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4923A -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923A
KR20070084923A KR1020060017311A KR20060017311A KR20070084923A KR 20070084923 A KR20070084923 A KR 20070084923A KR 1020060017311 A KR1020060017311 A KR 1020060017311A KR 20060017311 A KR20060017311 A KR 20060017311A KR 20070084923 A KR20070084923 A KR 20070084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arm
torsion beam
beam axle
bush assembly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덕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4923A/ko
Publication of KR2007008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92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부재내에 타원형의 홀을 방사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횡력 작용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스토퍼를 외측파이프측으로 절곡하고 끝단에 절개부를 설치하며 부채꼴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차체브라켓트면에서의 녹발생을 방지하며 차량의 조정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탄성부재, 홀, 스토퍼

Description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Trailing Arm Bush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도 1은 , 일반적인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는 , 도 2a의 A-A 단면도,
도 2c는 ,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부재의 횡력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는 ,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 도 3a의 B-B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0 :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61 : 외측파이프
62 : 내측파이프 63 : 탄성부재
64 : 홀 65 : 스토퍼
65a : 개구홀 65b : 절개부
66 : 지지판 67 : 돌출부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부재내의 타원형의 홀을 방사대칭으로 형성하고, 스토퍼를 외측파이프측으로 절곡하고 끝단에 절개부를 설치하며 부채꼴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자동차에 적용되는 비독립 후륜현가장치의 한 종류인 커플드 토션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은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좌,우측 트레일링암(4)과, 상기 좌,우측 트레일링암(4) 사이를 연결하도록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토션빔 액슬(1)과, 상기 토션빔 액슬(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트레일링암(4)사이를 연결하는 토션바(미도시)와, 상기 트레일링암(4)상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체와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시트(2)와, 상기 트레일링암(4)의 후방 일측에 차량의 타어어(미도시) 및 휠(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핀들 마운팅 브라켓트(3)와, 상기 트레일링암(4)의 선단에 일체로 구비된 원통형의 부시파이프(5)와, 상기 부시파이프(5)의 내부에 압입 설치되는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6)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부시 어셈블리(6)와 체결되어 차체프레임(미도시)과 결합하는 차체브라켓트(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6)의 횡력에 대한 강성은 조정안정성 측면에서 크게 설정하고, 전후력에 대한 강성은 승차감 측면에서 작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이고,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탄성부재의 횡력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6)는 트레일링암(4)의 부시파이프(5)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6a)와, 상기 외측파이프(6a)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6b)와, 상기 외측파이프(6a)와 상기 내측파이프(6b)사이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부재(6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6c)에는 축방향의 홀(6d)이 형성되고, 상기 홀(6d)의 단면은 아령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6d)은 상기 내측파이프(6b)의 중심에 대하여 상하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6)는 트레일링암(4)의 부시파이프(5)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6a)와, 상기 외측파이프(6a)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6b)와, 상기 외측파이프(6a)와 상기 내측파이프(6b)사이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부재(6c)와, 상기 내측파이프(6b)의 일단에 차량의 선회시에 상기 외측파이프(6a)와 접촉하는 스토퍼(Stopper;6e)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6e)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6e)는 상기 내측파이프(6b)와 결합하는 개구홀(6f)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c)는 차량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횡력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탄성부재(6c)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홀(6d)의 대향하는 면이 상호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6e)와 접촉하는 상기 차체브라켓트(7)의 면에 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횡력의 작용시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차체브라켓트면 에서의 녹발생을 방지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는 트레일링암의 부시파이프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사이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축방향의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내측파이프의 중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는 트레일링암의 부시파이프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사이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일단에 설치되어 차량의 선회시에 상기 외측파이프와 접촉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측파이프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60)는 트레일링암(4)의 부시파이프(5)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61)와, 상기 외측파이프(61)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62)와, 상기 외측파이프(61)와 상기 내측파이프(62)사이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부재(6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63)에는 축방향의 다수개의 홀(64)이 형성되고, 상기 홀(64)은 상기 내측파이프(62)의 중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63)는 전달되는 외력을 감소시켜 차체쪽으로 상기 외력의 전달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홀(64)은 상기 내측파이프(62)의 중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64)은 상기 내측파이프(62)를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파이프(62)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64)은 차량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횡력 및 제동시에 발생하는 전후력 작용 시 변형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홀(64)은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내부에 대향하는 면이 접촉하지 않아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동시에 발생하는 전후력의 작용 시 전후력에 대한 강성을 작게 하여 승차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내측파이프(62)는 상기 외측파이프(61)의 양단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차체브라켓트(7)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60)는 트레일링암(4)의 부시파이프(5)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61)와, 상기 외측파이프(61)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62)와, 상기 외측파이프(61)와 상기 내측파이프(62)사이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부재(63)와, 상기 내측파이프(62)의 일단에 설치되어 차량의 선회시에 상기 외측파이프(61)와 접촉하는 스토퍼(6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65)는 끝단부위가 상기 외측파이프(61)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5)는 상기 차체브라켓트(7)와 접촉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파이프(61)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차량의 선회시에 상기 스토퍼(65)는 상기 외측파이프(61)와 접촉하게 되고 차량의 횡력에 대한 토-아웃을 감소시켜 조정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스토퍼(65)는 상기 내측파이프(62)와 결합하는 개구홀(65a)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5)는 상기 내측파이프(62)와 코킹결합하여 상기 내측파이프(6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65)의 끝단에는 물빠짐구조를 갖는 절개부(65b)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5)는 부채꼴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체브라켓트(7)와 접촉면을 최소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65)는 상기 외측파이프(61) 측으로 절곡되 고, 끝단에는 물빠짐구조를 갖는 절개부(65b)가 형성되고, 부채꼴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65)와 접촉하는 차체브라켓트(7)와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상기 차체브라켓트(7)면의 녹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측파이프(61)의 상기 스토퍼(65)측의 일단에 지지판(66)이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66)은 상기 외측파이프(6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66)은 상기 외측파이프(6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66)에는 상기 스토퍼(64)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탄성부재(63)가 연장되어 돌출부(67)가 형성된다.
차량의 선회시에 상기 스토퍼(64)는 상기 돌출부(67)에 접촉하게 되고 차량의 횡력에 대한 토-아웃을 감소시켜 조정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60)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부재(63)내의 상기 홀(64)은 차량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횡력 및 제동시에 발생하는 전후력 작용 시 변형되나, 상기 변형된 홀(64)의 대향하는 면은 상호 접촉하지 않아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홀(64)은 상기 내측파이프(62)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에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제동시 발생하는 전후력에 대한 강성을 작게하여 승차감을 좋게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5)는 끝단부위가 상기 외측파이프(61)측으로 절곡되고, 끝단에는 물빠짐구조를 갖는 절개부(65b)가 형성되고, 부채꼴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65)와 접촉하는 차체브라켓트(7)와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상기 차체브라켓트(7)면의 녹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측파이프(61)에는 상기 스토퍼(65)와 소정간격 이격된 돌출부(67)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횡력에 대한 토-아웃을 감소시켜 조정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는 차량에 횡력 작용시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에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와 접촉하는 차체브라켓트면에서의 녹발생을 방지하며, 차량의 조정안정성과 승차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트레일링암의 부시파이프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사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내측파이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내측파이프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4. 트레일링암의 부시파이프에 연결되는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사이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일단에 설치되어 차량의 선회시에 상기 외측파이프와 접촉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끝단부위가 상기 외측파이프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파이프와 결합하는 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파이프와 코킹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끝단에는 물빠짐구조를 갖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부채꼴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의 상기 스토퍼 측의 일단에 지지판이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스토퍼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KR1020060017311A 2006-02-22 2006-02-22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Withdrawn KR20070084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311A KR20070084923A (ko) 2006-02-22 2006-02-22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311A KR20070084923A (ko) 2006-02-22 2006-02-22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923A true KR20070084923A (ko) 2007-08-27

Family

ID=3861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311A Withdrawn KR20070084923A (ko) 2006-02-22 2006-02-22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4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10B1 (ko) * 2008-06-02 2009-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시용 인슐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10B1 (ko) * 2008-06-02 2009-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시용 인슐레이터
US8079576B2 (en) 2008-06-02 2011-12-20 Hyundai Motor Company Insulator for bu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4849B2 (ja) ブッシュ
KR100461602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KR102383225B1 (ko) Ctba용 부시유닛
KR20070084923A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KR100580515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20110062009A (ko) 차량용 부시장착구조
KR20080054223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70070726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용 부시유닛
KR20080028136A (ko) 차량용 안티롤바의 장착구조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KR100456896B1 (ko)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아암 부쉬
KR20180068139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
KR20090052041A (ko) 차량용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KR20080042346A (ko)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KR100456888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어셈블리
KR0177456B1 (ko)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KR20100007184A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0537795B1 (ko) 쇽업소버 장착 구조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JP2025101152A (ja) 緩衝器
KR100383976B1 (ko) 소형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20050100176A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9990019816U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로워아암 부시
KR19990020646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테빌라이저 바아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