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144A -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2144A KR20070072144A KR1020050136132A KR20050136132A KR20070072144A KR 20070072144 A KR20070072144 A KR 20070072144A KR 1020050136132 A KR1020050136132 A KR 1020050136132A KR 20050136132 A KR20050136132 A KR 20050136132A KR 20070072144 A KR20070072144 A KR 200700721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module
- communication
- hibernation mode
- mode
- ser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0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266 hibern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5)
- Licensed Network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1 통신 모듈과;GAN(Gerneral Access Network)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과; 그리고,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하이버네이션 모드(Hibernation Mode)로 전환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됨을 인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사용자가 상기 GAN를 통한 통신 서비스의 수행을 요청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서비스 가능 지역에 진입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연결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로의 전환은 유휴 모드 태스크(Idle Mode Task)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통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그리고 셀 탐지,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이 수행되지 않도록 관련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는 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됨을 인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사용자가 상기 GAN을 통한 통신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할 때 수 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불가능 지역에 진입시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의 연결이 해제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는 유휴 모드 태스크(Idle Mode Task)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통한 셀 탐색,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에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전용 모드(Dedicated Mode)로 추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전용 모드로의 변경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통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요청될 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Licenced Network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1 통신 모듈 및 GAN 서비스를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력 절감 방법으로서,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인식하는 단계와;상기 인식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하이버네이션 모드(Hibernation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사용자가 상기 GAN를 통한 통신 서비스의 수행을 요청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에 진입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연결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로의 전환은 유휴 모드 태스크(Idle Mode Task)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통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그리고 셀 탐지,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이 수행되지 않도록 관련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를 인식하는 단계와;상기 인식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하이버네이션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사용자가 상기 GAN을 통한 통신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 진입시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인식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연결 해제될 때 수신되는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는 유휴 모드 태스크(Idle Mode Task)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통한 셀 탐색,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에 부분적으로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사용자로부터 제 1 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서비스 수행 요청을 받는 단계와;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를 해제하고, 전용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30항에 있어서상기 전용 모드로의 변경은 상기 제 1 통신 모듈에 전면적으로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Licensed Network를 지원하는 제 1 통신 모듈 및 GAN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력 절감 방법으로서,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UKCC가 이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GSM-RR에 통지하는 단계와;상기 GSM-RR은 상기 통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물리 계층에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하라고 요청하는 단계와;상기 물리 계층은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32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UKCC가 이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GSM-RR에 통지하는 단계와;상기 GSM-RR은 상기 통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물리 계층에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와;상기 물리 계층은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Licensed Network를 지원하는 제 1 통신 모듈 및 GAN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력 절감 방법으로서,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UKCC가 이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GSM-RLC에 통지하는 단계와;상기 GSM-RLC는 상기 통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물리 계층에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하라고 요청하는 단계와;상기 물리 계층은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 제 34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UKCC가 이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GSM-RLC에 통지하는 단계와;상기 GSM-RLC는 상기 통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의 해제를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물리 계층에 요청하는 단계와;상기 물리 계층은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6132A KR100739183B1 (ko) | 2005-12-30 | 2005-12-30 |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DE602006007940T DE602006007940D1 (de) | 2005-12-30 | 2006-12-28 | Mobiles Mehrfachmodus-Kommunikationsendgerät und Verfahren zur Verringerung seines Energieverbrauchs |
EP06027019A EP1804426B1 (en) | 2005-12-30 | 2006-12-28 |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
US11/617,156 US8082001B2 (en) | 2005-12-30 | 2006-12-28 |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
CN2006101727644A CN1992950B (zh) | 2005-12-30 | 2006-12-30 | 减少其功耗的多模式移动通信终端及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6132A KR100739183B1 (ko) | 2005-12-30 | 2005-12-30 |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2144A true KR20070072144A (ko) | 2007-07-04 |
KR100739183B1 KR100739183B1 (ko) | 2007-07-13 |
Family
ID=3794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6132A KR100739183B1 (ko) | 2005-12-30 | 2005-12-30 |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082001B2 (ko) |
EP (1) | EP1804426B1 (ko) |
KR (1) | KR100739183B1 (ko) |
CN (1) | CN1992950B (ko) |
DE (1) | DE602006007940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19623B2 (en) | 2006-08-08 | 2013-12-31 | Marvell World Trade Ltd. | Ad-hoc simple configuration |
US8732315B2 (en) | 2006-10-16 | 2014-05-20 | Marvell International Ltd. | Automatic ad-hoc network creation and coalescing using WiFi protected setup |
US8233456B1 (en) | 2006-10-16 | 2012-07-31 | Marvell International Ltd. | Power save mechanisms for dynamic ad-hoc networks |
US9308455B1 (en) | 2006-10-25 | 2016-04-12 | Marvell International Ltd. | System and method for gaming in an ad-hoc network |
WO2009006585A1 (en) * | 2007-07-03 | 2009-01-08 | Marvell Semiconductor, Inc. | Location aware ad-hoc gaming |
US20090086657A1 (en) * | 2007-10-01 | 2009-04-02 |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buffer flushing mechanism |
KR20090085300A (ko) * | 2008-02-04 | 2009-08-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
US7979097B2 (en) * | 2008-03-18 | 2011-07-12 | Kyocera Corporation | Power management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S8072912B2 (en) * | 2008-06-25 | 2011-12-06 | Inte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management of shared resources in wireless multi-communication devices |
KR20100103979A (ko) * | 2009-03-16 | 2010-09-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
KR20110088889A (ko) * | 2010-01-29 | 2011-08-04 | 주식회사 팬택 |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CN102547922A (zh) * | 2010-12-24 | 2012-07-04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多模双待终端的跨系统邻区信息传递的方法及设备 |
CN103313358B (zh) * | 2012-03-15 | 2016-08-24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多模通信终端注册长期演进网络的方法及其多模通信终端 |
CN103327580A (zh) * | 2012-03-22 | 2013-09-25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用于降低移动终端功耗的方法和装置、以及移动终端 |
CN103428831A (zh) * | 2012-05-21 | 2013-12-04 | 联想(北京)有限公司 | 电子设备及其通信方法 |
CN102695257B (zh) * | 2012-06-19 | 2016-04-06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终端和终端功耗优化方法 |
JP6048034B2 (ja) * | 2012-09-26 | 2016-12-21 |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 無線局 |
CN104144528B (zh) * | 2013-05-09 | 2019-04-19 | 马维尔国际有限公司 | 一种用于解决多模多卡冲突的方法、设备和装置 |
US20150055527A1 (en) * | 2013-08-26 | 2015-02-26 | Qualcomm Incorporated |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ower savings by optimized data block decod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EP3249979B1 (en) * | 2016-05-23 | 2019-05-08 | Telia Company AB | Management of a connectivity of a mobile device |
EP3864912A4 (en) | 2018-10-10 | 2022-06-15 | ZTE Corporation | ISSUING AND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75677A (en) * | 1994-12-29 | 1995-12-12 |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 Compatible licensed and unlicensed band portable handset unit for TDM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US7596378B1 (en) * | 1999-09-30 | 2009-09-29 | Qualcomm Incorporated | Idle mode handling in a hybrid GSM/CDMA network |
US6487425B1 (en) * | 1999-10-21 | 2002-11-26 | Ericsson Inc. |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 mobile station from a low power limited operations mode to a normal operating mode |
US6922559B2 (en) | 2001-02-26 | 2005-07-26 | Kineto Wireless, Inc. |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base station to facilitate unlicensed and 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subscrib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
US7236475B2 (en) | 2002-02-06 | 2007-06-26 | Ntt Docomo, Inc. | Using subnet relations to conserve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S7251488B2 (en) * | 2002-06-28 | 2007-07-31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services in integrated WLAN-cellular systems |
US7110377B2 (en) * | 2002-10-10 | 2006-09-19 | Qualcomm Incorporated | Dormant handoff in a packet data network |
US7606190B2 (en) * | 2002-10-18 | 2009-10-20 | Kineto Wireless, Inc. | Apparatus and messages for interworking between unlicensed access network and GPRS network for data services |
GB2403098B (en) | 2003-06-16 | 2006-10-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ata re-routing method for dual mode terminal after handover |
KR100560845B1 (ko) * | 2003-10-09 | 2006-03-1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m-mb 단말기의 모뎀 간 절체 방법 |
KR100602166B1 (ko) * | 2003-12-03 | 2006-07-19 | 이노에이스(주) |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핸드오프 제어방법 |
KR100718008B1 (ko) * | 2004-01-06 | 2007-05-14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
KR100612685B1 (ko) * | 2004-04-02 | 2006-08-14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 및 모드 전환방법 |
EP1578095B1 (en) | 2004-03-17 | 2006-06-28 | Alcatel | Method for controlling the sleep mode on a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radio access node |
US7583985B2 (en) * | 2004-03-26 | 2009-09-01 | Broadcom Corporation | MAC controlled sleep mode/wake-up mode with staged wake-up for power management |
KR100612682B1 (ko) * | 2004-03-31 | 2006-08-14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
KR100606782B1 (ko) * | 2004-06-21 | 2006-08-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모드 이동단말기와, 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한통신서비스 전환 방법 |
KR100621020B1 (ko) | 2004-12-08 | 2006-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제어장치 및 방법 |
KR100641230B1 (ko) | 2004-12-23 | 2006-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개선 방법 |
KR100652705B1 (ko) | 2004-12-30 | 2006-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화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
KR100724406B1 (ko) | 2005-01-08 | 2007-06-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시스템 |
KR100677424B1 (ko) | 2005-01-13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버깅 장치 및 그 방법 |
KR100690791B1 (ko) | 2005-03-09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수신율 향상 방법 |
KR100743035B1 (ko) | 2005-07-18 | 2007-07-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상호를 이용하여 방송전달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
KR100677481B1 (ko) | 2005-08-04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fid 기능을 내장한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공유 장치및 방법 |
US8886261B2 (en) * | 2005-12-06 | 2014-11-11 | Motorola Mobility Llc | Multi-mode methods and devices utilizing battery power level for selection of the modes |
-
2005
- 2005-12-30 KR KR1020050136132A patent/KR1007391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
- 2006-12-28 EP EP06027019A patent/EP1804426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12-28 US US11/617,156 patent/US808200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28 DE DE602006007940T patent/DE602006007940D1/de active Active
- 2006-12-30 CN CN2006101727644A patent/CN199295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04426B1 (en) | 2009-07-22 |
CN1992950A (zh) | 2007-07-04 |
DE602006007940D1 (de) | 2009-09-03 |
KR100739183B1 (ko) | 2007-07-13 |
EP1804426A1 (en) | 2007-07-04 |
US8082001B2 (en) | 2011-12-20 |
US20070171882A1 (en) | 2007-07-26 |
CN1992950B (zh) | 2013-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9183B1 (ko) |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
US8755848B2 (en) |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 |
CN101411135B (zh) | 移动终端的睡眠状态和服务启动 | |
JP5512879B2 (ja) | アイドル状態にある無線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に対するページ配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CN101960910B (zh) | 具有代理功能以有助于实现无线客户机终端省电的接入点 | |
JP5220615B2 (ja) | ワイヤレスlanネットワークの検知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 |
US9049746B2 (en) | Management of multi-mode wireless devices | |
US20070264955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paging mechanism within wireless networks including multiple access points | |
US8412205B2 (en) | Method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radio network with at least two supply layers | |
US9961630B2 (en) | Handling modes in a wireless device | |
JP5484743B2 (ja) | 無線通信端末 | |
US9986508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terminal device | |
EP2777360B1 (en) | Management of multi-mode wireless devices | |
Imai et al. | A consolidated power saving architecture accommodating push-type applications for dual-mode devices | |
Mahkoum | Integrated Management of Interface Power (IMIP) Frame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