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939Y1 - A connector of supplying power for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connector of supplying power for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2939Y1 KR200412939Y1 KR2020060001857U KR20060001857U KR200412939Y1 KR 200412939 Y1 KR200412939 Y1 KR 200412939Y1 KR 2020060001857 U KR2020060001857 U KR 2020060001857U KR 20060001857 U KR20060001857 U KR 20060001857U KR 200412939 Y1 KR200412939 Y1 KR 2004129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lighting device
- connector
- power supply
- type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2—Three-pol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쪽 단부에 전원입력측 접속단자 및 전원출력측 접속단자가 형성된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전선과; 상기 조명기기의 상기 전원출력측 접속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콘센트형 접속단자 및 상기 조명기기의 상기 전원입력측 접속단자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플러그형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와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lighting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connector of a light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a lighting device having a power input side connection terminal and a power output side connection terminal at both ends, the wir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ductors; And an outlet type connection terminal physical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power output side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device, and a plug type connection terminal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power input side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device, wherein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outlet type connection. It has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plug-type connecting terminal.
본 고안에 의하면, 형광 램프의 다크존을 개선하는 경우, 미관상 수려하고, 커넥터 전선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커넥터의 수명을 증가시킬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할 때 걸리는 조립 작업시간은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내에서도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rk zone of the fluorescent lamp is improved, the appearance of the fluorescent lamp can be improved in appearance, and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or w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increasing the life of the connect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taken when interconnecting the lighting equipment, and also to effect the interconnection of the lighting equipment within a relatively narrow space.
형광등, 전선, 연결, 커넥터, 핀, 홀, 결합, 분리, 플라스틱 Fluorescent, wires, connection, connector, pins, holes, mating, disconnecting, plastic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센트형 접속단자(3a)의 확대 사시도이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형 접속단자(3b)의 확대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조명기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device.
도 6은 종래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조명기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connector of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devic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impl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1 전선, 3a, 13 콘센트형 접속단자,1, 11 wire, 3a, 13 outlet type terminal,
3b, 13b 플러그형 접속단자, 5a, 15a 제1 접속커버,3b, 13b plug connection terminal, 5a, 15a first connection cover,
5b, 15b 제2 접속커버, 7a1~7a3, 삽입핀,5b, 15b 2nd connection cover, 7a1-7a3, insertion pin,
7b1~7b3 수용핀, 21, 23 조명기기,7b1 ~ 7b3 receiving pins, 21, 23 lighting fixtures,
FL1, FL3 형광 램프, PSa1, PSa2 제1 격벽,FL1, FL3 fluorescent lamps, PSa1, PSa2 first bulkhead,
PSb1, PSb2 제2 격벽.PSb1, PSb2 second bulkhead.
본 고안은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기기의 양쪽 단부에 설치된 전원입력측 접속단자 및 전원출력측 접속단자와 각각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된 하나의 조명기기에서 다른 조명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a lighting device, in particular physically coupled to the power input sid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output side connection terminal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lighting device, the other lighting equipment from one lighting device that is powe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a lighting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a furnace.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용 커넥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과, 전원과 연결되는 콘센트형 접속단자 및 전원 공급이 필요한 각종 기기에 결합되는 플러그형 접속단자로 구성되며, 전원은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 및 전선을 통해서 상기 플러그형 전원단자에 결합된 기기로 공급되고 있다. In general, the power supply connector is composed of a wire for supplying power, an outlet type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a plug type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various devices requiring power supply, and the power source is the outlet typ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wire. It is supplied to the device coupled to the plug-type power terminal through.
특히, 형광 램프가 장착되는 조명기기에서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기기를 통해서 다른 조명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a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fluorescent lamp, a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a lighting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another lighting device through a light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종래, 복수의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6 to 8 illustrate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a lighting device used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도 6은 종래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조명기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connector of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device.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명기기(21)와 다른 하나의 조명기기(23)가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하나의 조명기기(21)에는 형광 램프(FL1)가 장착되어 있고, 미도시된 전원공급용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한쪽 단부에 설치된 전원입력측 접속단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형광 램프(FL1)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조명기기(23)에는 형광 램프(FL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명기기(21)의 다른 한쪽 단부에 설치된 전원출력측 접속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통해서 상기 조명기기(21)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조명기기(23)로도 공급되고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6, one
이때, 상기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의 콘센트형 접속단자(13a)는 상기 조명기기(21)의 전원출력측 접속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또 상기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의 플러그형 접속단자(13b)는 상기 조명기기(23)의 전원입력측 접속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let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device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device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1)과; 조명기기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접속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콘센트형 접속단자(13a)와; 조명기기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접속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플러그형 접속단자(13b)로 구성되고,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 (13a)와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13b)는 상기 전선(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7 and 8, the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the lighting device, the
또한,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13a)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커버(15a)와, 복수의 삽입핀(17a1~17a3)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13b)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커버(15b)와, 복수의 수용핀(17b1~17b3)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즉, 이렇게 구성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 램프가 장착되는 조명기기의 상호 연결시 형성되는 다크존을 개선하기 위해, 조명기기(21, 23)의 한쪽 단부를 상호 겹치도록 하여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6, the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the luminai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rove the dark zone formed during the interconnection of the luminaire to which the fluorescent lamp is mounted, One end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device.
그러나, 조명기기의 상호 연결시 발생되는 다크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 중, 콘센트형 접속단자 또는 플러그형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전선 부분을 구부리거나 혹은 절단 및 연결해야 하므로, 미관상 불량하고, 또 전선의 구부림이나 절단 및 연결에 의해 단선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dark zone generated when the lighting equipment is interconnected, among the power supply connectors of the lighting equipment that interconnect the lighting equipment, bend the wire part connected to the outlet type connection terminal or the plug type connection terminal, or Since there is a need to cut and conne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esthetics is poor, and disconnection is generated by bending or cutting and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또한,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선 부분을 구부리거나 혹은 절단 및 연결해야 하므로,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할 때 상대적으로 조립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또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사용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portion must be bent or cut and connected to interconnect the lighting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time is relatively long when the lighting equipment is interconnected, and a relatively large space is us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명기기의 상호 연결시 미관상 수려하고, 또 전선의 구부림이나 절단 및 연결에 의한 단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조명기기의 전 원공급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lighting equipment that is aesthetically beautiful at the time of interconnection of lighting equipment, and prevents the occurrence of disconnection due to bending or cutting and connection of electric wire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명기기의 상호 연결시 조립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또 좁은 공간에서도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for lighting equipment that interconnects lighting equipment in a narrow space, while reducing assembly time when interconnecting lighting equipment.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쪽 단부에 전원입력측 접속단자 및 전원출력측 접속단자가 형성된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전선과; 상기 조명기기의 상기 전원출력측 접속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콘센트형 접속단자 및 상기 조명기기의 상기 전원입력측 접속단자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플러그형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와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connector of a light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a lighting device having a power input side connection terminal and a power output side connection terminal at both ends, the wi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ductors; And an outlet type connection terminal physical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power output side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device, and a plug type connection terminal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power input side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device, wherein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outlet type connection. It has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plug-type connecting terminal.
또한, 본 고안의 전선은 2개 또는 3개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콘센트형 접속단자는 제1 접속커버와, 2개 또는 3개의 삽입핀으로 구성되며, 플러그형 접속단자는 제2 접속커버와, 2개 또는 3개의 수용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wo or three conductive wires. In addition, the outlet type connec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on cover and two or three insertion pins, and the plug type connec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second connection cover and two or three receiving pins.
또한, 상기 제1 접속커버는 2개 또는 3개의 삽입핀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거나 혹은 1개 또는 2개의 제1 격벽에 의해 상기 삽입핀이 분리 되며, 상기 제2 접속커버는 2개 또는 3개의 수용핀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거나 혹은 1개 또는 2개의 제2 격벽에 의해 상기 수용핀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cover is formed with two or three insertion pins open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the insertion pin is separated by one or two first partition walls, and the second connection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three receiving pins are formed in an open st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the receiving pin is separated by one or two second partition walls.
게다가, 상기 삽입핀 및 상기 수용핀은 동일한 재질의 도전성 금속재료로 구성되며, 또 상기 삽입핀은 일자형, 원형 혹은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또 상기 삽입핀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핀도 일자형, 원형 혹은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in and the receiving pin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insertion pin is formed in any one of a straight, circular or square shape, and the receiving pin also corresponds to the insertion p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of any one of a straight, round or square.
그리고, 상기 전선은 일정한 길이로서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와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 사이에서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wire may be stretchable between the outlet typ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lug type connection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lengt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whole figure for demonstrating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thing with the same function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wer supply connector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쪽 단부에 전원입력측 접속단자 및 전원출력측 접속단자가 형성된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도선으로 구성되는 전선(1)과; 콘센트형 접속단자(3a) 및 플러그형 접속단자(3b)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1)은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3a)와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3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power supply of the light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the lighting device formed o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sid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output side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ductors An
이때, 상기 전선(1)은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3a)와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3b) 사이에서 직선 형태로 휘어짐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혹은 신축 가능하면서 휘어짐 가능하게 감겨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본 고안의 전선(1)은 2개 또는 3개의 도선으로 구성되며,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센트형 접속단자(3a)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형 접속단자(3b)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조명기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형 접속단자(3a)는 상기 전선(1)의 한쪽 단부에서 상기 전선(1)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접속커버(5a)와, 2개 또는 3개의 삽입핀(7a1~7a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to 5, the outlet
이때, 상기 제1 접속커버(5a)는 상기 전선(1)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그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제1 격벽(PSa1, PSa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cover (5a) is preferably formed of an oval or rectangular op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re (1), and one or two first partition (PSa1, PSa2) therein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삽입핀(7a1~7a3)은 동일한 재질의 도전체로 구성되어, 상기 전선(1)에 내장된 도선과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제1 접속커버(5a)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ins 7a1 to 7a3 are made of a conductor of the same material,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s embedded in the
한편, 상기 플러그형 접속단자(3b)는 상기 전선(1)의 한쪽 단부에서 상기 전선(1)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2 접속커버(5b)와, 2개 또는 3개의 수용핀(7b1~7b3)으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lug-
또한, 상기 제2 접속커버(5b)는 상기 전선(1)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그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제2 격벽(PSb1, PSb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수용핀(7b1~7b3)은 동일한 재질의 도전체로 구성되어, 상기 전선(1)에 내장된 도선과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제1 접속커버(5a)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ins 7b1 to 7b3 are made of a conductor of the same material,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s embedded in the
또한, 상기 삽입핀(7a1~7a3)은 일자형, 원형 혹은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삽입핀(7a1~7a3)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핀(7b1~7b3)도 일자형, 원형 혹은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ins (7a1 ~ 7a3) is preferably formed in any one of a straight, circular or quadrangular form, and the receiving pins (7b1 ~ 7b3) is also a straight lin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ins (7a1 ~ 7a3) ,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form of any one of a circle or a square.
이상, 본 고안을 실시형태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concretely based on embodiment,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크존을 개선하기 위해 형광 램프가 장착된 조명기기의 상호 연결시, 소정 길이를 갖는 전선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콘센트형 접속단자와 플러그형 접속단자를 각각의 조명기기에 결합하여 하나의 조명기기에서 다른 하나의 조명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미관상 수려하고, 전선의 구부림 또는 절단 및 연결에 의한 커넥터 전선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커 넥터의 수명을 증가시킬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terconnecting a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fluorescent lamp in order to improve the dark zone, each of the outlet-typ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lug-type connection terminal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connected to a luminaire to supply power from one luminaire to another luminaire, so it is aesthetically pleasing and can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or wire by bending or cutting and connecting the wire, thereby prolonging the life of the connector. The effect is to increas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크존을 개선하기 위해 형광 램프가 장착된 조명기기의 상호 연결시, 소정 길이를 갖는 전선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콘센트형 접속단자와 플러그형 접속단자를 각각의 조명기기를 결합하므로,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할 때 걸리는 조립 작업시간은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내에서도 조명기기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ark zone, when connecting the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fluorescent lamp, each of the ligh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outlet-typ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lug-type connection terminal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y combining,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required for interconnecting the luminair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nterconnect the luminaires even in a relatively small spac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857U KR200412939Y1 (en) | 2006-01-20 | 2006-01-20 | A connector of supplying power for ligh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857U KR200412939Y1 (en) | 2006-01-20 | 2006-01-20 | A connector of supplying power for ligh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2939Y1 true KR200412939Y1 (en) | 2006-04-05 |
Family
ID=4176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1857U KR200412939Y1 (en) | 2006-01-20 | 2006-01-20 | A connector of supplying power for ligh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2939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0642A (en) | 2015-07-20 | 2017-02-01 | 김행민 | Power supply connector for lighting apparatus |
KR20210067100A (en) | 2019-11-29 | 2021-06-08 | 이미나 | Improved LED Lighing Apparatus |
-
2006
- 2006-01-20 KR KR2020060001857U patent/KR20041293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0642A (en) | 2015-07-20 | 2017-02-01 | 김행민 | Power supply connector for lighting apparatus |
KR20210067100A (en) | 2019-11-29 | 2021-06-08 | 이미나 | Improved LED Ligh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62264B2 (en) | Interlocking system for hanging decorative lights and fixtures | |
US5834901A (en) | Flashing light string assembly with a pair of sub-light strings per plug | |
JP5682953B2 (en) | LED socket assembly | |
US20120182729A1 (en) | Modular light fixture with power pack | |
US6722918B2 (en) |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 |
JP2007533135A (en) | Flexible high performance LED lighting system | |
CN106252952A (en) | For the adapter of illuminator, corresponding accessory and method | |
US5954538A (en) | Set of harnesses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ornamental light fixtures in a vehicle | |
KR200412939Y1 (en) | A connector of supplying power for lighting apparatus | |
KR100746235B1 (en) | Power Supply for Raceway Lighting System | |
JPH04138608A (en) | Connection members for lighting devices and lighting fixtures | |
KR20150017635A (en) | Connectors and terminals for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 |
WO2020128671A1 (en) | Power connector for an led strip assembly of a light fixture | |
CN205592902U (en) | Combination formula line lamp and connect thereof | |
CN209026576U (en) | LED module, substrate, lighting device, luminaire and lighting system | |
JP6990875B2 (en) | Lighting equipment, lighting fixtures and lighting systems | |
CN105870749A (en) | Switching joint and illuminating device | |
US11346538B1 (en) | LED lighting module with electrical power and data connections | |
CN217978522U (en) | Cupboard lamp and lighting system convenient to wiring | |
KR200404093Y1 (en) | Lamp's electric wire connector | |
KR200416259Y1 (en) | Divisional connector for power distribution | |
CN220489028U (en) | Lamp connecting mechanism and combined lamp | |
KR102673378B1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0263897Y1 (en) | Socket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ocket | |
CN107004990B (en) | Ground connection between a device carrier and a luminaire carrier for a strip 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