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8839A -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839A
KR20070088839A KR1020060018575A KR20060018575A KR20070088839A KR 20070088839 A KR20070088839 A KR 20070088839A KR 1020060018575 A KR1020060018575 A KR 1020060018575A KR 20060018575 A KR20060018575 A KR 20060018575A KR 20070088839 A KR20070088839 A KR 20070088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ir conditioner
air
command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8839A/ko
Publication of KR2007008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83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과 함께 현재의 공기조화기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제 1 데이타 정보를 제 2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타 정보에 포함된 상기 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재설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는 제 2 데이타 정보를 제 1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부로 전송된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메인 마이컴 이외에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메인 마이컴의 부하를 줄이고, 디스플레이부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공기조화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구성하는 전면판넬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제어부에서 메인마이컴으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며에 따른 메인마이컴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를 표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명령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
112: 힌지 120: 터치스크린
140: 리모컨수신부 150: 디스플레이장치
152a:USB장착부 152b: SD장착부
160a: USB메모리 160b: SD카드
170: 공기정화장치 200: 메인마이컴
202: 메인메모리 212: 센서부
214: 수신부 216: 실내기모터
218: 실외기모터 220: 압축기
250: 디스플레이제어부 252: 디스플레이메모리
254: 디스플레이입력부 256: 디스플레이부
258: 데이터입력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고,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넷(20)에 의해 측면과 후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20)의 하부에는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베이스(22)의 선단 상부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4)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4)의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 형성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과 함께 온(on)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오프(off)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도 오프(off)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풍향과 강약 정도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실내온도 및 희망온도도 표시된다. 즉, 이 러한 디스플레이부(3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공기조화기의 상태가 엘이디(LED)에 의해 외부로 표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와 같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단순히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만을 표시하는 기능밖에 없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버튼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공기 조화기 전체의 외관이 매끄럽지 못하여 감성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마이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0)와 공기조화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였기 때문에 마이컴에 큰 부하가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튼부의 기능과 디스플레이부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별도로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마이컴간의 정보 전송량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마이컴간에 송수신되는 정보중의 일부를 에러 발생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데이터로 구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과 함께 현재의 공기조화기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제 1 데이타 정보를 제 2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타 정보에 포함된 상기 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재설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는 제 2 데이타 정보를 제 1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부로 전송된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의 양은 상기 제 1 데이타 정보의 양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타 정보 각각에는 전송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체크 데이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데이타 정보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인 풍향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절전 정보, 강력 냉방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터보-Z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희망온도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에 관한 운전/정지 정보,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에 관한 정보인 제습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정보,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정보, 냉난방 여부를 나타내는 냉방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풍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인 풍향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절전 정보, 강력 냉방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터보-Z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희망온도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에 관한 운전/정지 정보,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에 관한 정보인 제습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정보,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정보, 냉난방 여부를 나타내는 냉방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풍량 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실내온도 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현재 습도 정보와, 현재 날씨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상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청결도에 관한 정보인 공기청정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내온도 정보와, 상기 습도 정보와,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공기청정도 정보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 조절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절전 명령, 강력 냉방을 위한 터보-Z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통하여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최종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희망온도설정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전 명령, 운전중인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운전정지 명령,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명령,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명령, 냉난방 여부를 결정하는 냉방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 명령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의 전송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의 전송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제 2 에러 체크 데이타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에러 체크 데이타는 상기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장착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우측 상하단에는 힌지(112)가 구비되어 전면판넬(110)의 회동 중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상방에서 볼 때)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반부 중앙에는 사용자가 가볍게 손만 가져다 대어도 직접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120)이 형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20)은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나 운전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실질적으로 제어 및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도 256)에 부착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20)의 하측에는 리모컨수신부(1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는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도 3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상기 힌지(112)를 축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USB장착부(152a)와 SD장착부(152b)가 구비되고, 이러한 USB장착부(152)와 SD장착부(152b)에는 USB메모리(160a) 또는 SD카드(160b)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는 상기 USB메모리(160a) 또는 SD카드(160b)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data), 예컨대 사진 파일 등을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a) 또는 SD카드(160b) 외에 다양한 이동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data)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며, 인터넷 등을 통한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스피커출력단자(259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출력단자(259a)는 디스플레이장치(150)의 동작시 발생하는 소정의 소리(사운드)를 외부의 스피커(미도시)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출력단자(259a)와 외부 스피커(미도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50)의 구동시 출력되는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커버에는 내부 전장부품의 열기를 방출하기 위한 통공(300)이 형성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장치(150)에 내장되어 있는 소형 스피커(정격전력은 대략 1W)의 출력을 안내하기 위한 스피커홀(260)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내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에는 다수 의 필터가 구비되어 공기중의 먼지나 냄새 등 다양한 이물을 걸러내게 된다.
그리고, 공기정화장치(170)의 상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전체 운전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있는 메인마이컴(2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마이컴(200)의 상측에는 압력센서(131)와 습도센서(132)가 부착된다.
상기 압력센서(131)는 실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날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고, 상기 습도센서(132)는 공기조화되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131)와 습도센서(132)에서 감지된 신호는 메인마이컴(200)에서 처리된 후, 디스플레이제어부(150)로 전송되어 문자(즉 텍스트)로 표시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난방이나 냉방 등의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열교환기 등)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 부품의 기능과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의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마이컴(200)과 터치스크린(120)상에서의 공기조화기의 기능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이 구비되고, 이러한 메인마이컴(200)과 디스플레이 제어부(250)에는 각종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메인마이컴(200)에는 메인메모리(202)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메모리(202)는 공기조화기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 여기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메인마이컴(200)에는 센서부(212), 리모컨 신호 수신부(214), 실내기모터(216), 실외기모터(218), 그리고 압축기(220) 등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센서부(212)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특히 온도센서(미도시),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132), 날씨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압력센서(131) 그리고 공기의 청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미도시)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12)에 의해 감지된 압력, 습도 온도 등에 관한 정보는 상기 메인마이컴(200)으로 전달된다.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214)는 리모컨수신부(140)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메인마이컴(200)으로 전달한다. 물론, 이러한 리모컨 신호 수신부(214)는 상기 리모컨수신부(140)외에 컴퓨터(인터넷 포함)나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신호)도 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일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가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214)의출력신호를 직접 수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실내기모터(216)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구비되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마이컴(2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의 오염값에 따라 상기 메인마 이컴(200)이 상기 실내기모터(21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는 상기 메인마이컴(200)에 의해 작동된다. 예컨대, 리모컨수신부(140) 또는 터치스크린(120)을 통하여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인마이컴(200)이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 등을 작동시켜 공기조화기를 정지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전환시킨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장치로, 상기 메인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마이컴(200)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 메인마이컴(200)에 의해 자동으로 강약이 조절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메인마이컴(200)이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측정되는 공기중의 오염(먼지, 가스 등) 정도를 감지한 다음, 이러한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강약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마이컴(20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데이터입력부(258)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입력되는 데이터와 디스플레이입력부(25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 입력되는 신호는 메인마이컴(200)으로 전달되기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는 디스플레이메모리(252)와 디스플레이입력부(254), 디스플레이부(256) 그리고 데이터입력부(258) 등이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 내장되어 디스플레이를 위한 다양한 자료를 저장한다. 예컨대, SRAM(252a)은 디스플레이부(256)에 표시될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기능을 하고, 부팅ROM(252b)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인가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동작을 수행하며, 플래쉬메모리(252c)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이나 디스플레이부(256)에 표시될 사진,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254)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선택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터치스크린(120)과 터치스크린제어부(254a)로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 경우, 터치스크린상의 좌표 정보는 터치스크린제어부(254a)에 의하여 디코딩된 후 디스플레이제어부(250)으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터치스크린제어부(254a)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6)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터치 방식이 적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영역부)와 공기조화기의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 버튼부(터치 방식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부)가 표시된다.
상기 데이터입력부(258)는 상기에서 설명한 USB메모리(160a) 또는 SD카드(160b)와 같은 이동식 저장장치를 통해 외부로부터 사진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 데이터입력부(258)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타 등은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메모리(252)에 저장되지만, 필요에 따라 서는 메인마이컴(200)으로 송신되어 메인메모리(202)에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서 메인마이컴(200)으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타(TX0, TX1, TX2, TX4)는 각각 8비트로 이루어진다.
데이타(TX0)는 에러 체크를 위하여 디폴트로 설정된 소정의 데이타 값을 가지며, "X"로 표시된 데이타(TX0)의 상위 4비트는 "don't care"를 나타낸다.
다음, 데이타(TX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타로서, 데이타(TX1)중 최상위 비트(b7)는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상하를 조절하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6)는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좌우를 조절하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5)는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4)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구동 능력(또는 냉방 능력)을 최대로 하는 "터보Z 상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3)는 공기조화기의 설정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2)는 공기조화기의 설정 온도를 높이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1)는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킬 것이지 그렇지 않으면 정지시킬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최하위비트(b0)는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상방향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상토출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다음, 데이타(TX2)중 상위 4 비트(b7~b4)는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양(풍량: 예컨대 약, 강 파워 등)을 결정하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3)는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 기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2)는 공기조화기를 최적의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1)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비트(b0)는 공기조화기를 냉방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난방용으로 사용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타(TX3)는 상기 데이타(TX0, TX1, TX2)와 55H를 익스크루시브오아 연산한 패러티 데이타로서, 상기 데이타(TX0, TX1, TX2)와 함께 메인마이컴(200)으로 전송되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타 전송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타(TX0, TX3)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동작과 관련하여, 예컨대, 터치스크린(120)을 통하여 바람의 세기를 "약"에서 "강"으로 변환시키는 명령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이 명령에 대응하여 데이타(TX2)의 상위 4비트(b7~b4)를 재설정한다. 그리고, 나머지 데이타의 정보는 현재의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그대로 표시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타(TX0~TX3)를 메인마이컴(200)으로 전송한다.
메인마이컴(200)에서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부터 전송된 데이타 (TX0~TX3)를 수신하여 현재의 공기조화기의 상태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바람의 세기가 "약"에서 "강"으로 변경된 것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마이컴(200)은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강"이 되도록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킨다.
그리고, 메인마이컴(200)은 상기 명령 수행에 따른 결과와 기타 현재의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제어부(250)으로 전송한다.
도 6에는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는 데이타(TX0~TX9)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데이타(TX0)는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데이타가 전송되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데이타(TX1)는 실내온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데이타(TX2)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설정되었거나 새로이 설정된 온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데이타(TX3)는 전송 데이타중 데이타(TX0~TX2)의 에러 발생 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이며, 데이타(TX4)의 상위 4비트는 리모컨 신호의 수신 여부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고 하위 4비트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는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중의 일부에 대한 에러 여부를 체크하는 것으로, 그 데이타 정보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타(TX5)는 비트 단위로 최상위비트에서부터 각각 실외기의 상 태, 절전 여부, 터보Z, 공기청정 모드인 플라즈마, 풍향의 상하, 풍향의 좌우, 상토출, 소정 정보를 일정 시간에 표시하기 위한 예약 정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데이타(TX6)는 데이타(TX3)와 유사하게 에러 발생을 체크하기 위한 제 2 에러 체크 데이타이다. 상기 제 2 에러 체크 데이타(TX6)는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TX3)와 달리 데이타(TX0~TX5)의 조합에 대하여 에러 여부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점검한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이렇게 중간 단계에서 한 번 더 에러 여부를 체크하는 이유는 메인마이컴으로부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디스플레이제어부로부터 메인마이컴으로 전송되는 정보의 양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즉, 데이타(TX6)는 정보의 전송 양이 많음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에러 발생을 보완적으로 체크하기 위한 에러 코드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에러 체크 데이타는 상기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를 참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러의 발생 여부를 이중으로 검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데이타(TX7)는 현재 실내 습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습도는 20~99의 숫자로 표시된다), 데이타(TX8)의 상위 4비트는 공기청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위 4비트는 날씨에 관한 정보(예컨대, 맑음, 흐림, 구름, 비)를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타(TX9)는 데이타(TX0, TX1, TX2,..., TX8)와 55H를 익스크루시브오아 연산한 패러티 데이타로서, 상기 데이타(TX0, TX1, TX2,..TX8)와 함께 디스플레이제어부(250)으로 전송되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타 전송 에 러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타(TX3, TX6, TX9)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와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의 양과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서 메인마이컴(200)으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의 양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메인마이컴(200)에서 자체적으로 취득하는 추가적인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습도, 공기청정도, 날씨 등에 관한 정보는 메인마이컴(200)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센서부(212)에서 획득되는 것으로, 이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가 자체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의 정보 전송시,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된 도 6의 데이타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56)에 표시된다. 이때, 모든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고, 공기조화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일부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56)에는 현재의 실내온도, 습도, 날씨에 관한 정보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상태(절전 모드인지, 바람의 방향이 어떤지에 관한 정보 등)이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서 메인마이컴(200)으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인 풍향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절전 정 보, 강력 냉방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터보-Z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희망온도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에 관한 운전/정지 정보,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에 관한 정보인 제습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정보,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정보, 냉난방 여부를 나타내는 냉방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풍량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마이컴(200)에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되는 데이타 정보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인 풍향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절전 정보, 강력 냉방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터보-Z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희망온도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에 관한 운전/정지 정보,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에 관한 정보인 제습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정보,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정보, 냉난방 여부를 나타내는 냉방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풍량 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실내온도 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현재 습도 정보와, 현재 날씨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상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청결도에 관한 정보인 공기청정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내온도 정보와, 상기 습도 정보와,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공기청정도 정보는 상기 메인마이컴(200)이 센서부(212)로부 터 직접 수집한 정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명령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입력장치인 터치스크린(120)을 통하여 공기조화기를 풍속, 풍향, 온도 등을 새로이 설정하는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1).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공기조화기의 운전명령은 터치스크린제어부(254a)에서 디코딩된 후, 디스플레이제어부(250)으로 전송된다(S12).
디스플레이부제어부(250)는 상기 새로운 운전명령을 수신하면, 기설정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나머지 운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취합하여(S13) 상기 운전명령과 함께 이를 메인마이컴(200)으로 전송한다(S13).
메인마이컴(200)은 상기 소정의 운전명령에 대한 실행을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운전명령의 실행결과 및 공기조화기의 현재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다시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한다(S15). 이때, 메인마이컴(2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전송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메인마이컴(200)에 의하여 직접 수집되는 실내온도, 압력, 습도 등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 상기 메인마이컴(200)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현 상태의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와 상기 명령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S16), 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한다(S17).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56)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하여 운전명령의 실행결과와 현 상태의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메인마이컴(200)와 디스플레이제어부(250)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디스플레이부의 정보 표시 과정으로 독립적으로 실시함으로 공기조화기와 그 운전 상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공기조화기는 외관이 수려하고 불필요한 버튼의 사용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메인 마이컴 이외에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메인 마이컴의 부하를 줄이고, 디스플레이부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메인마이컴과 디스플레이제어부간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일부 데이타를 에러 검출을 위한 데이타로 사용함으로써 정보 송수신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마이컴으로부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고려하여, 정보 전송시 에러 체크 여부를 이중으로 점 검할 수 있는 에러 점검용 데이터가 수반되도록 함으로써 전송 정보의 에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입력장치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과 함께 현재의 공기조화기 운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제 1 데이타 정보를 제 2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타 정보에 포함된 상기 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재설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는 제 2 데이타 정보를 제 1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부로 전송된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의 양은 상기 제 1 데이타 정보의 양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타 정보 각각에는 전송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 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에러 체크 데이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타 정보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인 풍향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절전 정보, 강력 냉방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터보-Z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희망온도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에 관한 운전/정지 정보,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에 관한 정보인 제습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정보,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정보, 냉난방 여부를 나타내는 냉방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풍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인 풍향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절전 정보, 강력 냉방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터보-Z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희망온도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에 관한 운전/정지 정보,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동작에 관한 정보인 제습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 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정보,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정보, 냉난방 여부를 나타내는 냉방 정보,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는 풍량 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실내온도 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현재 습도 정보와, 현재 날씨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상정보와,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청결도에 관한 정보인 공기청정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온도 정보와, 상기 습도 정보와,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공기청정도 정보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 조절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절전 명령, 강력 냉방을 위한 터보-Z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통하여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최종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희망온도설정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전 명령, 운전중인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운전정지 명령, 공기조화의 대상인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를 현재의 상태에 맞게 최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명령, 공기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즈마 명령, 냉난방 여부를 결정하는 냉방 명령,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 명령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의 전송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제 2 데이타 정보의 전송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제 2 에러 체크 데이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2 에러 체크 데이타는 상기 제 1 에러 체크 데이타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장착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60018575A 2006-02-27 2006-02-27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Withdrawn KR20070088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575A KR20070088839A (ko) 2006-02-27 2006-02-27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575A KR20070088839A (ko) 2006-02-27 2006-02-27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839A true KR20070088839A (ko) 2007-08-30

Family

ID=3861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575A Withdrawn KR20070088839A (ko) 2006-02-27 2006-02-27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88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73Y1 (ko) * 2017-08-01 2019-01-07 이복상 인공지능을 이용한 냉난방 공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73Y1 (ko) * 2017-08-01 2019-01-07 이복상 인공지능을 이용한 냉난방 공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1381B1 (en) Air-conditioner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88834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표시방법
KR101245477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80291A (ko)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JP4930493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80293A (ko)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에서의 기념일 표시 방법
KR2007008304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70003303A (ko) 사용메뉴얼 보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088839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0788513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88837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디스플레이부 표시 방법
EP1888974A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ir conditioner
KR101188514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방법
JP5156708B2 (ja) 空気調和機
JP2005233538A (ja) 空気調和機
KR2007009036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KR20070083047A (ko) 스피커를 갖춘 공기조화기
EP1888973B1 (en) Air-conditioner
KR1012216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70090360A (ko)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기상 정보 표시 방법
KR1011455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7008883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22228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112082B1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