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7852A -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 Google Patents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852A
KR20070087852A KR1020050133702A KR20050133702A KR20070087852A KR 20070087852 A KR20070087852 A KR 20070087852A KR 1020050133702 A KR1020050133702 A KR 1020050133702A KR 20050133702 A KR20050133702 A KR 20050133702A KR 20070087852 A KR20070087852 A KR 2007008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antistatic
coating composition
antistatic hard
plast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일
김현돈
손호석
정영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852A/ko
Publication of KR2007008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사용 가능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a) 전도성 필러와, (b) 유기 바인더와, (c) 광중합 개시제와, (d)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한다.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대전방지 투명패널, 전도성 필러, 저비점 유기 용매, 고비점 유기 용매

Description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투명패널{ANTISTATIC HARD COATING COMPOSITION, ITS COATING METHOD AND ANTISTATIC TRANSPARENT PANEL USING IT}
본 발명은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투명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대전방지 특성, 표면저항 특성, 투명도, 내마모 특성 및 내스크래치 특성 등을 갖고, 장기적으로 이러한 특성의 변화가 적으며, 각종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투명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자재, 자동차 외장 부품, 종이, 목재, 가구, 방음벽, 광학재료, 화장품 용기 및 각종 디스플레이 소자 등의 각종 플라스틱 제품이 속하는 분야에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성 하드코팅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LCD, PDP 또는 프로젝션 TV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가 크게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보호하고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하드코팅, 예를 들어, 대전방지 하드코팅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 다.
또한, 최근 들어 반도체 소자가 초미세화, 고집적화됨에 따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등을 통해, 예를 들어, 45nm에 이르는 미세 패턴을 형성해야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초미세화로 인하여 미세 파티클이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의 수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 등을 진행하는 클린룸에, 예를 들어, 대전방지 하드코팅을 적용해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클린룸 내에 잔존하는 미세 파티클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따라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클린룸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의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던 하드코팅 조성물은 대전방지 기능이 없거나, 대전방지 기능이 있는 경우에도 대전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성분이 메트릭스와 결합하지 못하고 단순 첨가된 데 불과하여 대전방지 기능이 장기간 지속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도가 떨어지거나, 금속 또는 무기물의 분진 또는 아웃개싱(outgassing)된 유기물 등이 오염원으로 방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하드코팅 조성물 및 그의 문제점을 약술하기로 한다.
우선, 일본 특개소 58-91777 호에는 안티몬을 함유한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미분말을 합성 수지에 혼합한 도전성 투명 코팅액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 코팅액은 금속 또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이 를 클린룸에 적용한 후 장시간이 지나면, 금속 또는 무기물이 방출되어 오염원으로 잔류하게 됨으로서 반도체 공정 수율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일본 특개평 5-214045 호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3개 이상 갖는 다관능 모노머와,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모노머를 포함하는 코팅액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액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표면저항이 약 1012Ω/□에 이르게 되어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클린룸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일본 특개평 5-186534 호에는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인산 에스테르와,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경화형 관능기와 적어도 하나의 3급 아민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과,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활성 에틸렌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드코팅 조성물은 대전방지 기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5-109132 호에는 광디스크 등에 적용하는 소정의 대전방지 하드코팅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소정 화합물의 리튬(Li)염을 이용해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한 것으로 리튬 또는 이를 함유한 무기물 등이 방출될 우려가 있고,염화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더구나, 이러한 하드코팅은 표면저항이 약 1013Ω/□에 이르러, 이 또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클린룸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
한편,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ITO 또는 ATO 등의 금속 산화물을 이용해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이 개발된 바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에도, 장시간이 지나면 하드코팅 표면에 크랙 등이 발생해 무기물이 방출된다. 특히, 이러한 조성물을 클린룸 등에 적용하면, 방출된 무기물이 공정 진행 중인 반도체 웨이퍼 또는 LCD 액정 셀 등의 표면에 흡착하여 공정 수율에 영향을 주거나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기물 방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4급 암모늄염을 이용한 친수계 모노머를 첨가하여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 역시 고려된 바 있으나, 이 또한 하드코팅의 적용 후 장시간이 경과하면 대전방지 기능이 저하되거나 표면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더구나, 위 친수성 모노머 등이 하드코팅 조성물의 바인더 성분 등과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첨가된 것이므로, 아웃개싱된 유기물이 방출된다. 이러한 유기물은, 예를 들어, 클린룸 내부의 오염도를 높이고, 클린룸 내에서의 반도체 제조 공정 등에 사용되는 반응 유기물을 오염시켜 공정 수율 또는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일본 특개 2002-60736 호에는 폴리티오펜계 고분자 등의 전도성 고분자와, 분자 내에 아미드 결합 또는 수산기를 가지는 수용성 화합물과, 자기 유화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분산체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자기 유화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분산체를 이용함에 따라 용액의 점도가 높아 코팅면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반응 온도가 높고, 건조 시간 또는 조건에 따라 하드코팅의 특성이 달라지는 하드코팅 형성 공정 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대전방지 특성, 표면저항 특성, 투명도, 내마모 특성 및 내스크래치 특성 등을 갖고, 장기적으로 이러한 특성의 변화가 적으며, 각종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클린룸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바람직하게 코팅하는 코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적용하여 아웃개스 방출량이 50ppm 이하인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전도성 필러(filler)와, (b) 유기 바인더와, (c) 광중합 개시제와, (d)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당업자가 자명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a) 전도성 필러와, (b) 유기 바인더와, (c) 광중합 개시제와, (d)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의 시험 결과, 이러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면, 우수한 대전방지 특성, 표면저항 특성, 투명도, 내마모 특성 및 내스크래치 특성 등 을 가지면서도, 이러한 각 특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화되어,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클린룸 등에 적합한 대전방지 하드코팅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하드코팅이 대전방지 기능을 갖게 하는데, 이러한 전도성 필러는 하드코팅 내에서 바인더 등과 결합한 형태를 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면 장시간이 지나도 대전방지 기능의 저하가 거의 없고, 무기물이나 금속이 방출되거나 유기물이 아웃개스 형태로 방출될 염려도 거의 없다.
더 나아가,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소정의 아크릴 모노머 등을 바인더로 포함하는 한편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하드코팅 형성시의 반응 온도가 높아지거나, 건조 시간 또는 조건에 따라 하드코팅의 특성이 달라지는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하드코팅의 두께 또는 표면저항 등의 각종 특성을 전체적으로 균일화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우선, (a) 전도성 필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a) 전도성 필러는 위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한 하드코팅에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a) 전도성 필러로는 금속 성분을 제외하고 전도성을 띄는 물질이면 모든 것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 폴리티오펜계 등의 고분자를 전도성 필러로서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티오펜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하드코팅이, 예를 들어, 반도체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라인 등에 포함된 클린룸의 파티션용 투명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클린룸 내에서 진행되는 각 제조 공정의 수율 향상을 위해서는, 상기 하드코팅으로부터 금속이나 무기물 또는 아웃개스 형태의 유기물 등이 불순물로서 방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에서는, ITO 또는 ATO 등과 달리 금속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하드코팅 내에서 바인더 등과 결합하게 되는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하드코팅의 대전방지 기능이 시간에 따라 저하되거나 금속성분이나 아웃개스 형태의 유기물 등이 불순물로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수용액 상에서도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산성 하에서 안정적인 전기 전도성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산의 용이함을 위해 상기 (a) 전도성 필러를 유기 용매상에 미리 분산시킨 고형분 농도 1.3-1.5중량%의 고분자 용액을 사용하되, 고분자 용액의 사용 함량은 전체 조성에 대해 상기 (a) 전도성 필러의 함량인 0.01-15 중량%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 한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또한, (b) 유기 바인더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b) 유기 바인더는 2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b) 유기 바인더는 광중합 개시제의 촉매 작용으로 이에 함유된 아크릴 모노머의 2중 결합이 깨져 가교 반응이 일어나게 함으로서, 양호하게 경화된 하드코팅이 형성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첨가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b) 유기 바인더는 2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의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관능 아크릴 모노머의 적어도 1종 및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만을 사용하면 하드코팅의 빠른 경화 속도 및 높은 경도 특성을 얻을 수 있으나, 하드코팅의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박리가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2관능 아크릴 모노머만을 사용하면, 하드코팅의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박리가 쉽게 되지 않는 반면, 하드코팅의 경화 속도가 느려지고 경도 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 (b) 유기 바인더에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 및 2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함께 함유시켜, 하드코팅의 내충격성, 박리성, 경도 특성 및 경화 특성 등의 여러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하드코팅 형성 후에 고밀도의 가교 결합과 저밀도의 가교 결합이 공존하게 하게 되어 하드코팅이 내구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게 되는데 기인한다.
한편, 상기 2관능 아크릴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임의의 2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기타 임의의 4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또한, (c)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c)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을 받아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고, 이러한 자유 라디칼의 작용으로 상기 (b) 유기 바인더에 포함된 아크릴 모노머의 2중 결합을 깨어 가교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첨가된 것이다.
상기 (c) 광중합 개시제로는 종래부터 알려진 임의의 광중합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 같은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상술한 각 구성 성분을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d)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저비점 유기 용매와 비점 유기 용매를 구분하는 기준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진 바와 같이, 물의 비점인 100℃로 된다. 즉, 100℃ 이하의 비점을 가진 유기 용매를 저비점 유기 용매로 구분하고, 그 이상의 비점을 가진 유기 용매를 고비점 유기 용매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저비점 유기 용매만을 사용하면, 하드코팅 형성시의 흐름성이 좋고 건조 속도도 빨라져서 하드코팅 형성 공정 상의 장점이 있으나, 유기 용매의 빠른 휘발로 인해 바인더의 상분리가 일어나서 하드코팅의 시작면과 끝면 사이의 물성 차이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비해, 고비점 용매만을 사용하면, 흐름성이 떨어지고 건조속도도 느려지며 유기 용매의 휘발이 느리고 점도가 높아 하드코팅의 균일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하드코팅 형성 공정 상의 단점이 있고, 전도성 필러와의 상용성 문제로 표면저항 특성이 불균일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d)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함유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함으로서, 하드코팅의 제반 특성을 균일화할 수 있고 하드코팅 형성 공정 상의 난점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로는 유기 용매의 비점과 함께 pH값, 전하값 등을 고려해 전도성 필러의 분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유기 용매를 당업자가 자명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비점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과 이소프로판올의 혼합 용매 또는 에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비점 등에 있어서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임의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비점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틸셀루솔브 또는 에틸셀루솔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임의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e) 레벨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e) 레벨링제가 추가되면 하드코팅 형성시의 흐름성이 개선되고, 두께, 표면 저항 또는 내마모성 등의 하드코팅의 제반 특성이 보다 균일화된다. 또한, 기질에 따른 상이한 코팅 특성을 극복하여 하드코팅이 적용된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상관없이 동일한 특성이 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e) 레벨링제로는 종래부터 하드코팅 조성물에 레벨링제로 사용되던 임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소계 화합물 또는 비이온계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f) 광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f) 광안정제는 조성물에 포함된 각 구성 성분을 안정화시켜 하드코팅의 형성시에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성분이 분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f) 광안정제로는 상기 (c)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이에 맞는 광안정제를 당업자가 자명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광중합 개시제가 1-하이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 같은 벤조페논계 화합물인 경우, 상기 (f) 광안정제로는 상품명 Disperbyk-106(BYK사 제품; 주성분 - 산성 그룹을 가지는 고분자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종래부터 사용되던 임의의 광안정제 중에서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맞게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광중합 개시제에 따라서는 그 자체로서의 기능과 함께 광안정제로서의 기능을 함께 나타낼 수 있는 것도 있는데,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가 사용된 경우에는, 상기 광안정제의 추가 여부에 따른 별다른 작용의 차이가 없으므로 별도의 광안정제가 추가되지 않아도 좋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g) 계면 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g) 계면 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술한 각 구성 성분이 혼합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코팅하면, 소수성을 띄는 투명 플라스틱 기재와 친수성을 띄는 조성물 간의 친화성이 적어서 레벨링이 어렵고 하드코팅의 표면저항 또는 경도 등의 특성을 균일하게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상기 (g)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조성물 코팅시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줌으로서, 하드코팅의 특성이 보다 균일화되게 할 수 있다.
상기 (g) 계면 활성제로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임의의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a) 전도성 필러 0.01-15 중량%와, (b) 유기 바인더 10-80 중량%와, (c) 광중합 개시제의 0.3-10 중량%와, (d) 혼합 유기 용매 10-70 중량%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a) 전도성 필러 0.03-10 중량%와, (b) 2관능 아크릴 모노머의 5-10 중량% 및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의 10-40 중량%와, (c) 광중합 개시제의 0.5-5 중량%와, (d) 유기 용매의 40-70 중량%를 포함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e) 레벨링제의 0.01-5중량%와, (f) 광안정제의 0.01-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e) 레벨링제의 2-5중량%와, (f) 광안정제의 0.5-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이 각 구성 성분을 이러한 함량비로 포함함으로서, 하드코팅의 대전방지 특성, 표면저항, 경도, 내마모성 등의 제반 특성이 최적화되고, 이러한 특성이 균일화되는 한편, 유기물이 아웃개스 형태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미반응 광중합 개시제가 거의 잔류되지 않고, 대부분의 광중합 개시제가 바인더의 아크릴 모노머와 반응하여 하드코팅의 전기적 특성 및 내마모성 등이 최적화된다.
상술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은 각 구성 성분을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함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코팅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또는 ABS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 단계에서는, 플로우 코팅, 딥 코팅 또는 롤러 코팅 등의 방법으로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도포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플로우 코팅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20-30℃의 온도 및 10-40%의 습도 하에서 10mm 노즐을 통해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분사하여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열풍 건조기 등을 이용해, 50-80℃의 온도 하에서 5-10 분간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조사 단계에서는, UV 램프 등을 이용해, 200-600mJ/cm3, 바람직하게는 200-500mJ/cm3의 광량으로 약 5분간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 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알콜 용액에 약 10 분간 침전시킨 후, 초음파를 이용해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로부터 미반응 물질(예를 들어, 미반응 올리고머), 잔류 용매(예를 들어, 고비점 유기 용매), 각종 첨가제 및 이물질 등을 제거 또는 추출하고, 진공 설 비가 구비된 건조기 등을 이용해 100-700 torr의 압력 및 약 60℃의 온도 하에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추가 건조하는 등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코팅방법을 거치면, (c) 광중합 개시제가 자외선을 받아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고, 이러한 자외선 라디칼이 아크릴 모노머의 각 관능기에 포함된 2중 결합을 깨서 가교 반응이 일어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에서 상기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이 경화되어 하드코팅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으로 제조되는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대전방지 투명패널은 LCD 패널 또는 PDP 패널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나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클린룸의 파티션용 투명패널 등을 포함하여 어떠한 산업 분야에 이용되는 투명패널로도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아래에 기재한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비로 혼합하여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광개시제 : Irg #500 (1-하이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의 혼합물; 시바가이기사)
*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 : DPHA(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6관능))
* 2관능 아크릴 모노머 : R-551(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2관능); 일본화학)
* 레벨링제 : 비이온계 폴리아크릴공중합체인 BYK-380(BYK사)
* 광안정제 : 산성그룹을 가지는 고분자염으로 Disperbyk-106(BYK사)
* 전도성 필러 : Baytron PH(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바이엘사)
* 저비점 유기 용매 : 메탄올/이소프로판올 30/70의 혼합 용매
* 고비점 유기 용매 : 메틸셀루솔브
각 구성 성분의 혼합 방법과 이를 통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았다.
우선,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의 혼합 옹매에 광중합 개시제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2관능 아크릴 모노머와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를 가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레벨링제를 조금씩 적하하면서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광안정제를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도성 필러를 첨가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플로우 코팅 방법에 따라, 위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수직 방향에서 10mm 노즐을 통해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분사해 도포하였다. 이 때, 온도는 25℃, 습도 30%를 유지하였다. 조성물로 도포된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열풍 건조기로 이용하여 60℃의 온도 하에서 5 분간 건조한 후, UV 램프로 300mJ/cm3 광량의 자외선을 5분간 조사하였다. 이후,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에탄올 용액에 10분간 침전시킨 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반응 올리고머, 이물질, 각종 첨가제를 제거하고, 잔류 고비점 유기 용매를 추출하였다. 계속하여, 진공 설비가 구비된 건조기를 이용해 진공압을 300 Torr로 고정하여 60℃로 추가 건조를 실시함으로서,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얻었다.
[표 1]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광중합 개시제 Irg #500 (1.5%) Irg #500 (1.5%) Irg #500 (2.0%) Irg #500 (2.5%)
4관능 이상의 아크릴모노머 DPHA (10%) DPHA (20%) DPHA (20%) DPHA (20%)
2관능 아크릴모노머 R-551 (15.5%) R-551 (10%) R-551 (20%) R-551 (20%)
레벨링제 BYK-380 (3.5%) BYK-380 (3.0%) BYK-380 (4.0%) BYK-380 (4.0%)
광안정제 Disperbyk-106 (0.5%) Disperbyk-106 (1.0%) Disperbyk-106 (1.5%) Disperbyk-106 (1.5%)
전도성 필러 Baytron PH (5%) Baytron PH (10%) Baytron PH (20%) Baytron PH (20%)
저비점 유기 용매 메탄올/이소프로판올(35%) 메탄올/이소프로판올(20%) 에탄올/에틸아세테이트(10%) 에탄올/에틸아세테이트(25%)
고비점 유기 용매 메틸셀루솔브 (29%) 메틸셀루솔브 (34.5%) 에틸셀루솔브 (22.5%) 에틸셀루솔브 (7%)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난 구성 성분 및 함량비를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난 구성 성분 및 함량비를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난 구성 성분 및 함량비를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2에 나타난 구성 성분 및 함량비를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표 2]
조성물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광중합 개시제 Irg #500 (1.5%) Irg #500 (1.5%) Irg #500 (2.5%) Irg #500 (2.5%)
4관능 이상의 아크릴모노머 DPHA (25.5%) - DPHA (27%) DPHA (27%)
2관능 아크릴모노머 - R-551 (25%) R-551 (13%) R-551 (13%)
레벨링제 BYK-380 (3.5%) BYK-380 (3.5%) BYK-380 (3.5%) BYK-380 (3.5%)
광안정제 Disperbyk-106 (0.5%) Disperbyk-106 (1.0%) Disperbyk-106 (1.0%) Disperbyk-106 (1.0%)
전도성 필러 Baytron PH (5%) Baytron PH (35%) Baytron PH (20%) Baytron PH (20%)
저비점 유기 용매 메탄올/이소프로판올 (27%) 메탄올/이소프로판올(20%) - 에탄올/에틸아세테이트(33%)
고비점 유기 용매 메틸셀루솔브 (27%) 메틸셀루솔브 (14%) 에틸셀루솔브 (33%) -
비교예 2
표 2에 나타난 구성 성분 및 함량비를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표 2에 나타난 구성 성분 및 함량비를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표 2에 나타난 구성 성분 및 함량비를 적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전도성 필러 대신 ATO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성분, 함량비 및 방법으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대전방지 투명패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각각 제조된 대전방지 투명패널 표면의 하드코팅의 물성을 아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 표면저항 : Ultrahigh resitance기
* 연필경도 : ASTM D3502(연필경도기 테스터기)
* 스크래치 : 스틸울 #0000
* 내화학성 : 알콜류(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케톤류(아세톤), 산성(10% HCl 수용액), 염기성(10% NaOH수용액)의 각 용액에 시료를 1 시간 침지 후 표면상태 변화 측정
* Outgas : GC/MS, HSS-Sampler, 280℃ 10min
* 투과도 : UV-vis 스펙트럼(DARSA PRO-5000 SYSTEM)
* Ion extraction: EDS
[표 3]
조성물 표면저항 연필경도 스크래치 내화학성 Outgas 투과율 Ion extraction
실시예 1 10 7Ω/□ 5H 20 ppm 94% 0.3
실시예 2 10 7Ω/□ 6H 18 ppm 94% 0.1
실시예 3 10 6Ω/□ 5H 23 ppm 94% 0.4
실시예 4 10 6Ω/□ 6H 27 ppm 94% 0.7
비교예 1 10 6Ω/□ 4H × 105 ppm 94% 0.8
비교예 2 10 7Ω/□ 2H 50 ppm 86% 1.2
비교예 3 10 8Ω/□ 5H × 60 ppm 88% 2.3
비교예 4 10 9Ω/□ 6H 120 ppm 85% 1.5
비교예 5 10 6Ω/□ 5H 150 ppm 84% 14.0
* 스크래치 평가: ◎-우수, △-보통, ×-불량
* 내화학성 평가: ◎-우수, △-보통, ×-불량
상기 표 3에서 명백히 드러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용하면,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에 대전방지 특성, 투명도, 표면 저항,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경도 등의 제반 특성이 우수한 하드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에서 금속 또는 무기물 등이 방출되거나 유기물이 아웃개싱되어 방출되는 것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방지 특성, 표면저항, 투명도, 내화학성, 내마모성,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제반 특성이 우수하고, 장기적으로 이러한 특성의 변화가 적으며, 각종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호용필터 등으로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반도체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공정 중에 사용되는 클린룸에 적용하여 전체적인 공정 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a) 전도성 필러와,
    (b) 유기 바인더와,
    (c) 광중합 개시제와,
    (d) 저비점 유기 용매와 고비점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러가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 및 폴리티오펜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바인더는 2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바인더는 2관능 아크릴 모노머의 적어도 1종 및 4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 지 하드코팅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e) 레벨링제, (f) 광안정제 또는 (g) 계면 활성제의 첨가제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a) 전도성 필러 0.01-15 중량%와,
    (b) 유기 바인더 5~80 중량% 와,
    (c) 광중합 개시제의 0.3-10 중량%와,
    (d) 혼합 용매 10-70 중량%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또는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 단계는 20-30℃의 온도 및 10-40%의 습도 하에서 플로우 코팅방법으로 진행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로부터 미반응 물질, 잔류 용매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의 코팅방법.
  11. 제 7 항에 의한 코팅방법으로 제조되는 대전방지 투명패널.
KR1020050133702A 2005-12-29 2005-12-29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KR2007008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702A KR20070087852A (ko) 2005-12-29 2005-12-29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702A KR20070087852A (ko) 2005-12-29 2005-12-29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852A true KR20070087852A (ko) 2007-08-29

Family

ID=3861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702A KR20070087852A (ko) 2005-12-29 2005-12-29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78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478A2 (en) * 2010-04-27 2011-11-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preparing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using graphene and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prepared by the same
KR101133018B1 (ko) * 2009-03-31 2012-04-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수 제전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발수 제전성 조성물로 처리된 폴리에스터 원단
KR101234851B1 (ko) * 2009-12-31 2013-02-19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 코팅 조성물 및 하드코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KR101306429B1 (ko) * 2011-05-04 2013-09-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 대전방지제 및 그 제조방법
US11264675B2 (en) 2016-08-12 2022-03-01 Lg Chem, Ltd. Ink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and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includ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18B1 (ko) * 2009-03-31 2012-04-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수 제전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발수 제전성 조성물로 처리된 폴리에스터 원단
KR101234851B1 (ko) * 2009-12-31 2013-02-19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 코팅 조성물 및 하드코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WO2011136478A2 (en) * 2010-04-27 2011-11-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preparing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using graphene and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prepared by the same
WO2011136478A3 (en) * 2010-04-27 2012-03-0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preparing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using graphene and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prepared by the same
KR101306429B1 (ko) * 2011-05-04 2013-09-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 대전방지제 및 그 제조방법
US11264675B2 (en) 2016-08-12 2022-03-01 Lg Chem, Ltd. Ink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and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414B1 (ko) 항균 및 대전방지 복합 기능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투명시트
KR100926504B1 (ko)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시트 및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18409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1583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1501686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127952B1 (ko)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KR101241280B1 (ko) 자외선 경화형 방오성 대전방지 하드코팅용 조성물
JP4670745B2 (ja) 帯電防止組成物、帯電防止層および帯電防止フィルム
JP2013173871A (ja) 組成物、帯電防止性コート剤及び帯電防止性積層体
KR20170065459A (ko) 반사 방지 필름
JP2005316428A (ja) 干渉縞の発生を防止した帯電防止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5338126B2 (ja) 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塗料と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膜およ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膜付きプラスチック基材並びに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膜付きプラスチック基材の製造方法
EP3689976A1 (en) Ultraviolet-curable paint composition
KR101436616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0794717B1 (ko) 투명패널의 대전방지 코팅액의 제조방법
KR101435364B1 (ko) 대전방지성 하드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성하드코팅 필름
KR100534009B1 (ko) 대전방지성 투명 하드코팅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플라스틱 표면의 코팅방법
KR100199406B1 (ko) 대전방지성 광경화용 하드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
KR20070087852A (ko)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KR100662179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재의 코팅 방법
JP4636773B2 (ja) 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塗料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510392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3055950A1 (ja) 塗料組成物及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524793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3207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및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117

Appeal identifier: 2007101007238

Request date: 2007062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7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1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1212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629

Effective date: 20080117

PJ0801 Rejection of trial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08011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07101007238

Request date: 2007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