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968A - Wallpaper - Google Patents
Wallp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8968A KR20070078968A KR1020060109820A KR20060109820A KR20070078968A KR 20070078968 A KR20070078968 A KR 20070078968A KR 1020060109820 A KR1020060109820 A KR 1020060109820A KR 20060109820 A KR20060109820 A KR 20060109820A KR 20070078968 A KR20070078968 A KR 200700789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locking
- locking lever
- notch
-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Handcar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에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는 벽지 호부기를 제공한다.It is easy to open and close the legs, and further provides a wallpaper caller that can securely lock the legs in the open and closed states, respectively.
다리(2)의 지지점 하방에서 계지용 돌기(5)를 설치하고, 예를 들어 제1노치(6)를 갖는 제1잠금레버(8)와 제2노치(9)를 갖는 제2잠금레버(11)를 설치해서, 핸들봉(14)의 조작에 의해 제1잠금레버(8)와 제2잠금레버(11)를 연동시켜서 회동시키도록 잠금기구를 구성하고, 제1잠금레버(8)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1노치(6)가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해서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겨지고(a), 제1잠금레버(8)의 타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잠금해제로 되어 다리(2)를 닫을 수 있어[(b)~(d)], 폐각상태에서의 제1잠금레버(8)의 잠김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2노치(9)가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해서 폐각상태에서 잠김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f).The locking projection 5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 point of the leg 2, and for example, the first locking lever 8 having the first notch 6 and the second locking lever having the second notch 9 11), the lock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rotate by interlocking the first locking lever 8 and the second locking lever 11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bar 14, and the first locking lever 8 By the rotation in one direction, the first notch 6 engages with the locking projection 5 so that the leg 2 is locked in an open state (a)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locking lever 8 in the other direction. The legs 2 can be closed by the unlocking [(b) to (d)], and the second notch 9 is clos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locking lever 8 in the closed state. Engage with the ground protrusion (5) to be locked in the closed state (f).
Description
도 1(a)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1 (a) and 1 (b) ar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iper leg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rtical cross section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Sectional drawing;
도 2(a)~(f)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2 (a) to 2 (f)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3 (a) and 3 (b) ar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ertical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Cross section showing a cross section;
도 4(a)~(f)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4 (a) to 4 (f)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5 (a) and 5 (b) ar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er leg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rtical cross section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Sectional drawing;
도 6(a)~(f)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6 (a) to 6 (f)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7 (a) and 7 (b) ar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er leg por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rtical cross section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Sectional drawing;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9 (a) and 9 (b) ar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er leg por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rtical cross section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Sectional drawing;
도 10(a)~(f)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10 (a) to 10 (f)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리부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으로 본 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a vertical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 section showing a main portion of a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out leg por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종래의 벽지호부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allpaper call book.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 프레임1: frame
2 : 다리2: leg
3 : 지지부재3: support member
3a : 계지용 돌기3a: locking projection
4 : 지지축4: support shaft
5 : 계지용 돌기5: projection protrusion
6 : 제1노치6: first notch
7 : 제1지점 핀(제1지점)7: first point pin (first point)
7a : 용수철 부재7a: spring member
8 : 제1잠금레버8: 1st locking lever
8a : 돌기8a: protrusion
9 : 제2노치9: second notch
10 : 제2지점 핀(제2지점)10: 2nd point pin (2nd point)
11 : 제2잠금레버11: second locking lever
12 : 장혈12: blood
13 : 핀13: pin
14 : 핸들봉14: handlebar
14a : 노치14a: notch
15 : 용수철15: spring
16 : 핀16: pin
17 : 핀17: pin
18 : 잠금레버18: lock lever
31 : 핀31: pin
32 : 용수철32: spring
[특허문헌 1] 특개평9-299845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cation No. 9-299845
[특허문헌 2] 특개2001-170531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70531
본 발명은 벽지호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開脚) 및 폐각(閉脚)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를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도록 구성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paper exhalation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leg supporting a main body of the exhalation apparatus and a leg mounted at four corners of the frame, the legs being freely open and cl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xially supported by the upper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configured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legs and securely lock the legs into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respectively.
도 13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지호부기는 풀상자나 풀먹임 및 종이반송 등을 행하는 롤러 그룹을 구비한 호부기 본체(A)와 다리부(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다리부(B)는 호부기 본체(A)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프레임 네 코너의 다리(2)에 의해 구성되고, 통상 벽지호부기를 차 등으로 운반하는 때에 높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다리(2)가 접이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 다리(2)를 사용하는 때에 개각상태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놉볼트로 고정하거나 못으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방법은 안정성은 있지 만 작업이 불편하기도 하고 반대로 작업은 용이하지만 안정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13, the wallpaper caller is composed of a caller unit body A and a leg portion B provided with a roller group for carrying out a pool box, grass feed and paper conveying. And the leg part B is comprised by the
그래서, 예를 들면 개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의 회동지점부터 안쪽에 있어서 다리의 측면에 당접하고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되어 다리를 개각상태로 잠그는 잠금부재를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Thus, for example, it has been proposed to provide a locking member which abuts on the side of the leg from the rotational point of the leg and is urged by the urging means and locks the leg in the open state when it is in the open state. See Patent Document 1)
또한, 그와 같이 잠금부재가 다리의 회동지점부터 안쪽 당접하는 구조는 다리의 회동지점에서 상방(안쪽)에 잠금부재를 당접시키기 위한 연장부분을 설치함으로써 그 부분이 폐각한 상태로 회동지점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형태가 되므로 그 만큼 호부기의 폭 치수가 커져 버린다(다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경우)는 점에서 프레임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다리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다리의 회동지점보다 하방에 계지용 돌기를 설치하고 지지부재에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잠금수단을 취부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나아가 호부기의 외형치수 특히 폭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abuts inward from the pivot point of the leg is provided by an extension part for contacting the locking member upwardly (inside) at the pivot point of the leg to the outside of the pivot point with the part closed. Since the width of the swelling machine becomes larg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egs is constant), the upper end of the leg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It is also proposed to install the locking projection below and the locking mean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for easy operation and stability, and further shorten the dimensions of the swelling machine, especially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그러나, 종래의 벽지호부기는 개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의 회동지점에서 안쪽에 있어서 다리의 측면에 당접하고,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되어 다리를 개각상태로 잠그는 잠금부재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의 회동지점에서 안쪽에 연장부분이 필요하고, 그 부분이 폐각상태에서 외측으로 밀어낸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다리를 회동지점보다도 안쪽에서 잠그기 때문에 측방으로부터 외력을 받은 때의 응력이 커져, 잠금상태가 안정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ll paper wiper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eg inward from the rotational point of the leg when it is in the open state, a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which is urged by the urging means to lock the leg in the open state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an extension part is required at the inside of the rotational point of the leg, and the part is pushed outward in the closed angle, and the leg is locked inward from the rotational point. The problem is that the state is not stable.
또한 프레임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다리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다리의 회동지점보다 하방에 계지용 돌기를 설치하고, 지지부재에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잠금수단을 취부한 것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호부기의 폭방향 치수가 다리의 개폐로 커지는 일은 없지만 그렇다고 해도 더욱 해결해야할 과제가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eg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installed in the frame,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talled below the pivot point of the leg, and the lock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As described above, the work is easy and stable, and the widthwise dimension of the swelling machine does not increase 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legs, but there is a problem to be solved even more.
즉, 벽지호부기의 다리를 개각상태로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있으나 그들은 모두 개각 시의 전용으로서 다리를 접어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에 다리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다리를 폐각상태로 고정하는 수단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폐각용 고정수단을 별도로 마련하면 개폐하는 때는 폐각용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개폐한 후, 개각용 고정수단을 고정방향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고, 폐각하는 때에는 개각용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폐각한 후 폐각용 고정수단을 고정방향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어서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의 적재, 하차의 작업이 번잡하다.That is, there are various means for fixing the legs of the wallpaper caller in the open state as mentioned above, but they are all dedicated for the opening of the wall. They are means for fixing the legs in the closed state to stabilize the legs when the legs are folded and transported to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eparately. However, if the closure means for closing is separately provided,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when opening and closing, and then operate the opening means for fixing in the fixed direction. After closing,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closing means for closing in a fixed direction, which is complicated to load and unload when transport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 상태에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는 벽지호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oot, and further provide a wallpaper caller which can be reliably locked in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 및 선단부의 장혈 또는 핀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1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잠금레버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 및 선단부의 핀 또는 장혈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2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2잠금레버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의 선단부와 상기 제2잠금레버의 선단부를 상기 장혈 및 핀의 계합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2잠금레버가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잠금레버의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잠금레버의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e wallpaper ca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paper caller includes a leg supporting the main body of the caller and a leg part which is mounted at four corners of the frame and is open and cl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 locking projection provided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mension from an upper end shaft supporting position of the leg to a lower end side, a first notch and a pinched portion or pin of the tip portion that can engage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when the leg is in an open state; A first locking lever rotatable about a first point fixed to the side, a second notch and a pin or long blood of the distal end that can engage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when the leg is in a closed state; A locking mechanism comprising a second locking lever rotatable about a fixed second point, wherein the first locking The tip of the burr and the tip of the second locking lever are connected by engagement of the blood and pins, and the first locking lever and the second locking lever are interlocked and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notch of the first locking lever engages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to lock the leg in an open state, and when the leg is closed, the second notch of the second locking lever engages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It is configured to lock the leg in the closed state.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벌린 상태로 사용하고 운반 시 등에 높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다리를 접는(닫는) 것으로서, 다리는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다. 그리고 개각 및 폐각 시의 잠금 및 잠금해제 조작은 일방의 잠금레버, 예를 들면 제1잠금레버의 회동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그 경우, 개각상태에서는 제1잠금레버를 일방향(잠금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노치를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 합시킴으로써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그리고 폐각하는 때는 제1잠금레버를 반대방향(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히고 다리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1잠금레버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잠금레버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2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 또한, 개각하는 때는 제1잠금레버를 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가 연동해서 회동하고, 제2로크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회동시켜 열고 다리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제1잠금레버를 잠금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이와 같이 하여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고, 나아가 하나의 잠금레버의 회동조작으로 다리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벽지호부기를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의 적재 하차 시의 개폐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레버를 연동하는 2개의 잠금레버로 구성함으로써 제1노치와 제2노치가 개각 및 폐각 시에 각각 계지용 돌기와 거의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잠금을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This wallpaper calliper is used with the legs open and folded (closed) so that the height does not increase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legs are free to rotate around the point of the upper end.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performed by rotational operation of one locking lever, for example, the first locking lever. In that case, the first locking lev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locking direction) in the opening state. The legs are locked in the open state by engaging the first notch with the locking projections of the legs. In closing, when the first locking leve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release direction), the first notch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and the lock is released. In that state, the leg is rotated about the upper end point to close and the leg is closed. When the first locking lever is rotated in the lock direction in the fully closed state, the second locking lever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notch and engag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eg to lock the leg in the closed state. When the first locking lever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second locking lever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lock lever. The second lock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and the lock is released. When the first locking lever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with the legs completely open, the first notch engag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eg to lock the leg in an open state. In this way, the legs can be reliably locked in the open and closed states, respectively, and further,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egs can be perform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one locking lever. Therefore, for example, opening and closing work at the time of loading and unloading when the wallpaper caller is carried by a vehicle or the like becomes easy. The wallpaper caller consists of two locking levers that interlock the locking levers for fixing the legs in the open and closed stat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engage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with the locking projection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It can be configured to make the lock more secure.
또한,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해당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 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를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잠금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paper ca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lpaper caller having a leg supporting the body and a leg portion consisting of a leg mount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frame and the upper end is axially supported freely open and closed in the frame length direction. A locking projection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shaft supporting position of the leg by a predetermined dimension from a lower end side thereof, a first notch engageable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when the leg is in an open state, and the leg is in a closed angle. And a second notch engageable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the locking lever being rotatable about a point fixed to the frame side, and the first notch being the system of the leg when the leg is opened. When the legs are locked in an open state by turning to a position engaged with the ground protrusion and the legs are closed The second notch can be configured to lock the leg in the closed state by rotating it to a position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벌린 상태로 사용하고 운반 시 등에 높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다리를 접는(닫는) 것으로서, 다리는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다. 그리고 개각상태에서는 잠금레버를 일방향(잠금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노치를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시킴으로써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그리고 폐각하는 때는 잠금레버를 반대방향(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히고 다리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잠금레버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 또한 개각하는 때는 잠금레버를 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회동시켜 열고 다리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잠금레버를 잠금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이와 같이 하여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고, 나아가 하나의 잠금레버의 회동 조작으로 다리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벽지호부기를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의 적재 하차 시의 개폐작업이 용이해진다.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레버가 하나이며 잠금기구의 부품수가 적어도 해결된다.This wallpaper calliper is used with the legs open and folded (closed) so that the height does not increase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legs are free to rotate around the point of the upper end. In the open state, the leg is locked in the open state by rotating the lock lever in one direction (lock direction) and engaging the first notch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When closing, the locking leve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release direction), and the first notch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to release the lock.In that state, the leg is rotated around the upper point to close and the leg is completely closed. When the locking lever is rotated in the lock direction in the state, the second notch engag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eg to lock the leg in the closed state. When opening, the locking lever is rotated in the release direction, and the second notch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and the lock is rotated in such a state that the leg is opened and the lock lever is rotated in the locked direction. The first notch engages wit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eg to lock the leg into an open state. In this way, the legs can be reliably locked in the open and closed states, respectively, and the legs can be locked or unlocked by rotating the lock lever. Therefore, for example, opening and closing work at the time of loading and unloading when the wallpaper caller is carried by a vehicle or the like becomes easy. This wallpaper caller has one locking lever for fixing the legs in the open and closed states, and at least the number of parts of the locking mechanism is solv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가 자중으로 본의 아니게 강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paper ca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urging means for urging the legs in the closed angle direction, for example, to prevent the legs open unintentionally and strongly in their own weight when the wallpaper caller is released from the car by unlocking the legs. You can prevent work in the way.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를 나타낸다.1 and 2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는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a)~(f)는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1 (a) and 1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iper leg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 section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f)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opening-and-clos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leg part of a wallpaper caller.
이 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는 풀상자나 풀먹임 및 종이반송 등을 행하는 롤러 군을 구비한 호부기본체와 각부로 구성된다. 호부기본체는 도 13과 같이 종래부터 주지된 구성을 가진 것이다. 또한 각부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프레임 네 코너의 다리(2)로 구성되어 다리가 접이식으로 되어 있다.The wallpaper caller of this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a caller base body and each part having a roller group for carrying out a box, grass feed, paper conveyance, and the like. The call base member has a conventionally known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each part is composed of a frame (1)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and the legs (2) of the four corners of the frame, the legs are foldable.
다리부의 다리(2)는 상단부가 프레임(1)의 네 코너에 하방수직이 되는 배치로 부착된 지지부재(3)에 고정된 지지축(4)에 회동자재로 축지되고 프레임(1)의 길이방향[도 1(a))의 전후방향, 도 1(b)의 좌우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자재이다.The
그리고, 다리부(2)에는 그 상단부의 지지축(4)에 축지지된 위치(지점위치)에서 하단부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프레임(1)의 전후방향(도 1(a)의 좌우방향, 도 1(b)의 전후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계지용 돌기(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계지용 돌기(5)는 도시한 예에서는 다리(2)의 프레임(1)의 길이방향 내측면에 용접고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이 벽지호부기의 각부는 다리(2)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잠그고 또한 잠금을 해제하여 개폐조작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다리(2)가 개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6)를 갖고, 프레임(1)에 고정된 제1지점 핀(제1지점;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다리(2)를 개각상태로 잠그는 제1잠금레버(8)와 다리(2)가 폐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9)를 갖고, 프레임(1)에 고정된 제2지점 핀(제2지점;1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다리(2)를 폐각한 때에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함으로써 다리(2)를 폐각상태로 잠그는 제2잠금레버(11)를 설치하고 있다.Since each part of the wallpaper caller locks the
제1잠금레버(8)와 제2잠금레버(11)를 제1잠금레버(8)의 선단부의 장혈(12)과 제2잠금레버(11)의 선단부의 핀(13)과의 계합에 의해 연결하고 회동조작용 핸들봉(14)의 양단을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각 한 쌍의 다리(2)의 제1잠 금레버(8)에 고정하고, 이 핸들봉(14)의 조작에 의해 제1잠금레버(8)를 회동조작하고 제2잠금레버(11)를 연동시켜 회동시키도록 구성한 잠금기구를 설치하고 있다.The
그리고 제1지점 핀(7)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수철부재(7a)를 취부하여 그 일단을 제1잠금레버(8)에 걸고 제1잠금레버(8)를 잠금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하고 있다.Then, as shown in Fig. 1 (a), a
이 벽지호부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는 용수철부재(7a)의 부세력에 의해 제1잠금레버(8)를 잠금방향(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노치(6)를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시킴으로써 계지용 돌기(5)는 제1노치(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여 계합한다.As shown in Fig. 2, the wallpaper caller rotates the
그리고, 폐각하는 때는 핸들봉(11)을 조작하여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2(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다리(2)를 손으로 지지축(4;상단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닫을 수 있다[도 2(b),(c),(d)참조].When closing, the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닫히면 제2잠금레버(11)의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 계합가능하게 된다[도 2(e)].When the
이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에 의해 제1잠금레버(8)에는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력을 작용하고 있으므로 제1잠금레버(8)는 잠금방향[도 2(f)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제2지점 핀(10)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며 다리(2)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도 2(f) 참조]. 그 때 도 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용 돌 기(5)는 제2노치(9)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여 계합한다.In this state, the
또한, 개각하는 때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2의 (e)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된다[도 2(d), (c), (b) 참조].In addition, when opening, when the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에 의해 제1잠금레버(8)가 잠금방향[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2(a) 참조].Then, in the state where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벽지호부기의 각부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a)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b), 도 4는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a)~(f)이다.3 and 4 show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a)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locking mechanism of the wallpaper caller and a cross sectional view (b) showing a vertical section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and Fig. 4 is a leg of the wallpaper caller. It is explanatory drawing (a)-(f) which shows negativ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 movement.
이 변형예는 제1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 부세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용수철(15)은 일단을 프레임(1)측에 설치한 핀(16)에 걸고 타단을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보다도 선단측에 설치한 핀(17)에 걸은 것이다. 또한 계지용 돌기(5)를 연장하여 핀(17)을 겸용시키는 형태로 해도 좋다.This modified example is provided with the spring 15 (preliminary means) which attaches the
이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폐각상태의 다리(2)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2)가 자중으로 본의 아니게 힘있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eg portion of the wallpaper caller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but by providing the
이 경우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고, 다리(2)가 폐각상태로 잠궈진 상태[도4 (a) 참조]로부터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4 (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어[도4 (c) 참조], 이 상태에서 다리(2)를 회동시켜 열 수 있지만[도 4(c), (d), (e) 참조], 그 때 다리(2)가 자중으로 힘있게 열리려고 해도 다리(2)는 용수철(15)로 닫히는 쪽으로 부세되어 있어 용수철(15)이 뻗는 만큼 그 부세력이 커지기 때문에 다리(2)가 열림에 따라 열림속도가 늦어진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마지막으로 용수철(15)의 부세력에 대항하듯이 다리(2)를 열게 되고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의 부세력으로 제1잠금레버(8)가 잠금방향(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4(f) 참조].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잠금레버(8)측에 핀을 설치하고 제2잠금레버(11)측에 장혈을 뚫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폐각 시에는 이와 반대의 동작이 되지만 그 때 용수철(15)의 부세력이 폐각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손으로 다리(2)를 닫는 때의 힘이 작아도 된다.Finally, as opposed to the counter force of the
[제2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이상 설명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벽지호부기를 개각상태 또는 폐각상태로 잠그기 위해 제1잠금레버(8) 및 제2잠금레버(11)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를 4개의 다리(2)마다 전후좌우에 4세트 구비하고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ocking mechanism made up of the
벽지호부기가 개각상태인 때에 전후 어느 일방의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에 내측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으면 양 잠금레버(8, 11)가 회동하는 경우가 있다.When the wall paper blower is in the open state, if the worker's hand or an object touches the
전측(또는 후측)의 제1잠금레버(8)의 회동에 의해 핸들봉(14)도 회동되어 후측(또는 전측)의 제1잠금레버(8)도 회동되므로 전후 양방의 제2잠금레버(11)의 노치(9)가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폐각하여 벽지호부기가 경사지거나 전도할 염려가 있다.The
그래서,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를 내측에서 눌러도 핸들봉(14)을 조작하지 않는 한 양 잠금레버(8, 11)가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even when th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5, since the basic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description of the part which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to the same part, and overlaps is abbreviate | omitted.
제1잠금레버(8)에 제3지점 핀(31) 및 돌기(8a)를 형성하고, 이 제3지점 핀(31)을 축으로 하여 핸들봉(14)을 축지시킨다. 핸들봉(14)에는 노치(14a) 및 돌기(1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14a)는 지지부재(3)에 설치한 계지용 돌기(3a)에 계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봉(14)을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하기 때문에 제1지점 핀(7)과 핸들봉(14)에 설치한 돌기(14b)의 사이에 용수철(32)가 걸려있다.A
이 벽지호부기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 제1잠금레버(8)의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함과 동시에 핸들봉(14)의 노치(14a)가 지지부재(3)에 설치한 계지용 돌기(3a)와 계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a), the wallpaper caller registers the handle bar at the same time as the
이 개각상태에 있어서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가 내측으로부터 눌려지고 제1잠금레버(8)가 제1지점 핀(7)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려고 해도 제1잠금레버(8)는 제1지점 핀(7)에 의해 축지되고, 핸들봉(14)은 제1지점 핀(7)으로부터 떨어진 제3지점 핀(31)에 의해 축지되며, 게다가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와 계합하고 있으므로 핸들봉(14)은 상승할 수 없다. 따라서 핸들봉(14)을 조작하여 노치(14a)와 계지용 돌기(3a)와의 계합을 해제하지 않으면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는 회동하지 않는다.In this open state, even if the
그리고, 폐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회동시키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로부터 떨어지고 또 회동시키면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봉(14)의 하부가 제1잠금레버(8)의 돌기(8a)에 당접하여 제1지점 핀(7)을 축으로 하여 제1잠금레버(8)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의해 제1잠금레버(8)의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손으로 다리(2)를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닫을 수 있다[도 6(d)~(f) 참조].When closing, the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닫혀지면 제2잠금레버(11)의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 계합하여 잠궈지고, 게다가 핸들봉(14)도 노치(14a)가 지지부재(3)에 설치한 계지용 돌기(3a)에 계합하여 잠궈지므로 제1잠금레버(8) 또 는 제2잠금레버(11)을 내측으로부터 눌러 회동할 수 없다[도 6(f) 참조].When the
또한 개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면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로부터 떨어지고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6(e)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된다[도 6(d) 참조].In addition, when the
이 상태에서 다리(2)를 회동시켜 열 수 있다[도 2(d), (c), (b) 참조].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에 계합하고 제1잠금레버(8)의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2(a) 참조].In this state, the
[제3실시형태]Third Embodiment
이상 설명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각상태인 벽지호부기의 불필요한 폐각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봉(14)에 노치(14a)를 형성하고 지지부재(3)에 노치(14a)와 계합하는 계지용 돌기(3a)를 설치하여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의 회동을 저지하고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closing angles of the wall paper blowing machine in the open state, the 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7, the basic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2nd Embodiment, and description of the part which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to the same part, and overlaps is abbreviate | omitted.
제3실시형태에서는 제2실시형태와 같이 핸들봉(14)에 노치(14a)를 설치하지 않고, 지지부재(3)에도 계지용 돌기(3a)를 설치하지 않는다. 그 대신 핸들봉(14)을 지점 핀(31)에 회동자재로 축지지하는 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봉(14) 의 구멍(14c)을 지점 핀(31)의 직경보다 크게 뚫어 백래시를 갖게 해둔다.In the third embodiment, 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핸들봉(14)과 제1잠금레버(8)를 백래시하게 하여 축지해 두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 용수철(32)에 의해 핸들봉(14)이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므로 핸들봉(14)의 구멍(14c)의 좌하에 지점 핀(31)이 접촉한다.In this way, if the
전측(또는 후측)의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에 내측으로부터 본의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아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를 회동시키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잠금레버(8)의 노치(6)가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회동하여도 백래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핸들봉(14)의 구멍(14c)의 좌상에 지점 핀(31)이 접촉하고나서 핸들봉(14)이 외동하기 시작하므로 핸들봉(14)이 회동하지 않거나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여도 그 회동각도는 제1잠금레버(8)의 회동각도보다도 작다.The
이와 같이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더라도 후측(또는 전측)의 제1잠금레버(8)를 회동시키지는 않으므로 전후 2세트의 어느 한 세트의 제1잠금레버(8)의 노치와 계지용 돌기(5)와의 계합상태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폐각하는 일은 없다.In this way, even if the
폐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고 핸들봉(14)의 하부를 제1잠금레버(8)의 돌기(8a)에 당접시켜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8의 (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백래시 이상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므로 폐각할 수 있다.At the time of closing, the
[제4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a)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b)이며, 도 10은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a)~(f)이다.9 and 10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a)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length direc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leg portion of the wallpaper caller and a sectional view (b) showing a vertical cross section along the frame length direction, and Fig. 10 is a wallpaper caller It is explanatory drawing (a)-(f) which show the opening-and-clos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leg part.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호부기 본체와 각부로 구성되고 각부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접이식 다리(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리(2)의 축지구조 및 동작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다리부(2)에는 그 상단부의 지지축(4)에 축지지된 위치(지점위치)에서 하단부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프레임(1)의 전후방향(도 9의 (a)의 좌우방향, 도 9(b)의 전후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계지용 돌기(5)가 설치되어 있다.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wallpaper pager of the fourth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the pager body and the respective parts, and each part is constituted by the
그리고, 이 벽지호부기의 각부는 다리(2)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에 있어서 잠그고 또 잠금을 해제하여 개폐조작을 가능케 하기 위해 다리(2)가 개각상태에 잇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6)와, 다리(2)가 폐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9)를 갖고, 프레임(1)에 고정된 지점 핀(지점;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다리(2)를 개각한 때에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는 위치에 회동시킴으로써 다리(2)를 개각상태로 잠그고, 다리(2)를 폐각한 때에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는 위치에 회동시킴으로써 다리(2)를 폐각상태로 잠그는 잠금 레버(18)를 설치하고, 회동조작용 핸들봉(14)의 양단을 전후 각 한 쌍의 다리(2)의 잠금레버(18)에 고정하여 이 핸들봉(14)의 조작에 의해 잠금레버(18)를 회동시키도록 구성한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지점 핀(7)에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수철 부재(7a)를 취부하여 그 일단을 잠금레버(18)에 걸고 잠금레버(18)를 잠금방향(도 9(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하고 있다.Each part of the wallpaper caller is for locking the
이 벽지호부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잠금레버(18)를 해제방향(도 10(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다리(2)를 손으로 지지축(4;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닫을 수 있다[도10(b), (c), (d) 참조].As shown in Fig. 10, this wallpaper caller operates the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닫히면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 계합가능하게 된다[도 10(e) 참조].Then, when the
이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의 부세력에 의해 잠금레버(18)가 잠금방향[도 10(f)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도 10(f) 참조].In this state, the locking
또한 개각하는 때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잠금레버(18)를 해제방향[도 10(e)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된다[도 10(d) 참조].In addition, when opening, the
이 상태에서 다리(2)를 회동시켜 열 수 있다[도 10(d), (c), (b) 참조].The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의 부세력에 의해 잠금레버(18)가 잠금방향[도 10(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10(a) 참조].The locking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 부세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용수철(15)은 일단을 프레임(1)측에 설치한 핀(16)에 걸고 타단을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보다도 선단측에 설치한 핀(17)에 걸은 것이다.Fig. 11 is provided with a spring 15 (loading means) for biasing the
이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4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2)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2)가 자중으로 본의아니게 힘있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수철(15)의 작용은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eg portion of the wallpaper caller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but for example, the
[제5실시형태][Fifth Embodiment]
이상 설명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벽지호부기를 개각상태 또는 폐각상태로 잠그기 위해 잠금레버(18)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를 4개의 다리(2)마다 전후좌우에 4세트 구비하고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ur sets of locking mechanisms including locking levers 18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four
벽지호부기가 개각상태인 때에 전후 어느 일방의 잠금레버(18)에 내측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으면 잠금레버(18)가 회동하는 경 우가 있다. 이 회동이 핸들봉(14)을 통해 반대측의 잠금레버(18)에도 전달되고 전후 양 잠금레버(18)를 회동하여 제1노치(6)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의 계합이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어 폐각하여 벽지호부기가 경사지거나 전도하는 경우가 있다.When the wallpaper caller is in the open state, the locking
그래서 제5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잠금레버(18)의 회동이 핸들봉(14)을 통해 타방의 잠금레버(18)로 전달하는 것을 경감시키기 위해 핸들봉(14)을 잠금레버(18)에 대해 백래시를 갖게 하여 취부한다.Thus, in the fifth embodiment, the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레버(18)에 핸들봉(14)을 취부하는 때에 잠금레버(18)에 2개의 핀(18a)을 설치하고 핸들봉(14)에 장혈(14c) 및 환혈(丸穴; 14d)을 뚫어 잠금레버(18)의 2개의 핀(18a)을 각각 끼워 잠금레버(18)에 대해 핸들봉(14)을 백래시를 갖게 하여 취부한다. 그리고 핸들봉(14)에 뚫는 구멍은 2개 모두 장공(長孔)이어도 좋다.As shown in FIG. 12, when attaching the
전후 어느 일방의 잠금레버(18)에 내측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아 잠금레버(18)를 회동시키고 일방의 잠금레버(18)의 노치(6)가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지기까지 회동하더라도 핸들봉(14)과의 사이에 백래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핸들봉(14)은 회동하지 않거나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더라도 그 회동각도는 잠금레버(18)의 회동각도보다 작다.Unexpectedly the worker's hand or object touches the locking
이와 같이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더라도 반대측의 잠금레버(18)를 회동시키지는 않으므로 전후 2세트의 어느 한 세트의 잠금레버(18)의 노치(6)와 계지용 돌기(5)와의 잠금이 해제되더라도 타방의 한세트의 잠금레버(18)의 노치(6)와 계지 용 돌기(5)와의 계합상태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폐각하는 일은 없다.In this way, even if the
폐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잠금레버(18)를 해제방향으로 백래시 이상으로 회동시키면 양 잠금레버(18)가 회동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므로 폐각할 수 있다.When closing, operate the
이상 실시형태를 도시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example which showed embodiment mentioned above wa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implement in various aspects.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레버를 연동하는 2개의 잠금레버로 구성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1노치와 제2노치가 개각 및 폐각 시에 각각 계지용 돌기와 거의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잠금을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The wallpaper ca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two locking levers interlocking locking levers for fixing the legs in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whereby the first notch and the second notch are respectively opened and closed. It can be configured to engage almost at right angles with the ground protrusion, and the locking can be further secured.
또한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고, 나아가 하나의 잠금레버의 회동조작으로 다리의 잠금 혹은 잠금해제를 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벽지호부기를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wallpaper ca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lock the legs in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respectively, and can further lock or unlock the legs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one locking lever. Easy to open and close the legs when transporting on the back.
더욱이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가 자중으로 본의 아니게 강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wallpaper ca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urging means for urging the leg in the closed angle, for example, by releasing the lock to prevent the leg from being unintentionally strongly opened when the wallpaper caller is pulled out of the car.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no disturbance occurs.
Claims (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023954 | 2006-01-31 | ||
JPJP-P-2006-00023954 | 2006-01-31 | ||
JP2006178768A JP4947629B2 (en) | 2006-01-31 | 2006-06-28 | Wallpaper gluing machine |
JPJP-P-2006-00178768 | 2006-06-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8968A true KR20070078968A (en) | 2007-08-03 |
KR101225343B1 KR101225343B1 (en) | 2013-01-23 |
Family
ID=385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98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5343B1 (en) | 2006-01-31 | 2006-11-08 | Wallpaper pasting mach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947629B2 (en) |
KR (1) | KR1012253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839B1 (en) * | 2019-12-12 | 2021-04-02 | 김강석 | Starching apparatus for wall pap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78104B (en) * | 2015-08-10 | 2017-06-23 | 桂林威迈壁纸有限公司 | A kind of wallpaper starching liquid device |
JP7346028B2 (en) * | 2018-12-28 | 2023-09-19 | 極東産機株式会社 | automatic wallpaper gluing machine |
JP7555168B2 (en) | 2020-06-25 | 2024-09-24 | Klass株式会社 | Automatic wallpaper past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9379A (en) * | 1983-08-12 | 1985-03-01 | Seitetsu Kagaku Co Ltd | Rolling loss recovering device |
JPH0629729Y2 (en) * | 1989-06-22 | 1994-08-10 | 麒麟麦酒株式会社 | Volatile component detector |
JP3062872B2 (en) * | 1995-11-30 | 2000-07-12 |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 Wallpaper gluing machine |
JP3791706B2 (en) * | 1996-05-10 | 2006-06-28 |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 Wallpaper gluing machine |
JP4111471B2 (en) * | 1998-05-06 | 2008-07-02 |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 Wallpaper gluing machine |
JP2001170531A (en) * | 1999-12-15 | 2001-06-26 | Kyokuto Sanki Co Ltd | Wall paper pasting machine |
JP2001224439A (en) * | 2000-02-18 | 2001-08-21 | Hasegawa Kogyo Co Ltd | Folding workbench |
JP2003072300A (en) * | 2001-09-03 | 2003-03-12 |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 Support structure of wallpaper pasting machine |
JP3648207B2 (en) * | 2002-03-05 | 2005-05-18 | マスセット株式会社 | Folding pedestal lock structure |
JP4510522B2 (en) * | 2004-06-02 | 2010-07-28 |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 Support structure for wallpaper pasting machine |
JP5334009B2 (en) * | 2007-11-15 | 2013-11-06 | 極東産機株式会社 | Wallpaper gluing machine |
-
2006
- 2006-06-28 JP JP2006178768A patent/JP4947629B2/en active Active
- 2006-11-08 KR KR1020060109820A patent/KR10122534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839B1 (en) * | 2019-12-12 | 2021-04-02 | 김강석 | Starching apparatus for wall pap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229702A (en) | 2007-09-13 |
JP4947629B2 (en) | 2012-06-06 |
KR101225343B1 (en) | 2013-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81732B2 (en) | Stroller with tray fold and fold latch mechanisms | |
KR101225343B1 (en) | Wallpaper pasting machine | |
KR20000071538A (en) | Lock system of window for cabin | |
WO2011090117A1 (en) | Foldable stroller | |
JP2009532645A (en) | Self-locking mechanism | |
KR20130099231A (en) | Locking device for a fold-over backrest of a seat | |
US11933088B2 (en) | Sliding door structure | |
JP2008127881A (en) | Inside handle device | |
JP5196471B2 (en) | Wallpaper gluing machine | |
JP3632034B2 (en) | Vehicle seat storage device | |
JP4097355B2 (en) | Cab window lock device | |
CN114269597B (en) | Vehicle seat with latch assembly | |
KR200261183Y1 (en) | Tailgate Lock on Dump Truck | |
JPH0355374A (en) | Locking device for locking member of vehicle | |
JP4167741B2 (en) | Latch lock | |
JPH11335094A (en) | Lock mechanism | |
JP3906602B2 (en) | Latch mechanism | |
JP3134579B2 (en) | Car door lock knob structure | |
KR100901408B1 (en) | Jump seat structure of the vehicle | |
US6343525B1 (en) | Manual dual overcenter latch mechanism and lock mechanism | |
JP5063395B2 (en) | Tailgate fall prevention device for dump vehicle | |
JP2007223372A (en) | Cab lock for vehicle | |
JP2010247806A (en) | Locking device for vehicle folding hood | |
JPH11192837A (en) | Window locking device | |
US6393937B1 (en) | Manual dual overcenter latch mechanism and lock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