덮개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덮개의 외주면 주위에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칼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덮개의 소정 영역에는 다수의 타공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공이 이루는 폐곡선의 일부는 상기 칼선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은, 상단이 밀폐되고 저면부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및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식할 때 용이하게 상기 용기를 개봉하도록, 상기 저면부를 제외한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는 외측면을 따라 칼선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의 사시도 및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이컵(100)은 상단이 개방되며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용기(110)와,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20) 를 포함한다.
용기(110)는 정면부(112)와, 반대면의 배면부(114)와, 정면부(112)와 배면부(114)를 연결하는 양 측면부(116,118), 및 저면부(119)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112a,114a,116a,118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양 측면(116,118)에는 내부 접힘선(117)이 각각 형성된다. 포장 및 유통되는 상태에서 상기 내부 접힘선(117) 및 저면부(119)의 내외각 접힘선(119a,119b)은 접혀지므로, 상기 용기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상태가 된다.
보통 상기 종이컵은 접혀진 상태로 일회용 식품 즉, 차 음료, 라면, 스프 등과 별도의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상태로 유통된다. 따라서, 별도의 종이컵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100)은 접혀진 상태로 유통되므로, 다량을 적은 부피로 유통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에 이점이 있고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100)은 일반적인 종이컵 재질인 롤지를 사용하며 방수방습과 접착을 목적으로 한 PE 또는 PP코팅을 한 롤지를 사용한다. 특히, PP 코팅이 되어있는 롤지를 사용할 경우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렇게 준비된 롤지를 하나의 종이컵을 형성하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이 준비된 롤지를 도 2와 같이 다양한 접힘선 및 실링면(130,140)을 형성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면부(112)는 제1접힘선(112a)과 제2접힘선(118a) 을 경계로 하여 양 측면부(116,118)와 접한다. 그리고, 하나의 측면부(116)는 제3접힘선(116a)을 경계로 하여 배면부(114)와 접힌다. 한편, 또 다른 측면부(118)는 배면부(114)와 연장형성된 용기실링면(130)에 의해 상기 배면부(114)와 접착되고, 제4접힘선(114a)에 의해 경계가 나뉜다. 그리고, 상기 정면부(112), 양 측면부(116,118), 및 배면부(114)는 모두 저면 접힘선(119a)을 경계로 하여 저면부(119)와 접힌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100)에 의하면, 용기(110)와 손잡이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용기(110)와 손잡이부(120)는 하나의 롤지를 이용하여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손잡이부를 용기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 취식을 위해 뜨거운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손잡이부(120)로 인해 어려움 없이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120)는 용기(110)의 저면부(119)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 측면부(116,118)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 상기 손잡이부(120)는 용기(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족하다.
손잡이부(120)는 상기 용기(100)의 정면부(112), 배면부(114), 양 측면부(116,118)로부터 연장 현성되며, 배면부에의 일정부분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하기 위한 손잡이실링면(140)이 형성되며, 이 손잡이실링면(140)이 접혀지면서 손잡이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내용물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용기(110)의 정면부(112)와 배면부(114)를 벌리고, 양 측면부(116,118)에 형성된 내부 접힘선(117)을 편 후에, 마지막으로 저면부(119)에 형성된 내외각 접힘선(119a,119b)을 펴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컵 틀을 유지하도록 하여 세울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종이컵(100)과 동봉된 1회용 내용물을 상기 용기(110) 내부로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넣어서 취식하면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는 단면이 사각형인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의 종이컵(200)서는 단면이 육각형인 것이 도시된다. 즉, 정면부(212)와 배면부(214)에는 양 측면부(211,213,215,216)가 각각 외부 접힘선(212a)을 경계로 하여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200)은 손잡이부(220)가 양 측에 두 개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20) 역시 실링면(240)이 접혀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300)은 앞선 제2실시예의 종이컵(200)에 실링덮개(35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앞선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는 포장 및 운반상태에서 종이컵과 내용물이 따로 포장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종이컵 내부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포장 및 운반된다. 따라서, 제조단계에서 상기 용기(310) 내부에 내용물을 담고, 용기(310)를 실링하도록 한다. 보통, 좌우 실링면(340) 중 한곳을 접착하지 않고 열 려진 부분으로 내용물을 넣은 후, 실링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식할 때 용이하게 상기 실링덮개(350)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덮개(350)의 외주면 주위에는 외주면을 따라 칼선(3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링덮개(350)의 소정 영역에는 다수의 타공(353)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폐곡선 영역(354)에 도구나 손을 넣어서 뜯어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폐곡선의 일부는 상기 칼선(352)과 연결되어 실링덮개(350)를 용이하게 용기(3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300)을 포장재로 적용하여 포장하게 되면, 별도의 포장재가 필요 없게 된다. 즉, 내용물은 상기 종이컵(300) 내부에 담겨져 있고, 용기의 외부면에 내용물을 알리는 광고문구를 직접인쇄 또는 광고문구가 새겨진 별도의 필름지를 부착하게 되면, 별도의 포장지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비용의 감소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실시예와 같이 종이컵 내부에 내용물을 담고 밀폐시키나 제3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실링덮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2실시예의 용기를 사용하고, 그 용기의 상단을 밀폐시키록 한 것이 개시된다. 그리고, 용기의 외측면 중 일부를 여는 것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412)와 정면부(412) 양측의 측면부(411,413), 그리고 배면부(414)와 배면부(414) 양측의 측면부(415,416)에는 접합실링면(460)이 형성되고, 이 실링면(460)들이 서로 접합하여 용기(410)는 밀폐되게 된다. 용 기(410) 외측면에는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420)가 형성되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용기(410)의 외측면 즉, 정면부(412), 배면부(414), 측면부들(411,413,415,416)에는 평행한 이중의 칼선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450)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을 취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절개부(450)를 뜯어 낸 후, 개봉된 곳에 물을 바로 넣어서 취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히는 종이컵에 의하면, 식품의 내용물 등을 포장할 경우 함께 접혀진 채로 동봉하여 별도의 종이컵이 필요 없도록 하며 또한, 용기에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시켜 식품 등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의 증진 되고, 제조비용 및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내용물을 종이컵 내부에 동봉하고 종이컵을 밀봉하는 경우, 별도의 포장재가 필요 없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장점 이외에 포장재를 별도로 뜯 기 위한 과정이 생략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증진되며, 또한 식품포장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줄일 수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상단이 개방되며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및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종이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장되는 일면 중 다른 면과 접합하도록 하기 위한 일정 부분의 실링면이 접혀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종이컵.
  3. 상단이 개방되고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내용물이 담긴 용기의 상단을 실링하여 밀폐하는 실링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및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종이컵.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식할 때 용이하게 상기 실링덮개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덮개의 외주면 주위에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칼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종이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덮개의 소정 영역에는 다수의 타공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공이 이루는 폐곡선의 일부는 상기 칼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종이컵.
  6. 상단이 밀폐되고 저면부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 기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각 면은 이웃하는 면과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는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및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식할 때 용이하게 상기 용기를 개봉하도록, 상기 저면부를 제외한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는 외측면을 따라 칼선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히는 종이컵.
KR2020070008882U 2007-05-30 2007-05-30 접히는 종이컵 Ceased KR200800059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882U KR20080005908U (ko) 2007-05-30 2007-05-30 접히는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882U KR20080005908U (ko) 2007-05-30 2007-05-30 접히는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08U true KR20080005908U (ko) 2008-12-04

Family

ID=4132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882U Ceased KR20080005908U (ko) 2007-05-30 2007-05-30 접히는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9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23Y1 (ko) * 2019-07-02 2020-03-02 박지현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23Y1 (ko) * 2019-07-02 2020-03-02 박지현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20B1 (ko) 압축식 라면 용기 및 그 제작방법
JP5279179B2 (ja) 即席麺包装体
TWI308547B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122599A1 (en) Food storage wrap
US20090206092A1 (en) Novel food container assembly
KR200437122Y1 (ko) 종이 컵라면 용기
KR100989088B1 (ko) 식품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포장지
KR20080005908U (ko) 접히는 종이컵
US20030201314A1 (en) Food wrapper with rip line
KR200454232Y1 (ko) 도시락 상자
JPH063849U (ja) 食品の包装用袋と包装体
JP2011240943A (ja) 弁当用惣菜容器及び弁当用容器
KR200479506Y1 (ko) 높이 조절 용기
GB2478562A (en) Packaging container for use as a bowl
KR200487643Y1 (ko) 자동 스탠딩형 포장재
RU171587U1 (ru) Гибкая пленочная упаковка
KR20200100993A (ko) 식품 포장용기 포장지
JP2006347627A (ja) 折畳み椀
JPH08113273A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WO2017203024A1 (en) A multi-pocket pouch
RU16139U1 (ru) Упаковка товара
JP3160057U (ja) 広口容器入り液体調味料
KR20090010685U (ko) 소스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된 종이 용기
KR20120020456A (ko) 접철식 이중포장용기.
KR200328189Y1 (ko) 기능성 쌈채소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5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7122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71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