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21154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154A
KR20070121154A KR1020060055845A KR20060055845A KR20070121154A KR 20070121154 A KR20070121154 A KR 20070121154A KR 1020060055845 A KR1020060055845 A KR 1020060055845A KR 20060055845 A KR20060055845 A KR 20060055845A KR 20070121154 A KR20070121154 A KR 20070121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discharge cells
pixel
electrode
addr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임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1154A/ko
Priority to JP2007032536A priority patent/JP2008004528A/ja
Priority to US11/808,733 priority patent/US20070296337A1/en
Priority to CNA2007101125574A priority patent/CN101093769A/zh
Priority to EP07110804A priority patent/EP1870921A3/en
Publication of KR2007012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15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6Disposition of electrodes with respect to cell parameters, e.g. electrodes within the ri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5Pattern of the spa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해상도를 가지면서 어드레스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도록 화소배열과 전극배열을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며, 그 사이 공간에 구획되는 복수의 방전셀을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표시 전극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복수의 방전셀들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어드레스 전극에 대응되어 구동되며, RhⅹRv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는 적어도 Rh/1.25 로 구성될 수 있다.
델타 배열, 어드레스 전극, 해상도, 공간 주파수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 배열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셀의 공간 주파수 표시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종래의 스트라이프 구조의 화소배열 공간 주파수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 배열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배열을 일부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배열을 일부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해상도를 가지면서 어드레스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도록 화소배열과 전극배열을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방전을 통하여 얻어진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60인치 이상의 초대형 화면을 불과 10cm 이내의 두께로 구현할 수 있고, CRT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이므로 색 재현력 및 시야각에 따른 왜곡현상이 없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등에 비해 제조공법이 단순하여 생산성 및 원가 측면에서도 강점을 갖는 TV 및 산업용 평판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3전극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있다. 이 3전극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동일면상에 위치한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한 기판과, 이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어드레스전극을 포함한 다른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방전가스를 봉입하고 있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 여부는 각 라인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의 방전에 의해 결정되고, 화면을 표시하는 유지방전은 동일 면상에 위치한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과 도 7은 각각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배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트라이프형 격벽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델타형 격벽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형 격벽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셀은 방전갭을 형성하면서 대향하는 유지전극(Xn, ..., ,Xn+3)과 주사전극(Yn, ..., Yn+3) 사이에 형성되며, 1 화소(pixel)(61)는 이러한 방전셀들 중 서로 인접한 적색, 녹색, 청색의 방전셀들(61R, 61G, 61B)로 구성된다. 이 때, 어드레스전극들(65)은 상기 1 화소(61)를 구성하는 방전셀들(61R, 61G, 61B) 각각을 지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16개의 화소들(61)을 고려할 때, 각 화소(61)당 3개씩 모두 12개의 어드레스전극(65)(Am, Am+1, ..., Am+11)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 고해상도의 추세로 발전함에 따라 방전셀을 고집적 시킬 경우 각 방전셀을 지나는 어드레스전극(65)이 점점 가까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웃한 어드레스전극간의 커패시턴스(C) 값이 증가하면서 필연적으로 에너지(=CV2f) 소모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델타형 격벽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셀은 격벽에 의해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되며, 1 화소(71)는 이러한 이러한 방전셀들 중 삼각형을 이루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방전셀들(71R, 71G, 71B)로 구성된다. 이 때, 어드레스전극들(75)은 상기 1 화소(71)를 구성하는 방전셀들(71R, 71G, 71B) 각각을 지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16개의 화소들(71)을 고려할 때, 각 화소(71)당 3개씩 모두 12개의 어드레스전극(75)(Am, Am+1, ..., Am+11)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 고해상도의 추세로 발전함에 따라 방전셀을 고집적 시킬 경우 각 방전셀을 지나는 어드레스전극(75)이 점점 가까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웃한 어드레스전극간의 커패시턴스(C) 값이 증가하면서 필연적으로 에너지(=CV2f) 소모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소의 배열을 개선하여 각 화소당 대응되는 어드레스전극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고해상도 패널 제작시 수반되는 어드레스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아울러 어드레스 회로의 수를 감소시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며, 그 사이 공간에 구획되는 복수의 방전셀을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표시 전극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복수의 방전셀들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어드레스 전극에 대응되어 구동되며, RhⅹRv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는 적어도 Rh/1.25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화소는 3개의 방전셀로 구성되고, 상기 각 화소를 구성하는 방전셀들의 중심들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이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화소당 대응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는 2개이며, 이 경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개수는 적어도 2ⅹRh/1.25 개일 수 있다.
상기 표시전극들은 각 방전셀에 함께 대응되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당 대응되는 상기 주사전극의 개수는 3/2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주사전극의 개수는 Rvⅹ3/2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버스전극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투명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상도 RhⅹRv 는1920ⅹ108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상도 RhⅹRv 는1366ⅹ768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방전셀들은 육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한 한 쌍의 방전셀의 경계의 연장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방전셀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색, 녹색, 청색의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3개의 부화소(subpixel)들이 삼각형상으로 배열되어 한 조의 화소(pixel)를 형성하는 이른 바 델타형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봉입되는 제1 기판(10, 이하 '배면기판'이라 함)과 제2 기판(30, 이하 '전면기판'이라 함)을 구비한다.
이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30)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임의의 패턴을 가지면서 화소들(120)을 구획 형성하는 격벽들(23)이 배치된다. 여기서 한 조의 화소(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상으로 배열되는 3개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로 이루어진다.
이때, 부화소들(120R, 120G, 120B)은 각각 방전셀(18)을 가지고 있는데, 이 방전셀들(18)은 격벽(23)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의 평면형상은 대략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부화소들(120R, 120G, 120B)을 구획 형성하는 격벽(23) 또한 육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 부화소들(120R, 120G, 120B)이 가지는 방전셀(18)은 상부가 개구된 육각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전셀들(18) 내에는 플라즈마 방전에 필요한 제논(Xe), 네온(Ne) 등을 포함하는 방전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이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가시광을 각각 발생시키는 부화소들(120R, 120G, 120B)에는 이에 대응되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층(25)이 각각 형성된다. 이 형광체층들(25)은 각 방전셀(18)의 바닥면과 격벽(23)의 측면에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들(15)은 배면기판(10) 상에서,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뻗어 형성되고,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 어드레스전극들(15)은 각 방전셀(18)의 하방(즉, 배면기판과 격벽층 사이)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유전층(12)은 어드레스전극들(15)을 덮으면서 배면기판(10)의 전면(全面)에 형성된다. 따라서 어드레스전극들(15)은 격벽(23)이 형성하는 층의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전면기판(30)상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표시전극(35)이 복수로 형성되는 바, 이 표시전극(35)은 각 방전셀(18)에서 함께 대응하며 방전갭을 형성하는 유지전극(32)들과 주사전극(34)들을 포함한다. 또한, 이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열된다.
이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 각각은 전면기판(30)에 제2 방향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버스전극(32a, 34a)과, 이 버스전극(32a, 34a)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제2 방향을 따라 버스전극(32a, 34a)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는 투명전극(32b, 3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버스전극(32a, 34a)은 우수한 통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버스전극(32a, 34a)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시, 방전셀(18)에서 생성되는 가시광의 차폐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전성을 확보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그 선 폭을 최소화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명전극(32b, 34b)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각 버스전극(32a, 34a)과 함께 제2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방전셀(18) 내에는 그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투명전극(32b, 34b)이 대향 배치된다.
또한, 전면기판(30) 상에는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을 덮으면서 전면기판(30)의 전면(全面)에 유전층(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위에 MgO로 이루어진 보호막(미도시)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배열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각 화소(120)에는 2개의 어드레스전극(15, 15)이 대응된다. 이 각 화소(12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가시광을 각각 발생시키는 3개의 부화소(120R, 120G, 120B)로 구성된다.
이 화소(120)를 구성하는 부화소들(120R, 120G, 120B)의 중심들은 삼각형상으로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화소(120R, 120G, 120B)들의 중심들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이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화소(120)를 구성하는 3개의 방전셀(18), 즉 부화소들(120R, 120G, 120B) 중에서 2개의 방전셀들(18)은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부화소(120R, 120G, 120B)들이 배치됨으로써, 제1 방향의 방전공간을 증대시켜 방전에 적합한 공간을 형성하므로 마진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120)를 구성하는 부화소들(120R, 120G, 120B)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어드레스전극(15)에 대응되어 구동된다. 그리고 이 하나의 화소(120)에는 3/2개의 주사전극(34)이 대응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 1행에 4개의 화소(120)가 배열되어 있고, 이들 화소(120)들에 대응되는 어드레스전극(15)의 개수는 총 8개(Am+1~Am+8)이므로, 각 화소(120)당 대응되는 어드레스전극(15)의 개수는 8/4=2개이다. 또한, 제1 방향 1열에 4개의 화소(120)가 배열되어 있고, 이들 화소(120)들에 대응되는 주사전극(34)의 개수는 총 6개 (Yn+1 ~ Yn+6)이므로, 각 화소(120) 당 대응되는 주사전극(34)의 개수는 6/4=3/2개이다. 즉 하나의 화소(120)를 구성하는 3개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은 2개의 어드레스전극(15)과 3/2개의 주사전극(34)에 의하여 방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 대응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방전셀(18)로 형성되는 2개의 부화소(120G, 120B)는 하나의 어드레스전 극(15)에 대응하고, 나머지 1개의 방전셀(18)로 형성되는 부화소(120R)는 다른 어드레스전극(15)에 대응한다. 동일한 하나의 어드레스전극(15)에 대응하는 2개의 방전셀들(18)의 부화소(120G, 120B)는 서로 다른 색상의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층(25)을 가진다.
또한,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방전셀(18)의 부화소들(120R, 120B)에는 하나의 주사전극(Yn+3)이 배치되고, 나머지 1개의 방전셀(18)의 부화소(120G)에는 다른 주사전극(Yn+2)이 배치된다. 하나의 주사전극(Yn+3)이 배치되는 2개의 방전셀들(18)은 서로 다른 색상의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층(25)을 가진다.
이 주사전극들(Yn+3, Yn+2)이 배치되는 하나의 화소(120)에는 유지전극들(Xn+3, Xn+4)이 또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 유지전극들(Xn+3, Xn+4)과 주사전극들(Yn+3, Yn+2)은 하나의 화소(120)에서 각각 대향 배치된다.
이 화소(120)에 대응하는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의 배열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화소들(120)의 선택에 따라, 상기와 같이 설정될 수도 있고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버스전극(32a, 34a)이 각 방전셀(18)의 경계를 지나면서 제2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이 버스전극(32a, 34a)으로부터 투명전극(32b, 34b)이 각 방전셀(18)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전극(34) 및 유지전극(32)이 각 방전셀(18)의 경계를 지나면서 상기 경계를 중심으로 이웃한 한 쌍의 방전셀(18)에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한 화소(120)당 3/4개의 주사전극(34)이 대응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120)를 형성하는 3개의 부화소들(120R, 120G, 120B)의 중심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은 평면상에서 제2 방향으로 부화소들(120R, 120G, 120B) 중 서로 다른 2개 부화소들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유지전극(32)과 주사전극(34) 각각은 3개의 부화소(120R, 120G, 120B)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화소(120)에 대하여 3/2개씩 대응된다.
즉, 일방의 주사전극(Yn+3)은 하나의 화소(120)에서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부화소(120R, 120B)를 지나면서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되고, 타방의 주사전극(Yn+2)은 같은 화소(120)에서 1개의 부화소(120G)를 지나면서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이 주사전극(Yn+2)은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화소(120)의 2개의 부화소(120G, 120B)를 지나면서 상기와 같은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유지전극들(32)은 이 주사전극들(34)에 대향한다. 유지전극(Xn+4)은 주사전극(Yn+3)에 대향하면서 하나의 화소(120)에서 1개의 부화소(120B)에 대응하여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이 유지전극(Xn+4)은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화소(120)의 2개의 부화소(120R, 120G)를 지나면서 상기와 같은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다른 유지전극(Xn+3)은 하나의 화소(120)에서 나머지 2개의 부화소(120R, 120G)에 대응하여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이 유지전극(Xn+3)은 제1 방향 양측으로 주사전극(Yn+3)과 다른 주사전극(Yn+2)에 대향한다. 따라서, 이 주사전극들(34)과 유지전극들(32)은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교대로 배열되어, 각각 한 쌍의 방전셀들(18)의 구동을 제어한다.
하나의 화소(120)를 기준으로 보면, 어드레스전극(5)은 2개씩 대응되고, 주사전극(34)은 3/2개씩 대응된다. 따라서, 제1 방향으로 4개의 화소(120)와 제2 방향으로 4개의 화소(120)를 고려하면, 화소(120)들을 지나는 주사전극(34)은 평균적으로 6개이고, 어드레스전극(15)은 8개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화소(120) 별로 2개의 어드레스전극(15)이 대응되고, 3/2개의 주사전극(34)이 대응되는 경우, 각 화소(120) 별로 대응되는 어드레스전극(15)과 주사전극(34)은 다음 수학식 1의 비(比)를 만족한다.
어드레스전극의 개수 : 주사전극의 개수 = 4 : 3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2 방향을 따라 4열의 화소(120)가 배열되고, 제1 방향을 따라 4행의 화소(120)가 배열되어, 총 16개의 화소(120)가 배열된다. 이 경우, 어드레스전극(15)은 각 화소(120) 열(列) 당 2개씩 대응되므로, 총 16개의 화소(120)에 총 8개의 어드레스전극(15)(Am+1, ..., Am+8)이 대응되고, 주사전극(34)은 각 화소(120) 행(行) 당 3/2개씩 대응되므로, 총 16개의 화소(120)에 총 6개의 주사전극(Yn+1, ..., Yn+6)이 대응된다. 유지전극(Xn+1, .., Xn+6)은 각 화소(120) 별로 주사전극(34)과 동일하게 대응되어 총 16개의 화소(120)에 6개가 대응된다.
이와 같은 화소 배열에 있어서, 동일한 어드레스전극(15)에 대응되는 인접한 2개의 부화소(120G, 120B)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층을 갖는다. 또한 이렇게 대응되면서, 하나의 어드레스전극(15)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층을 갖는 부화소들(120R, 120G, 120B)이 모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비교할 때, 4 x 4 의 화소(120)들, 즉 총 16개의 화소(120)를 고려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총 12개의 어드레스전극이 필요한데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총 8개의 어드레스전극(15)만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화소 개수를 유지하면서도 본 실시예는 종래에 비하여 어드레스전극(15)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즉,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종래에 비하여 어드레스전극(15)의 개수를 종래의 어드레스전극의 개수에 비하여 1/3 감소시켜, 어드레스전극(15)의 단자부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어드레스전극(15)의 소비전력이 종래의 소비전력에 비하여 1/3 감소한다. 또한 어드레스전극(15)을 제어하는 어드레스소자(일례로써 Tape Carrier Package: TCP를 들 수 있다) 하나가 담당하는 피크파워(peak power)가 종래의 그것에 비하여 1/3 감소한다.
또한, 종래에는 총 4개의 주사전극이 필요한데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총 6개의 주사전극(34)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화소 개수를 유지하면서도 본 실시예는 종래에 비하여 주사전극(34)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주사소자는 어드레스소자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므로 주사소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어드레스소자의 감소로 인하여 패널을 구동시키는 전체적인 회로의 가격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각 부화소들(120R, 120G, 120B)을 이루는 각 방전셀(18)들은 육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고 배열된다. 따라서 이 방절셀들(18)은 6 방향으로 변에 의한 경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한 쌍의 방전셀(18) 경계의 연장선은 어드레스전극(15)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방전셀(18)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셀의 공간 주파수 표시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화소들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열되는 경우, 즉, 각 화소를 구성하는 방전셀들의 중심들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이 어드레스 전극(15)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 즉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공간 주파수 표시능력이 1.25배가 높게 된다. 즉, 부화소들이 종래의 스트라이프 배열을 이루고 있을 때의 수평 방향의 공간 주파수 표시 능력을 1이라고 할 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델타 배열을 이루고 있는 방전셀의 수평 방향의 공간 주파수 표시 능력은 1.25배가 된다. 여기서, 공간 주파수란 1차원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2차원 데이터 영상이 갖는 주파수 특징을 의미하며, 일정한 공간안에 같은 파장의 신호가 얼마나 자주 들어가는지에 대한 수치값이다. 즉, 공간 주파수가 높으면 그만큼 영상이 조밀하다는 뜻이며 반대로 공간 주파수가 낮으면 그만큼 영상이 소원하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공간 주파수 표시 능력이 수평 방향으로 1.25배가 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표시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간 주파수 표시능력의 차이에 대해 도면을 바꾸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스트라이프 구조의 화소배열 공간 주파수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소배열에서는 수평 라인의 6번째 블랙 라인까지 표시가 가능하다. 하지만, 도 4b를 참조하면, 스트라이프 구조의 화소배열에서는 수평 라인의 5번째 블랙 라인까지만 식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소배열에서는 종래의 스트라이프 구조에 비해 수평 해상도 표현이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트라이프 구조에서 RhⅹRv의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2 방향(수평 방향)으로 1행에 Rh 개의 화소가 필요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델타 배열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RhⅹRv의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가 Rh 개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Rv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개수이고, Rh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개수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방전셀의 공간 주파수 표시능력이 스트라이프 구조에서의 공간 주파수 표시능력에 비해 1.25배 크기 때문에, RhⅹRv의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제2 방향으로 Rh/1.25 개의 화소가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1.25는 수평 방향으로 가질 수 있는 방전셀의 공간 주파수 표시능력의 최대값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개수는 Rh/1.25개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는 Rh 개보다 작고 Rh/1.25개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는 적어도 Rh/1.25 가 된다.
이와 같이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가 적어도 Rh/1.25 이기 때문에,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각 화소당 2개의 어드레스 전극이 대응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개수의 최소값은 2ⅹRh/1.25 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화소당 주사전극이 3/2개씩 대응되므로, RhⅹRv의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주사전극의 개수는 Rvⅹ3/2개가 된다. 여기서, 상술한 화소의 개수는 방전셀이 모여 이루어지는 화소의 개수를 의미하며, 더미격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더미영역에서의 셀은 제외된다.
예컨대, 1920ⅹ1080(FHD급)의 해상도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는 적어도 1920/1.25 = 1536 개가 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개수는 적어도 2ⅹ1920/1.25 = 3072 개가 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주사 전극들의 개수는 1080ⅹ3/2 = 1620 개가 될 수 있다..
또한, 1366ⅹ768(XGA급)의 해상도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는 적어도 1366/1.25 = 1093 개가 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개수는 적어도 2ⅹ1366/1.25 = 2186 개가 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주사 전극들의 개수는 768ⅹ3/2 = 1152 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전극의 개수는 늘어나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의 감소의 효과가 더욱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어드레스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되고 어 드레스 회로수가 줄어들면서 제조 비용이 낮아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및 전극 배열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구성 및 작용 효과에 있어서 대부분 유사하고, 하나의 화소(220)를 구성하는 부화소(220R, 220G, 220B)의 평면 형상에 차이가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 각 부화소들(220R, 220G, 220B)을 이루는 방전셀(28)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방전셀(28)의 평면 형상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이웃한 한 쌍의 방전셀(28)의 경계의 연장선은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이웃한 방전셀(28)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배열과 전극 배열을 개선하여 어드레스 전극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드레스 전극 개수의 감소로 인해 어드레스 소비 전력 또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 개수의 감소로 인해 어드레스 회로수 또한 감소하게 되 어, 전체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트라이프 구조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면서도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비용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각각 가지며, 그 사이 공간에 구획되는 복수의 방전셀을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표시 전극들;
    을 포함하고,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복수의 방전셀들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어드레스 전극에 대응되어 구동되며,
    RhⅹRv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1행의 화소수는 적어도 Rh/1.25 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여기서 Rv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개수이고, Rh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개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3개의 방전셀로 구성되고,
    상기 각 화소를 구성하는 방전셀들의 중심들이 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이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당 대응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가 2개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개수는 적어도2ⅹRh/1.25 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극들은 각 방전셀에 함께 대응되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당 대응되는 상기 주사전극의 개수는 3/2 개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주사전극의 개수는 Rvⅹ3/2 이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어드레스 전극들 개수는 적어도 2ⅹRh/1.25 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버스전극을 따라 뻗어 형성되는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RhⅹRv 는1920ⅹ1080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RhⅹRv 는1366ⅹ768 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셀들은 육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셀들은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한 한 쌍의 방전셀의 경계의 연장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방전셀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열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55845A 2006-06-21 2006-06-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eased KR20070121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45A KR20070121154A (ko) 2006-06-21 2006-06-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032536A JP2008004528A (ja) 2006-06-21 2007-02-13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1/808,733 US20070296337A1 (en) 2006-06-21 2007-06-12 Plasma Display Panel (PDP)
CNA2007101125574A CN101093769A (zh) 2006-06-21 2007-06-20 等离子体显示面板
EP07110804A EP1870921A3 (en) 2006-06-21 2007-06-21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45A KR20070121154A (ko) 2006-06-21 2006-06-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154A true KR20070121154A (ko) 2007-12-27

Family

ID=3856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845A Ceased KR20070121154A (ko) 2006-06-21 2006-06-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96337A1 (ko)
EP (1) EP1870921A3 (ko)
JP (1) JP2008004528A (ko)
KR (1) KR20070121154A (ko)
CN (1) CN1010937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571B2 (en) 2009-07-14 2013-03-12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0759A (en) * 1998-07-17 2000-10-31 Sarnoff Corporation Embossed plasma display back panel
US6603263B1 (en) * 1999-11-09 2003-08-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C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C plasma display panel
JP4158874B2 (ja) * 2000-04-07 2008-10-01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画像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WO2002025683A1 (en) * 2000-09-21 2002-03-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lasma display panel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JP2002251165A (ja) * 2001-02-22 2002-09-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駆動装置、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489445B1 (ko) * 2001-11-29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방법
KR20030072534A (ko) * 2002-03-04 2003-09-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선형 평균화상레벨 검출 장치 및 자동 이득 검출 방법
JP2006505896A (ja) * 2002-03-19 2006-02-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電極及び発光体構造
TWI220052B (en) * 2002-11-25 2004-08-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having shared data electrodes
TW579493B (en) * 2003-02-20 2004-03-11 Au Optronics Corp Drive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US7468735B2 (en) * 2003-07-24 2008-12-23 Sony Corporation Transitioning between two high resolution images in a slideshow
JP4003714B2 (ja) * 2003-08-11 2007-1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591682B (en) * 2003-08-20 2004-06-11 Au Optronics Corp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KR100589390B1 (ko) * 2003-11-2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델타 화소 배열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1427A (ko) * 2004-04-19 2005-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85991A (ko) * 2005-01-25 2006-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8576B1 (ko) * 2005-11-22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571B2 (en) 2009-07-14 2013-03-12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0921A2 (en) 2007-12-26
JP2008004528A (ja) 2008-01-10
CN101093769A (zh) 2007-12-26
US20070296337A1 (en) 2007-12-27
EP1870921A3 (en)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8911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438206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78515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703562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070007888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701211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38B1 (ko) 어드레스 전극간 캐패시턴스를 낮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US20080122359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594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14184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12356B1 (ko) 배기효율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6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14966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586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6587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4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8576B1 (ko) 화소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6848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68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1173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253514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900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509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6575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