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85300A -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300A
KR20090085300A KR1020080011115A KR20080011115A KR20090085300A KR 20090085300 A KR20090085300 A KR 20090085300A KR 1020080011115 A KR1020080011115 A KR 1020080011115A KR 20080011115 A KR20080011115 A KR 20080011115A KR 20090085300 A KR20090085300 A KR 2009008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signal
low noise
power
nois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300A/ko
Priority to US12/363,300 priority patent/US8320975B2/en
Priority to EP09151989A priority patent/EP2086115B1/en
Priority to CN2009100063033A priority patent/CN101505553B/zh
Publication of KR2009008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통신수행모드별 저잡음 증폭기 제어를 통해 수신단의 감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상태 전환 시,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서브 제어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활성 제어신호에 의해 자신의 제어권에 존재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파워 온(Power On)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11115
듀얼스탠바이(Dual standby), CDMA, GSM, LNA

Description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ENSITIVITY OF DUAL-STANDBY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듀얼스탠바이(Dual standby)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수신 감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의 보급 및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멀티모드(Multi mode) 휴대단말들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와 같이 한 가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멀티모드 휴대단말의 경우는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해당 서비스 지역에서 각각의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듀얼모드(Dual mode) 휴대단말을 가정하면, 상기 듀얼모드 휴대단말의 경우 상기 CDMA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과 상기 GSM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모두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듀얼모드 휴대단말은 싱글모드(Single mode) 휴대단말에 비해 그 활용도가 높다.
상기 듀얼모드 휴대단말의 경우 각 네트워크 간 전환은 휴대단말의 부팅(booting)이 완료된 후 아이들 모드(Idle mode)로 진입하여 메뉴 조작 등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조작이 복잡하고 모드 전환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듀얼스탠바이(Dual standby) 휴대단말이 제안되었으며, 상기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듀얼모드 휴대단말과는 달리 상기에서 예시한 CDMA 네트워크 및 GSM 네트워크 두 개의 네트워크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각 통신모듈의 수신단에 장착되는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는 슬롯 인덱스(slot index)의 싸이클(cycle)에 따라 주기적으로 파워 온/오프(On/Off)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 파워가 인가된 후 안정화되기 까지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이 통신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발생하는 송신 파워(Tx Power)가 수신대기모드의 다른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로 인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잡음 증폭기는 발진을 하게 되고, 이는 결국 수신대기모드에서 수신신호의 감도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을 위해 통신 수행 모드별로 저잡음 증폭기의 적응적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모드의 통신모듈에 의해 발생하는 송신 파워 간섭으로 인한 저잡음 증폭기의 발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는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온(On)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통화모드 통신모듈의 송신 파워에 의한 저잡음 증폭기의 감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상태 전환 시,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서브 제어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활성 제어신호에 의해 자신의 제어권에 존재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파워 온(Power On)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듀 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에서 통신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이벤트에 대응하여 통화모드로 상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에 대응하여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이벤트 종료를 감지할 시 상기 통화모드에서 수신대기모드로 상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대기모드에 대응하여 비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서브 제어부가 활성 제어신호 입력을 감지할 시, 저잡음 증폭기를 비 슬롯 모드(non-slotted mode)로 전환하여 파워 온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비활성 제어신호 입력을 감지할 시, 저잡음 증폭기를 슬롯 모드(slotted mode)로 전환하여 파워 온/오프 상태를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의 무선주파수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통신수행모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대 제어부를 전송하며, 상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파워 온/오프(On/Off) 반복 및 파워 온(On)을 유지하는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 성 개선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는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가 통화모드에 진입하는 통신모듈의 송신 파워에 의해 발진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이 통화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를 통화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계속 파워 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는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의 오동작을 미연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의 발진으로 인한 감도가 10dB씩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듀얼스탠바이(Dual standby) 휴대단말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조합을 지원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CDMA 네트워크 및 GSM 네트워크의 조합을 비롯하여, GSM 네트워크 및 GSM 네트워크의 조합과 같이 두 개 이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두 개의 네트워크를 동시 지원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세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동시 지원하는 멀티스탠바이(Multi standby) 휴대단말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듀얼스탠바이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듀어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는 수신단의 저잡음 증폭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통신모드에 존재하는 송신단의 송신 파워(Tx Power)의 인입으로 인한 수신단 저잡음 증폭기의 발진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신단의 감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a는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과 네트워크의 관계를 도시한 시스템 도면이고, 도 1b는 휴대단말의 저잡음 증폭기의 슬롯 인덱스 싸이클에 따른 파워 온/오프(On/Off)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도 1a에서는 휴대단말(100)의 제1 통신모듈(110)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의 기지국(BS, Base Station)(200) 신호를 체크하는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130)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의 기지국(300)을 통해 통신 중인 통화모드에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각 통신모듈(110, 130)의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함) 수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는 상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는 슬롯 인덱스(slot index)의 싸이클(cycle)에 따라 주기적으로 파워 온/오프(On/Off)를 반복한다. 즉, 수신대기모드에서 전류 소비를 줄이기 위해 저잡음 증폭기는 슬롯 인덱스 싸이클에 따라 파워 온/오프가 반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통신모듈(130)이 통화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모듈(130)의 제2 안테나(135)를 통한 송신 파워(Tx Power)가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제1 안테나(115)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통신모듈의 송신 파워가 상기 제1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에 인입되면, 상기 저잡음 증폭기는 발진(oscillation)을 하면서 대략 10dB 이상의 수신감도 열화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이 통화모드에 존재하고 다른 통신모듈이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상기 다른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에는 통화모드의 통신모듈에 의한 송신 파워 인입으로 인해 감도 열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감도 열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성능 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2에 나타낸 참조부호 110의 제1 통신모듈(110)의 구성과, 참조부호 130의 제2 통신모듈(130)의 구성을 서로 대응되며, 다만 서로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형성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내부 구성에 대응하는 제2 통신모듈(13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메모리부, 표시부, 입력부 등과 같은 부가적인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100)은, 제1 안테나(115)와, 제1 통신모듈(110)과, 제2 안테나(135)와, 제2 통신모듈(130)을 포함하여 각각의 기지국(200, 3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115, 135)는 각 기지국(200, 300)과의 통신을 위한 각 주파수 대역을 처리한다.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은 상기 제1 안테나(115)를 통해 상기 기지국(2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제1 네트워크(예컨대, CDMA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른 휴대단말과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은 RF 수신모듈(210)과, RF 송신모듈(230), 제1 제어부(250) 및 RF 스위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수신모듈(210)은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RF 수신모듈(210)은 저잡음 증폭기(211),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213), RF수신기(RFR, Radio Frequency Receiver)(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211)는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제1 안테나(115) 및 RF 스위치(27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이 최소화되도록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213)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211)에 의해 증폭된 신호로부터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요구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대역통과필터(213)는 탄성표면파(SAW, Surface Acoustic Wave)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F수신기(215)는 상기 대역통과필터(213)에 의해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를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제1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상기 RF 송신모듈(230)은 상기 기지국(200)으로 송신하기 위한 RF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RF 송신모듈(230)은 상기 제1 제어부(250)를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 스위치(270) 및 제1 안테나(115)를 통해 무선 송신 기능을 지원한다. RF 송신모 듈(230)은 파워 증폭기(PA, Power Amplifier), RF송신기(RFT, Radio Frequency Transmitter)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RF 송신모듈(23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동작과 관계가 없음에 따라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제1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하여 제1 통신모듈(110)을 제어하는 전용 프로세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상기 RF 수신모듈(210), RF 송신모듈(230) 및 RF 스위치(270)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콜(Call) 수신이 요청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의 콜(Call)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상기 RF 수신모듈(2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마이크(MIC, Microphone)(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25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음성통화 처리부와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뎀(MODEM)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저잡음 증폭기(211)의 전류 소비를 줄이기 위해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는 동안 상기 저잡음 증폭기(211)를 미리 설정된 슬롯 인덱스 싸이클(slot index cycle)에 따라 파워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제어라인(control line) 을 통해 상기 저잡음 증폭기(211)를 슬롯 인덱스 싸이클에 따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부(35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라인(control line)을 통해 상기 저잡음 증폭기(211)를 비 슬롯 모드(non-slotted mode)로 전환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기(211)의 파워를 항상 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통신수행모드 상태 전환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대 제어부 즉, 상기 제2 제어부(35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제1 제어부(250)는 통화모드로 진입 시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350)로 제어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다시 수신대기모드로 진입 시 비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350)로 제어라인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F 스위치(270)는 상기 제1 안테나(115)를 공유하여 RF 수신모듈(210) 및 RF 송신모듈(230)을 통한 RF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2 통신모듈(130)은 상기 제2 안테나(135)를 통해 상기 기지국(3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제2 네트워크(예컨대, GSM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른 휴대단말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제2 통신모듈(130)은 RF 수신모듈(310)과, RF 송신모듈(330), 제2 제어부(350) 및 RF 스위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수신모듈(310)은 저잡음 증폭기(311), 대역통과필터(313) 및 RF수신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통신모듈(130) 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 통신모듈(110)에 대응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1 통신모듈(110) 및 제2 통신모듈(130) 중 어느 하나가 통신모드에 존재하는 경우, 수신모드에 존재하는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통신모드의 통신모듈의 송신 파워가 인입되어 발진으로 인한 수신감도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신대기모드에 있는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의 감도 열화 현상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제1 통신모듈(110)이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고, 제2 통신모듈(130)이 통화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통신수행모드별 저잡음 증폭기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2 제어부(350)는 제2 통신모듈(130)이 통화모드로 진입하면(301단계), 이러한 상태 변화를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상기 제1 제어부(250)에게 설정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알려준다(303단계).
그러면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저잡음 증폭기(211)의 상태를 비 슬롯 모드(non-slotted mode)로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기(211)의 상태가 항상 파워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305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2 통신모듈(13)에 의한 통화모드가 종료되어 다시 수신대기모드로 진입하면(307단계), 상기 제2 제어부(350)는 이러한 상태 변화를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상기 제1 제어부(250)에게 설정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알려준다(309단계).
그러면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의 저잡음 증폭기(211)의 상태를 다시 슬롯 모드(slotted mode)로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설정된 슬롯 인덱스 싸이클에 따라 상기 저잡은 증폭기(211)의 상태가 주기적으로 파워 온/오프하도록 제어한다(311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이 통화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통화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다른 하나의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를 계속 파워 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는 통신모듈의 저잡음 증폭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의 발진으로 인한 감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을 위한 저잡음 증폭기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 하여 통신수행모드 상태 변화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메인 제어부라 명명하며, 수신대기모드에 존재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서브 제어부라 명명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활성 제어신호 및 비활성 제어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에 있는 상기 서브 제어부로 상태 변화를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수행모드별 제어 상태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의 특정 통신모듈의 제어부(메인 제어부)는 수신대기모드(410)에서 통화모드(430)로 상태 변화를 감지하면,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수신대기모드에 있는 다른 통신모듈의 제어부(서브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서브 제어부는 자신의 제어권에 있는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온 상태로 유지하는 제어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화모드(430)에서 다시 수신대기모드(410)로 상태 변화를 감지하면, 비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서브 제어부는 자신의 제어권에 있는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슬롯 인덱스 싸이클에 따라 파워를 온/오프하는 제어를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대기모드에 있는 서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서브 제어부는 수신대기모드에서(501단계 ), 메인 제어부의 모드상태변화에 따른 제어신호 입력을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메인 제어부의 통화모드 진입에 따른 활성 제어신호이면(503단계), 상기 서브 제어부 자신의 제어권에 있는 저잡음 증폭기의 모드를 비 슬롯 모드로 전환한다(505단계). 즉,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통화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계속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전술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의 모드상태변화에 따른 제어신호 입력을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메인 제어부의 통화모드에서 수신대기모드 진입에 따른 비활성 제어신호이면(507단계), 상기 서브 제어부 자신의 제어권에 있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모드를 슬롯 모드로 전환한다(509단계). 즉,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전류 소비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슬롯 인덱스 싸이클에 따라 파워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모드에 있는 메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메인 제어부는 수신대기모드에서(601단계 ), 통신 이벤트 발생을 체크할 수 있다(603단계). 상기 통신 이벤트는 네트워크로부터 콜(Call) 수신에 의한 콜 수행 이벤트 및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콜(Call) 발신에 의한 콜 수행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가 통신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수신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상태 전환한다(605단계).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통화모드 진입에 따른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서브 제어부로 전송한다(607단계).
다음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전술한 통화모드에서 통신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 종료를 체크할 수 있다(609단계).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가 통신 이벤트가 종료됨을 감지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수신대기모드로 다시 상태 전환한다(611단계).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수신대기모드 진입에 따른 비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송한다(613단계).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로서, CDMA 네트워크와 GSM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CDMA/GSM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을 실시 예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이 상기 CDMA/GSM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현재 상용화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네트워크들 및 앞으로 개발 및 전개될 통신 네트워크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과 네트워크의 관계를 도시한 시스템 도면,
도 1b는 휴대단말의 저잡음 증폭기의 슬롯 인덱스 싸이클에 따른 파워 온/오프(On/Off)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통신수행모드별 저잡음 증폭기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수행모드별 제어 상태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대기모드에 있는 서브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모드에 있는 메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상태 전환 시,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서브 제어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활성 제어신호에 의해 자신의 제어권에 존재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파워 온(Power On)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활성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저잡음 증폭기를 비 슬롯 모드(non-slotted mode)에 의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상태 전환 시, 비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저잡음 증폭기를 슬롯 모드에 의해 슬롯 인덱스 싸이클(slot index cycle)에 따라 파워 온/오프(Power On/Off)를 반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5.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에서 통신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이벤트에 대응하여 통화모드로 상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에 대응하여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이벤트 종료를 감지할 시 상기 통화모드에서 수신대기모드로 상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대기모드에 대응하여 비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제어신호 및 비활성 제어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수신대기모드에 있는 서브 제어부로 상태 변화를 통지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7.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서브 제어부가 활성 제어신호 입력을 감지할 시, 저잡음 증폭기를 비 슬롯 모드(non-slotted mode)로 전환하여 파워 온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비활성 제어신호 입력을 감지할 시, 저잡음 증폭기를 슬롯 모드(slotted mode)로 전환하여 파워 온/오프 상태를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제어신호 및 비활성 제어신호는 메인 제어부의 상태 변화를 통지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9.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의 무선주파수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통신수행모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대 제어부를 전송하며, 상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파워 온/오프(On/Off) 반복 및 파워 온(On)을 유지하는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는
    수신대기모드에서 통신모드로 상태 전환 시 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대 제어부로 전송하고, 통신모드에서 수신대기모드로 상태 전환 시 비활성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대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제어신호 및 비활성 제어신호는 상대 제어부로 통신수행모드 상태 변화를 통지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활성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를 비 슬롯 모드(mon-slotted mode)로 전환하여 파워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비활성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를 슬롯 모드로 전환하여 파워 온/오프 반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활성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를 비 슬롯 모드(mon-slotted mode)로 전환하여 파워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비활성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를 슬롯 모드로 전환하여 파워 온/오프 반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는,
    미리 설정되는 슬롯 인덱스 싸이클(slot index cycle)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의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
KR1020080011115A 2008-02-04 2008-02-04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KR20090085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15A KR20090085300A (ko) 2008-02-04 2008-02-04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US12/363,300 US8320975B2 (en) 2008-02-04 2009-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ensitivity of dual-standby portable terminal
EP09151989A EP2086115B1 (en) 2008-02-04 2009-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ensitivity of dual-standby portable terminal
CN2009100063033A CN101505553B (zh) 2008-02-04 2009-02-04 用于提高双待机便携式终端的灵敏度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15A KR20090085300A (ko) 2008-02-04 2008-02-04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00A true KR20090085300A (ko) 2009-08-07

Family

ID=4039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115A KR20090085300A (ko) 2008-02-04 2008-02-04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20975B2 (ko)
EP (1) EP2086115B1 (ko)
KR (1) KR20090085300A (ko)
CN (1) CN101505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342B1 (ko) * 2010-12-10 2017-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MX2020004380A (es) 2017-10-25 2021-01-15 Walmart Apollo Llc Sistemas y métodos para enrutar datos en ambientes distribuido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063A (en) * 1994-12-16 1998-02-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receiver immunity to interference
JP3415431B2 (ja) 1998-03-20 2003-06-09 株式会社東芝 無線送受信機とその受信高周波ユニット及び制御ユニット
FI19992810L (fi) * 1999-12-29 2001-06-30 Nokia Mobile Phones Ltd Lähetin/vastaanotin ja menetelmä RF-signaalin vastaanottamiseksi lähetin/vastaanottimessa
KR20040108215A (ko) * 2003-06-17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의 저잡음 증폭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28115B1 (ko) * 2004-08-05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절전 방법
US7463872B2 (en) * 2005-02-24 2008-12-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ain state of a wireless receiver operating in an idle mode
US7590432B2 (en) * 2005-10-06 2009-09-15 Broadcom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low power receiver for signal detection
KR100739183B1 (ko) * 2005-12-30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765484B1 (ko) * 2006-08-2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통신 단말의 시스템 접속 방법 및 장치
CN1976516A (zh) 2006-12-15 2007-06-06 深圳天珑移动技术有限公司 双卡双待机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5553B (zh) 2013-06-19
EP2086115B1 (en) 2011-08-17
US8320975B2 (en) 2012-11-27
US20090197637A1 (en) 2009-08-06
EP2086115A1 (en) 2009-08-05
CN101505553A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097B2 (en) Power management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148341B2 (en) Independent band detection for network protection
KR100819882B1 (ko) 듀얼 모드 듀얼 밴드 단말기의 대기 통화 방사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7324711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EP3542466B1 (en) Desktop signal booster
CN110622440A (zh) 具有自动增益控制的信号增强器系统
CN101102571B (zh) 移动终端和对讲机的复用系统
CN115296692B (zh) 终端的双卡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659142B1 (en) Independent band detection for network protection
US10925115B2 (en) Signal booster with coaxial cable connections
KR20110103625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KR20090085300A (ko)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감도 특성 개선 방법 및 장치
KR20130055537A (ko)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JP2004147191A (ja) 高出力多モード移動体通信用送受信装置
US20090221324A1 (en) Switching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de and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Mode, Based on the Detected Voice Activity of the Transmitter
EP3577797B1 (en) Reducing oscillation in a signal booster
EP4014328B1 (en) Pre-amplifier for a modem
JP2004147004A (ja) ブースター装置
EP1763143B1 (en) A method of sharing at least one functional block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20744B1 (ko)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gps 신호 수신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30889B1 (ko) 듀얼 앰프 중계기
US201102815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multiple-standby mobile terminal
JP2002185396A (ja) 無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