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286A -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 Google Patents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3286A KR20070083286A KR1020060013474A KR20060013474A KR20070083286A KR 20070083286 A KR20070083286 A KR 20070083286A KR 1020060013474 A KR1020060013474 A KR 1020060013474A KR 20060013474 A KR20060013474 A KR 20060013474A KR 20070083286 A KR20070083286 A KR 200700832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ocket
- connector
- ground
-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이나 각종 배전반 등의 내부에서 다수의 접속구를 동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접점이 연속 형성된 접지소켓을 3분할 구성하여 이를 본체 내부에 각각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접점과 대응위치에 삽입공이 천공된 커버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는 그 접지소켓으로부터 연장된 접지핀이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를 통해 본체의 연속적인 연결 사용을 가능케 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at the same time in the interior of a lighting lamp or various switchboards, and in particular, a three-segment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rounded continuous contact sockets are formed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By forming a cover with a perforated insertion hole at a contact point and a corresponding position, by forming a protruding ground pin extending from the ground socket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thereby enabling continuous connection of the main body,
중앙 접지소켓으로부터 양측의 분할 접지소켓이 각각 구분되어 통전되므로 분기하거나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의 위치를 임의대로 자유롭게 설정하여 삽입할 수 있는 것이며, 일시에 다수로 분기 및 접속할 수 있어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소켓이나 클립, 나사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전선 단부의 삽입만으로 결선이 이루어지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배전용 분할 접속구에 대한 것이다.Since the divided ground sockets on both sides are energized separately from the center ground socket, the position of the wire to be branched or connected can be freely set and inserted at any time. Since the connection is made only by inserting the end of the wire without using a clip, a screw,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t connection port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anyone can easily us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펑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접속단자 요부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connection of the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전선 접속상태도로서,5A and 5B are wire connection state diagrams of a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분할 접속구에 전선을 삽입하기 전 상태의 단면도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before inserting an electric wire into a split connector;
도 5b는 분할 접속구에 전선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Fig. 5B is a sectional view of the wire inserted into the split connecto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를 이용한 다중 접속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connected state using a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를 연속하여 연결한 상태의 타실시예도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split connection ports are continuous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11,11' : 삽입홈10:
12,12' : 소켓홈 13,13' : 접점12,12 ':
14 : 접지소켓 15,15' : 접지핀14:
16 : 걸림턱16: jam jaw
20 : 커버 21,21' : 삽입공20:
22 : 계지턱22: locking jaw
30 : 연결구 31 : 연결소켓30: connector 31: connection socket
40 : 피복 41 : 전선40: sheath 41: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조명등이나 각종 배전반 등의 내부에서 다수의 접속구를 동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단으로부터 제공되어진 전원을 다수로 분기하고자 하거나 다수의 접속대상물을 동시에 접속되게 하되, 이들 분기선이나 접속선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삽입할 수 있게 하여 그 배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배전용 분할 접속구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plurality of connectors at the same time in the interior of a lighting lamp or various switchboards, and more particularly, to branch to a plurality of power supply provided from the input terminal or to connect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connected at the same time, This invention relates to a split connector for power distribu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freely change and insert the position of a line, thereby facilitating the distribution work.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공장 및 사무실 등으로 전기가 공급되면 그 전기는 다양한 기계장치나 가전제품에 의해 분할 사용되는 것이며, 이들 전기제품은 통상적으로 단일 소켓이나 멀티소켓과의 접속에 의한 통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In general,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homes, factories, and offices, the electricity is divided and used by various mechanical devices or appliances, and these electric appliances are usually connected to a single socket or a multi-socket. Doing.
특히, 건물 내 배전반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급 전원을 각 사용처로 분기하기 위한 분기구가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한 분기구로부터 분기되어진 전선의 단부에는 사용대상의 개체수에 따른 접속구가 각각 구비되어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a building switchboard in a building, a branch port for branching the above-described supply power to each destination is provided, and end portions of the electric wire branched from the branch port are provided with connection por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bjects to be used.
즉, 상기한 분기구는 공급 전원으로부터 다수로 분할하여 각 사용처로 분기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접속구는 다수의 사용대상이 동시에 접속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the bran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from the power supply to provide a branch to each use destination, the connection port serves to allow a plurality of use objects are connected at the same time.
또한, 대형 조명등의 경우에는 그 본체의 내부에 다수개의 안정기 및 램프 등이 내장되는 바, 다수개의 안정기에 각각 전원을 동시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분기소켓 또는 접속소켓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lamp, a plurality of ballasts and lamps are built into the main body, and a branch socket or a connection socket is used as necessary even when pow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ballasts simultaneously.
그러나, 상기한 분기구 및 접속구 등은 대부분 1:1 방식의 전원 연결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가 다중 터미널 소켓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전원 공급부로부터 직선형의 분기라인을 갖게 되므로 분기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러가닥의 점프선을 별개로 연결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이들 점프선에 의한 작업성의 저하 및 안전성이 결여되는 실정이며, 부피도 크고 결선 작업이 까다로운 것이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branching outlets and connecting ports have a form of a 1: 1 power connection,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may be a multi-terminal socket. There is a hassle to form a separate jump line of the strands, the situation is deteriorated in the workability and safety due to these jump lines, bulky and difficult to connect.
즉, 고전압 제품의 경우에는 그 전선의 굵기가 비교적 굵은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굵은 전선의 경우에는 내부 전선을 둥글게 절곡시킨 상태에서 터미널 등에 끼운 상태로 나사 체결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것이며, 불필요하게 과도한 부피 및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어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high voltage products, the thickness of the wire is relatively thick. In the case of such a thick wire, the process is very difficult and cumbersome because the screw must be fastened to the terminal while the inner wire is bent roundly. Inevitably, there is an unnecessarily excessive volume and a complicated configuration, making it difficult to handle.
또한, 접속구 역시 상기한 분기구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어 매우 비효 율적인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branching port and is very inefficient.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접점이 연속 형성된 접지소켓을 3분할 구성하여 이를 본체 내부에 각각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접점과 대응위치에 삽입공이 천공된 커버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는 그 접지소켓으로부터 연장된 접지핀이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를 통해 본체의 연속적인 연결 사용을 가능케 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eliminat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divided into three divided grounding socket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into each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insertion hole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ormed by forming a perforated cover, the both ends of the main body by forming a protruding ground pin extending from the grounding socket, thereby enabling continuous connection of the main body,
중앙 접지소켓으로부터 양측의 분할 접지소켓이 각각 구분되어 통전되므로 분기하거나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의 위치를 임의대로 자유롭게 설정하여 삽입할 수 있는 것이며, 일시에 다수로 분기 및 접속할 수 있어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소켓이나 클립, 나사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전선 단부의 삽입만으로 결선이 이루어지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배전용 분할 접속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Since the divided ground sockets on both sides are energized separately from the center ground socket, the position of the wire to be branched or connected can be freely set and inserted at any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lit connector for distribution having a feature that anyone can easily use because the connection is made only by inserting the end of the wire without using a clip or a screw.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펑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접속구의 접속단자 요부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pli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terminal connection of.
본체(10)의 상부면에는 3열의 장방향 삽입홈(11)(11')을 형성하고, 그 본체(10)의 양측면에는 소켓홈(12)(1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11)(11')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의 절곡판상 접점(13)(13')이 연속하여 형성된 접지소켓(14)(14')을 각각 내장하되, 상기 접지소켓(14)(14')의 양단부에는 접지핀(15)(15')을 형성하여 그 접지핀(15)(15')이 소켓홈(12)(12')의 내부로 돌출되게 하고,Three rows of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20)는, 상기 접점(13)(13')의 간격과 일치하는 복수개의 삽입공(21)(21')을 천공하되, 그 삽입공(21)(21')은 전선 굵기에 따라 대,소 혼합 배치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이때, 상기한 본체(10)의 측선단에는 걸림턱(16)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20)의 측하단에는 계지턱(22)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6)과 계지턱(22)의 상호 계합에 의해 커버(20)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며,In this case, the
상기 소켓홈(12)에 별도의 연결구(30)를 삽입하되,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접지핀(15)(15')이 삽입되는 연결소켓(31)이 내장되어 그 연결구(30)에 의해 각각의 본체(10)를 서로 연결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sert a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은 피복, 41은 전선이다.In the figure,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 배전용 분할 접속구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plit conne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분할 접속구는 본체(10)와 커버(2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한 본체(10)의 상측에는 3열의 장방향 삽입홈(11)(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삽입홈(11)(11')에는 접지소켓(14)이 각각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상기한 본체(10)의 양측면에는 횡상의 소켓홈(12)(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소켓홈(12)(12')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그 분할 접속구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복수개의 본체(10)를 서로 연결하는 용도로 이용된다.In addition,
여기서, 상기한 접지소켓(14)은 절곡판상의 접점(13)(13')이 일정 간격을 갖고 연속하여 형성된 것인데, 상기한 접지소켓(14)의 양단에 형성된 접지핀(15)(15')은 상기 소켓홈(12)(12')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접점(13)(13')은 상기 삽입홈(11)(11')의 내부에서 노출된 상태를 갖게 된다.Here, the
이와 같은 본체(10)의 상측에는 별도의 커버(20)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 상측의 삽입홈(11)(11')을 마감하는 동시에 그 내부 접점(13)(13')과의 결선을 가능케 하기 위한 삽입공(21)(21')이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한 삽입공(21)(21')은 그 본체(10) 내부의 접점(13)(13')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삽입공(21)(21')의 직경은 대,소의 구분을 주어 반복적이거나 혼합 형태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A
이때, 상기한 삽입공(21)(21')을 대,소로 구분 형성하는 이유로는 접지되거나 분기를 위해 삽입되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삽입공(21)(21')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for forming the
또한, 상기한 본체(10)와 커버(20)의 결합 관계는 걸림턱(16)과 계지턱(2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체(10)의 측선단에는 요홈상의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상의 커버(20) 측하단에는 계지턱(22)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 기 계지턱(22)이 걸림턱(16)에 삽입 계지되면서 본체(10)와 커버(2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이와 같은 본체(10) 및 커버(20)의 결합 구성은 상기한 계합 구조뿐만이 아니라 볼트조립이나 록킹구조 및 경첩구조, 나사결합구조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Such a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따라서, 이와 같은 결합상태의 분할 접속구를 이용하여 분기 또는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도 5a의 도시와 같이 전선의 굵기에 알맞는 삽입공(21)(21')을 통해 전선을 밀어 넣으면 그 피복(40)은 삽입공(21)(21')과 알맞게 유도 진입되는 동시에 내부의 전선(41)은 도 5b의 도시와 같이 절곡판상의 접점(13)(13')을 양측으로 벌리며 그 사이로 탄력 삽입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inserting an electric wire to be branched or connected using such a split connection port in such a coupled state, the electric wire is pushed through the
이와 같은 전선의 삽입상태에서 상기한 접점(13)(13')은 지속적으로 내측으로 좁혀지려는 탄력성을 제공하므로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상기한 전선(41)이 분리되거나 이탈하지 않는 것이며 필요에 의해 전선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접점(13)(13')의 탄력 이상의 인장력만 가하면 용이하게 전선의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In the inserted state of the wires, the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분할 접속구를 이용하여 전원의 분기 또는 접속을 하고자 하는 경우 그 본체(10)의 일측 소켓홈(12)에 전원단자를 삽입하여 3개의 접지소켓(14)이 각각 통전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양측의 삽입홈(11)에 위치한 접지소켓(14)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공급선(A)을 분기하여 동시 연결한 것이고, 중간부의 접지소켓(14)은 또다른 공급선(A')을 직접 연결 형성한 것으로 서, 상기 중간 접지소켓(14)은 공용단자가 되는 것이며 양측에 위치한 접지소켓(14)은 각각 통전용 접지단자가 되는 것이다.When branching 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split connector having such a feature, a power terminal is inserted into one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체(10) 일측에 전원용 소켓을 삽입하여 통전이 이루어지게 한 상태에서 분기 또는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을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삽입하면 일시에 모든 분기선 및 접속선에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power socket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이때, 교류전선의 두 가닥 중 한 가닥은 중앙의 접지소켓(14) 측에 삽입하고 나머지 한 가닥은 양 사이드의 접지소켓(14)에 삽입하면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향 및 위치, 형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하므로 전원의 분기 및 접속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At this time, one of the two strands of the alternating current wire is inserted into the grounding
특히, 충격이나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지 않는 배전함이나 분기함 또는 조명등의 내부 본체와 같이 다수의 분기선 및 접속선을 갖는 장소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선 단부의 삽입만으로도 분기 및 접속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분할 접속구에 의해 보다 편리한 작업 및 효율성을 갖게 될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having a plurality of branch lines and connecting lines, such as an inner body such as a distribution box, a branch box, or a light which is not subjected to an impact or an external physical force, the divisional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anched and connected only by inserting the wire end as described above It will have more convenient work and efficiency.
이와 같은 본 발명 분할 접속구는 상기한 본체(10) 하나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7의 도시와 같이 여러개의 분할 접속구를 연속 연결하여 보다 증대된 개체수를 갖는 분기 접속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각각의 본체(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30)가 요구된다.Such a divisional spl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as the
이때의 연결구(30)는 상기 소켓홈(12)(12')으로 삽입되는 외형을 갖고 있으며, 그 삽입깊이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통상 상기 연결구(30)의 절반이 그 소켓홈(12)(12')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양측으로 본체(10)가 삽입되면 그 연결구(30)의 대부분은 은폐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한 연결구(30)는 그 내부에 통전 가능한 연결소켓(31)이 내장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소켓(31)은 본체(10)의 접지핀(15)(15')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각각의 본체(10)를 상기 연결구(30)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하게 되면 그 내부의 접지소켓(14)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체적인 통전 상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따라서, 분기 또는 접속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한 본체(10)를 연속하여 연결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그 사용상의 편리성과 함께 효율성이 크게 증대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배전용 분할 접속구는, 중앙 접지소켓으로부터 양측의 분할 접지소켓이 각각 구분되어 통전되므로 분기하거나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의 위치를 임의대로 자유롭게 설정하여 삽입할 수 있는 것이며, 일시에 다수로 분기 및 접속할 수 있어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소켓이나 클립, 나사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전선 단부의 삽입만으로 결선이 이루어지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lit connection port for power distrib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set and inserted at any time since the split ground sockets on both sides are separately energized from the center ground socket. It can branch and connect to maximize convenience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because the connection is made only by inserting the end of the wire without using sockets, clips or screw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3474A KR20070083286A (en) | 2006-02-13 | 2006-02-13 |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3474A KR20070083286A (en) | 2006-02-13 | 2006-02-13 |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3921U Division KR200416259Y1 (en) | 2006-02-13 | 2006-02-13 |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3286A true KR20070083286A (en) | 2007-08-24 |
Family
ID=3861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3474A Ceased KR20070083286A (en) | 2006-02-13 | 2006-02-13 |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83286A (en) |
-
2006
- 2006-02-13 KR KR1020060013474A patent/KR20070083286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19664B2 (en) | Tangle-resistant decorative lighting assembly | |
CA3046496C (en) | Combination of power outlet and plug-in member for plugging electrical fixtures in an electrical box | |
US6257919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means | |
US5395264A (en) | Electrical connector/adapter | |
JP4843509B2 (en) | Electrical column type terminal block | |
US4367417A (en) | Overhead lighting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 |
US824636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643749A (en) | A low volatage electricity distribution circuit | |
CN117595020A (en) | Plug connector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electrical plug connection formed therefrom | |
CN106252952A (en) | For the adapter of illuminator, corresponding accessory and method | |
US6036533A (en) | Set of harnesses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ornamental light fixtures in a vehicle | |
KR200416259Y1 (en) |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 |
CN110506369A (en) |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ion on a matrix of conductor connecting means and series terminal assembly | |
KR20070083286A (en) | Split Port for Power Distribution | |
KR20150017635A (en) | Connectors and terminals for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 |
KR200412939Y1 (en) |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lighting equipment | |
CN101989697A (en) | Cable system | |
KR100934421B1 (en) | Wire connecting device and wire connecting method using same | |
CN115244791A (en) | Modular high-current plug connector | |
KR102264859B1 (en) | Multi outlet with free connection | |
US7112081B1 (en) | Hermaphroditic electrical coupling assembly | |
KR200282483Y1 (en) | Multi-connector for dividing a power supply | |
AU709346B2 (en) | Modula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nd switching system | |
DE60210978D1 (en) | CONNECTORS FOR A MULTIPLE OF COAXIAL CABLE CONNECTING JACKS | |
JP2002352874A (en) | Joint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8 | Dual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60213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5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