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3023U -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 Google Patents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023U
KR20080003023U KR2020070001621U KR20070001621U KR20080003023U KR 20080003023 U KR20080003023 U KR 20080003023U KR 2020070001621 U KR2020070001621 U KR 2020070001621U KR 20070001621 U KR20070001621 U KR 20070001621U KR 20080003023 U KR20080003023 U KR 200800030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socket
fixing
junction box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2755Y1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2020070001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5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이 접속함체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접속함체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함과 동시에, 광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광섬유의 접속부분에서 노출되는 인장선의 정리 및 고정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광케이블 고정소켓은, 중앙에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접속함체의 벽면에 걸림 유지되는 머리부와 접속함체를 관통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소켓몸체와; 상기 소켓몸체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소켓몸체를 접속함체에 고정하는 소켓고정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탄성체와;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몸체의 고정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탄성체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고정캡과; 상기 소켓몸체의 머리부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와 상기 홀더결합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한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한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지지부 바깥쪽에 결합되어 인장선을 고정하는 인장선고정부재로 구성된 인장선홀더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OPTICAL FIBER CABLE HOLDING SOCKET FOR CONNECTING BOX}
도 1은 일반적인 광케이블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광케이블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고정소켓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고정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고정소켓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함체 2 : 광케이블
2a : 광섬유 2b : 보호튜브
2c : 인장선 10 : 소켓몸체
12 : 머리부 13 : 고정부
20 : 소켓고정부재 30 : 패킹
40 : 가압탄성체 50 : 고정캡
60 : 홀더몸체 61 : 홀더결합부
62 : 지지부 64 : 연장돌출부
70 : 홀더고정부재 80 : 인장선홀더
본 고안은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함체를 관통하여 내부의 접속부품과 접속되는 광케이블을 접속함체에 견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부분을 통해 접속함체의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수밀을 유지하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회사(3)로부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사용자까지 연결되는 광케이블(2)은, 지하를 통해 해당지역의 지하 접속함체(1)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함체(1)로부터 해당지역의 인접한 전신주(4)에 구비된 지상 접속함체(1)로 연결하며, 상기 지상 접속함체(1)에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광케이블(2)은, 최근 들어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직경이 점점 가늘어지는 추세에 있다.
도 2는 최근에 사용되는 광케이블(2)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광케이블(2)은 중앙에 직경이 대략 0.2~0.9mm 정도인 광섬유(2a)가 구비되고, 이 광섬유(2a)의 바깥둘레에 보호튜브(2b)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보호튜브(2b)와 광섬유(2a) 사이에 인장선(2c)이 구비되어 광케이블(2)의 인장력을 증대시킴으로서 광케이블(2)의 시공시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광케이블(2)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2)을 접속함체(1)의 벽면으로 관통시켜 내부의 접속부품과 접속함에 있어서, 도 1에서와 같이 관접속함체(1)의 관통부분에 광케이블(2)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소켓(5)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고정소켓(5)은 접속함체(1)에 고정되어 관통하는 광케이블(2)을 단순히 외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접속함체(1)와 고정소켓(5) 사이 또는 광케이블(2)과 고정소켓(5) 사이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접속함체(1) 내부로 침투할 염려가 있다. 특히 빗물이 침투하는 경우, 접속함체(1) 내부의 전기부품 또는 금속부품을 손상시키고, 전기접속부분에서 쇼트를 일으키거나 전송데이터에 노이즈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고정소켓(5)은 광케이블(2)의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광케이블(2)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쉽게 유동하여 광섬유(2a) 접속부분에서 끊어짐이나 접속풀림이 발생한다. 그리고 보호튜브(2b)를 일정길이 제거하여 광케이블(2)의 광섬유(2a)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접속함체(1) 내의 접속부품에 광섬유(2a)를 접속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선(2c)이 함께 노출된다. 따라서 노출된 인장선(2c)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광섬유(2a)의 노출부위 보다 약간 긴 별도의 중공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인장선(2c) 바깥쪽으로 끼운 후, 보호튜브(2b)의 끝단에 끼워맞춤하여 정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장선(2c) 정리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중공 튜브가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 끼움상태에서 쉽게 빠질 염려가 있고, 또한 인장선(2c)은 합성수지재질의 매우 가느다란 실 형태를 여러 가닥으로 구성한 것이므로, 광섬 유(2a)와 보호튜브(2b) 사이가 상당히 미끄럽다. 따라서 광케이블(2)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인장선(2c)과 보호튜브(2b)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여 인장선(2c)이 빠져 나오게 되므로 과다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케이블이 접속함체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접속함체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함체 내부의 접속부에서 쇼트를 일으키거나 전송데이터에 노이즈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의 접속부분에서 노출되는 인장선의 정리 및 고정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인장선의 깨끗한 정리 상태가 유지되고 인장선이 과다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에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접속함체의 벽면에 걸림 유지되는 머리부와 접속함체를 관통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소켓몸체와; 상기 소켓몸체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소켓몸체를 접속함체에 고정하는 소켓고정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 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탄성체와;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몸체의 고정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탄성체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고정캡을 포함하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소켓몸체의 머리부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와 상기 홀더결합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한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한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지지부 바깥쪽에 결합되어 인장선을 고정하는 인장선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인장선홀더를 더욱 포함하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접속함체와 소켓고정부재 사이에 패킹을 더욱 구비하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고정소켓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케이블 고정소켓은, 접속함체(1)의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소켓몸체(10)와, 상기 소켓몸체(10)를 접속함체(1)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고정부재(20)를 구비하고, 소켓몸체(10)는 중앙에 광케이블(2)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접속함체(1)의 벽면에 걸림 유지되는 머리부(12)와 접속함체(1)를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3)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켓고정부재(20)에 의한 접속함체(1)와 소켓몸체(10)의 고정 구조는, 상기 소켓몸체(10)의 고정부(13) 바깥둘레면에 소켓고정부재(2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소켓고정부재(20)와 머리부(12) 사이에 접속함체(1)가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13)의 바깥둘레면에 수나사(13a)를 형성하고 소켓고정부재(20)에 암나사(20a)를 형성하여 이들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소켓고정부재(20)와 고정부(13)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켓고정부재(20)와 접속함체(1) 사이에는 패킹(30)을 개재하여 소켓몸체(10)와 접속함체(1) 사이의 수밀(水密)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소켓몸체(10)의 고정부(13)에는 가압탄성체(4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3b)이 형성된다. 가압탄성체(40)는 신축 자유로운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중앙에 광케이블(2)이 관통하는 관통구멍(41)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 끝단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바깥둘레면이 약간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탄성체(40)는 소켓몸체(10)의 고정부(13)에 결합되는 고정캡(50)에 의해 일끝단면이 가압되어 길이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삽입구멍(13b)내에서 외경은 확대되고 내경은 축소되는 탄성변형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압탄성체(40)의 직경이 확대된 바깥둘레면은 삽입구멍(13b)의 안둘레면에 밀착되고 내경이 축소된 관통구멍(41)의 안둘레면은 광케이블(2)의 바깥둘레면에 밀착되어 소켓몸체(10)와 광케이블(2)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캡(50)은 광케이블(2)이 관통하는 관통구멍(51)을 구비하고, 소켓몸체(10)의 고정부(13)에 형성된 수나사(13a)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암나사(50a)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소켓몸체(10)와의 결합시 가압탄성체(40)의 일끝단면을 균일하게 가압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가압돌기(5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광케이블 고정소켓은, 상기 소켓몸체(10)의 머리부(12)에 조립되어 광케이블(2)의 노출된 광섬유(2a)를 보호 지지함과 동시에, 노출된 인장선(2c)을 깨끗하게 정리하여 고정하는 인장선홀더(80)를 더욱 구비한다.
인장선홀더(80)는 홀더몸체(60)와, 이 홀더몸체(60)에 결합되는 인장선고정부재(70)로 구성된다. 홀더몸체(60)는 소켓몸체(10)의 머리부(12)에 결합되는 홀더결합부(61)와 광섬유(2a)를 보호 지지하는 지지부(62)를 일체로 연이어 형성하고, 홀더결합부(61)와 지지부(62)의 중앙에 광케이블(2)이 관통하는 관통구멍(6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홀더결합부(61)와 소켓몸체(10)의 결합 구조는, 소켓몸체(10)의 머리부(12)에 홀더결합부(61)의 바깥둘레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12a)을 형성하여 이 결합홈(12a)에 홀더결합부(61)를 끼워 맞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인장선고정부재(70)는 노출된 인장선(2c)을 정리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몸체(60)와 인장선고정부재(70)의 결합 구조는, 지지부(62)의 바깥둘레면에 수나사(62a)를 형성하고 인장선고정부재(70)에 암나사(70a)를 형성하여 이들을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부(62)의 끝단에는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섬유(2a)의 인출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중공 튜브(T)를 끼우기 용이하도록 하는 연장돌출편(64)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연장돌출편(64)의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결홈(65)을 형성하여 인장선(2c) 을 지지부(62)의 바깥둘레면에 밀착시켜 정리할 때, 절결홈(65)을 통해 인장선(2c)의 정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광케이블 고정소켓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체(1)의 관통부위에 설치되어 접속함체(1)를 관통하는 광케이블(2)을 접속함체(1)에 고정함과 동시에, 접속함체(1)와 고정소켓 사이 또는 광케이블(2)과 고정소켓 사이를 통해 빗물 또는 이물질이 접속함체(1)내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소켓의 조립과정을 통해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함체(1)에 소켓몸체(10)의 고정부(13)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시키면, 머리부(12)가 접속함체(1)의 안쪽 벽면에 걸림 유지되고, 고정부(13)는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이어서 고정부(13)에 패킹(30)을 끼우고 소켓고정부재(20)의 암나사(20a)를 고정부(13)의 수나사(13a)에 나사 체결하게 되면, 접속함체(1)의 벽면이 소켓몸체(10)의 머리부(12)와 소켓고정부재(20) 사이에 끼워져 패킹(30)과 함께 밀착되므로 접속함체(1)에 소켓몸체(10)가 견고히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소켓고정부재(20)와 접속함체(1)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된 패킹(30)에 의해서 접속함체(1)와 소켓몸체(10) 사이를 통해 접속함체(1)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켓몸체(10)를 접속함체(1)에 고정한 상태에서 광케이블(2)을 고정캡(50), 가압탄성체(40), 소켓몸체(10), 홀더몸체(60)의 각 관통구멍(51,41,11,63))에 차례로 삽입하여 관통시킨 후, 고정캡(50)의 암나사(50a)를 고 정부(13)의 수나사(13a)에 나사체결하여 고정하면, 나사 체결과 동시에 고정캡(50)의 가압돌기(52)가 가압탄성체(40)의 일끝단면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탄성체(40)가 가압되면, 삽입구멍(13b)내에서 가압탄성체(40)가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므로 외경은 확대되고 내경은 축소되는 탄성변형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가압탄성체(40)의 외경이 확대된 바깥둘레면은 삽입구멍(13b)의 안둘레면에 밀착되고, 내경이 축소된 관통구멍(41)의 안둘레면은 광케이블(2)의 바깥둘레면에 밀착되어 광케이블(2)을 소켓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소켓몸체(10)와 광케이블(2)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소켓몸체(10)의 머리부(12)에 구비된 결합홈(12a)에 홀더몸체(60)의 홀더결합부(61)를 끼워 결합하고, 광케이블(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튜브(2b)를 일정길이 제거하여 접속할 광섬유(2a)를 노출시킨다. 이때 광케이블(2)의 인장력을 향상시키는 인장선(2c)도 함께 노출되고, 노출된 인장선(2c)은 지지부(62)의 절결홈(65)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나누어 인출하여 정리한 후, 지지부(62)의 바깥둘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인장선고정부재(70)의 암나사(70a)를 지지부(62)의 수나사(62a)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인장선(2c)을 깨끗하게 정리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지지부(62)의 끝단에 구비된 연장돌출편(64)에는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광섬유(2a)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중공 튜브(T)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2)의 보호튜브(2b)는 소켓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광케이블(2)의 인장선(2c)은 인장선홀더(8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광 케이블(2)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광케이블(2)이 유동되지 않아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광섬유(2a) 접속부위에서의 끊어짐이나 접속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튜브(2b)와 인장선(2c) 사이의 미끄럼작용에 의해 인장선(2c)이 과다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에 의하면, 광케이블이 접속함체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수밀이 유지되어 접속함체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되고, 특히 빗물 침투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부분에서의 쇼트 및 노이즈 발생이 방지되며, 광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광케이블의 접속부분에서 끊어짐 또는 접속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은 광섬유의 접속부분에서 노출되는 인장선의 정리 및 고정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광케이블의 보호튜브와 인장선이 각각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보호튜브와 인장선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아 인장선의 과다 노출이 방지되어 깨끗한 정리 상태가 유지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중앙에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접속함체의 벽면에 걸림 유지되는 머리부와 접속함체를 관통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소켓몸체와;
    상기 소켓몸체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소켓몸체를 접속함체에 고정하는 소켓고정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탄성체와;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몸체의 고정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탄성체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의 머리부와 결합되는 홀더결합부와 상기 홀더결합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한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광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한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지지부 바깥쪽에 결합되어 인장선을 고정하는 인장선고정부재로 구성된 인장선홀더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체와 소켓고정부재 사이에 패킹 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KR2020070001621U 2007-01-29 2007-01-29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Expired - Lifetime KR200442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621U KR200442755Y1 (ko) 2007-01-29 2007-01-29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621U KR200442755Y1 (ko) 2007-01-29 2007-01-29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023U true KR20080003023U (ko) 2008-08-01
KR200442755Y1 KR200442755Y1 (ko) 2008-12-05

Family

ID=4132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621U Expired - Lifetime KR200442755Y1 (ko) 2007-01-29 2007-01-29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99Y1 (ko) * 2012-12-17 2014-07-02 주식회사 우진 원자력 발전소용 케이블 조립장치의 백쉘 보호마개
KR101877724B1 (ko) * 2017-01-26 2018-07-12 신영공업 주식회사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KR20220032402A (ko) * 2020-09-07 2022-03-15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산소포화도 측정용 광케이블 페네트레이터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410B1 (ko) * 2020-09-02 2020-12-29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99Y1 (ko) * 2012-12-17 2014-07-02 주식회사 우진 원자력 발전소용 케이블 조립장치의 백쉘 보호마개
KR101877724B1 (ko) * 2017-01-26 2018-07-12 신영공업 주식회사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KR20220032402A (ko) * 2020-09-07 2022-03-15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산소포화도 측정용 광케이블 페네트레이터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755Y1 (ko) 200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6718Y1 (ko) 커넥터체결장치
US7857647B2 (en) Weather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KR200442755Y1 (ko)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US6068506A (en) Strain relief device for an electrical cable
RU2001131592A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WO2018148814A1 (pt) Conector para cabo de fibra óptica e mordente para cabo de fibra óptica
US7867002B1 (en) Wire connector
JP5118433B2 (ja) 水中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CN220672965U (zh) 一种防水线束连接器
KR100754765B1 (ko)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CN114243624B (zh) 一种电缆接头保护结构
KR100469033B1 (ko) 클램프 커버 조립체
KR101150472B1 (ko)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KR100337122B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440117Y1 (ko) 광케이블의 인장선 고정홀더
CN220820299U (zh) 光纤连接器用防水接头
KR100918135B1 (ko)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CN211830168U (zh) 一种用于连接电缆的防尘防水接头
CN222015776U (zh) 一种防水圆形电连接器
CN218958109U (zh) 一种防水防潮的接线头
CN218005740U (zh) 一种微创手术用电动工具的线缆防绕曲和防水装置
CN218338462U (zh) 超声检测设备
CN212462189U (zh) 防尘高速电连接器
CN209858811U (zh) 一种5g通讯用光缆埋设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4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