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02256A - 부품 고정구 - Google Patents

부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256A
KR20070102256A KR1020060034164A KR20060034164A KR20070102256A KR 20070102256 A KR20070102256 A KR 20070102256A KR 1020060034164 A KR1020060034164 A KR 1020060034164A KR 20060034164 A KR20060034164 A KR 20060034164A KR 20070102256 A KR20070102256 A KR 20070102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arget part
hole
target
wall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범
Original Assignee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2256A/ko
Publication of KR2007010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16B19/004Resiliently deformable pins made in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팬 등의 대상부품을 컴퓨터 케이스나 보드 등의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부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부품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부품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신장 수축이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부품에 형성된 대상부품측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대상부품측 오목부; 상기 몸체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 형성된 벽체측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벽체측 오목부; 및 상기 벽체측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벽체측 관통구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벽체와의 헐거워짐과 부품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면적을 줄여서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고, 벽체와의 고정은 물론, 대상부품과의 고정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부품 고정구{Fastener for parts}
도 1은 종래의 부품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벽체 관통구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부품 고정구가 대상부품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부품 고정구가 대상부품(냉각팬)을 벽체(컴퓨터 케이스 벽체)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정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사용 상태 후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10, 20: 부품 고정구 2, 12: 몸체
3, 13: 대상부품측 오목부 4, 14: 벽체측 오목부
5, 15: 최소직경부 11: 가압부
17: 리브 18: 개방형 이격날개
19: 밀폐형 이격날개 21: 대상부품측 가압부
100: 대상부품 100a: 대상부품측 관통구
101: 냉각팬 110: 벽체
110a: 벽체측 관통구
본 발명은 부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팬 등의 대상부품을 컴퓨터 케이스나 보드 등의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부품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가 장착되는 냉각팬에서는 모터의 회전과 팬의 회전시 발생되는 공기저항 등에 의하여 진동과 소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진동과 소음은 상기 냉각팬이 장착되는 컴퓨터의 케이스나 각종 보드 등의 벽체로 전달되어 타부품에 악영향을 주거나 나사나 볼트 등 조임구 등을 헐겁게 하거나 다른 형태의 소음과 진동으로 증폭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냉각팬 등의 대상부품과 컴퓨터 케이스 등의 벽체 사이에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부품 고정구(1)를 설치하였다.
즉, 이러한 종래의 부품 고정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부품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위하여, 신장 수축이 유연한 탄성재질로 몸체(2)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의 일부분에 상기 대상부품에 형성된 대상부품측 관통구에 삽입되는 대상부품측 오목부(3)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의 다른 일부분에 상기 벽체에 형성된 벽체측 관통구에 삽입되는 벽체측 오목부(4)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측 오목부(3)의 최소직경부(5)(빗금으로 절단면이 표시된 부분)의 직경(D1)이 벽체측 관통구(110a)(가상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직경(D2)보다 작을 경우, 상기 벽체측 오목부(4)와 벽체측 관통구(110a)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발생되어 대상부품이 벽체에 헐겁게 고정되고, 이렇게 부실하고 불안정한 고정으로 인하여 대상부품의 가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고, 대상부품이 흔들리거나 심지어 장시간 진동과 소음의 영향으로 대상부품이 벽체로부터 떨어져서 추락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벽체측 오목부(4)의 최소직경부(5)의 직경(D1)을 벽체측 관통구(110a)의 직경(D2)에 일대일로 맞추어 맞춤 제작할 수도 있으나, 기존의 벽체측 관통구(110a)의 직경(D2) 크기는 제작사마다 모두 다른 것으로서, 만약 냉각팬 등 각종 대상부품을 제조하는 회사에서 컴퓨터 케이스 등의 벽체측 관통구 규격에 모든 부품 고정구를 일일이 맞춤 제작하다가 보 면, 제조 단가가 크게 증대되고, 제작사의 개수가 무수히 많고 같은 제작사라 하더라도 규격이 서로 달라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벽체측 오목부(4)의 최소직경부(5)의 형상이 벽체측 관통구(110a)와 동일한 원형으로 제작되어서 상기 벽체측 오목부(4)와 벽체측 관통구(110a)의 접촉면적이 넓어서 소음과 진동의 전달율이 높아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억제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벽체측 관통구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부품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벽체와의 헐거워짐과 부품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부품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측 오목부의 최소직경부와 벽체측 관통구와의 접촉면적을 줄여서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부품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와의 고정은 물론, 대상부품과의 고정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부품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품 고정구는, 대상부품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부품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신장 수축이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되 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부품에 형성된 대상부품측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대상부품측 오목부; 상기 몸체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 형성된 벽체측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벽체측 오목부; 및 상기 벽체측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벽체측 오목부의 최소직경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벽체측 오목부의 최소직경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이격날개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품 고정구는, 상기 대상부품측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부품측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부품측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즉,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고정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와, 도 7과,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고정구(10)는, 대상부품(100)을 벽체(1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몸체(12)와, 대상부품측 오목부(13)와, 벽체측 오목 부(14) 및 가압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2)는, 신장 수축이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선단부가 뾰족한 핀 형상이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당겼을 때, 좁은 구멍으로도 통과가 용이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좋은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 합성수지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상부품측 오목부(13)는, 상기 몸체(12)의 중단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부품(100)에 형성된 대상부품측 관통구(100a)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체측 오목부(14)는, 상기 몸체(12)의 후단 다른 일부분에 상기 대상부품측 오목부(13)와 소정 거리(L)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110)에 형성된 벽체측 관통구(110a)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가압부(1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측 오목부(14)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관통구(110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측 오목부(14)의 최소직경부(15)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개(도 4에서는 180도 등각배치되는 2개)의 리브(17)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측 오목부(14)의 최소직경부(15)(빗금으로 절단면이 표시된 부분)의 직경(D1)이 벽체측 관통구(110a)(가상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직경(D2)보다 작다고 하더라도 상기 벽체측 오목부(14)와 벽체측 관통구(110a)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가압부(11)가 위치하고, 이러한 가압 부(11)로 인하여 상기 벽체측 관통구(110a) 방향으로 항상 복원력(R)이 가압되어 대상부품(100)이 벽체(110)에 헐겁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견고한 고정으로 대상부품(100)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것이다. 즉, 부품 고정구(10)가 대상부품을 벽체에 고정시키도록 장착된 상태에서는, 가압부(11)가 탄성변형(도 5 참조)되면서 벽체측 관통구(110a)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렇게 탄성변형된 가압부(11)는 복원력에 의해 벽체측 관통구(110a)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벽체측 관통구(110a)의 직경(D2) 크기는 제작사마다 다르더라도 범용적으로 사용되어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11)는 벽체측 관통구(110a)와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소음과 진동의 전달율이 낮추어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가압부(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측 오목부(14)의 최소직경부(15)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각 4개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압부(11)가 벽체측 오복부(14)의 최소직경부(15)의 외부면에 하나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1)는,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벽체측 오목부(14)의 최소직경부(15)와 소정 거리(t) 이격되게 형성되는 이격날개(18)인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이격날개(18)의 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이 개방된 개방형 이격날개(18)인 것도 가능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이 밀폐된 폐쇄형 이격날개(19)인 것도 모두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상기 가압부(11)는 상술된 벽체측 오목부(14)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부품측 오목부(13)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고정구(20)는, 상기 대상부품측 오목부(13)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부품측 관통구(100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부품측 가압부(2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대상부품측 가압부(21)의 구성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벽체측 오목부에 형성된 가압부(11)에 관하여 설명된 바가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품 고정구(20)는 벽체(110)와의 고정은 물론, 대상부품(100)과의 고정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품 고정구(10)(20)를 이용하면, 다양한 규격의 대상부품측 관통구(100a)를 갖는 냉각팬(101)과, 다양한 규격의 벽체측 관통구(110a)를 갖는 컴퓨터 케이스의 벽체(110)라 하더라도 상기 몸체(12)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벽체측 관통구(110a)와 대상부품측 관통구(100a)에 차례로 관통될 수 있도록 잡아 당기면 상기 몸체(12)의 대상부품측 오목부(13) 및/또는 벽체측 오목부(14)에 설치되는 가압부(11)에 의해 범용적으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몸체(12)나, 대상부품측 오목부(13)나, 벽체측 오목부(14)나 가압부(11)의 형상이나 규격이나 길이나 재질이나 디자인 등은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되거나 대상부품(100) 및 벽체(110)의 두께나 형상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도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수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부품 고정구에 의하면, 다양한 규격의 벽체측 관통구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벽체와의 헐거워짐과 부품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촉면적을 줄여서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고, 벽체와의 고정은 물론, 대상부품과의 고정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대상부품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부품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신장 수축이 유연한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부품에 형성된 대상부품측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대상부품측 오목부;
    상기 몸체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 형성된 벽체측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벽체측 오목부; 및
    상기 벽체측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벽체측 오목부의 최소직경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벽체측 오목부의 최소직경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이격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부품측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부품측 관통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부품측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고정구.
KR1020060034164A 2006-04-14 2006-04-14 부품 고정구 KR20070102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164A KR20070102256A (ko) 2006-04-14 2006-04-14 부품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164A KR20070102256A (ko) 2006-04-14 2006-04-14 부품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256A true KR20070102256A (ko) 2007-10-18

Family

ID=3881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164A KR20070102256A (ko) 2006-04-14 2006-04-14 부품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22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468A1 (ko) * 2017-03-21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RU2729686C1 (ru) * 2017-03-21 2020-08-11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Холодильник
WO2021248901A1 (zh) * 2020-06-12 2021-12-16 佛山市顺德区大磐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及制冷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468A1 (ko) * 2017-03-21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RU2729686C1 (ru) * 2017-03-21 2020-08-11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Холодильник
US11300331B2 (en) 2017-03-21 2022-04-12 Lg Electronics Inc. Thermoelectric refrigerator
WO2021248901A1 (zh) * 2020-06-12 2021-12-16 佛山市顺德区大磐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及制冷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5250B2 (en) Fastening device for fans
EP3282131B1 (en) Ceiling fan blade structure and ceiling fan comprising the same
US7369408B2 (en) Screwless mini fan holder
WO2009118936A1 (ja) クリップ
US7729127B2 (en) Mount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9271062B2 (en) Fix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JP2019513949A (ja) ファスナを備えるpcbアセンブリ
KR20070102256A (ko) 부품 고정구
JP2024019485A (ja) ブロワ装置
US8800951B2 (en) Mounting device for fan
US20080315731A1 (en) Flexible mount for a fan and like devices
JP5307666B2 (ja) 留め具
JP5840484B2 (ja) クリップ
EP3859173B1 (en) Fastener
CN205877602U (zh) 支撑垫结构
CN213451010U (zh) 一种可快速组卸的扇框结构
JP5192344B2 (ja) 螺子取付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
JP6431739B2 (ja) ドア用ハンドルの取付構造体
JP2017015179A (ja) 締め付け具
JP4638894B2 (ja) 防振固定具
KR101445875B1 (ko) 서포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장착장치
WO2025070389A1 (ja) 回転軸
JP6358910B2 (ja) ファンモータ保持構造及び電子機器
JP3573356B2 (ja) 箱体
TWM651166U (zh) 電子裝置及其固定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