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5390A -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를 식별하기 위한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를 식별하기 위한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390A
KR20080005390A KR1020077025194A KR20077025194A KR20080005390A KR 20080005390 A KR20080005390 A KR 20080005390A KR 1020077025194 A KR1020077025194 A KR 1020077025194A KR 20077025194 A KR20077025194 A KR 20077025194A KR 20080005390 A KR20080005390 A KR 2008000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tt
speaker
display
displa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743B1 (ko
Inventor
마크 마그젠티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0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74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투-토크(PTT)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원격 서버로부터 PTT 통신들 및 식별 정보들을 수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현재의 화자로부터 PTT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적어도 마지막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AST SPEAKER IN A PUSH―TO―TALK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 특히 무선 네트워크상의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마지막 또는 이전 발화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진보는 이동 전화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값싸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하여 거의 모든 사람이 사용가능하게 되었다. 무선 전화가 고속 처리능력 및 대용량 저장능력을 가지도록 제조됨에 따라, 무선 전화는 더 많은 기능을 가지게 되었으며 또한 두개 이상의 개별 핸드셋간의 직접 무선 통신 능력을 포함하는 많은 피처(feature)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직접 무선 통신 능력은 하나의 핸드셋을 가진 사용자가 목적지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지 않고 그룹내의 미리 정해진 멤버 세트와 통신하도록 하는 "푸시-투-토크(PTT)" 또는 "워키-토키(walkie-talkie)" 피처로서 공지되어 있다.
한 타입의 PTT 시스템에서는 핸드셋이 원격 서버와 상향 및 하향 통신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단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반면에, 보통의 무선 통신에서는 무선 전화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하여 두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하나의 주파수는 상향 통 신을 위한 것이며 다른 하나의 주파수는 하향 통신을 위한 것이다. PTT 시스템은 발화하는 동안 말하는 사람이 버튼을 누를 것을 요구하며, 이들이 수행될때 이를 해제한다. 그룹내의 임의의 청취자는 그들의 버튼을 눌러 응답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시스템은 신호가 어느 방향으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PTT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신자 또는 수신자들의 그룹에 통화를 수행할때, 사용자의 핸드셋은 우선 원격 서버에 요청을 발송한다. 원격 서버는 다른 당사자가 통신 채널을 이용하지 않아서 채널이 이용가능한지를 확인한후 사용자에게 채널을 할당한다. 사용자의 메시지는 서버에 의하여 수신되며, 서버는 각각의 그리고 모든 수신자에 대한 메시지를 복제한다. 서버는 모든 수신자들에게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는 경우에 메시지를 복제할 필요가 없다. 메시지가 모든 수신자에게 전송된후에, 채널은 해제되며 다른 당사자들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PTT 시스템에서는 통신장치들의 그룹을 접속하기 위하여 셀룰라 기술이 이용된다. 역으로, 보통의 "워키-토키" 스타일 투-웨이(two-way) 라디오는 라디오들이 서로간에 임의의 거리내에 있는 경우에만 동작할 것이다. 셀룰라 원격통신들을 사용하여 PTT 피처를 구현하는 시스템들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지정된 서비스 영역내의 임의의 위치, 예컨대 넓은 도시지역을 통신하거나 또는 전국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TT 피처를 통하는 통신에서, 화자의 식별자는 식별되지 않으며 수신자는 화자의 음성에 의하여 추측해야 한다. 화자의 식별자가 적절하게 식별되는 PTT 시스템들에서, 화자의 식별자는 PTT 통신 그룹에 많은 멤버들이 참여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손실되며, 화자의 식별자는 다음 화자의 식별 정보에 의하여 고속으로 중복 기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TT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시-투-토크 통신동안 마지막 발화자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방법은 서버로부터 제 1 PTT 통신의 제 1 화자의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화자로부터 발신된 제 2 PTT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상에서 제 2 PTT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 장치상에서 제 1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식별 정보는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다. 화자들의 이전 식별자들의 시퀀스가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푸시-투-토크(PTT) 통신시 마지막(또는 이전) 화자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트랜시버,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푸시-투-토크 인터페이스,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트랜시버는 푸시-투-토크 통신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며, 원격 서버로부터 PTT 화자들의 정보를 식별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원격 화자로부터 수신된 PTT 통신들을 수행한다. 푸시-투-토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푸시-투-토크 요청을 수신한다. 제어기는 마지막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에 명령하는 반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현재의 화자로부터 PTT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PTT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이전 발화자들의 식별자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이하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실시예 및 청구범위를 고려할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푸시-투-토크 통신을 위한 무선 장치들의 그룹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는 푸시-투-토크 통신에서 이전 화자의 식별을 지원하는 무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서버 및 원격 무선 장치들간의 상호작용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화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장치상에 화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흐름도이다.
실시예에서, 용어 "통신장치",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핸드셋", "핸드헬드 장치", 및 "핸드셋"은 상호 교환 가능하며,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애플리케이션"은 실행가능 및 실행 불가능 소프트웨어 파일, 생 데이터(raw data), 집합 데이터, 패치(patch), 및 다른 코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게다가,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며, 단수는 다른 방식으로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많은 참여자들이 존재하는 PTT 통신에서 이전 또는 마지막 화자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통신 네트워크(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통신 타워들(106)을 포함하며, 각각의 타워는 기지국(BS)(110) 및 통신 장치(102)를 가진 서비스 사용자들에 접속된다. 통신장치(102)는 셀룰라 전화, 페이저, 개인휴대단말(PDA), 랩탑 컴퓨터, 또는 푸시-투-토크(PTT) 통신들을 지원하는 다른 핸드헬드, 고정 또는 휴대용 통신 장치일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들 및 데이터들은 디지털 데이터로서 통신 타워(106)에 전송된다. 통신 장치(102)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통신 타워(106)간의 통신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시분할 다중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FDMA), 범유럽이동통신(GSM),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프로토콜들과 같은 다른 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는 통신 타워(106)로부터 기지국(BS)(110)에 전송되며, 공중교환 전화망(PSTN)(118) 및 인터넷(120)에 접속될 수 있는 이동 교환국(MSC)(114)에 전송된다.
MSC(114)는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PTT 피처(feature)를 지원하는 서버(116)에 접속될 수 있다. 서버(116)는 PTT 피처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PTT 통신 그룹의 멤버들사이에 PTT 통신을 형성할 수 있다. 서버(116)는 PTT 통신 그룹 멤버로부터 PTT 통신을 수신하며, 화자의 식별자와 함께 모든 다른 그룹 멤버들에 PTT 통신을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서버(116)는 MSC(114)의 일부분 일 수 있다. MSC(114)가 데이터 전용 셀룰라 네트워크들에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데이터 전용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들은 기지국들에 의하여 수신되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에 의하여 처리되며, 네트워크의 다른 서버들에 전송된다.
도 2는 무선 핸드셋(102)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200)를 기술한다. 무선 핸드셋(102)은 제어기(202), 저장 유닛(204), 디스플레이 유닛(206), 외부 인터페이스 유닛(208),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12), 푸시-투-토크 활성화 유닛(210), 트랜시버(214) 및 안테나(216)를 포함한다. 제어기(202)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기(202)는 PTT 통신 화자의 식별 정보의 수신 및 디스플레이를 감시한다. 제어기(202)는 현재의 화자 및 마지막 화자의 식별자들을 추적하며, PTT 통신의 기간을 추적하기 위하여 클록을 사용한다. 저장유닛(204)은 다수의 PTT 통신 그룹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각각의 PTT 통신 그룹은 멤버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6)은 서버(116)로부터 수신된 화자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 또는 다른 디지털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6)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정보 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 유닛(208)은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디스플레이 유닛과 같은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212)은 키패드 및 푸시-투-토크 활성화 유닛(210)과 같은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트랜시버(214)는 통신 타워(106)에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통신 타워(106)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한다. 제어기(202)는 사용자 및 통신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신된 명령들 및 데이터들을 해석한다.
도 3은 PTT 통신 프로세스동안 서버(또는 그룹 통신 서버로서 알려진 서버) 및 사용자 장치간의 상호작용들을 나타내는 도면(300)이다. 통신은 사용자가 PTT 버튼을 활성화할때 초기 사용자 장치(302) 및 서버(304)사이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PTT 그룹 또는 ad-hoc PTT 그룹의 멤버들과 PTT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무선 장치는 그의 식별자와 함께 PTT 통신 채널 요청을 서버(304)에 전송한다. PTT 통신 채널 요청을 수신할때, 서버(304)는 PTT 통신 채널의 유용성을 검사하고, PTT 통신 채널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초기 사용자 장치(302)에 PTT 통신 채널을 승인한다. PTT의 사용후에, 통신 채널은 초기 사용자 장치(302)에 승인된다. 무선 장치(302)는 서버(302)에 사용자 오디오를 전송한다. 사용자 오디오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때, 서버(304)는 초기 사용자 장치(302)가 오디오 메시지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PTT 통신 그룹의 멤버들(306-312)을 식별한다. 서버(304)는 오디오 메시지를 복제하고 이들을 발신 사용자(화자) 식별 정보와 함께 PTT 통신 그룹의 각각의 멤버(306-312)에 전송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404)상에 화자 리스트(410)를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통신장치(400)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PTT 버튼(406)을 활성화시킴으로서 PTT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오디오는 마이크로폰(408)에 의하여 포착되어 서버(116)에 전송되며, 서버(116)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는 화자(4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재생된다. 무선 통신 장치(400)는 서버(116)로부터 PTT의 화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PTT 화자의 식별자는 화자 리스트(410)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 이 스크린(404)상에 도시된 화자 리스트(410)는 두개의 엔트리들(412, 414)을 디스플레이한다. 하나의 엔트리(412)는 현재의 화자로서 마크되며, 한 엔트리(414)는 마지막 화자로서 마크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404)은 마지막 화자의 식별자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 또는 규칙적 형식으로 모든 과거 화자들을 포함하는 화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현재의 화자는 상부에 리스트되고, 이 다음에 마지막 화자가 리스트되며, 마지막 화자전에 다른 화자가 리스트되는 순서로 리스트된다. 디스플레이의 길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세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타이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기간이 종료된후에 리콜(recall)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상의 미리 정해진 키를 활성화시킴으로서 화자 리스트를 리콜할 수 있다. 각각의 엔트리는 PTT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간을 지시하는 부착된 시간 스탬프(stamp)를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화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방식들을 인식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404)이 단지 하나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대안 실시예에서, 현재의 화자의 식별 정보는 이전 화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디스플레이될때까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시간을 5초로 세팅하면, 현재의 화자의 식별 정보는 이전 화자의 식별 정보가 5초동안 디스플레이될때까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전 식별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 명확하게 식별되어 식별 정보가 이전 화자로부터의 식별 정보이라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자 리스트는 PTT 통신이 종료된후에 클리어(clear)될 수 있다. 화자 리스트를 클리어하기 위한 한 방법은 타이머를 사용하는 것이다. 만일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PTT 그룹의 멤버들사이에 PTT 통신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무선 통신 장치(400)는 그것의 화자 리스트를 클리어한다. 타이머는 사용자에 의하여 무선 통신 장치상에 세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타이머는 서버에 의하여 세팅될 수 있다.
도 5는 무선 장치 프로세스(500)에 대한 흐름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02)가 서버(116)로부터 PTT 통신을 수신할때(단계(502)), 무선 통신 장치(102)는 PTT 통신을 수행하며(단계(504)), 또한 화자 식별자를 수신한다(단계(506)). 무선 통신 장치(102)는 할당된 현재의 화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단계(508)). 무선 통신 장치(102)는 PTT 통신동안 현재의 화자의 식별자를 추적하며, 현재의 화자의 식별자는 PTT 통신 그룹의 PTT 통신들이 종료될때 클리어된다. 화자의 식별자는 이전에 기술된 바와같이 클리어될 수 있는 화자 리스트에 의하여 추적될 수 있다. 만일 화자의 식별자가 현재의 화자로서 할당되지 않으면(수신된 통신이 PTT 통신 그룹의 멤버들간의 PTT 통신에 대한 시작 통신이면), 무선 통신 장치(102)는 현재의 화자로서 수신된 화자의 식별자를 마크하며(단계(510)) 사용자에게 화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512)). 화자 리스트는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디스플레이된다.
만일 현재의 화자가 존재하지 않으면(수신된 통신이 후속 통신일때), 무선 통신 장치(102)는 현재의 화자를 마지막 화자로 변화시키며 현재의 화자로서 수신 된 식별자를 마크한다(단계(510)). 화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후, 무선 통신 장치(102)는 더 많은 PTT 통신들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며(단계(516)), 만일 존재하면 무선 통신 장치(102)는 더 많은 PTT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진행한다. 만일 더 많은 PTT 통신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무선 통신 장치(102)는 그것의 화자 리스트를 클리어한다(단계(51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할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작업하는 엔지니어는 20명의 건설 노동자 작업조를 관리한다. 각각의 노동자는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엔지니어를 포함하는 모든 노동자들은 동일한 PTT 통신 그룹에 속한다. 엔지니어는 무선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5초로 세팅한다. 건설현장에 있는 동안, 엔지니어는 그들의 노동자 작업조가 정해진 날에 작업하기 위하여 모두 출근하였는지의 여부를 그의 2명의 현장 주임인 제임스와 빌에게 묻기 위하여 PTT 통신을 사용한다. 제임스는 하나의 노동자가 출근하지 않았다는 제 1상태를 응답하였으며, 빌은 두명의 노동자가 출근하지 않았다는 다음 상태를 응답하였다. 제임스 및 빌로부터의 응답들은 어느 누구도 그들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전송되었다. 제임스로부터의 PTT 통신이 엔지니어의 무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될때, 무선 장치는 이것이 수신된 제 1 PTT 통신인지를 검사하며(엔지니어에 의하여 초기에 방송된 PTT 통신은 그것이 엔지니어 그 자신의 장치에 다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계수되지 않다), 그 결과 무선 장치는 현재의 화자로서 제임스를 세팅하고 화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빌로부터의 PTT 통신이 엔지니어의 무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될때 무선 장치는 현재의 화자가 제임스로 세팅된 것을 인지하며, 그 결과 무선 장치는 제임스를 마지막 화자로 변경하며 현재의 화자를 빌로 세팅한다. 그 다음에, 무선 장치는 제임스 및 빌이 리스트되고 제임스가 마지막 화자로서 리스트되며 빌이 현재의 화자로서 리스트되는 화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엔지니어는 혼란스럽게 되어 먼저 응답한 사람을 발견하지 못하며, 단지 제 1응답자가 1명의 노동자를 빠뜨리고 제 2 응답자가 2명의 노동자를 빠뜨렸다는 것만을 주목한다. 응답들의 순서를 빠르게 리콜하기 위하여, 엔지니어는 리콜 키를 활성화시키고 화자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화자는 그의 무선장치상의 디스플레이를 조사하여 제임스가 응답한 다음에 빌이 응답하였고 제임스가 1명의 노동자를 빠뜨리고 빌이 두명의 노동자를 빠뜨렸다는 것을 인지한다.
무선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상에서 실행가능한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은 서버 또는 컴퓨터 플랫폼을 가진 다른 컴퓨터 장치가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서버의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접속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게다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디스크 또는 테이프,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도는 공지된 다른 저장 매체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 컴퓨터 플랫폼상에 로드 가능한 2차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예컨대 머신-판독가능 명령들의 시퀀스를 실행 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서버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의 동작부(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은 다양한 타입의 신호-포함 또는 데이터 저장 1차, 2차 또는 3차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매체는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의 컴포넌트들에 의하여 액세스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컴포넌트들내에 있는 RAM(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다. RAM, 디스켓 또는 다른 2차 저장 매체에 포함되던지간에, 명령들은 DASD 저장(예컨대, 종래의 "하드 드라이브", 또는 RAID 어레이), 자기 테이프, 전자 판독전용 메모리(예컨대, ROM, EPROM, 또는 EEPROM), 플래시 메모리 카드, 광학 저장장치(예컨대, CD-ROM, WORM, DVD, 디지털 광학 테이프), 페이퍼 "펀치" 카드, 또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전송 매체를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 저장매체와 같은 다양한 머신-판독가능 데이터 저장 매체상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식 및 세부사항들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비록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기술되었을지라도, 명백하게 단수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28)

  1.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푸시-투-토크(PTT:push-to-talk) 통신에서 마지막 화자(speaker)의 식별자를 무선 통신 장치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버로부터 제 1 PTT 통신의 제 1화자의 제 1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됨 ―;
    제 2 화자로부터 발신된 제 2 PTT 통신을 상기 무선 통신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상에서 상기 제 2 PTT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상에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화자의 제 2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식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디스플레이된후, 상기 제 2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 디스플레 이 기간의 미리 정해진 기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리콜 키(recall key)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 2 화자의 제 2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상에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화자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 정보를 상기 제 2 화자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푸시-투-토크(PTT) 통신에서 마지막 화자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원격 서버로부터 PTT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 ― 상기 트랜시버는 PTT 화자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함 ―;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된 PTT 통신들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사용자로부터 PTT 요청을 수신하는 PTT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이 현재의 화자로부터 PTT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마지막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명령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마지막 화자 식별자의 기간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지시자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식별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리콜하는 리콜 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의 식별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 어하는 디스플레이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나 이상의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두개 이상의 PTT 화자들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때 마지막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지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푸시-투-토크(PTT) 통신에서 마지막 화자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원격 서버로부터 PTT 통신들 및 PTT 화자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원격 화자로부터 수신된 PTT 통신들을 수행하는 수단;
    사용자로부터 PTT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이 현재의 화자로부터 PTT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마지막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마지막 화자 식별자의 기간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지시자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식별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리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의 식별 정보의 디스플레이 기간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디스플레이 수단은 하나 이상의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디스플레이 수단은 두개 이상의 PTT 화자들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때 마지막 PTT 화자의 식별 정보를 지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푸시-투-토크(PTT) 통신에서 마지막 화자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며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될때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이하의 단계들은,
    서버로부터 제 1 PTT 통신의 제 1화자의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됨 ―;
    제 2 화자로부터 발신된 제 2 PTT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상에서 상기 제 2 PTT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상에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디스플레이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들은,
    미리 정해진 기간에 대한 기간의 지시자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기간의 지시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들은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리콜 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들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기간의 지시자를 검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들은 상기 제 1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제 2 화자의 제 2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상에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들은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화자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들은 상기 제 2 식별 정보를 상기 제 2 화자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077025194A 2005-03-31 2006-03-31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를 식별하기 위한장치 및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948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96,946 2005-03-31
US11/096,946 US7483708B2 (en) 2005-03-31 2005-03-31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ast speaker in a push-to-tal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90A true KR20080005390A (ko) 2008-01-11
KR100948743B1 KR100948743B1 (ko) 2010-03-22

Family

ID=3705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1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8743B1 (ko) 2005-03-31 2006-03-31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를 식별하기 위한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483708B2 (ko)
EP (1) EP1867059A4 (ko)
JP (1) JP4664404B2 (ko)
KR (1) KR100948743B1 (ko)
CN (1) CN101517906B (ko)
BR (1) BRPI0608751A2 (ko)
CA (1) CA2601788C (ko)
IL (1) IL186180A0 (ko)
MX (1) MX2007011796A (ko)
RU (1) RU2384943C2 (ko)
TW (1) TW200644687A (ko)
WO (1) WO200610533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1953B1 (en) 2001-02-12 2010-09-21 Nortel Networks Limited Push-to-talk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an voice-over-IP network
US7483708B2 (en) * 2005-03-31 2009-01-27 Mark Maggenti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ast speaker in a push-to-talk system
US8705515B2 (en) * 2005-06-30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s in multiple simultaneous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ystem
JP2007036876A (ja) * 2005-07-28 2007-02-08 Kyocera Corp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WO2007052594A1 (ja) * 2005-11-04 2007-05-10 Sharp Kabushiki Kaisha PoCサーバ自動検索方法、品質調整方法、及び、これらの方法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7751806B1 (en) * 2005-12-07 2010-07-06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patch communications
JP4440311B2 (ja) * 2005-12-27 2010-03-24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9660827B2 (en) * 2007-01-12 2017-05-23 Symbo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from multicast to unicast calls
US8014733B1 (en) * 2007-01-26 2011-09-0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earable system for enabling mobile communications
US8620330B2 (en) * 2009-04-14 2013-12-31 Motorola Solutions, Inc. Relay of delayed transmitter identity across an audio patch
KR102333127B1 (ko) * 2017-05-26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149A (en) * 1993-03-12 1999-02-09 Motorola, Inc. Video/integrated land mobile dispatch radio and video unit
US5530916A (en) * 1994-10-11 1996-06-25 Motorola, Inc. Radio group call initiator identification storage and recall
US5912882A (en) * 1996-02-01 1999-06-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ivate communication system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JP3560827B2 (ja) * 1998-09-18 2004-09-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US6360093B1 (en) * 1999-02-05 2002-03-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ush-to-talk internet broadcast
US6522894B1 (en) * 1999-07-27 2003-02-18 Ericsson Inc. Simplified speaker mode sel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20132635A1 (en) * 2001-03-16 2002-09-19 Girard Joann K. Method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communication mode in a mobile station having at least two communication modes
US6894715B2 (en) * 2001-06-16 2005-05-17 Eric Harold Henrikson Mixing video signals for an audio and video multimedia conference call
US20030078064A1 (en) * 2001-10-22 2003-04-24 Chan Victor H. System and method for queuing talk requests in wireless dispatch system
US6999921B2 (en) * 2001-12-13 2006-02-14 Motorola, Inc. Audio overhang reduction by silent frame deletion in wireless calls
US7372826B2 (en) * 2002-08-01 2008-05-13 Starent Networks, Corp. Providing advanced communications features
US7076675B2 (en) * 2003-05-06 2006-07-11 Motorola, Inc. Display power managemen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detects a continuous talk condition based on a push-to-talk button being activ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US7107017B2 (en) * 2003-05-07 2006-09-1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services in push to talk communication platforms
US8090396B2 (en) * 2003-06-30 2012-01-03 Motorola Mobility, Inc. Push-to-talk feat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JP4230314B2 (ja) * 2003-08-28 2009-02-25 京セラ株式会社 移動局
JP2005117197A (ja) * 2003-10-03 2005-04-28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7474747B2 (en) * 2003-12-22 2009-01-06 Motorola, Inc.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udio channeling
DE10360656A1 (de) * 2003-12-23 2005-07-21 Daimlerchrysler Ag Bediensystem für ein Fahrzeug
US20050143111A1 (en) * 2003-12-30 2005-06-30 Fitzpatrick Matthew D. Determining availability of members of a contact list in a communication device
EP1597935B1 (de) * 2004-02-05 2007-04-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walten von kommunikationssitzungen
US7587215B2 (en) * 2004-02-09 2009-09-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User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group calls
DE102004010368A1 (de) * 2004-03-03 2005-09-29 Siemens Ag Verfahren zum verspäteten Gesprächseinstieg oder Wiedereinstieg mindestens eines Funkkommunikationsgeräts in eine bereits laufende Push-To-Talk-Gruppendiskussion, Funkkommunikationsgerät, Vermittlungseinheit sowie Funkkommunikationsnetz
US20050272454A1 (en) * 2004-06-07 2005-12-0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w-latency, high-accuracy indication-to-speak and abandon call
JP4053028B2 (ja) * 2004-06-30 2008-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Pttシステム、携帯電話機、サーバ
US7398079B2 (en) * 2004-06-30 2008-07-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ush-to-talk (PTT) voice communications for replay
US20060030347A1 (en) * 2004-07-16 2006-02-09 Deepankar Biswaas Virtual push to talk (PTT) and push to share (P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292872B2 (en) * 2004-07-22 2007-11-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phone push-to-talk voice activation
KR100690752B1 (ko) * 2004-07-2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티 서비스 시스템의 발언권 할당방법
US7450934B2 (en) * 2004-09-14 2008-11-11 Siemens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 to PTT correlation of mobile phones as associated devices
US7738897B2 (en) * 2004-09-17 2010-06-15 Nextel Communications Inc. Broadcast dispatch chatroom
GB0423549D0 (en) * 2004-10-22 2004-11-24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Telecommunications
FI20041377A0 (fi) * 2004-10-25 2004-10-25 Nokia Corp Palvelujen tarjont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WO2006051584A1 (ja) * 2004-11-10 2006-05-18 Fujitsu Limited 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サービスシステム
US7593743B2 (en) * 2004-12-03 2009-09-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pdating availability information in voice-call applications
US7446795B2 (en) * 2004-12-03 2008-11-04 Motorola Inc Push to video service mode selection using device settings
KR100724872B1 (ko) * 2004-12-0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KR100598462B1 (ko) * 2004-12-08 2006-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피티티 통화중 송화자 표시 방법
US7412226B2 (en) * 2005-03-14 2008-08-12 Kyocera Wireless Corp. Push-to-loca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7483708B2 (en) * 2005-03-31 2009-01-27 Mark Maggenti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ast speaker in a push-to-talk system
US20060252442A1 (en) * 2005-05-04 2006-11-09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PoC connection in a terminal device with a touch-screen display, an application used in the method and a terminal device
US8705515B2 (en) * 2005-06-30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s in multiple simultaneous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ystem
US20070155415A1 (en) * 2005-12-30 2007-07-05 Rosemary Sheehy Push-to-talk (PTT) voice log method
US20070117552A1 (en) * 2006-01-09 2007-05-24 Ecrio, Inc. Push to talk over cellular having productive use of dead time and inclusion of diverse participants
US8224366B2 (en) * 2006-02-17 2012-07-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simultaneous communication groups in a wireless system
US8688161B2 (en) * 2006-02-22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 ad hoc group in a push-to-tal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5337A3 (en) 2009-05-07
US20060223459A1 (en) 2006-10-05
TW200644687A (en) 2006-12-16
CA2601788C (en) 2010-03-30
JP4664404B2 (ja) 2011-04-06
JP2008538062A (ja) 2008-10-02
KR100948743B1 (ko) 2010-03-22
RU2007140239A (ru) 2009-05-10
CN101517906A (zh) 2009-08-26
MX2007011796A (es) 2007-12-05
CN101517906B (zh) 2012-06-27
EP1867059A2 (en) 2007-12-19
WO2006105337A2 (en) 2006-10-05
IL186180A0 (en) 2008-01-20
RU2384943C2 (ru) 2010-03-20
BRPI0608751A2 (pt) 2010-02-02
US7483708B2 (en) 2009-01-27
EP1867059A4 (en) 2014-08-06
CA2601788A1 (en)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743B1 (ko)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마지막 화자를 식별하기 위한장치 및 시스템
US729585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immediate acceptance and queuing of voice data for PTT communications
US20040032843A1 (en) Push-to-talk/cellular networking system
WO20070059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s in multiple simultaneous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ystem
EP1787469A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udio and video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system
WO2006105334A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high-performance dispatch services in a wireless system
US84067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laying alert tones in a push-to-talk system
JP497917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グループ・コールのための方法おより固定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KR20080094099A (ko) 무선 디바이스를 호출할 때 조기 통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103542A (zh) 用于按键通话的无线通信设备的图像/视频电话
KR100640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그룹 통화 방법
KR10088124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
CN100469163C (zh) 用于减少呼叫建立时间的方法和设备
CN1625912B (zh) 使用移动电话处理灾难情况和紧急情况的模式
CN100376118C (zh) 移动通信系统中即按即说呼叫期间的语音呼叫连接方法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