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61424A -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 Google Patents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424A
KR20070061424A KR1020060124229A KR20060124229A KR20070061424A KR 20070061424 A KR20070061424 A KR 20070061424A KR 1020060124229 A KR1020060124229 A KR 1020060124229A KR 20060124229 A KR20060124229 A KR 20060124229A KR 20070061424 A KR20070061424 A KR 20070061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ase
cam
tool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야 하네다
코우이치 타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ublication of KR2007006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42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 B42F13/2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and locked when so engaged, e.g. snap-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부의 높이를 억제하여 베이스부 표면상의 공간을 넓힐 수가 있고, 또한 가공 및 조립도 용이한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부(2)와,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닫힌 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서 닫힌 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열린 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3)과,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닫힌 링 자세와 열린 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레버(4)를 포함하는 전환 기구(5)를 구비하고, 전환 레버는 기단부(41)와 자유단(42)을 가지고, 그 기단부에는 자유단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각 링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캠 부재(6)가 설치되고, 캠 부재는 캠 본체(61)와, 캠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캠축(62)을 가지고, 베이스부에는 캠축의 축받이부(25)가 형성되고, 그 축받이부는 베이스부의 일부를 표면측으로 만곡시킨 만곡 부분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철하는 도구, 베이스부, 링, 전환 레버, 전환 기구, 캠, 축받이

Description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BINDING APPARATUS OF DOCUMENT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베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베이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베이스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A-A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B-B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C-C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주요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주요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캠(cam)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평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캠 부재를 나타내는 도로, (a)는 평단면도, (b)는 측면도, (c)는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스프링 부재를 나타내는 도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하는 도구
2 베이스(base)부
21 베이스 본체
22 측편 부분
25 축받이부
25a 내면
26 개구
27 경사면
29 굴곡부
3 링(ring)
31 제1링 부재
32 제2링 부재
4 전환 레버(lever)
6 캠(cam) 부재
61 캠 본체
62 캠축
63 캠면
64 원호 형상의 홈(groove)
64b 일방의 홈벽(접촉부)
5 전환 기구
51, 52 지지 부재
55 스프링 부재
A 접촉부
K 개방 부분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개소 57-24077호 공보
특허문헌 2: PCT/JP2004/4912
본 발명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서, 링 부재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링을 전환 레버에 의해 개폐 조작하는 철하는 도구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바인더 등의 표지체의 내면에는 복수의 링 부재를 구비한 철하는 도구가 고정되어 있다. 이 철하는 도구로서, 레버 조작에 의해 링을 여는 레버 아치(lever arch)식 철하는 도구가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레버 아치식 철하는 도구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동 문헌에 기재된 철하는 도구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띠판 형상의 베이스(base)부와, 이 베이스부에 설치된 복수의 링(ring) 부재로 구성되는 2개의 링과, 각 링을 닫힌 링 자세와 열린 링 자세로 변화시키는 조작 레버(lever) 부착의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링을 구성하는 각 링 부재 중, 한쪽 편의 링 부재는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조작 레버를 밀어내리는 조작에 의해 링을 개폐시킬 수가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한쪽 편의 링 부재를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에서는, 링의 개방도가 작고, 또한 그 개방 부분이 한쪽 편에 한정되고, 또한 조작 레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링 근방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서류 등을 철하거나 꺼내거나 할 때의 작업성이 나쁘다. 
  또, 이 레버 아치식 철하는 도구는 개폐 기구가 대형으로, 2개의 링 사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그곳으로부터 뻗어있는 레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링 근방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서류 등을 철하거나 꺼내거나 할 때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한번에 많은 서류를 출납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베이스(base)부에 설치한 2개의 링이 열린 링 자세에 있을 때, 각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lever)가 통과 가능하게 구성한 레버 조작식의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를 이미 제안하였다. 이 철하는 도구에서는 링이 열린 링 자세에 있을 때에도, 전환 레버의 자유단을 링의 외측으로 통과시켜 대피 상태로 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류 등을 빼고 끼우고 하는 작업시에 있어서도 전환 레버가 방해가 되는 위치에 오지 않게 함으로써, 서류 등을 바꿔 끼울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철하는 도구에 있어서는, 베이스부로부터 솟아오른 커버(cover) 부분에, 전환 레버의 기단부에 있는 캠 부재의 축받이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 축받이부는 서로 간격을 두어 마주보는 한 쌍의 기립편을 커버 부분의 중앙 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올리고, 양 기립편에 캠 부재의 회전운동 중심으로 되는 축핀(axis pin)을 끼워 가로지르고 있다. 그 때문에, 커버 부분의 중앙부에 약간 큰 눈의 점유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만큼 링 직경을 작게 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예를 들면, 약 32mm 이상의 링 직경으로 한 경우에는 철하는 도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지만, 32mm 미만의 링 직경에서는 양 기립편 등을 포함하는 돌출부가 빼고 끼우고 하는 서류에 따라서는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양 기립편은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솟아올린 후에 만곡시킨 커버부의 중앙부를 더 휨 가공하여 수직으로 솟아올리고 있기 때문에, 기립편에 이르기까지 만곡부를 2개소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고, 가공 정밀도를 올리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가공 정밀도가 저하하면 캠 부재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캠 부재를 고정밀도로 작동시킬 수가 없고 그만큼 캠 부재를 포함하는 전환 기구의 기능도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베이스 부재의 형상이나 캠 부재의 축받이부의 구조에 연구를 집중시킴으로써, 베이스부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부의 높이를 억제하여 베이스부 표면상의 공간을 넓힐 수가 있고, 또한 가공 및 조립도 용이한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닫힌 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서 닫힌 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열린 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닫힌 링 자세와 열린 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레버를 포함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레버는 기단부와 자유단을 가지고, 그 기단부에는 자유단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상기 각 링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캠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는 캠 본체와 캠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캠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캠축의 축받이부가 형성되고, 그 축받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를 표면측으로 만곡시킨 만곡 부분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축의 축받이부는 베이스부의 일부를 표면측으로 만곡시킨 만곡 부분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축의 중심을 베이스부 부근 혹은 그 아래에 설치할 수가 있고, 또한 캠축을 덮는 두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금속판의 두께 정도가 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 표면상으로 돌출하는 축받이부의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베이스부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부의 높이를 억제하여 베이스부 표면상의 공간을 넓힐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표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본체와, 베이스부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본체의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형태로 구부러진 양측의 측편 부분이 금속판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 상기 캠축의 축받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베이스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축받이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2단의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그 가공 정밀도를 현 격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본체에 대해서 직접 축받이부를 형성하므로, 되접어 꺾은 만곡부와 같이 금속판이 변형하기 쉬운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캠 부재의 초기 설정 위치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부는 단면 대략 반원 형상으로서, 그 반원형의 개방 부분이 베이스 본체의 이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축받이부를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베이스 본체의 표면상으로 돌출하는 축받이부는 캠축의 직경의 반에, 축받이부의 금속판의 두께를 더한 정도의 돌출량으로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축받이부 및 캠 부재의 돌출 높이를 더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축받이부의 표면은 베이스부의 측편 부분을 향하여 내리막 기울기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링에 철해 넣는 서류 등의 끝 테두리 부분이 융기한 축받이부에의 접촉에 의해 걸리거나 하지 않도록 원활히 가이드(guide)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링 직경을 작게 해도 서류 등을 끼워 넣거나 꺼내거나 할 때의 작업성을 좋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캠 본체와 캠축이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캠축을 축핀과 같이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의 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조립시에 축핀의 삽입 공정을 제거할 수가 있으므로, 그만큼 가공 및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 본체의 양측의 측면에는 캠축의 외주와 평행으로, 상기 축받이부의 표면으로 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캠 부재의 캠축이 축받이부로부터 하방으로 변위하는(내려가는) 일이 없도록 캠축을 정해진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캠 부재를 고정밀도로 작동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ring)은 베이스부의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배치되고, 전환 기구는 각 링이 열린 링 자세에 있을 때, 각 링의 개방 부분을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링이 열린 링 자세에 있을 때에도 전환 레버의 자유단을 링의 외측으로 통과시켜 대피 상태로 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류 등을 빼고 끼우고 하는 작업시에 있어서도 전환 레버가 방해가 되는 위치에 오지 않게 함으로써, 좌우 어느 쪽의 링에 있어서도 서류 등이 갈아 끼우기 가능하게 되고 작업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은 선단끼리의 접촉에 의해 닫힌 링 자세로 되고, 선단끼리의 이간에 의해 열린 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지고, 전환 기구는 베이스부 내에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이 베이스부의 긴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경사 가능한 2개의 지지 부재를 가지고, 일방의 지지 부재에 제1링 부재가 지지되고, 타방의 지지 부재에 상기 제2링 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양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과 베이스부의 측편 부분의 사이에는 링 부재의 선단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또한 전환 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2개의 지지 부재를 동시에 작동시켜 링을 닫힌 링 자세 및 열린 링 자세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철하는 도구의 링이 닫혀 있는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그 평면도, 도 4는 그 정면도, 도 5는 그 철하는 도구의 링이 열려 있는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그 평면도, 도 7은 그 정면도이다. 도 8∼도 13은 베이스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철하는 도구(1)는 금속판으로 형성된 베이스부(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와, 베이스부(2)에 그 긴 방향(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된 2개의 링(3, 3)과, 전환 레버(4)를 포함하는 전환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링(3)은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서류 등을 철해 넣는 닫힌 링 자세와 도 1 및 도 5∼도 7에 나타내듯이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서 닫힌 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열린 링 자세로 변화할 수가 있다.
  전환 레버(4)는 기단부(41)와 자유단(42)을 가지고, 그 기단부(41)에는 자유단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링(3, 3)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캠 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캠 부재(6)는 캠 본체(61)와, 캠 본체(61)로부터 돌출하는 캠축(62)과, 캠면(63)을 가지고 있다(도 14∼도 19 참조). 캠축(62)은 후술하는 축받이부(25)에 의해 지지된다.
  전환 기구(5)는 베이스부(2)에 설치되고, 링(3, 3)을 그 닫힌 링 자세와 열린 링 자세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전환 기구(5)는 베이스부(2)에 요동 가능(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4)를 포함한다. 그리고, 링(3, 3)이 열린 링 자세에 있을 때,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링(3, 3)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각 도를 참조하여 이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부(2)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도 13에 나타내듯이 1매의 금속판의 가공(휨 가공이나 조임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부(2)는 베이스부(2)의 표면(천판(天板))을 형성하도록 전체로서 상방으로 만곡 가공된 베이스 본체(21)와, 베이스부(2)의 측면(측판)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본체(21)의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형태로 만곡한 양측의 측편 부분(22, 22)이 금속판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측편 부분(22, 22)은 철하는 도구(1)의 조립시에 휨 가공된다.
  베이스 본체(21)는 상면으로부터 보아 띠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양단 근처에는, 예를 들면 바인더의 표지체의 내면에 나사나 리벳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2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21)의 표면에는 하방으로 단면 반원 형상으로 만곡한 홈(groove) 형상의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3)는 베이스 본체(21)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베이스 본체(21)의 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오목부(23)의 홈 폭은 레버(4)의 횡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환 레버(4)의 일부가 오목부(23) 안으로 들어가, 링(3, 3)의 열린 링 자세와 닫힌 링 자세를 확실히 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이스 본체(21)의 중앙부에는 캠축(62, 62)의 축받이부(25, 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25, 25)는 베이스 본체(21)의 일부를 표면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킨 만곡 부분의 내면(25a, 25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25, 25)는 단면 반원 형상으로서, 그 반원형의 개방 부분이 베이스 본체(21)의 이면측(하방)을 향해 있다. 베이스 본체(21)의 축받이부(25, 25)의 사이에는 캠 부재(6)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캠 부재(6)는 베이스 본체(21)의 이면측으로부터 세트(set)된다.
  베이스 본체(21)의 축받이부(25, 25)의 표면은 베이스부(2)의 측편 부분을 향하여 각각 내리막 기울기로 경사지는 경사면(27, 27)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7, 27)은 철해 넣는 서류 등의 끝 테두리 부분이 융기한 축받이부(25, 25)에의 접촉에 의해 걸리거나 하지 않도록 원활히 가이드(guide)하기 위해서 설치한 것이다.
  축받이부(25, 25)는 2개의 링(3, 3)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전환 레버(4)의 힌지(hinge)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베이스 본체(21)에는 상방으로 단면 반원 형상으로 만곡한 축받이부(25, 25)가 베이스 본체(2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이 축받이부(25, 25)의 내면에 캠축(62, 62)이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받이부(25, 25)는 전환 기구(5)의 높이를 억제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2)에는 베이스 본체(21)의 폭 방향 양측 근처로부터 측편 부분(22, 22)에 걸쳐, 후술하는 링 부재(31, 32)를 베이스 본체(21) 위로 돌출시키기 위한 슬롯 형상의 노치(notch)(28, 2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 본체(21)의 폭 방향 양측의 측편 부분(22, 22)에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51, 52)를 그 내면에서 요동(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굴곡부(29, 29)가 형성되어 있다. 각 굴곡부(29)는 베이스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베이스 본체(21)와 측편 부분(22) 및 축받이부(25)를 1매의 금속판의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 이유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전체 구성을 간소화하여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베이스 본체(21) 자체가 커버(cover)를 겸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외관의 향상이나 안전성의 향상 등도 아울러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각 링(3)은 선단(30)끼리의 접촉에 의해 닫힌 링 자세로 되고, 선단(30)끼리의 이간에 의해 열린 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31) 및 제2링 부재(32)를 각각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환 기구(5)는 각 링 부재(31, 32)의 선단(30)끼리가 서로 접근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30)끼리의 최대 이간 거리인 링(3)의 개방도(개방 부분(K)의 간격)를 크게 하여, 서류 등의 빼고 끼울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각 링 부재(31, 32)는 정면에서 보아 거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링 부재(31, 32)의 선단(30)끼리가 이간한 때에 형성되는 링의 개방 부분(K)(도 1, 도 7 참조)은 베이스부(2) 위로서 베이스부(베이스 본체)(2)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환 레버(4)의 회전운동 위치에 대한 링(3, 3)의 개폐 타이밍(timing)을 설정하기 쉬운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전환 레버(4)의 회전운동 각도와 링(3, 3)의 개폐 각도의 관계를 설계하기 쉬운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전환 레버(4)의 기단부에 설치한 캠 부재(6)에는 자유단(42)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각 링(3)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캠면(6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환 레버(4)의 조작만으로 각 링(3)의 개폐도를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환 레버(4)의 조작 각도와 링(3)의 개폐 각도의 관계를 조정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좌우 대칭의 링 부재(31, 32)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링에도 대응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전환 레버(4) 자체는 휨 가공한 금속봉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기단부(41)에는 캠 부재(6)가 고정되고, 그 캠 부재(6)의 캠 본체(61)에 캠면(63)이 형성되어 있다. 캠 부재(6)에는 전환 레버(4)의 기단부를 끼워넣어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65)이 설치되어 있다. 캠 부재(6)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캠 부재(6)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듯이, 캠 본체(61)와 캠축(62, 6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캠축(62, 62)은 캠 본체(61)의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동일 축으로 돌출하여 있다. 캠축(62)의 외주면의 곡률은 축받이부(25)의 내면(25a)의 곡률보다도 끼워맞춤 공차분 정도로 작게 설정되어 있다.
  캠 본체(61)의 양측의 측면에는 캠축(62)의 외주와 평행으로 축받이부(25)의 표면에 접촉하여 캠축(62)의 하방에의 변위를 규제하는 접촉부(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캠 본체(61)와 캠축(62)의 사이에는 접촉부(A)를 구성하기 위한 원호 형상 의 홈(64, 6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 형상의 홈(64, 64)은 베이스 본체(21)의 개구(26)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축받이부(25, 25)의 단부가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반원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 형상의 홈(64, 64)의 홈 폭은 축받이부(25, 25)의 부분을 형성하는 금속판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고, 필요 이상으로 덜거덕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듯이, 원호 형상의 홈(64)의 양측의 홈벽 중 일방의 홈벽(64a)은 캠축의 외주면의 일부로 형성되고, 타방의 홈벽(64b)은 캠축(6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으로 뻗어있는 플랜지(flange) 형상 리브(rib)(66)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원호 형상의 홈(64)은 그 홈 폭분만큼 캠축(62)과 간격을 두어 설치된 플랜지 형상 리브(rib)(6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 형상의 홈(64)은 캠축(62)이 축받이부(25)로부터 하방으로 변위하는(내려가는) 일이 없도록 캠축(62)을 정해진 위치로 유지한다. 즉, 이 원호 형상의 홈(64)은, 도 16에 나타내듯이, 캠 부재(6)의 회전운동 위치가 링(3)을 열린 링 자세로 변화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축받이부(25)의 상면에 타방의 홈벽(64a)이 접촉하여 캠축(62)이, 즉 캠 부재(6)가 하방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이 타방의 홈벽(64a)이 접촉부(A)를 구성하고 있다.
  캠면(63)은,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듯이, 링(3)을 닫힌 링 자세로 유지하는 제1캠면(63a)과, 링(3)을 닫힌 링 자세로부터 열린 링 자세로 이행시키는 제2캠면(63b)과,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듯이 링(3)을 열린 링 자세로 유지하는 제3캠면(63c)을 가지고 있다. 
  전환 기구(5)는 베이스 본체(21)의 이면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이 베이스 본체(2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경사 가능한 2개의 지지 부재(부스트 플레이트(boost plate))(51, 5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방의 지지 부재(51)에 제1링 부재(31)의 기단이 고정되어 지지되고, 타방의 지지 부재(52)에 제2링 부재(32)의 기단이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51, 52)는 각각 베이스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51 및 52)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에 제1링 부재(31, 31) 및 제2링 부재(32, 32)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 부재(51, 52)는 금속판에 의해 띠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의 측변부와 타방의 측변부를 각각 가진다. 각 지지 부재(51, 52)의 일방의 측변부가 베이스부(2)의 측편 부분(22)의 굴곡부(29)의 내면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타방의 측변부끼리가 부분적으로 상하로 겹쳐 있다.
  각 지지 부재(51, 52)도 각각 1매의 금속판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듯이, 평면으로 보면 거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후술하는 겹(lap) 부분이 있다는 점에서 양자의 형상은 약간 상위하다.
  즉, 철하는 도구(1)를 정면에서 보아, 지지 부재(51)의 좌측변부와 지지 부재(52)의 우측변부는 양측의 측편 부분(22)에 형성된 굴곡부(29, 29)에 각각 부딪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지지 부재(51, 52)는 대응하는 측편 부분(22, 22)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또한 가걸어맞춤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지지 부재(51)와 우측의 지지 부재(52)는 서로 상하로 겹치는 겹(lap) 부분을 가지고 있다. 실시의 형태에서는, 우측의 지지 부재(52)의 타방의 측변부에 2개의 돌출편(52b)과 2개의 돌출편 받이부(52c)가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지지 부재(51)의 타방의 측변부에는 지지 부재(52)의 각 돌출편(52b) 및 각 돌출편 받이(52c)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돌출편 받이부(51c)와 2개의 돌출편(51b)이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51)의 2개의 돌출편(51b) 아래에 그들에 대향하는 지지 부재(52)의 돌출편 받이(52c)가 각각 겹쳐 있다. 또한 지지 부재(51)의 2개의 돌출편 받이부(51c) 위에 그들에 대향하는 지지 부재(52)의 돌출편(52b)이 각각 겹쳐 있다.
  양 지지 부재(51, 52)의 타방의 측편부의 중앙 부분에는 캠 부재(6)의 캠면(63)과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부(51d, 52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14∼도 21 참조). 접촉부(51d, 52d)의 전후(지지 부재의 긴 방향의 전후)에는 접촉부(51d, 52d)와의 상대적인 단차를 갖게 하기 위한 오목면(51e, 52e)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63) 중, 링(3)이 닫힌 링 자세에 있을 때, 도 15, 도 17에 나타내듯이 제1캠면(63a)이 접촉부(51d, 52d)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51, 52)의 타방의 측편부를 밀어내리고, 링(3)이 열린 링 자세에 있을 때, 도 14, 도 16에 나타내듯이 접촉부(51d, 52d)가 제3캠면(63c)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51, 52)의 타방의 측편부를 밀어올린다. 이 타방의 측편부를 밀어올리는 힘은 스프링 부재에 유래한다.
  즉, 양 지지 부재(51, 52)와 베이스 본체(21)의 측편 부분(22)의 사이에는 링 부재(31, 32)의 선단(30)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52)에 힘을 가하 는 스프링 부재(55)가 세트(set)되어 있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부재(55)를 일방의 지지 부재(51)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구성으로 하여, 그만큼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전환 레버(4)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2개의 지지 부재(51, 52)를 동시에 작동시켜 링(3)을 닫힌 링 자세 및 열린 링 자세로 변화시킬 수가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 부재(55)는, 도 22에 나타내듯이, 평면으로 보면 개략 M 형상으로서 선재의 휨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4개의 지점부(支点部)(56)와 1개의 부세부(付勢部)(57)를 가지고 있다. 4개의 지점부(56)는 베이스부(2)의 양측의 측편 부분(22)의 내면에 부딪치게 하는 형태로 세트된다. 그 상태에 있어서, 1개의 부세부(57)가 지지 부재(51)의 이면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51)의 타방의 측편부에 상방(베이스 본체(21)의 이면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그 부세부(57)의 솟아오름 각도(θ) 및 길이(L)가 설정되어 있다.
  이 철하는 도구(1)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11∼도 13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듯이, 베이스부(2)의 측편 부분(22)을 반휨 상태로 해 둔다. 이 상태에서, 전환 레버(4) 부착의 캠 부재(6)를 베이스 본체(21)의 이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세트(set)한다.
  다음에, 좌우의 지지 부재(51, 52)의 내측의 측편부의 겹(lap) 부분끼리를 겹쳐 베이스 본체(21)의 이면측에 세트한다. 이때 좌우의 지지 부재(51, 52)에 장착되어 있는 링 부재(31, 32)는 노치(notch)(28)를 이용하여 베이스 본체(21)의 상방으로 이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11∼도 15의 실선으로 나타내듯이, 베이스 부(2)의 측편 부분(22, 22)을 내측으로 휨 가공한다. 그런 후, 스프링 부재(55)를 측편 부분(22, 22) 사이에 끼워 가로질러 세트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철하는 도구(1)를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링(3)을 구성하는 2개의 링 부재(31, 32)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였지만, 링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하다면, 링 부재(31, 32)를 반드시 좌우 대칭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링을 정면에서 보아 D 형상으로 한 것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링의 개방 부분(K)을 전환 레버(4)가 통과 가능한 철하는 도구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고려할 경우, 전환 레버(4)가 개방 부분(K)을 통과 불가능한 철하는 도구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의 입체 형상이나 캠 부재의 축받이부의 구조에 연구를 집중시킴으로써, 베이스부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부의 높이를 억제하여 베이스부 표면상의 공간을 넓힐 수가 있고, 또한 가공 및 조립도 용이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9)

  1.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서류 등을 철해 넣는 닫힌 링 자세와 서류 등을 철해 넣기 위해서 닫힌 링의 일부를 개방하는 열린 링 자세로 변화할 수 있는 링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닫힌 링 자세와 열린 링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레버를 포함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레버는 기단부와 자유단을 가지고, 그 기단부에는 상기 자유단의 회전운동 위치에 의해 상기 각 링의 개폐도를 조정하는 캠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캠 부재는 캠 본체와 캠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캠축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캠축의 축받이부가 형성되고, 그 축받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를 표면측으로 만곡시킨 만곡 부분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표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본체와, 베이스부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형태로 구부러진 양측의 측편 부분이 금속판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 상기 축받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부는 단면 대략 반원 형상으로서, 그 반원형의 개방 부분이 베이스 본체의 이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축받이부의 표면은 베이스부의 측편 부분을 향하여 내리막 기울기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캠 본체와 캠축이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본체의 양측의 측면에는 캠축의 외주와 평행으로 상기 축받이부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베이스부의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배치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각 링이 열린 링 자세에 있을 때, 각 링의 개방 부분을 상기 전환 레버가 통과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링이 상기 닫힌 링 자세에 있을 때의 상기 전환 레버의 일부가 들어가는 홈 형상의 오목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선단끼리의 접촉에 의해 닫힌 링 자세로 되고, 선단끼리의 이간에 의해 열린 링 자세로 되는 제1링 부재 및 제2링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 내에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이 베이스부의 긴 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경사 가능한 2개의 지지 부재를 가지고, 일방의 지지 부재에 상기 제1링 부재가 지지되고, 타방의 지지 부재에 상기 제2링 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양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과 베이스부의 측편 부분의 사이에는 링 부재의 선단끼리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KR1020060124229A 2005-12-09 2006-12-08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Withdrawn KR20070061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6797A JP4804905B2 (ja) 2005-12-09 2005-12-09 書類等の綴じ具
JPJP-P-2005-00356797 2005-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424A true KR20070061424A (ko) 2007-06-13

Family

ID=3780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229A Withdrawn KR20070061424A (ko) 2005-12-09 2006-12-08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90855B2 (ko)
EP (1) EP1795367B1 (ko)
JP (1) JP4804905B2 (ko)
KR (1) KR20070061424A (ko)
CN (1) CN1978214B (ko)
IL (1) IL179915A0 (ko)
MY (1) MY147673A (ko)
SG (1) SG133518A1 (ko)
TW (1) TW2007266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0559B2 (ja) * 2007-08-23 2012-08-15 金田 克己 バインダー綴具
JP5540372B2 (ja) * 2009-05-29 2014-07-02 コクヨ株式会社 ファイル
JP4628480B1 (ja) 2009-08-11 2011-02-09 株式会社カレンダー広告 カレンダーペンケース、筆箱付きカレンダーのバインダー付きリーフベース
JP4880049B2 (ja) * 2010-03-10 2012-02-22 株式会社キングジム 書類等の綴じ具
JP5592145B2 (ja) * 2010-04-27 2014-09-17 株式会社キングジム ハウジング及び綴じ具
JP5528895B2 (ja) * 2010-04-27 2014-06-25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じ具
JP5461291B2 (ja) * 2010-04-27 2014-04-02 株式会社キングジム 軸受けへの部材取付機構、カムへの部材取付機構及び綴じ具
US9821594B2 (en) 2012-11-19 2017-11-21 U.S. Ring Binder, L.P. Locking ring metal
US9815315B2 (en) * 2012-11-19 2017-11-14 U.S. Ring Binder, L.P. Locking ring metal
JP2015077789A (ja) * 2013-10-15 2015-04-23 ワールド・ワイド・ステイショナリー・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World Wide Stationery Manufacturing Co. Ltd. ロープロファイルリングバインダー機構
CN104553467B (zh) * 2013-10-15 2017-06-13 国际文具制造厂有限公司 低轮廓环式活页夹机构
TWI649556B (zh) * 2017-11-24 2019-02-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檢驗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2156A (ko) * 1953-05-20
BE628243A (ko) * 1962-02-13
US3248750A (en) * 1963-09-30 1966-05-03 Winzeler South Inc Furniture hardware
DE2540341C3 (de) * 1975-09-10 1980-01-10 Bayerwald Plastikwaren-, Kartonagen- Und Spielefabrik Walter Aulfes Kg, 8000 Mu Einhängeeinrichtung für Aktenordner
DE2702042C3 (de) * 1977-01-19 1980-06-19 Bayerwald Plastikwaren-, Kartonagen- Und Spielefabrik Walter Aulfes Kg, 8000 Muenchen Einhangeeinrichtung für Aktenordner
JPS5724077U (ko) 1980-07-18 1982-02-08
US4830528A (en) * 1988-09-01 1989-05-16 Anthony Handler Closure mechanism for a loose-leaf holder
NL9101174A (nl) * 1990-10-12 1992-05-06 Ode Off Data Europ Inrichting voor het opbergen van documenten.
US5222825A (en) * 1992-03-18 1993-06-29 The Mead Corporation Round back binder
US6276862B1 (en) * 1999-09-15 2001-08-21 Acco Brands, Inc. Binder mechanism
US6637968B2 (en) * 2001-05-07 2003-10-28 Hong Kong Stationery Manufacturing Co., Ltd. Three-ring binder with actuating crank
US20030044221A1 (en) * 2001-08-30 2003-03-06 To Chun Yuen Binder device with linked arches
US20030113156A1 (en) * 2001-12-17 2003-06-19 To Chun Yuen Housing for a ring binder mechanism and a ring binder formed of same
GB2387815B (en) * 2002-04-24 2005-05-11 World Wide Stationery Mfg Co A ring binder mechanism and a ring binder incorporating same
US20070274769A1 (en) * 2004-04-05 2007-11-29 Hiroshi Shimada Binder For Doc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04905B2 (ja) 2011-11-02
SG133518A1 (en) 2007-07-30
IL179915A0 (en) 2007-05-15
TW200726659A (en) 2007-07-16
MY147673A (en) 2012-12-31
CN1978214B (zh) 2010-12-01
CN1978214A (zh) 2007-06-13
EP1795367A2 (en) 2007-06-13
EP1795367A3 (en) 2011-08-03
JP2007160572A (ja) 2007-06-28
US7690855B2 (en) 2010-04-06
US20070134053A1 (en) 2007-06-14
EP1795367B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1424A (ko)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KR100198317B1 (ko) 링 체결구
TWI701161B (zh) 裝訂具
US20020029523A1 (en) Guiding structure for moving member
CN110089866B (zh) 保持装置
KR20130063534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20210020797A (ko) 차량 도어 체커
US20040086323A1 (en) Binder
JP4168088B2 (ja) クリップ
JP5022351B2 (ja) 綴じ具
JP4230727B2 (ja) 2枚のパネル形状部材のための操作機構
JP4626816B2 (ja) パチンコ機
JP6823281B2 (ja) リングとじ具及びリングファイル
KR102164757B1 (ko) 캔 뚜껑
JP2017501917A (ja) 変位可能な素子を案内するスライダを備えた車両
JP4880049B2 (ja) 書類等の綴じ具
EP1834809A1 (en) Binding implement for document
HK1107311A (en) Binding tool for documents or the like
US8545122B2 (en) Binding device
JP4429511B2 (ja) シートのスライドレバー取付け構造
JP2005349988A (ja) 車両用蓋開閉機構
JP4870229B2 (ja) 綴じ具
JP2017222101A (ja) 綴じ具
JP4920759B2 (ja) 書類等の綴じ具
JP2023003749A (ja) 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