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5089U -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089U
KR20080005089U KR2020080012298U KR20080012298U KR20080005089U KR 20080005089 U KR20080005089 U KR 20080005089U KR 2020080012298 U KR2020080012298 U KR 2020080012298U KR 20080012298 U KR20080012298 U KR 20080012298U KR 20080005089 U KR20080005089 U KR 200800050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partition
fastening
chick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근숙
Original Assignee
(주)동양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팩 filed Critical (주)동양팩
Priority to KR2020080012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089U/ko
Publication of KR20080005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89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름에 튀긴 통닭 또는 튀김 하여 양념한 통닭을 수용하여 포장할 수 있는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하였을 때 덮개판의 끼움판과 높이판의 삽입판이, 상기 덮개판과 수평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포장용기를 이단 이상 적층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조립되어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판을 형성하여 물품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높이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삽입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체결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높이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삽입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3 체결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4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덮개판 및 상기 바닥판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칸막이판과, 상기 제 2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칸막이판 및 상기 제 1 칸막이판과 제 2 칸막이판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하는 제 3 칸막이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하였을 때 덮개판의 끼움판과 높이판의 삽입판이, 상기 덮개판과 수평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포장용기를 이단 이상 적층할 수 있으며, 특히 조립되어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판을 형성하여 물품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덮개판에는 캔 내지 병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이 아니라 조립에 의한 결합이므로 친환경적이며, 또한 조립식이므로 이동시에는 박스로 이용하고, 내용물을 먹을 경우에는 박스를 넓게 펼쳐서 넓은 바닥면을 제공하여 많은 사람이 동시 다발적으로 내용물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포장용기,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절곡부, 수용부, 환풍구

Description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Package for roast chicken foods}
본 고안은 통닭을 수용하여 포장할 수 있는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하였을 때 덮개판의 끼움판과 높이판의 삽입판이, 상기 덮개판과 수평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포장용기를 이단 이상 적층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조립되어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판을 형성하여 물품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면 벽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좌측면 벽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우측면 벽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면 벽판 및 상기 후면 벽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덮개판과, 상기 좌측 벽판과 우측 벽판의 양측에 연결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이거나, 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면 벽판과, 상기 바닥판으로 부터 연장되는 좌측면 벽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우측면 벽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면 벽판 및 상기 후면 벽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덮개판과, 상기 전면 벽판과 후면 벽판의 양측에 연결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였다.
이때, 상기 연결판은 좌측 벽판과 우측 벽판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전면 벽판과 후면 벽판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나 그 타측은 절단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의하면, 통닭을 담는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벽판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판을, 상기 연결판이 형성되지 아니한 다른 벽판에 연결판을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한 포장용기는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도포하여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것이어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포장용기는, 일체형 박스 형태여서, 덮개판만 오픈시켜서 내용물을 집어야하므로 인해 많은 사람이 동시 다발적으로 집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는, 운반의 편리성을 위하여, 상기 덮개 판 상부로 끼움판(손잡이 판)이 구비되어 있었으나, 상기 끼움판이 접혀지지 않아서, 이단 이상으로 적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구성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높이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삽입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체결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높이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삽입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3 체결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4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덮개판 및 상기 바닥판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칸막이판과, 상기 제 2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칸막이판 및 상기 제 1 칸막이판과 제 2 칸막이판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하는 제 3 칸막이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립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판을 구비하여 물품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 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높이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삽입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체결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높이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삽입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3 체결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4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덮개판 및 상기 바닥판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칸막이판과, 상기 제 2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칸막이판 및 상기 제 1 칸막이판과 제 2 칸막이판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하는 제 3 칸막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하였을 때 덮개판의 끼움판과 높이판의 삽입판이, 상기 덮개판과 수평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포장용기를 이단 이상 적층할 수 있으며, 특히 조립되어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판을 형성하여 물품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덮개판에는 캔 내지 병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이 아니라 조립에 의한 결합이므로 친환경적이며, 또한, 조립식이므로 이동시에는 박스로 이용하고, 내용물을 먹을 경우에는 박스를 넓게 펼쳐서 넓은 바닥면을 제공하여 많은 사람이 동시 다발적으로 내용물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높이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삽입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체결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높이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삽입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3 체결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4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덮개판 및 상기 바닥판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있어 서, 상기 제 1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칸막이판과, 상기 제 2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칸막이판 및 상기 제 1 칸막이판과 제 2 칸막이판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하는 제 3 칸막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대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1차 단계의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2차 단계의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3차 단계의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4차 단계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5차 단계의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200)는 바닥판(10)과, 제 1 높이판(20)과, 제 2 높이판(30)과, 제 1 체결판(40)과, 제 2 체결판(50)과, 제 3 체결판(60)과, 제 4 체결판(70)과, 제 1 칸막이판(80)과, 제 2 칸막이판(90)과, 제 3 칸막이판(100)과, 제 1 덮개판(110) 및 제 2 덮개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의 측면으로는 제 1 절곡부(11)와, 제 2 절곡부(12)와, 제 3 절곡부(13) 및 제 4 절곡부(14)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절곡부는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수용부(15)를 원활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은 통닭이 안착되는 곳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상기 제 1 높이판(20)은, 상기 바닥판(10)의 상측에 형성된 제 1 절곡부(11)로부터 연장되어 일정한 높이까지 형성되며, 끝단부 테두리 중앙에 제 1 삽입판(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삽입판(21)에는 제 1 삽입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삽입구(22) 일측으로는 제 1 접이판(2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접이판(23)은, 상기 제 1 삽입구(22)의 좌측으로 일정한 폭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다가, 상기 제 1 삽입판(2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접이판(23)은 하기에서 언급되는 제 1 끼움판(113)을 일측으로 눕히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높이판(30)은, 상기 바닥판(10)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절곡부(12)로부터 연장되어 일정한 높이까지 형성되며, 끝단부 테두리 중앙에 제 2 삽입판(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삽입판(31)에는 제 2 삽입구(3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삽입구(32) 일측으로는 제 2 접이판(3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이판(33)은, 상기 제 2 삽입구(32)의 좌측으로 일정한 폭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다가, 상기 제 2 삽입판(2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이판(33)은 하기에서 언급되는 제 2 끼움판(123)을 일측으로 눕히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체결판(40)은, 상기 제 1 높이판(20)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판(40)의 끝단에는 제 1 체결홈(4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체결판(50)은, 상기 제 1 높이판(20)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판(50)의 끝단에는 제 2 체결홈(51)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체결판(60)은, 상기 제 2 높이판(30)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 체결판(40)의 끝단에는 제 3 체결홈(61)이 형성된다.
상기 제 4 체결판(70)은, 상기 제 2 높이판(30)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4 체결판(70)의 끝단에는 제 4 체결홈(7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높이판(20)의 좌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판(40)과 제 2 체결판(50)은, 상기 바닥판(10)의 제 1 절곡부(11) 양측 모서리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높이판(20)의 연장선상에는 절곡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24)에 의하여 제 1 체결판(40)과 제 2 체결판(50)은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판(20)과 제 1 삽입판(21)의 연장선상에도 절곡부(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삽입판(21)은 절곡부(25)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높이판(30)의 좌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체결판(60)과 제 4 체결판(70)은, 상기 바닥판(10)의 제 2 절곡부(12) 양측 모서리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높이판(30)의 연장선상에는 절곡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34)에 의하여 제 3 체결판(60)과 제 4 체결판(70)은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높이판(30)과 제 2 삽입판(31)의 연장선상에도 절곡부(3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삽입판(31)은 절곡부(35)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제 1 칸막이판(80)은, 상기 제 1 체결판(40)의 제 1 체결홈(4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칸막이판(80)의 끝단에는 제 5 체결홈(8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칸막이판(80)과 제 1 체결홈(41)의 연장선상에는 절곡부(8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칸막이판(80)은 절곡부(82)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칸막이판(80)의 제 5 체결홈(81)의 옆에는 하기에서 언급되는 제 3 칸막이판(100)의 제 8 체결홈(101)과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 7 체결홈(83)이 하나 더 형성된다.
상기 제 2 칸막이판(90)은, 상기 제 2 체결판(50)의 제 2 체결홈(5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칸막이판(90)의 끝단에는 제 6 체결홈(9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칸막이판(90)과 제 2 체결홈(51)의 연장선상에는 절곡부(9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칸막이판(90)은 절곡부(92)에 의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제 3 칸막이판(100)은, 상기 제 1 칸막이판(80)과 제 2 칸막이판(90)의 체결홈을 서로 삽입 체결하여 형성되는 수용부(15')를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3 칸막이판(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 7 체결홈(83)과 삽입 결합되는 제 8 체결홈(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칸막이판(100)은, 제 1 체결판(30) 내지 제 2 체결판(40)의 좌측 내지 우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칸막이가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를 접을 때 절취할 수 있도록, 연장선상에 절취선(1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덮개판(110)은, 제 3 높이판(111)과, 좌측 덮개판(112)과, 제 1 끼움판(113) 및 절곡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덮개판(110)은, 상기 바닥판(10)의 좌측에 형성된 제 3 절곡부(1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높이판(20) 내지 제 2 높이판(3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 3 높이판(111)과, 상기 제 3 높이판(11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 덮개판(112) 및 상기 좌측 덮개판(11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끼움판(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높이판(111)과, 좌측 덮개판(112) 및 제 1 끼움판(113)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제 3 높이판(111)과, 좌측 덮개판(112) 및 제 1 끼움판(113)이 절곡될 수 있도록 절곡부(1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3 높이판(111)은, 포장용기의 모양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높이판(20) 내지 제 2 높이판(30)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제 3 높이판(111)의 중간 부분에 절곡부(114')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측 덮개판(112)은, 상기 제 3 높이판(11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캔 내지 병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6)는, 캔 내지 병을 삽입하였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116) 내측으로 부채꼴(117) 모양이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덮개판(112)에는 수용부(15)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열기와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어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환풍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끼움판(113)은, 상기 좌측 덮개판(11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끼움판(113)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 제 1 삽입홈(118)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끼움판(113)의 측면 테두리 하측에 제 2 삽입홈(1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끼움판(113)의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덮개판(120)은, 제 4 높이판(121)과, 우측 덮개판(122)과, 제 2 끼움판(123) 및 절곡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덮개판(120)은, 상기 바닥판(10)의 우측에 형성된 제 4 절곡부(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높이판(20) 내지 제 2 높이판(3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 4 높이판(121)과, 상기 제 4 높이판(1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우측 덮개판(122) 및 상기 우측 덮개판(12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끼움판(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4 높이판(121)과, 우측 덮개판(122) 및 제 2 끼움판(123)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제 4 높이판(121)과, 우측 덮개판(122) 및 제 2 끼움판(123)이 절곡될 수 있도록 절곡부(12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4 높이판(121)은, 포장용기의 모양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높이판(20) 내지 제 2 높이판(30)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제 4 높이판(121)의 중간 부분에 절곡부(124')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 덮개판(122)은, 상기 제 4 높이판(1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그 일측에는 캔 내지 병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캔 내지 병을 삽입하였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 내측으로 부채꼴(미도시) 모양이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 덮개판(122)에는 수용부(15)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열기와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어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환풍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끼움판(123)은, 상기 우측 덮개판(12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끼움판(123)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 제 3 삽입홈(125)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끼움판(123)의 측면 테두리 하측에 제 4 삽입홈(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끼움판(123)의 중간 부분에는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절곡부(11)를 접어서, 제 1 높이판((20)을 세우고, 이어서 상기 바닥판(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절곡부(12)를 접어서, 제 2 높이판(30)을 세운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높이판(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24)를 접어서, 제 1 체결판(40)을 내측으로 접고, 또한 제 2 체결판(50)을 내측으로 접는다. 이어서, 상기 제 2 높이판(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34)를 접어서, 제 3 체결판(60)을 내측으로 접고, 또한 제 4 체결판(70)을 내측으로 접는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판(4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체결홈(41)과 제 3 체결판(6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체결홈(61)을 서로 끼어서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 2 체결판(5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체결홈(51)과 제 4 체결판(7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4 체결홈(71)을 서로 끼어서 연결한다. 이로써, 칸막이가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수용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칸막이판(80)의 절곡부(82)를 접어서 내측으로 접고, 또한 제 2 칸막이판(90)의 절곡부(93)를 접어서 내측으로 접은 후, 상기 제 1 칸막이판(80)의 제 5 체결홈(81)과 제 2 칸막이판(90)의 제 6 체결홈(91)을 서로 삽입 체결한다. 이로써, 칸막이가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수용부(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칸막이판(101)은. 상기 제 1 체결판(40) 내지 제 2 체결판(50)의 측면으로부터 절취하여 떼어낸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 3 칸막이판(100)의 제 8 체결홈(101)과, 상기 제 1 칸막이판(80)의 제 7 체결홈(83)을 서로 삽입 체결한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덮개판(110)의 제 3 높이판(111)과 좌측 덮개판(112)과 제 1 끼움판(113)을 절곡부(114)(114')를 따라서 절곡한 후, 상기 제 1 끼움판(113)의 측면 테두리 상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삽입홈(118)과 제 2 삽입홈(118')을, 상기 제 1 높이판(20)과 제 2 높이판(3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삽입판(21)의 삽입구(22)와 제 2 삽입판(31)의 삽입구(32)에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덮개판(120)의 제 4 높이판(121)과 우측 덮개판(122)과 제 2 끼움판(123)을 절곡부(124)(124')를 따라서 절곡한 후, 상기 제 2 끼움판(123)의 측면 테두리 상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삽입홈(125)과 제 4 삽입홈(125')을, 상기 제 1 높이판(20)과 제 2 높이판(3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삽입판(21)의 삽입구(22)와 제 2 삽입판(31)의 삽입구(32)에 삽입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끼움판(113)과 제 2 끼움판(123)을 서로 합쳐서, 상기 제 1 높이판(20)과 제 2 높이판(3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삽 입판(21)의 삽입구(22)와 제 2 삽입판(31)의 삽입구(32)에 동시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덮개판(110) 내지 제 2 덮개판(120)에 구비된 삽입부(116)에 캔 내지 병을 삽입함으로써, 칸막이가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200)는 완료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높이판(20)의 테두리 중앙에 형성된 제 1 삽입판(21)의 제 1 삽입구(22)에, 상기 제 1 덮개판(110)의 제 1 삽입홈(118)과 상기 제 2 덮개판(120)의 제 3 삽입홈(125)을 삽입하고, 상기 제 2 높이판(30)의 테두리 중앙에 형성된 제 2 삽입판(31)의 제 2 삽입구(32)에, 상기 제 1 덮개판(110)의 제 2 삽입홈(118')과 상기 제 2 덮개판(120)의 제 4 삽입홈(125')을 삽입하여, 상기 제 1 삽입판(21)과 제 2 삽입판(22)을 제 1 덮개판(110)과 제 2 덮개판(120) 내측으로 눕히고, 또한 상기 제 1 덮개판(110)의 제 1 끼움판(113)과 제 2 덮개판(120)의 제 2 끼움판(123)을 상기 제 1 덮개판(110) 내지 제 2 덮개판(120)의 일측으로 눕혀서, 상기 제 1 덮개판(110) 내지 제 2 덮개판(120)과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칸막이가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를 이단 이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대한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1차 단계의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2차 단계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3차 단계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4차 단계의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전개도를 포장용기로 접기 위한 5차 단계의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판 20. 제 1 높이판
30. 제 2 높이판 40. 제 1 체결판
50. 제 2 체결판 60. 제 3 체결판
70. 제 4 체결판 80. 제 1 칸막이판
90. 제 2 칸막이판 100. 제 3 칸막이판
110. 제 1 덮개판 120. 제 2 덮개판
200.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Claims (1)

  1.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높이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삽입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체결판과;
    상기 제 1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높이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삽입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3 체결판과;
    상기 제 2 높이판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4 체결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덮개판; 및
    상기 바닥판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덮개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칸막이판과;
    상기 제 2 체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칸막이판; 및
    상기 제 1 칸막이판과 제 2 칸막이판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부를 구획하는 제 3 칸막이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KR2020080012298U 2008-09-10 2008-09-10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Ceased KR200800050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98U KR20080005089U (ko) 2008-09-10 2008-09-10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98U KR20080005089U (ko) 2008-09-10 2008-09-10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89U true KR20080005089U (ko) 2008-11-03

Family

ID=4150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298U Ceased KR20080005089U (ko) 2008-09-10 2008-09-10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08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7097A (zh) * 2010-06-09 2010-10-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包装箱
KR101445379B1 (ko) * 2012-09-25 2014-10-06 (주)참존박스 손잡이가 형성된 피자박스
KR102474780B1 (ko) 2022-04-21 2022-12-06 주식회사 사랑과 정성 별도의 포장공간을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7097A (zh) * 2010-06-09 2010-10-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包装箱
KR101445379B1 (ko) * 2012-09-25 2014-10-06 (주)참존박스 손잡이가 형성된 피자박스
KR102474780B1 (ko) 2022-04-21 2022-12-06 주식회사 사랑과 정성 별도의 포장공간을 포함하는 일체형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8991A1 (en) Food tray
US8393470B2 (en) Stacking drawer package
US20100032334A1 (en) Stacking Carton Using a One-Piece Blank
CA2635275A1 (en) Stackable corrugated box
JP2019531232A (ja) カップホルダーとハンドホールとを備えたトレイ
KR20170129365A (ko) 과일포장박스
KR20080005089U (ko)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JP2006021808A (ja) トレイ形包装用箱
KR20100000811U (ko)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US8875984B2 (en) Knock-down packaging apparatus
KR200440979Y1 (ko) 포장용 상자
US9073662B2 (en) Containers with reinforced bottom pane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KR101152148B1 (ko) 식품 포장 박스
KR102066243B1 (ko) 접시모듈이 구비된 치킨 박스
JP3160659U (ja) 身蓋一体の組立包装箱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JP2005132471A (ja) 包装箱のポケット構造
JP3143507U (ja) 収納箱の段積み用位置決め構造
KR20180053058A (ko) 포장용 박스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KR20090000346U (ko) 접이식 종이상자
JP4279094B2 (ja) 包装用容器
CN222988744U (zh) 锅卡组件及锅具包装结构
IES20140070A2 (en) Sales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9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12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