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857A - 카르보닐 말단기의 양이 감소된 플루오르화 이오노머 - Google Patents
카르보닐 말단기의 양이 감소된 플루오르화 이오노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3857A KR20080003857A KR1020077025468A KR20077025468A KR20080003857A KR 20080003857 A KR20080003857 A KR 20080003857A KR 1020077025468 A KR1020077025468 A KR 1020077025468A KR 20077025468 A KR20077025468 A KR 20077025468A KR 20080003857 A KR20080003857 A KR 200800038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fluoropolymer
- groups
- pendant
- termin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29920000554 ionomer Polymer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29920002313 fluor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9000004811 fluoropoly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25000002560 nitril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group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group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25000002577 pseudohalo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682 fluor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OBTWBSRJZRCYQV-UHFFFAOYSA-N sulfuryl difluoride Chemical compound FS(F)(=O)=O OBTWBSRJZRCYQ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CSABAZBYIWDIDE-UHFFFAOYSA-N sulfino hydrogen sulfite Chemical class OS(=O)OS(O)=O CSABAZBYIWDID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1 pseudohalogen nitril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971 Cross lin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ROOXNKNUYICQNP-UHFFFAOYSA-N ammonium peroxydisulfate Substances [NH4+].[NH4+].[O-]S(=O)(=O)OOS([O-])(=O)=O ROOXNKNUYICQ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VAZSKTXWXKYQJF-UHFFFAOYSA-N ammon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NH4+].[NH4+].[O-]S(=O)OOS([O-])=O VAZSKTXWXKYQ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870 ammonium per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20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868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TWIYDBQRYCWOAU-UHFFFAOYSA-N 1,1,2,2,3,3,4,4,4-nonafluorobutane-1-sulfinic acid Chemical compound OS(=O)C(F)(F)C(F)(F)C(F)(F)C(F)(F)F TWIYDBQRYCWO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774 Perfluoro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SXDBWCPKPHAZSM-UHFFFAOYSA-M bromate Inorganic materials [O-]Br(=O)=O SXDBWCPKPHAZSM-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TEGARKTQYYJKE-UHFFFAOYSA-M chlorate Inorganic materials [O-]Cl(=O)=O XTEGARKTQYYJK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WBZKQQHYRPRKNJ-UHFFFAOYSA-L disulfite Chemical compound [O-]S(=O)S([O-])(=O)=O WBZKQQHYRPRKN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79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WQYVRQLZKVEZGA-UHFFFAOYSA-N hypochlorite Inorganic materials Cl[O-] WQYVRQLZKVEZG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description 3
- 125000005010 per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125000005385 peroxodisulf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RZFUMHJMZEROT-UHFFFAOYSA-L sodium disulfite Chemical compound [Na+].[Na+].[O-]S(=O)S([O-])(=O)=O HRZFUMHJMZEROT-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262 sodium metabi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BQCIDUSAKPWEOX-UHFFFAOYSA-N 1,1-Di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F)=C BQCIDUSAKPWE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KJQQAXSVQMHS-UHFFFAOYSA-N Hydrazine Chemical compound NN OAKJQQAXSVQM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2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04 emulsify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CDGVLDPFQMKDK-UHFFFAOYSA-N hexafluoropropylene Chemical group FC(F)=C(F)C(F)(F)F HCDGVLDPFQMK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GLXDVVHUTZTUQK-UHFFFAOYSA-M lithium;hydroxide;hydrate Chemical compound [Li+].O.[OH-] GLXDVVHUTZTUQK-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JRKICGRDRMAZLK-UHFFFAOYSA-L persulfate group Chemical group S(=O)(=O)([O-])OOS(=O)(=O)[O-] JRKICGRDRMAZL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67 sodium hydrogen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GEHJYWRUCIMESM-UHFFFAOYSA-L sodium sulfite Chemical compound [Na+].[Na+].[O-]S([O-])=O GEHJYWRUCIMESM-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DHCDFWKWKRSZHF-UHFFFAOYSA-N sulfurothioic S-acid Chemical compound OS(O)(=O)=S DHCDFWKWKRSZ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UMVZXWBOFOYAW-UHFFFAOYSA-N 1,2,3,3,4,4,4-heptafluoro-1-(1,2,3,3,4,4,4-heptafluorobut-1-enoxy)but-1-ene Chemical compound FC(F)(F)C(F)(F)C(F)=C(F)OC(F)=C(F)C(F)(F)C(F)(F)F WUMVZXWBOFOYA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CPVQAHEFVXVKT-UHFFFAOYSA-N 2-(2,4-difluorophenoxy)pyridin-3-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1OC1=CC=C(F)C=C1F LCPVQAHEFVXVK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SNNMFCWUKXFEE-UHFFFAOYSA-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CPELXLSAUQHCOX-UHFFFAOYSA-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84 Ce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KZBUYRJDOAKODT-UHFFFAOYSA-N Chlorine Chemical compound ClCl KZBUYRJDOAKO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FXPMWWXUTWYJX-UHFFFAOYSA-N Cyanide Chemical compound N#[C-] XFXPMWWXUTWY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ZCKVEUIGOORGS-UHFFFAOYSA-N Hydrogen atom Chemical compound [H] YZCKVEUIGOOR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57 Non-nutritive fee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WAQJAXMDSEUJJ-UHFFFAOYSA-M Sodiu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Na+].OS([O-])=O DWAQJAXMDSEUJ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46 aqu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OZUGNYVDXMRKW-AATRIKPKSA-N azodicarbonamide Chemical compound NC(=O)\N=N\C(N)=O XOZUGNYVDXMRKW-AATRIKPK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9 azodicarbon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3 batch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246 bromo group Chemical group Br*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8 caust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GWXLDORMOJMVQZ-UHFFFAOYSA-N cerium Chemical compound [Ce] GWXLDORMOJMV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DGTVJJHBUTRL-UHFFFAOYSA-N cyanogen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N ATDGTVJJHBUT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1 ele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1 hot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83 hydrocarb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826 hydrogen sulfite Drugs 0.000 description 1
- XMBWDFGMSWQBCA-UHFFFAOYSA-M iodide Chemical compound [I-] XMBWDFGMSWQBC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28 melt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9 mel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61 membran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8 oil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JMWVICAENGCRF-UHFFFAOYSA-N oxygen difluoride Chemical group FOF UJMWVICAENGC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NGREZUHAYWORS-UHFFFAOYSA-N perfluorooc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C(F)(F)C(F)(F)C(F)(F)C(F)(F)C(F)(F)C(F)(F)F SNGREZUHAYWO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2 perfluoropolye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JEHXEMURTVAOE-UHFFFAOYSA-M potassiu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K+].OS([O-])=O DJEHXEMURTVAO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427 potassium bisulfi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59 potassium hydrogen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SHAGKDGDHPEEY-UHFFFAOYSA-L potass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OS([O-])(=O)=O USHAGKDGDHPE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48 rad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HQMHPLRPQMAMX-UHFFFAOYSA-L sodium persulfate Substances [Na+].[Na+].[O-]S(=O)(=O)OOS([O-])(=O)=O CHQMHPLRPQMAM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001482 sodium sulfi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65 sodium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SNNMFCWUKXFEE-UHFFFAOYSA-L sulfite Chemical class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7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6—Tetrafluoroethene
- C08F214/262—Tetrafluoroethene with fluorinated vinyl 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8—Introducing halogen atoms or halogen-containing groups
- C08F8/20—Haloge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J5/224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btained by introduction of active groups capable of ion-exchange into compounds of the type C08J5/2231
- C08J5/22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btained by introduction of active groups capable of ion-exchange into compounds of the type C08J5/2231 containing fluori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F2SO3X, -CF2SO2F 또는 그 조합으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 - 여기서, X는 H+ 및 일가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 및 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 - 여기서, Y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니트릴기 및 -SO3X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를 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이다.
플루오로중합체, 펜던트기, 말단기, 골격 사슬, 전해질 막, 전기화학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화학 장치에서 전해질 막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플루오로중합체(fluoropolym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카르보닐 말단기의 양이 감소된 플루오로중합체 및 플루오르화 이오노머(ionomer)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수소와 같은 연료와 산소와 같은 산화제의 촉매화 조합(catalyzed combination)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전기를 생성하는 전기화학 장치이다. 내연 발전기와 같은 통상적인 발전 설비(power plant)와는 대조적으로, 연료 전지는 연소를 이용하지 않는다. 그와 같이,연료 전지는 유해한 폐기물(effluent)을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 연료 전지는 수소 연료 및 산소를 전기로 직접 전환시키고,내연 발전기에 비해 보다 높은 효율로 작동될 수 있다.
양성자 교환 막형(proton exchange membrane, PEM) 연료 전지와 같은 연료 전지는 전형적으로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며, 이는 한 쌍의 기체 확산층 사이에 배치된 촉매 코팅된 막으로 이루어진다. 촉매 코팅된 막 그 자체는 전형적으로 한 쌍의 촉매층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 막을 포함한다. 전해질 막의 각각의 면은 음극(anode) 부분과 양극(cathode) 부분으로 지칭된다. 전형적인 PEM 연료 전지에 서, 수소 연료는 음극 부분으로 도입되는데, 여기에서 수소가 반응하여 양성자와 전자로 분리된다. 전해질 막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자의 흐름이 외부 회로를 통해 양극 부분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양성자를 양극 부분으로 수송한다. 산소는 양극 부분으로 도입되어 양성자 및 전자와 반응하여 물과 열을 형성한다.
전기화학 장치의 다른 유형으로는 전해 전지가 있는데, 전해 전지에서는 전기를 사용하여 화학 변화 또는 화학 에너지를 생성한다. 전해 전지의 예로는 수성 염화나트륨이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류에 의해 전기 분해되는 염소-알칼리(chlor-alkali) 막 전지가 있다. 전해질은 가혹한 조건을 겪는 막에 의해 산화전극액(anolyte) 부분과 환원전극액(catholyte) 부분으로 분리된다. 염소-알칼리 막 전지에서, 가성 수산화나트륨은 환원전극액 부분에서 축적되고, 수소 기체는 양극 부분에서 방출되며, 염소 기체는 음극의 염화나트륨-풍부 산화전극액 부분으로부터 방출된다.
이온 특성으로 인하여, 플루오르화 이오노머는 연료 전지, 전해 전지, 및 기타 전기화학 장치에서 전해질 막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플루오르화 이오노머는 전형적으로 플루오르화된 이온성 단량체 또는 전구체의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자유 라디칼 중합은 생성된 플루오르화 이오노머 상에 카르보닐 말단기(예를 들어, -COOH 말단기, -COO말단기, -COF 말단기, 및 -CONH2 말단기)를 또한 생성시킨다. 카르보닐 말단기는 퍼옥사이드 라디칼의 공격을 받기 쉬우며, 상기 퍼옥사이드 라디칼 공격은 플루오르화 이오노머의 산화 안정성을 감소 시킨다. 연료 전지, 전해 전지, 또는 기타 전기화학 전지의 작동 동안 퍼옥사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플루오르화 이오노머를 분해시키며, 그에 따라 주어진 전해질 막의 작동 수명을 감소시킨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CF2SO3X, -CF2SO2F 또는 그 조합으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 및 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를 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X는 H+ 및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Y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니트릴기 및 -SO3X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증가된 산화 안정성을 나타내며, 전기화학 장치의 전해질 막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플루오로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염, 유사할로겐, 또는 염과 유사할로겐의 조합의 존재 하에서 플루오르화 단량체를 자유 라디칼 중합하여 플루오로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3X, -CF2SO2F 또는 그 조합으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 및 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를 포함한다. X는 H+ 및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Y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니트릴기 및 -SO3X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루오로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플루오르화 단량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르화 단량체는 -CF2SO2F로 종결되는 기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염, 유사할로겐, 또는 염과 유사할로겐의 조합의 존재 하에서 플루오르화 단량체를 자유 라디칼 반응시켜 플루오로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플루오로중합체는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부재 하에서 제조되는 유사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약 25% 미만의 카르보닐 말단기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펜던트기 및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외(non-carbonyl) 말단기를 포함하는 플루오르화 골격 사슬을 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이다. 플루오로중합체의 카르보닐외 말단기는 -CF2Y 말단기이며, 여기서 Y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또는 니트릴기와 같은 반응성 원자 또는 기이다. -CF2Y 말단기는 카르보닐 말단기를 대체하며,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중합 반응으로부터 존재하게 된다. 카르보닐 말단기를 -CF2Y 말단기로 대체하는 것은 플루오로중합체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증가된 산화 안정성은 플루오로중합체의 내구성을 유지시키며, 그에 따라 주어진 전해질 막의 작동 수명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에 특히 적합한 조성물은 -CF2Y 말단기를 가지며, 상기 말단기는 -CF2Cl 말단기(즉, Y가 염소 원자)이다. 염소 작용기는 카르보닐 말단기와 비교할 때 안정하며 증가된 산화 안정성을 제공한다.
플루오로중합체의 펜던트기는 -CF2SO3X, -CF2SO2F 또는 그 조합으로 종결되며, 여기서 X는 수소 이온(H+) 또는 일가 또는 다가 양이온(예를 들어, Li+)일 수도 있다. -CF2SO3X 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는 플루오로중합체에 이온 전도성을 제공한다. 그와 같이, -CF2SO3X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는 전해질 막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플루오르화 이오노머이다.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는 비이온성 기이며, 이는 그 후 가수분해되어 -CF2SO3X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르화 이오노머의 전구체일 수도 있다.
플루오로중합체에 적합한 펜던트기는 화학식 -R1-SO3X, -R1-SO2F 또는 그 조합을 가지는 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R1은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퍼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알콕시, 또는 퍼플루오로에테르 기이며, 이는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및 0 내지 4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한다. 플루오로중합체에 특히 적합한 펜던트기는 -O(CF2)4SO3X, -O(CF2)4SO2F, -OCF2(F(CF3)OCF2CF2SO3X, -OCF2CF(CF3)OCF2CF2SO2F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플루오로중합체의 골격 사슬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루오르화될 수 있다. 골격 사슬 중 적합한 불소 농도는 골격 사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40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의 골격 사슬은 퍼플루오르화된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는 중합 혼합물의 자유 라디칼 중합, 이어서 펜던트기의 가수분해에 의해 이온성 펜던트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중합 혼합물은 플루오르화 단량체, 개시제, 및 염, 유사할로겐, 또는 염과 유사할로겐의 조합을 포함한다. 자유 라디칼 중합은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존재 하에서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개시된다. 플루오르화 단량체는 중합되어 골격 사슬 및 펜던트기를 형성하며, 여기서 펜던트기는 -CF2SO2F로 종결된다. 이 상태에서, 펜던트기는 안정하며 중합 동안 염 또는 유사할로겐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염 및 유사할로겐은 골격 사슬 상에 형성되는 카르보닐 말단기의 양을 감소시키며, 카르보닐 말단기를 -CF2Y 말단기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에서 카르보닐 말단기의 적합한 농도 감소의 예는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부재 하에서 제조된 유사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약 25% 더 적은 카르보닐 말단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에서 카르보닐 말단기의 특히 적합한 농도 감소의 예는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부재 하에서 제조된 유사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약 50% 더 적은 카르보닐 말단기를 포함한다. 이는 플루오로중합체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말단기의 조성은 다양한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적합한 분석 기술의 예에는 적외선 탐지법(예를 들어, 그루타에르트(Grootaert) 등의 미국 특허 제6,825,300호 참조) 및 F-NMR 탐지법(예를 들어, 벅마스터(Buckmaster) 등의 미국 특허 제4,742,122호 및 슈라이어(Schreyer)의 미국 특허 제3,085,083호 참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은 상기에 논의한 바와 같이, 화학식 MeY를 갖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e는 일가 또는 다가 양이온이고, Y는 반응성 원자 또는 기(즉, 클로라이드 음이온, 브로마이드 음이온, 요오다이드 음이온, 또는 시아나이드 음이온)이다. 염의 적합한 양이온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을 포함한다. 자유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염은 균질한 염 또는 상이한 염들의 블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사할로겐은 유사할로겐 니트릴-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니트릴 말단기(즉, Y는 니트릴기)를 제공한다. 유사할로겐 니트릴-함유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니트릴기를 가지며, 니트릴기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화합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적합한 유사할로겐 니트릴-함유 화합물의 예에는 NC-CN, NC-S-S-CN, NC-Se-Se-CN, NCS-CN, NCSe-CN, Cl-CN, Br-CN, I-CN, NCN=NCN 및 그 조합이 포함된다.
자유 라디칼 중합 동안, 염의 반응성 원자/기 또는 유사할로겐의 니트릴기는 플루오로중합체의 골격 사슬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화학적으로 결합한다. 이는 카르보닐 말단기 대신에 -CF2Y 말단기의 "Y" 원자 또는 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자유 라디칼 중합이 KCl 염의 존재 하에서 실시되는 경우, 제공되는 말단기 중 적어도 하나는 -CF2Cl 말단기이다. 대안적으로, 자유 라디칼 중합이 NC-CN 유사할로겐의 존재 하에서 실시되는 경우, 제공되는 말단기 중 적어도 하나는 -CF2CN 말단기이다.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사용량은 개시제의 사용량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루오로중합체 상의 -CF2Y 말단기의 농도는 개시제에 대한 염/유사할로겐의 농도 비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플루오로중합체 상의 카르보닐 말단기의 농도는 개시제에 대한 염/유사할로겐의 농도 비에 따라 감소한다. 개시제에 대한 염/유사할로겐의 반응성 원자/기의 적합한 몰비는 약 1/0.1 내지 약 0.1/10의 범위이며, 특히 적합한 몰비는 약 1/0.5 내지 약 0.1/5 범위이다.
자유 라디칼 중합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시제는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퍼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 망간 함유 개시제, 세륨 함유 개시제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개시제의 추가의 예에는 산화제 및 환원제의 조합과 같은,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는 개시제 시스템이 포함된다. 적합한 산화제는 과황산암모늄(APS), 과황산칼륨(KPS), 과황산나트륨 및 그 조합과 같은 퍼설페이트를 포함한다. 추가의 적합한 산화제는 클로레이트 이온, 하이포클로라이트 이온, 브로메이트 이온 및 그 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환원제는 설파이트, 예를 들어 소듐 설파이트, 소듐 바이설파이트, 메타바이설파이트 (예를 들어, 소듐 및 포타슘 바이설파이트), 파이로설파이트, 티오설페이트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개시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산화환원 시스템의 예에는 퍼옥소다이설페이트 및 하이드로겐 설파이트 또는 다이설파이트의 조합, 티오설페이트 및 퍼옥소다이설페이트의 조합, 퍼옥소다이설페이트 및 히드라진 또는 아조다이카르복스아미드의 조합, 및 퍼옥소다이설파이트 및 염화나트륨의 조합이 포함된다. 중합 혼합물 중 개시제의 적합한 농도는 중합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범위이며, 특히 적합한 농도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이다.
플루오로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루오르화 단량체는 적어도 하나의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 및 적어도 하나의 퍼플루오르화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화 단량체는 복수의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 및 복수의 퍼플루오르화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또한, 플루오르화 단량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및 그 조합과 같은 비-퍼플루오르화 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는 화학식 F2C=CF-R2-SO2F를 가지는 플루오르화 단량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R2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퍼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알콕시, 또는 퍼플루오로에테르 기이며, 이는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및 0 내지 4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한다. 특히 적합한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는 F2C=CFO(CF2)4SO2F, F2C=CFOCF2CF(CF3)OCF2CF2SO2F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는 구에라(Guerra)의 미국 특허 제6,624,328호에 개시된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합성될 수도 있다.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의 R2-SO2F 기는 일반적으로 중합 후 생성된 플루오로중합체의 펜던트기로 정의된다.
적합한 퍼플루오르화 공단량체는 화학식 F2C=CF-R3를 가지는 플루오르화 단량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R3은 불소 원자, 또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퍼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알콕시, 또는 퍼플루오로에테르 기이며, 이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 및 0 내지 2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한다. 적합한 퍼플루오르화 공단량체의 예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퍼플루오로에틸비닐 에테르(PMVE) 및 그 조합이 포함된다. 특히 적합한 퍼플루오르화 공단량체는 TFE이다.
또한, 중합 혼합물은 완충제, 사슬 이동제(chain-transfer agent), 안정제, 가공 조제 및 그 조합과 같은 추가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체 탄화수소 사슬 이동제와 같은 사슬 이동제는 생성된 플루오로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중합 혼합물은 소듐 다이설파이트와 같은 다이설파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이설파이트는 산화제(예를 들어, APS, 클로레이트 이온, 하이포클로라이트 이온, 및 브로메이트 이온)와 함께 사용되어 골격 사슬 상에 -CF2SO3X 말단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CF2 말단기의 "Y"에 대한 또 다른 적합한 반응성 기는 -SO3X 기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다이설파이트 및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포함하는 중합 혼합물의 자유 라디칼 중합 후,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3H 말단기인 적어도 하나의 말단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 후, -CF2SO3H 말단기는 사후-플루오르화되어 -CF2SO2F 말단기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는 그 후 가수분해되어 이온성 -CF2SO3X 말단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에 있어서 다른 특히 적합한 조성물은 -CF2Y 말단기를 가지며, 상기 말단기는 -CF2SO3X 말단기(즉, Y는 -SO3X 기임)이다. -SO3X 작용기는 카르보닐 말단기에 비해 안정하고, 증가된 산화 안정성을 제공하며, 또한 플루오로중합체에 추가의 이온 전도성을 제공한다.
또한, 중합 혼합물은 플루오로알킬설피네이트 및 플루오로알킬설핀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산화제(예를 들어, APS, 클로레이트 이온, 하이포클로라이트 이온, 및 브로메이트 이온)와 함께 사용되어 -CF2Y 말단기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CF3 말단기도 가지는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플루오로알킬설피네이트 및 플루오로알킬설핀산의 적합한 플루오로알킬 라디칼은 플루오로지방족 라디칼 및 퍼플루오로지방족 라디칼,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부틸설피네이트 및 퍼플루오로부틸설핀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를 생성하는데 특히 적합한 시스템의 예에는 APS 개시제, KCl 염, 및 퍼플루오로부틸설핀산이 포함된다. 생성된 플루오로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CF2Cl 말단기 및 적어도 하나의 -CF3 말단기를 포함한다.
자유 라디칼 중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유기 용매에서, 수성 현탁 중합으로 또는 수성 에멀젼 중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자유 라디칼 중합은 주어진 개시제 시스템에 적합한 임의의 pH, 온도, 및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SO2F 기가 사전 가수분해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7의 pH 범위에서 수행된다. 중합에 적합한 온도는 약 10℃ 내지 약 100℃ 범위이다. 중합에 적합한 압력은 약 300 킬로파스칼(kPa) 내지 약 3,000 kPa 범위이다.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무산소 환경에서 수행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자유 라디칼 중합은 수성 에멀젼 중합으로서 수행되며, 상기 수성 에멀젼 중합은 에멀젼의 수성 상에서 플루오르화 단량체를 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성 에멀젼은 암모늄 퍼플루오로옥탄산 또는 그 염을 사용하거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성 에멀젼 중합은 염기를 이용하여 물 중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의 프리-에멀젼(pre-emulsion)을 제조함으로써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후자의 대안에서, 프리-에멀젼에서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에 대한 물의 적합한 중량비는 약 0.1/1 내지 약 1/0.01 범위이며, 특히 적합한 중량비는 약 0.2/1 내지 약 1/0.1 범위이다.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예를 들어, NaOH, KOH, 및 LiOH), 알칼리토금속의 수산화물, III족 금속의 수산화물, NH4OH 및 그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염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리-에멀젼 중 염기의 적합한 농도는 약 0.01 몰당량 내지 약 0.5 몰당량 범위이며, 특히 적합한 농도는 약 0.02 몰당량 내지 약 0.3 몰당량 범위이고, 여기서 몰당량은 프리-에멀젼 중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에 대한 것이다.
프리-에멀젼은 균질화기, 고속 교반기, 콜로이드 밀 믹서(colloid mill mixer), 또는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적합한 혼합 시간은 약 1분 내지 약 60분 범위이며, 특히 적합한 혼합 시간은 1분 내지 약 20분 범위이다.
일단 프리-에멀젼이 제조되면, 중합 성분(즉, 프리-에멀젼, 공단량체, 개시제, 염/유사할로겐, 및 임의의 추가의 성분)을 반응 용기에 충전시켜 자유 라디칼 중합을 개시한다. 수성 에멀젼 중합은 연속식 공정, 회분식 또는 반회분식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속식 공정은 생성된 에멀젼이 연속적으로 제거되면서, 성분들이 최적 압력과 온도 조건 하에서 교반 반응 용기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회분식 또는 반회분식 공정은 성분들을 교반 반응 용기 내로 공급하고 성분들이 특정 시간 동안 설정된 온도에서 반응하도록 하거나, 성분들을 반응 용기 내로 충전하고 공단량체를 반응기에 공급하여 원하는 양의 플루오로중합체가 형성될 때까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합은 기체 플루오르화 단량체의 에멀젼 중합에 사용되는 표준 또는 통상의 용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플루오로중합체 라텍스가 제조되는데, 여기서 라텍스의 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 및 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중합체의 많은 수의 말단기는 -CF2Y 말단기이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는 가수분해되어 -CF2SO3X로 종결되는 이온성 펜던트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가수분해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중합체는 처음에 LiOH, NaOH, KOH 또는 그 조합과 같은 염기와 반응시킬 수도 있다. 그 후, 플루오로중합체는 산 또는 이온 교환 수지와 반응시켜 -CF2SO3X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X는 사용된 산 또는 이온 교환 수지를 기재로 한다. 따라서, 중합과 가수분해 후에, 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2X로 종결되는 펜던트기 및 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를 가지는 플루오르화 이오노머가 된다. 이 상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전기화학 장치의 전해질 막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 전도성을 나타낸다. 또한, 가수분해는 골격 사슬 상에 형성된 임의의 -CF2SO2F 말단기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CF2SO3X 말단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중합된 플루오로중합체는 압출 성형되어 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후속적으로 가수분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사후-플루오르화 처리되어 -CF2Y 말단기가 -CF3 말단기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는 매우 안정하다. 사후-플루오르화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중합 후, 가수분해 전에 수행하여 펜던트기를 보호한다. 사후-플루오르화 처리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중합체 라텍스는 불소 및 질소 기체 혼합물로 처리되는데, 여기서 이 기체 혼합물은 기체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중량% 내지 약 25중량%의 불소 농도를 가진다. 적합한 사후-플루오르화 조건은 약 15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 약 100 kPa 내지 약 1,000 kPa 범위의 압력, 및 약 4시간 내지 약 16시간 범위의 반응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플루오로중합체 라텍스는 계속하여 기체 혼합물에 새로운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교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는 사후-플루오르화 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CF2Y 말단기의 반응성 원자/기인 "Y"는 불소 기체와 반응하는데, 이는 플루오로중합체를 사후-플루오르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이는 말단기가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또는 니트릴기와 같이 높은 온도(예를 들어, 280℃ 초과)에서 다소 덜 안정한 반응성 원자/기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히 사실이다. 그러한 말단기는 즉시 사후-플루오르화되어 -CF3 말단기를 제공한다. -CF2Cl 말단기 또는 SO3X 말단기와 같이, 높은 온도(예를 들어, 280℃ 초과)에서 안정한 말단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는 사후-플루오르화 단계 없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원할 경우 사후-플루오르화에 또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와는 대조적으로, 카르보닐 말단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를 사후-플루오르화시키는 것은 카르보닐 말단기를 -CF3 말단기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당한 양의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카르보닐 말단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의 사후-플루오르화에 의해 -COF 말단기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물의 존재 하에서 이들이 카르복실산 말단기로 다시 복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CF2Y 말단기는 사후-플루오르화 처리를 위한 효과적인 부위이며, 물의 존재 하에서 카르복실산 말단기로 복귀되지 않는다.
사후-플루오르화 처리 후에, 많은 수의 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 및 적어도 하나의 -CF3 말단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중합체의 실질적으로 모든 말단기는 -CF3 말단기이다. 그 후, 플루오로중합체는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가수분해되어, -CF2SO3X 말단기를 또한 보유하면서 -CF3으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후, 플루오로중합체는 높은 수준의 산화 안정성도 가지면서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는 주조, 성형, 압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전해질 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해질 막은 플루오로중합체의 라텍스 또는 현탁물으로부터 주조되고, 그 후 건조되거나, 어닐링되거나, 이 둘 모두가 행해질 수 있다. 이는 플루오로중합체가 가수분해되어 이온성 펜던트기를 포함할 경우 특히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3X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용융과정(예를 들어, 필름 또는 막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의 압출 또는 고온 프레싱)에 훨씬 용이하다. 그와 같이, 전해질 막을 형성하는 대안적인 방법은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를 용융 가공하는 단계와, 그 후 성형된 막을 가수분해하여 이를 이온성이 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막으로 형성시킨 후,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를 광화학적 기술, 열적 기술, 및 전자 빔 기술과 같은 다양한 가교 결합 기술을 이용하여 또한 가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적합한 가교 결합 기술의 예에는 전자 빔 가교 결합이 포함되며, 상기 전자 빔 가교 결합은 플루오로중합체를 전자 빔 방사에 노출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전자 빔의 적합한 방사선량은 적어도 약 1 메가래드(megarad)를 포함하며, 특히 적합한 선량은 적어도 약 3 메가래드를 포함하고, 더욱 더 특히 적합한 선량은 적어도 약 5 메가래드를 포함하며, 가장 특히 적합한 선량은 적어도 약 15 메가래드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기구를 사용하여 전자 빔을 방사할 수도 있다. 적합한 기구의 예에는 상표명이 "에너지 사이언시즈(Energy Sciences) CB300"인 e-빔 시스템으로서 미국 매사추세츠주 윌밍턴 소재의 에너지 사이언시즈, 인크.(Energy Sciences, Inc.)로부터 구매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가교 결합은 하나 이상의 가교결합제의 존재 하에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다작용성 화합물, 예를 들어 다작용성 알켄 및 기타 불포화 가교결합제를 포함한다. 가교결합제는 비플루오르화되거나, 낮은 수준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고도로 플루오르화되거나, 더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르화될 수 있다. 가교결합제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플루오로중합체에 도입될 수도 있다. 가교결합제를 도입하기에 적합한 기술은 플루오로중합체를 막으로 형성시키기 전에 가교결합제를 플루오로중합체와 블렌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가교결합제는 가교결합제 용액에 플루오로중합체 막을 침지시킴에 의한 것과 같이, 플루오로중합체 막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연료 전지막의 적합한 두께는 약 9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를 포함하며, 특히 적합하게는 약 6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 더욱 더 특히 적합하게는 약 3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를 포함한다. 전기 분해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로부터 형성된 막의 적합한 두께는 약 10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3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를 포함한다. 그러한 막은 압출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상세 사항을 변화시킬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실시예는 단지 예시하고자 하는 것인데, 이는 본 발명의 범주 이내의 다수의 변경과 변화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기 때문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하기의 실시예에 보고된 모든 부, 백분율, 및 비는 중량 기준이며, 실시예에서 사용된 모든 시약은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소재의 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Aldrich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하거나,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합성할 수도 있다. 하기의 합성물 약자(compositional abbreviations)가 하기의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제1 프리-에멀젼은 LiOH·H₂O 4 그램을 첨가하여 탈이온수 170 그램에 MV4S 153 그램을 유화시켜 제조하였다. 유화는 독일 스타우펜 소재의 IKA-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Werke GmbH & Co. KG)로부터 상표명 "울트라-투락스(ULTRA-TURRAX)" 모델 T 25 디스퍼서(disperser) S25KV-25F로 구매가능한 분산기를 이용하여 높은 전단(2513.3 rad/s(24,000rpm)) 하에서 2분 동안 수행하였다.
제2 프리-에멀젼은 LiOH·H₂O 11 그램을 첨가하여 탈이온수 473 그램에 MV4S 423 그램을 유화시켜 제조하였다. 또한, 유화는 분산기를 이용하여 높은 전단(2513.3 rad/s(24,000rpm)) 하에서 2분 동안 수행하였다.
임펠러 교반 시스템을 갖춘 4리터의 무산소 중합기(polymerization kettle)에 2.8 리터의 탈이온수 및 KCl 50 그램을 충전하였다. 중합기를 60℃까지 가열하고, 그 후 제1 프리-에멀젼을 중합기에 충전하였다. 60℃에서, 중합기에 TFE 172 그램을 추가로 충전시켜 절대 반응 압력이 800 킬로파스칼(kPa)이 되게 하였다. 자유 라디칼 반응은 개시제 용액을 중합기에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는데, 여기서 개시제 용액은 소듐 다이설파이트 5 그램 및 APS 6 그램을 포함하며, 소듐 다이설 파이트 및 APS 둘 모두는 탈이온수 30 밀리리터에 용해시킨 것이다.
반응 과정 동안, 교반기는 25.1 rad/s(240 rpm)에서 작동시켰고, 반응 온도는 60℃에서 유지시켰으며, 반응 압력은 800 kPa의 절대 압력에서 유지시켰다. 그 후, TFE 800 그램 및 제2 프리-에멀젼 905 그램을 331분의 기간에 걸쳐 중합기에 공급하였다. 그 후 단량체 밸브를 닫고, 단량체 공급을 중단하였다. 계속되는 중합 반응은 단량체 기체상의 압력을 300 kPa로 감소시켰다. 이때, 중합기를 통기시키고 질소 기체로 플러싱(flushed)하였다.
생성된 플루오로중합체 라텍스는 고형물 함량이 32 중량%로서, 이는 -18 ℃에서 동결 응고시켰다. 그 후, 동결 응고된 플루오로중합체는 130℃에서 건조시켰다. 19F-NMR 분석에 의하면 플루오로중합체에서 조성이 TFE 88.4 몰% 및 MV4S 11.6 몰%임이 나타났다. 또한, 19F-NMR 분석에 의하면 골격 사슬에서 조성이 CF₂Cl 2.7 몰%임이 나타났다. CF₂Cl의 피크 배열은 -77.5 ppm(parts-per-million) 내지 -66.2 ppm 사이의 범위의 화학적 이동을 가진다. 원소 분석에 의하면 플루오로중합체 라텍스 중 염소 농도가 0.94 중량%임이 나타났는데, 이는 19F-NMR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그와 같이, 자유 라디칼 중합은 생성된 플루오로중합체의 골격 사슬 상에 CF₂Cl 말단기를 제공하였다. MV4S의 농도에 대한 결과에 의하면 생성된 플루오로중합체가 -CF₂SO₂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가진다는 것이 나타났다.
Claims (22)
- -CF2SO3X, -CF2SO2F 또는 그 조합으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 - 여기서, X는 H+ 및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및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 - 여기서, Y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니트릴기 및 -SO3X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를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Y는 염소 원자 또는 -SO3X 기를 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부재 하에서 생성되는 유사한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약 25% 더 적은 카르보닐 말단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르화 골격 사슬을 추가로 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펜던트기는 -O(CF2)4SO2X, -O(CF2)4SO2F, -OCF2CF(CF3)OCF₂ CF2SO2X, -OCF2CF(CF3)OCF2CF2SO2F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루오로중합체.
- 제1항의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전해질 막.
- 제6항에 있어서, 가교 결합된 전해질 막.
- 플루오로중합체 각각은 -CF2SO3X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 - 여기서, X는 H+ 및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및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 - 여기서, Y는 염소 원자 및 -SO3X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를포함하는 것인, 부분적으로 플루오로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해질 막.
- 제8항에 있어서,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부재 하에서 생성되는 유사한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약 25% 더 적은 카르보닐 말단기를 가지는 전해질 막.
- 제8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CF3 말단기를 추가 로 포함하는 전해질 막.
- 제8항의 전해질 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
- 염, 유사할로겐, 또는 염과 유사할로겐의 조합의 존재 하에서 플루오르화 단량체를 자유-라디칼 중합하여 플루오로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2F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 및 적어도 하나의 -CF2Y 말단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Y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니트릴기 및 -SO3X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X는 H+ 및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루오로중합체의 제조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부재 하에서 생성되는 유사한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약 25% 더 적은 카르보닐 말단기를 가지는 플루오로중합체.
- 제12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를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가수분해는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CF2SO3X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로 실질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를 사후-플루오르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사후-플루오르화는 -CF2Y 말단기를 -CF3 말단기로 실질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인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를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가수분해는 -CF2SO2F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를 -CF2SO3X로 종결되는 펜던트기로 실질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자유-라디칼 중합은 또한 하나 이상의 다이설파이트의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자유-라디칼 중합은 또한 플루오로알킬설피네이트, 플루오로알킬설핀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방법.
- 플루오르화 단량체들을 제공하는 단계 - 여기서, 플루오르화 단량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단량체를 포함함 -; 및염, 유사할로겐, 또는 염과 유사할로겐의 조합의 존재 하에서 플루오르화 단 량체를 자유-라디칼 반응시켜 플루오로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플루오로중합체는 염 또는 유사할로겐의 부재 하에서 생성되는 유사한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약 25% 더 적은 카르보닐 말단기를 갖는 것인, 플루오로중합체의 제조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는 -CF2SO2F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포함하는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가 -CF2SO3X - 여기서, X는 H+ 및 일가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로 종결되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포함하도록 플루오르중합체를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를 사후-플루오르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120,822 | 2005-05-03 | ||
US11/120,822 US7214740B2 (en) | 2005-05-03 | 2005-05-03 | Fluorinated ionomers with reduced amounts of carbonyl end group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3857A true KR20080003857A (ko) | 2008-01-08 |
Family
ID=3680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5468A Withdrawn KR20080003857A (ko) | 2005-05-03 | 2006-05-02 | 카르보닐 말단기의 양이 감소된 플루오르화 이오노머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7214740B2 (ko) |
EP (1) | EP1877454B1 (ko) |
JP (3) | JP5166248B2 (ko) |
KR (1) | KR20080003857A (ko) |
CN (1) | CN101171271B (ko) |
WO (1) | WO200611922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65102A1 (ko) * | 2013-10-31 | 2015-05-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49887A1 (en) * | 2006-12-21 | 2008-06-26 | Jian Wang | Electrode binder compositions and electr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
US20100068592A1 (en) * | 2007-08-09 | 2010-03-18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Electrodes for use in hydrocarbon-based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of direct oxidation fuel cells |
KR100978609B1 (ko) * | 2007-11-27 | 2010-08-2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불소가스를 이용한 직접불소화법에 의해 표면처리된수소이온전도성 고분자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및 연료전지 |
JP5219163B2 (ja) * | 2008-01-21 | 2013-06-2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末端処理されたフッ化ビニリデン系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
KR100978553B1 (ko) * | 2008-07-10 | 2010-08-2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불소계 또는 부분불소계 분산제를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PL2145917T3 (pl) * | 2008-07-17 | 2012-11-30 | Gore W L & Ass Gmbh | Powłoka polimerowa zawierająca kompleks jonowego fluoropolieteru oraz środka przeciwjonowego |
CN110272512A (zh) | 2009-06-12 | 2019-09-24 | 索尔维索莱克西斯公司 | 具有低表面张力、低液体粘度以及高固体含量的氟代离聚物分散体 |
DK2588507T3 (da) * | 2010-07-01 | 2014-09-15 | Solvay Specialty Polymers It | Fremgangsmåde til behandling af sulfonylfluoridpolymerer |
WO2012082451A2 (en) * | 2010-12-17 | 2012-06-2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Fluorinated oligomers having pendant bromine-containing moieties |
CN103270008A (zh) * | 2010-12-20 | 2013-08-28 | 纳幕尔杜邦公司 | 离聚物和离子传导性组合物 |
EP2739682B1 (en) * | 2011-08-04 | 2016-10-1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Low equivalent weight polymers |
DK3256501T3 (en) | 2015-02-12 | 2019-03-1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TETRAFLUORETHYLEN / HEXAFLUORPROPYLEN COPOLYMERS INCLUDING PERFLUORAL COXYALKYL GROUPS AS PREPARA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PROCEDURES |
CN107223140A (zh) | 2015-02-12 | 2017-09-29 | 3M创新有限公司 | 包含全氟烷氧基烷基侧基的四氟乙烯/六氟丙烯共聚物 |
CN107406550A (zh) | 2015-02-12 | 2017-11-28 | 3M创新有限公司 | 具有磺酰基基团的四氟乙烯共聚物 |
CN105037604B (zh) * | 2015-05-25 | 2017-10-10 | 上海交通大学 | 燃料电池用短链全氟磺酰胺阴离子离聚物及其制备和应用 |
CN108137750A (zh) * | 2015-09-23 | 2018-06-08 | 3M创新有限公司 | 制备具有磺酰基侧基的四氟乙烯共聚物的方法 |
KR20200054213A (ko) | 2017-09-14 | 2020-05-19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플루오로중합체 분산물, 플루오로중합체 분산물의 제조 방법, 촉매 잉크 및 중합체 전해질 막 |
CN111836835B (zh) | 2018-03-01 | 2023-07-14 | 大金工业株式会社 | 含氟聚合物的制造方法 |
US11014999B2 (en) * | 2018-04-24 | 2021-05-25 | Inhance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fluoropolymer materials and related workpieces |
TWI821458B (zh) | 2018-11-19 | 2023-11-11 | 日商大金工業股份有限公司 | 組成物及拉伸體 |
JP7174272B2 (ja) | 2018-11-19 | 2022-11-1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変性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の製造方法及び組成物 |
US20220324733A1 (en) | 2019-04-26 | 2022-10-13 | Daikin Industries, Ltd. | Water treatment method and composition |
CN113728014B (zh) | 2019-04-26 | 2024-07-26 | 大金工业株式会社 | 含氟聚合物水性分散液的制造方法、排水的处理方法和含氟聚合物水性分散液 |
EP4026856A4 (en) | 2019-09-05 | 2023-09-27 | Daikin Industries,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ERFLUOROELASTOMER, AND COMPOSITION |
CN120271939A (zh) | 2019-09-05 | 2025-07-08 | 大金工业株式会社 | 组合物及其制造方法 |
CN114651018A (zh) | 2019-11-19 | 2022-06-21 | 大金工业株式会社 | 含氟聚合物的制造方法、聚四氟乙烯的制造方法、全氟弹性体的制造方法和组合物 |
CN114901710B (zh) | 2019-12-20 | 2024-01-30 | 3M创新有限公司 | 氟化共聚物以及包括其的组合物和制品 |
CN115398684A (zh) | 2020-04-09 | 2022-11-25 | 3M创新有限公司 | 包含氟化聚合物和盐纳米粒子的复合材料以及包含其的制品 |
JP7549257B2 (ja) | 2020-11-19 | 2024-09-11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パーフルオロエラストマー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組成物、架橋性組成物および架橋物 |
EP4249517A4 (en) | 2020-11-19 | 2024-10-16 | Daikin Industries, Ltd. | PROCESS FOR PRODUCING AN AQUEOUS DISPERSION OF FLUORINE-CONTAINING ELASTOMER, AND COMPOSITION |
EP4249516A4 (en) | 2020-11-19 | 2024-10-16 | Daikin Industries, Ltd. | PROCESS FOR PRODUCING POLYTETRAFLUORETHYLENE AND COMPOSITION CONTAINING POLYTETRAFLUORETHYLENE |
CN116981741A (zh) | 2021-03-10 | 2023-10-31 | 大金工业株式会社 | 涂料组合物、涂布膜、层积体和涂装物品 |
JPWO2022244784A1 (ko) | 2021-05-19 | 2022-11-24 | ||
EP4353759A4 (en) | 2021-06-11 | 2025-06-18 | Daikin Industries, Ltd. | Manufacturing process for aqueous fluorinated elastomer dispersion, composition and aqueous dispersion |
CN117500848A (zh) | 2021-06-30 | 2024-02-02 | 大金工业株式会社 | 含氟聚合物组合物的制造方法和含氟聚合物组合物 |
EP4365211A4 (en) | 2021-06-30 | 2025-07-16 | Daikin Ind Ltd |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HIGH-PURITY FLUOROPOLYM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A HIGH-PURITY FLUOROPOLYMER |
WO2023057926A1 (en) | 2021-10-07 | 2023-04-1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mposite including fluorinated polymer and lithium fluoride nanoparticle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
WO2023165912A1 (en) * | 2022-03-01 | 2023-09-07 | Solvay Specialty Polymers Italy S.P.A. | Method for making fluoropolymers containing ion exchange groups |
JPWO2023182229A1 (ko) | 2022-03-23 | 2023-09-28 | ||
CN119095910A (zh) | 2022-04-28 | 2024-12-06 | 大金工业株式会社 | 含有氟橡胶的组合物 |
CN119072500A (zh) | 2022-04-28 | 2024-12-03 | 大金工业株式会社 | 含有氟树脂的组合物的制造方法和含有氟树脂的组合物 |
WO2023210819A1 (ja) | 2022-04-28 | 2023-11-0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フルオロポリマーの製造方法 |
WO2024154773A1 (ja) | 2023-01-18 | 2024-07-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系ポリマー組成物、電気化学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電極合剤、電極、及び、二次電池 |
WO2024154777A1 (ja) | 2023-01-18 | 2024-07-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電気化学デバイス用合剤、電気化学デバイス用合剤シート、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251214A (ko) * | 1959-05-05 | |||
US3467636A (en) * | 1967-02-24 | 1969-09-16 | Du Pont | Redox catalyst system for preparing vinylidene fluoride interpolymers |
FR1600355A (ko) * | 1968-01-18 | 1970-07-20 | ||
US4523039A (en) * | 1980-04-11 | 1985-06-11 | The University Of Texas | Method for forming perfluorocarbon ethers |
US4743658A (en) * | 1985-10-21 | 1988-05-10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Stabl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s |
US4742122A (en) * | 1985-10-25 | 1988-05-03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elt-processible tetrafluoroethylene/perfluoroolefin copolymer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
US4940525A (en) * | 1987-05-08 | 1990-07-10 | The Dow Chemical Company | Low equivalent weight sulfonic fluoropolymers |
IT1235545B (it) * | 1989-07-10 | 1992-09-09 | Ausimont Srl | Fluoroelastomeri dotati di migliore processabilita' e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
US5285002A (en) * | 1993-03-23 | 1994-02-08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luorine-containing polymers and preparation and use thereof |
US5639837A (en) * | 1996-06-04 | 1997-06-17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rocess for making fluoropolymers |
US5936060A (en) * | 1996-11-25 | 1999-08-10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erfluoroelasto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
US6042959A (en) * | 1997-10-10 | 2000-03-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
US6090895A (en) * | 1998-05-22 | 2000-07-1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Crosslinked ion conductive membranes |
US6277512B1 (en) * | 1999-06-18 | 2001-08-2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rom mixed dispersions |
US6423784B1 (en) * | 1999-12-15 | 2002-07-2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cid functional fluoropolymer membranes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6538083B2 (en) | 1999-12-21 | 2003-03-25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hain transfer agents in fluoroolefin polymerization |
US6492295B2 (en) * | 2000-03-15 | 2002-12-10 |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 Composite catalyst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 type fuel cell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
EP1275166B1 (en) * | 2000-04-18 | 2011-06-0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mbrane electrode assembly having anneal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IT1318594B1 (it) | 2000-06-23 | 2003-08-27 | Ausimont Spa | Processo di polimerizzazione di monomeri solfonici. |
ITMI20010008A1 (it) * | 2001-01-03 | 2002-07-03 | Ausimont Spa | Additivi per fluoropolieterei per applicazioni elettromagnetiche |
ITMI20012744A1 (it) * | 2001-12-21 | 2003-06-21 | Ausimont Spa | Processo di polimerizzazione di monomeri solfonici |
JP4206436B2 (ja) * | 2002-04-15 | 2009-01-14 | 株式会社古賀医療研究所 | 呼吸耐力予備指数測定装置 |
WO2004000896A1 (en) * | 2002-06-21 | 2003-12-3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ocess for producing fluoropolymers having a reduced amount of polar end groups |
US6803435B2 (en) * | 2002-07-18 | 2004-10-1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urable fluoropolymers containing bromine groups having improved compression set |
US7345124B2 (en) * | 2002-07-24 | 2008-03-18 | Daikin Industries, Ltd. | Process for preparing fluorine-containing polymer |
RU2005101204A (ru) * | 2002-07-29 | 2005-08-10 | 3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US) | Процесс получения фторэластомера |
US6838545B2 (en) * | 2002-11-08 | 2005-01-04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Reaction of fluoropolymer melts |
DE60314901T2 (de) * | 2002-11-20 | 2008-03-1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t. Paul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uorpolymeren mit endständigen nitril-gruppen |
US6624328B1 (en) * | 2002-12-17 | 2003-09-2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eparation of perfluorinated vinyl ethers having a sulfonyl fluoride end-group |
US20040116742A1 (en) * | 2002-12-17 | 2004-06-1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Selective reaction of hexafluoropropylene oxide with perfluoroacyl fluorides |
US7348088B2 (en) * | 2002-12-19 | 2008-03-2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US7071271B2 (en) * | 2003-10-30 | 2006-07-0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functionalized fluoromonomers |
US7265162B2 (en) * | 2003-11-13 | 2007-09-0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Bromine, chlorine or iodine functional polymer electrolytes crosslinked by e-beam |
EP1533325B1 (en) | 2003-11-17 | 2011-10-1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queous dispersions of polytetrafluoroethylene having a low amount of fluorinated surfactant |
US20070141425A1 (en) * | 2003-12-01 | 2007-06-21 | Takuya Arase | Liquid fluoro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crosslinked fluorochemical |
US7060738B2 (en) * | 2003-12-11 | 2006-06-1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olymer electrolytes crosslinked by ultraviolet radiation |
US7173067B2 (en) * | 2003-12-17 | 2007-02-0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rosslinked by direct fluorination |
ATE413418T1 (de) * | 2004-09-09 | 2008-11-1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Fluoropolymer zur herstellung von einem fluoroelastomer |
GB0427913D0 (en) * | 2004-12-21 | 2005-01-1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Fluoropolymer for making a fluoroelastomer |
-
2005
- 2005-05-03 US US11/120,822 patent/US7214740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6
- 2006-05-02 CN CN2006800154198A patent/CN10117127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5-02 EP EP06752039.5A patent/EP187745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5-02 WO PCT/US2006/016696 patent/WO200611922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5-02 KR KR1020077025468A patent/KR20080003857A/ko not_active Withdrawn
- 2006-05-02 JP JP2008510114A patent/JP516624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4-03 US US11/695,654 patent/US2007018522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
- 2012-10-26 JP JP2012236308A patent/JP597331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11-02 JP JP2015215826A patent/JP2016104854A/ja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65102A1 (ko) * | 2013-10-31 | 2015-05-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 |
US9553338B2 (en) | 2013-10-31 | 2017-01-24 | Lg Chem, Ltd. | Lithium secondary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77454B1 (en) | 2014-01-22 |
CN101171271B (zh) | 2011-09-07 |
JP2013232393A (ja) | 2013-11-14 |
US20060252888A1 (en) | 2006-11-09 |
JP2008540738A (ja) | 2008-11-20 |
US7214740B2 (en) | 2007-05-08 |
JP5973319B2 (ja) | 2016-08-23 |
WO2006119224A1 (en) | 2006-11-09 |
EP1877454A1 (en) | 2008-01-16 |
JP5166248B2 (ja) | 2013-03-21 |
US20070185220A1 (en) | 2007-08-09 |
JP2016104854A (ja) | 2016-06-09 |
CN101171271A (zh) | 200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73319B2 (ja) | カルボニル末端基の量を減らしたフッ素化イオノマー | |
RU2131888C1 (ru) | Фторсодержащие полимеры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 |
US7071271B2 (en) |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functionalized fluoromonomers | |
RU2342403C2 (ru) | Полимеризация в водной эмульсии без эмульгатор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полимеров фторированного олефина и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олефина | |
JP2002088103A (ja) | スルホンモノマーの重合方法 | |
EP1383811A2 (en) | Emulsifier free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making fluoropolymers | |
MXPA01008840A (es) | Metodo de polimerizacion de radicales libres para copolimeros fluorados. | |
EP1432744A2 (en) |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ethers as chain transfer agents to produce fluoropolymers | |
JP2018528316A (ja) | スルホニルペンダント基を有する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のコポリマーを作製する方法 | |
EP1525233B1 (en) | Fluorelastomer and process for making a fluoroelastomer | |
EP0053455A1 (en) | Preparation of a fluorocarbon cation-exchange membrane and electrolysis process using the membrane | |
WO2004011543A2 (en) | Fluoroelastomer copoloymer based on tetrafluoro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hexafluoropropylene and vinylidene fluoride | |
US20250188211A1 (en) | Method for making fluoropolymers containing ion exchange groups | |
JP2002249522A (ja) | カルボキシル基含有含フッ素共重合体 | |
JPS6258382B2 (ko) | ||
TW202346456A (zh) | 製備官能化聚合物之方法 | |
JPH06199959A (ja) | スルホン酸型官能基を有するパーフルオロカーボン重合体の製造法 | |
JP2000309653A (ja) | イオン交換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1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