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52669A - 수동 광학 네트워크의 통신 설비를 위한 개선된 데이터전송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수동 광학 네트워크의 통신 설비를 위한 개선된 데이터전송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669A
KR20070052669A KR1020060113163A KR20060113163A KR20070052669A KR 20070052669 A KR20070052669 A KR 20070052669A KR 1020060113163 A KR1020060113163 A KR 1020060113163A KR 20060113163 A KR20060113163 A KR 20060113163A KR 20070052669 A KR20070052669 A KR 20070052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output
linked
input
op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띠에리 자미
도미니꿰 찌아로니
Original Assignee
알까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filed Critical 알까뗄
Publication of KR2007005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66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using a single light source for multipl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2Star-type networks or tree-typ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2007/047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using a sine signal or unmodulate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5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with photonic or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8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recurring cyc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리모트라 불리는 적어도 2개의 통신 설비(ED-1-ED-k)에 전송 및 라우팅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헤드라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설비(TR)를 포함하는 수동 광학 네트워크(R)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헤드(TR)는, 선택된 비트 레이트에 따라 전송되며 제1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광 캐리어의 제1 부분과, 상기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베이스 주파수에서의 클럭 신호에 의해 변조되고 제2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상기 광 캐리어의 제2 부분의 변경을, 리모트 설비(ED-1-ED-k)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리모트 설비(ED-1-ED-k)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수신된 부분 내의 상기 베이스 주파수를 회복하며, 한편 전송될 데이터로 이를 포함되는 클럭 신호를 과변조한 후 연속적으로 수신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시간 슬롯에 대응하는 일부분을 상기 네트워크 헤드에 의해 동기화된 선택된 시간 슬롯 동안 상기 네트워크 헤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설비, 리모트 설비, 광학 네트워크, 라우팅 수단, 광 섬유

Description

수동 광학 네트워크의 통신 설비를 위한 개선된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IMPROVED DATA TRANSMISSION DEVICES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OF A PASSIVE OPICAL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네트워크 헤드 및 리모트 설비를 포함하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의 제1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송신/수신 디바이스를 구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디바이스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네트워크 헤드 및 리모트 설비를 포함하는 PON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네트워크 헤드 및 리모트 설비를 포함하는 PON의 제3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보충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의하는데 기여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R: 네트워크 헤드
CR1: 서큘레이터
ED-k: 리모트 설비
D1: 제1 전송기
D2: 송신/수신 디바이스
Tx': 제2 전송기
Rx': 제2 수신기
CO1, CO2: 광 커플러
MO: 광변조기
PO: 광 게이트
본 발명은 PON(수동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히 "네트워크 헤드"(또는 "허브")라 불리는 통신 설비와, 이런 PON 내의 "리모트(remote)"라 불리는 통신 설비 간에 데이터 트래픽의 교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PON"이란, 네트워크 헤드(허브)와 리모트 설비 간에 광/전기/광학 타입 재생이 수행되지 않는 광학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트리 구조의 광학 액세스 네트워크가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헤드(허브)"란 통신 설비로서, 이에 연결된 다른 통신 설비가 링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게 하는 통신 설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링크된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권한의 관리와 더욱이 파장 할당의 관리에 집중된 "OLT(Optical Line Terminal)" 타입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이하에서는, "리모트 설비"란, 네트워크 헤드에 의해서만 다른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 통신 설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가능하다면 "ONU(Optical Network Unit)"타입의 사용자 터미널이 있을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조작자의 목적 중 하나는 과도한 비용 발생을 유발시키지 않고, 점점 커지는 사용자에게 더욱 큰 비트 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PON 타입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며, 특히, 고성능/비용 비율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는, 특히 RCM-PON("Remote Color Managed PON")으로 불리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경우에 해당된다. 이런 타입의 네트워크는 단일 OLT 타입 네트워크 헤드를 갖춘 RCM-ONU 타입의 파장-독립 리모트 설비의 결합에 의존하는 트리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서는 파장 할당이 집중 관리된다.
임의의 RCM-PON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헤드(OLT)는 예컨대 선택된 비트 레이트에 따라 전송되며 제1 시간 간격 동안 지속되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되는 광 캐리어의 제1 부분과, 변조없이 제2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동일 광 캐리어의 제2 부분의 변경을 리모트 설비에게 전송한다. 변조부로 불리는 제1 부분은 네트워크 헤드의 클럭, 보다 정확히는 전송된 데이터의 선택된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베이스 주파수를 회복시키기 위해 각 리모트 설비의 수신 디바이스(또는 수신기)에 의해 사용된다. 연속부로서 불리는 제2 부분은 데이터를 네트워크 헤드에 전송하기 위해 각각의 리모트 설비에 의해 "온라인"상에서 사용된다. 더욱 특히, 리모트 설 비는 제2 시간 간격과 일치하는 시간 슬롯 동안 지속하는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캐리어부를 변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전송 디바이스(전송기)를 포함한다.
제1 시간 간격이 종료될 때, 리모트 설비의 수신 디바이스(수신기)는, 베이스 주파수를 더이상 회복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제1 시간 간격에 후행하는 제2 시간 간격 동안 수신되는 제2 캐리어 부분이 이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 디바이스(또는 수신기)를 리모트 설비에서 강제로 사용할 때에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RCM-PON 네트워크의 이런 타입은 다음 문서에 특히 개시되어 있다:
- D1: N. J. Frigo, P. P. Iannone, P. D. Magill, T. E. Darcie, M. M. Downs, B. N. Desai, U. Koren, T. L. Koch, C. Dragon, H. M. Presby, and G. E. Bodeep, "A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with Cost-Shared Components", pages 1365-1367, l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 Vol. 6, N°11, November 1994, 및
- D2: Fu-Tai An, Kyeong Soo Kim, David Gutierrez, Scott Yam, Eric (Shih-Tse) Hu, Kapil Shrikhande, and Leonid G. Kazovsky, "SUCCESS: A Next-Generation Hybrid WDM/TDM Optical Access Network Architecture", pages 2557-2569, Journal of Lightwave Technology, Vol. 22, N°11, November 2004.
RCM-PON 네트워크의 다양한 실시예는 또한 다음 문서에 개시되어 있다:
- D3: DJ. Shin, D.K. Jung, H.S. Shin, J.W. Kwon, Seongtaek Hwang,Y.J. Oh, and C.S. Shim, "Hybrid WDM/TDM-PON for 128 subscribers using a-selection- free transmitters", PostDeadline paper PDP4, OFC'2004, 및
- D4: N. Deng, N. C. Chan, L. K. Chen F. Tong, "Data re-modulation on downstream OFSK signal for upstream transmission in WDM passive optical network", Electronics Letters, Vol. 39, N°4, pages 1741-1743, November 2003.
그러나, 이들 2가지 변형중 어느 것도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전술한 문서 D3은 보다 짧은 범위와 매우 낮은 비트 레이트를 갖는 ASE(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의 주입을 갖는 패브리-페롯 캐비티(Fabry-Perot Cabity)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한다. 전술한 문서 D4는 리모트 설비에서 특정 수신 디바이스의 사용을 요구하는 다운링크 트래픽의 위상 변조(스테이션 헤드로부터 리모트 설비로)를 실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지된 종래 기술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리모트라 불리는 적어도 2개의 통신 설비에 전송 및 라우팅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헤드라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설비를 포함하는 수동 광학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헤드는, 선택된 비트 레이트에 따라 전송되며 제1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광 캐리어의 제1 부분과,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베이스 주파수(또는 템포)에서의 클럭 신호(예컨대, 사인파와 같은 주기 신호)에 의해 변조된 이런 광 캐리어의 제2 부분의 변경을, 리모트 설비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각각의 리모트 설비는 제1 및 제2 부분 내의 베이스 주파수를 회복하며, 한편 전송될 데이터가 이에 포함되는 클럭 신호로 과변조된 후 연속적으로 수신된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이들 시간 슬롯에 대응하는 일부분을 네트워크 헤드에 의해 동기화된 선택된 시간 슬롯 동안 네트워크 헤드에 전송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에서 "변경"이란, 끝에 연속하는 제1 버스와 분리된 제2 시간 간격(선택된 지속시간 Tu) 동안 제2 부분의 생성에 선행하는 제1 시간 간격(선택된 지속시간 Td) 동안 제1 부분의 생성을 의미하며, 그 후 새로운 제2 시간 간격 동안 새로운 제2 부분의 생성에 선행하는 새로운 제1 시간 간격 동안 새로운 제1 부분의 생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부분은 따라서, Td+Tu와 동일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PON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다른 특징을 분리 또는 결합해서 구성될 수 있다:
- 각각의 리모트 설비는 NRZ(Non-Return to Zero) 및 RZ(Return to Zero)로 불리는 기술들 중에서 선택된 기술에 의해서 전송될 데이터로 클럭 신호를 과변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이는 예컨대, 입출력 및 입출력을 갖는 네트워크 헤드를 각각 포함하는 K 리모트 설비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를 갖춘 네트워크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예컨대, ⅰ)네트워크 헤드의 입출력에 링크된 제1 단과, 다운링크 트래픽 및 업링크 트래픽(리모트 설비로부터 네트워크 헤드로)의 전송에 전용인 제2 단을 포함하는 메인 광섬유와, ⅱ)메인 광 섬유의 제2 단에 링크된 적 어도 하나의 입력 및 K 출력을 갖는 광 커플러와, ⅲ) 광 커플러의 K 출력 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 리모트 설비중 하나의 입출력에 링크된 제2 단을 각각 포함하는 각각의 선택된 길이의 K 2차 광섬유를 포함한다.
제1 변형으로서, 예컨대, 각각이 입출력과, 입출력을 갖는 네트워크 헤드를 포함하는 K 리모트 설비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를 갖춘 네트워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ⅰ) 네트워크 헤드의 출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와, ⅱ)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적어도 K의 출력을 갖는 제1 광 커플러와, ⅲ)각각이 K 출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 리모트 설비중 하나의 입력에 링크된 제2 단을 포함하는 각각의 선택된 길이의 K 다운링크 2차 광섬유와, ⅳ)네트워크 헤드의 입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업링크 메인 광섬유와, ⅴ) 적어도 K 입력, 및 업링크 메인 광섬유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제2 광 커플러와, ⅵ) 각각이 제2 광 커플러의 K 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 및 K 리모트 설비중 하나의 출력에 링크된 제2 단을 포함하는 각각의 선택된 길이의 K 업링크 2차 광섬유를 포함한다.
- 제2 변형으로서, 1×N 타입의 제1의 내부 광 디멀티플렉서에 링크된 입력 및 N×1 타입의 제1의 내부 광 멀티플렉서의 출력에 의해 공급되는 출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헤드와, 각각이 입출력을 갖는 Kn 리모트 설비의 N 그룹을 포함하는, 트리 구조를 갖춘 네트워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ⅰ)네트워크 헤드의 출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다운 링크 메인 광 섬유와, ⅱ)다운링크 메인 광섬유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적어도 N 출력을 포함하는 1×N 타입의 제2 광 디멀티플렉서와, ⅲ) 제2 광 디멀티플렉서의 N 출력중 하나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및 N 그룹중 하나의 Kn 리모트 설비중 하나의 입력에 각각이 링크된 적어도 Kn 출력을 포함하는 N 제1 광 커플러와, ⅵ) 네트워크 헤드의 입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업링크 메인 광섬유와, ⅴ) 적어도 N 입력, 및 업링크 메인 광섬유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N×1 타입의 제2 광 멀티플렉서와, ⅵ) N 그룹중 하나의 Kn 리모트 설비중 하나의 출력에 각각이 링크된 적어도 Kn 입력, 및 제2 광 멀티플렉서의 N 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각각 포함하는 N 제2 광 커플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헤드로 불리는 통신 설비에 연결하는데 적합한, 리모트로 불리는 통신 설비용의 송신/수신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이런 송신/수신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 입력과, 입력 상에서, 선택된 비트 레이트에 따라 그리고 제1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광 캐리어의 제1 부분과,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고 제2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베이스 주파수에서 클럭 신호에 의해 변조된 이런 광 캐리어의 제2 부분의 변경을, 네트워크 헤드로부터 수신하는데 적합한 제1 및 제2 출력을 포함하는 커플러.
- 제1 및 제2 수신 부분에서 베이스 주파수를 회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커 플러의 제1 출력에 연결된 수신 디바이스.
- 커플러의 제2 출력에 연결되어, 전송될 데이터로 이에 포함된 클럭 신호를 과변조한 후 리모트 설비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신된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이들 시간 슬롯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들 네트워크 헤드에 의해 동기화된 선택된 시간 슬롯 동안, 네트워크 헤드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전송 디바이스.
송신/수신 디바이스중 전송 디바이스는 NRZ 및 RZ 기술 중에서 선택된 기술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로 클럭 신호를 과변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타입의 송신/수신 디바이스를 구비한 리모트라 불리는 타입의 통신 설비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특히 비배타적인 방식으로 RCM-PON 타입의 네트워크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 개시되는 도면과 상세한 설명의 심사시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동 광학 네트워크(PON)의 리모트라 불리는 통신 설비의 수신 디바이스(수신기)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주력한다.
도 1 및 2를 먼저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광학 네트워크(또는 PON)(R)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헤드"(또는 허브)라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설비(TR)과, 전송 및 라 우팅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 헤드(TR)에 연결된 리모트라 불리는 적어도 2개의 통신 설비(ED-K)(K=1 내지 K 및 K〉1)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R)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RCM-PON(Remote Clolor Managed PON) 타입, OLT(Optical Line Terminal) 타입의 설비일 네트워크 헤드(TR), 및 ONU(Optical Network Unit) 타입일 리모드 설비로 고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타입의 통신 설비 및 이들 특정 타입의 PON 네트워크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헤드(TR)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하 제1 전송기로 불리는, 데이터(D1)을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디바이스(또는 모듈)과, 이하 제1 수신기라 불리는, 데이터 Rx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디바이스(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네트워크 헤드(TR)은 이하 도 3을 참고로 후술되는 제2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입력 및 하나의 출력이 아닌 하나의 입출력을 포함한다. 이런 입출력은 제1 전송기(D1)의 출력 및 제1 수신기(Rx)의 입력에 또한 연결되는 서큘레이터(circulator)(CR1)에 연결된다.
제1 전송기(D1)는 광 캐리어의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D)의 변경을 리모트 설비(ED-k)에서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변경"이란 표현은 제1 버스에 인접한 제2 시간 간격(선택된 지속시간 Tu) 동안 제2 부분(P2D)의 생성에 선행하는 제1 시간 간격(선택된 지속시간 Td) 동안 제1 부분(P1)의 생성과, 다시 새로운 제2 시간 간격 동안 새로운 제2 부분(P2D)의 생성에 선행하는 새로운 제1 시간 간격 동안 새로운 제1 부분(P1)의 생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D) 각각은 Td+Tu와 동일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성된다.
각각의 제1 시간 간격은 네트워크 헤드(TR)이 리모트 설비(ED-k)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위상에 대응하며, 여기서 각각의 제2 시간 간격은 각종 리모트 설비(ED-k)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능한 시간 오버랩에서 데이터를 차례로 네트워크 헤드(TR)에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 위상에 대응한다. 각각의 리모트 설비(ED-k)는 따라서 데이터를 네트워크 헤드(TR)에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제2 시간 간격의 분할(또는 '슬롯' 또는 시간 슬롯)을 가진다.
제1 전송기(D1)은 캐리어, 즉 레이저 라인을 생성하며, 한편 제1 부분(P1)을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제1 시간 간격 동안 그리고 선택된 비트 레이트(예컨대, 1 G비트/초)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로 이 캐리어를 변조하고, 또한 제2 부분(P2D)를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제2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비트 레이트(1G비트/초의 비트 레이트의 경우 1 GHz)에 대응하는 베이스 주파수에서 클럭 신호에 의해 캐리어를 변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생성 모듈(MG)를 포함한다.
예컨대, 생성 모듈(MG)는 캐리어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레이저와 이런 캐리어의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D)를 변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변조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클럭 신호는 사인파이다. 그러나, 그 주파수가 캐리어의 제1 부분(P1)의 변조의 베이스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기적 신호이면 어느 타입이나 가능하 다.
캐리어의 제1 부분(P1)의 변조는 RZ 또는 NRZ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변조되는 제1 캐리어 부분(P1) 및 제2 캐리어 부분(P2D)의 변경은 제1 전송기(D1)에 의해 서큘레이터(CR1)에 통신되어, 후술되는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을 통해 리모트 설비(ED-k)에 전송된다.
각각의 리모트 설비(ED-k)는 이하 제2 전송기라 불리는 데이터(Tx')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디바이스(또는 모듈)과, 이하 제2 수신기로 불리는 데이터(Rx')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디바이스(또는 모듈)와, 타입 1×2(입력, 및 제1 및 제2 출력)의 커플러(CO2)를 포함하는 송신/수신 디바이스(D2)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각각의 리모트 설비(ED-k)는, 도 3을 참고로 후술되는 제2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입력 및 하나의 출력이 아닌 하나의 입출력을 포함한다. 입출력은 송신/수신 디바이스(D2)의 제2 전송기(Tx')의 출력과 제2 수신기(Rx')의 입력에 또한 연결되는 서큘레이터(CR2)에 연결된다.
각각의 제2 수신기(Rx')는 캐리어의 제1 부분(P1)을 수신하여, 이를 변조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며, 이들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며 네트워크 헤드(TR)의 클럭에 그 리모트 설비(ED-k)를 설정가능하게 하는 베이스 주파수를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설정은 리모트 설비(ED-k)의 제2 전송기(Tx')가 네트워크 헤드(TR)로 향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길 허용되는 초기 경우와, 이런 제2 전송 기(Tx')가 데이터를 더 이상 전송하질 못하는 최종 경우를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이들 초기 및 최종 경우는 따라서 네트워크 헤드(TR)의 클럭에 대하여 소정의 리모트 설비(ED-k)의 전송 시간 슬롯의 설정을 매우 정확히 정의한다.
각각의 제2 수신기(Rx')는 또한 캐리어의 제2 부분(P2D)를 수신하여 캐리어를 변조하는 클럭 신호에 의해 정의된 베이스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수신기(Rx')는 베이스 주파수를 중단없이 이용가능하게 되어, 제1 또는 제2 시간 간격에서 네트워크 헤드(TR)의 클럭에 영구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비용이 상당히 큰 수신 감도 측면에서 성능이 다소 덜 양호한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기가 아닌 종래의 제2 수신기(Rx')를 리모트 설비(ED-k)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제2 전송기(Tx')는 또한 제2 수신기(Rx')에 공급되는 서큘레이터(CR2)의 출력에 연결된, 타입 1×2의 광 커플러(CO2)에 의해 제1 캐리어(P1) 및 제2 캐리어(P2D)의 선택된 부분을 수신한다. 제2 전송기는 그 리모트 설비(ED-k)의 제2 수신기(Rx')에 의해 영구적으로 결정된 베이스 주파수에 의해 네트워크 헤드(TR)의 클럭에 대해 동기된다.
제2 전송기(Tx')는 수신되는 제2 부분(P2D)의 적어도 일부의 캐리어를 변조하는 클럭 신호를, 네트워크 헤드(TR)에 전송될 데이터로 과변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캐리어의 제2 부분(P2D) 모두는 리모트 설비(ED-k)가 각각의 제2 간격에서 할당된 시간 슬롯에서 네트워크 헤드(TR)에 전송될 데이터를 반드시 가질 필요가 없는 한, 강제로 과변조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송신/수신 디바이스(D2)의 제2 전송기(Tx')는 예컨대 광 게이트(PO) 및 광 변조기(MO)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게이트(PO)는 광 커플러(CO2)의 2개의 출력중 하나에 연결된 입력과, 광 변조기(MO)의 입력에 연결된 출력을 포함한다. 이런 광 게이트(PO)는 그 리모트 설비(ED-k)가 네트워크 헤드(TR)을 향한 업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시간 슬롯 동안에만 각각의 제2 캐리어 부분(P2D)가 광 변조기(MO)를 통과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SOA(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와 같은, 버스트 모드에서 동작하는 광 게이트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강제적이지 않다. 오히려 예컨대 리튬 니오베이트(niobate) 스위치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급속 광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광 변조기(MO)는 업링크 트래픽에 전송되야할 데이터(DM)뿐만 아니라, 제2 캐리어 부분(P2D)의 각 부분을 수신하여, 이들 데이터(DM)으로 변조하는 클럭 신호를 과변조한다.
클럭 신호의 이런 과변조는 RZ으로 불리는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NRZ라 불리는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게 좋다. 특히, (주기적) 클럭 신호가 NRZ 기술로 변조될 때, 최종 신호는 RZ 포맷으로 자동으로 얻어진다. 이는, 이런 RZ 변조 포맷을 얻고자 다른 설비를 광 변조기(MO)에 보충할 필요를 제거하기 때문에 이롭다.
따라서, 광 변조기(MO)는 그 출력에서 캐리어의 제2 업링크 부분(P2M)을 전 달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는 서큘레이터(CR2)에 공급되어, 이들의 리모트 설비(ED-k)에 의해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을 통해 네트워크 헤드(TR)에 전송된다. 따라서, 데이터(DM)을 수신하는 제2 업링크 캐리어 부분(P2M) 각각을 추출하는 것은 네트워크 헤드(TR)의 제1 수신기(Rx)이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헤드(TR)을 리모트 설비(ED-k)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의 3가지 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예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이 동일한 매체(양방향)을 따르는, 트리 구조를 갖춘 PON 네트워크(R)에 대응한다.
이런 목적으로,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 헤드(TR)의 입출력(따라서, 서큘레이터(CR1))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메인으로 불리는 광섬유(F1). 이런 메인 광섬유(F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의 양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 메인 광섬유(F1)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및 K 출력/입력을 포함하는 광 커플러(C01). 이런 광 커플러(CO1)은 그 입출력에서 수신하는 다운링크 트래픽의 K 동일한 부분을 K 출력/입력상에 전달하며, 그 K 출력/입력 상에서 수신된 제2 캐리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멀티플렉스를 그 입출력상에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2차 불리며, 선택된 각각의 길이를 가지며, 광 커플러(CO1)의 K 출력/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 리모트 설비(ED-k)(ED-1 - ED-K)중 하나의 입출력에 링크된 제2 단을 각각 포함하는 K 광섬유(F2-K)(F2-1 - F2-K). 이들 2차 광 섬 유(F2-K)는 각각 연결된 리모트 설비(ED-k)에 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의 양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K 광섬유(F2-K)의 각 길이 LK는 예컨대, 각각의 제2 캐리어 부분이 데이터(DM)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리모트 설비(ED-k)의 수에 비례하는 지연을 갖는 네트워크 헤드(TR)로 복귀하도록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2개의 연속적인 리모트 설비(ED-k 및 ED-k+1)로부터 나오는 캐리어의 2개의 제2 업링크 부분(P2M) 사이의 지연δt은 일정하게 된다.
각종 리모트 설비(ED-k) 사이의 용량 분포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리모트 설비(ED-k)가 그들의 데이터(DM)을 전송하는 글로벌 주기는 네트워크 헤드(TR)이 캐리어의 제1 부분(P1)에서 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2개의 제1 연속 시간 간격 사이의 주기 (Td+Tu)에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어의 2개의 제2 업링크 부분들 사이의 지연 δt는 (Td+Tu)/K와 동일하다. 리모트 설비(ED-k)의 적어도 2개의 슬롯(전송 시간 슬롯)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일이 있을 수 있어서, 이들 리모트 설비(ED-k)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런 특징은 각종 리모트 설비(ED-k) 사이의 용량 분포를 허용한다.
물론, 길이 LK의 다른 분포를 고려할 수 있다.
더욱이, 각종 리모트 설비(ED-k)에 할당된 슬롯(또는 전송 시간 슬롯)의 지속시간이 동일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지속시간은 통과대역의 관점에서 이들의 요건의 함수로서 변동될 수 있다. 더욱이, 주어진 슬롯 동안 리모트 설비(ED-k)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제2 부분의 일부는 네트워크 헤드가 이렇게 허용한다면 그 자신의 슬롯에 인접할 때, 다른 리모트 설비, 예컨대, ED-k-1 또는 ED-k+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각종 사용자의 트래픽 프로파일을 고려하며, 예컨대 시간의 함수로서 각각의 리모트 설비의 용량을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예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이 다른 매체(단방향)를 따르는 트리 구조인, PON 타입의 네트워크 R에 대응한다.
이런 제2 실시예는 도 1을 참고로 이하 설명되는 타입의 네트워크에 의해 나타나는 결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이런 타입의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P2M 및 다운링크 P1 및 P2D 캐리어는 동일한 파장을 나타내며, 동일 매체를 따르고, 이는 전송을 방해하기 쉬운 배면 스캐터링(back-scattering)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잠재적인 결점을 해소하고자,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 헤드 TR의 출력(보다 정확하게는 그 제1 전송기 D1의 출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메인으로 불리는 광섬유(F1D). 이런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F1D)는 다운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F1D)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및 K 출력을 포함하는 제1 광 커플러(C01D). 이런 제1 광 커플러(CO1D)는 그 입력에서 수신하는 다운링크 트래픽의 K 동일 부분을 K 출력상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다운링크 2차 불리며, 선택된 각각의 길이(가능하면 다른)를 가지며, 제1 광 커플러(CO1D)의 K 출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 리모트 설비(ED-k)(ED-1 - ED-K)중 하나의 입력에 링크된 제2 단을 각각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2 수신기(Rx') 및 제2 전송기(Tx')를 광 커플러(CO2)를 통해 링크되는 K 광섬유(F2D-K)(k=1 내지 K - F2D-1 내지 F2D-K). 이들 다운링크 2차 광 섬유(F2D-K)는 각각 연결된 리모트 설비(ED-k)에 대해 의도된 다운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 네트워크 헤드(TR)의 입력(보다 정확하게는, 제1 수신기(Rx)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업링크 메인으로 불리는 광섬유(F1M). 이런 업링크 메인 광섬유(F1M)은 모든 업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 업링크 메인 광섬유(F1M)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및 적어도 K 입력을 포함하는 타입 k×1의 제2 광 커플러(C01M). 이런 광 커플러(CO1M)은 그 K 입력 상에서 수신된 제2 캐리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멀티플렉스를 그 출력상에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업링크 2차 불리며, 선택된 각각의 길이(가능하다면 다른)를 가지며, 제2 광 커플러(CO1M)의 K 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 리모트 설비(ED-k)중 하나의 출력에 링크된 제2 단을 각각 포함하는 K 광섬유(F2M-K)(k=1 내지 k-F2M-1 내지 F2M-K). 이들 업링크 2차 광 섬유(F2M-K)는 각각 연결된 리모트 설비(ED-k)로부터 나오는 업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다운링크 2차 광 섬유(F2D-K) 및/또는 업링크 2차 광 섬유(F2M-K)의 여러 길이 LK는 도 1을 참고로 설명된 제1 실시예에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더욱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경로가 분리된 제2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모트 설비(ED-k)는, 타입 1×2의 광 커플러(CO2)에 의해, 다운링크 통로와, 제2 수신기(Rx') 및 제2 전송기(Tx')에 연결된 입력과, 제2 전송기(Tx')의 출력에 연결된 출력을 포함한다. 구성에서 이런 차이를 제외하고는, 제2 전송기 Tx'의 동작은 도 1 및 3을 참고로 이전에 설명된 동작과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트리 구조의 PON 타입의 네트워크 R에 대응한다. 여기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은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른(단방향) 매체를 따른다.
이런 제3 실시예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타입 멀티플렉싱의 프레임웍(framework) 내에서, Kn 다른 리모트 설비의 N 그룹 Gn과 각각 관련된 여러 N 파장의 네트워크 헤드 TR에 의한 사용을 허용한다. 더욱 특히, 이 제3 실시예는 섬유 리소스가 거의 없게 되었을 때 하나 및 동일 네트워크 헤드에 연결된 리모트 스테이션(station)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값비싸게 된다(이는 예컨대 이미 설치된 섬유 하부구조가 기준인 경우일 수 있다).
이런 목적으로, 네트워크 헤드(TR)는 도 1을 참고로 이전에 설명된 타입의, N 제1 전송기(D1-n)(D1-1 내지 D1-n)(여기서, n=1 내지 N 및 N〉1)와, N 제1 수신기(Rx-n)(Rx-1 내지 Rx-N)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전송기(D1)은 소정 파장의 캐리어에 전용이다. N 제1 전송기(D1-n)의 출력은 타입 N×1의 제1 광 멀티플렉서(MO1)의 N 입력에 각각 연결되며, 그 출력은 제1 N 전송기(D1-n)에 의해 생성된 제1 및 제2 캐리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파장 채널의 멀티플렉서를 전달하는 것이다. 각각의 제1 수신기(Rx-n)는 소정 파장의 캐리어에 전용이다. N 수신 기(Rx-n)의 입력은 1×N 타입의 제1 광 디멀티플렉서(DO1)의 N 출력에 각각 연결되며, 그 입력은 Kn 리모트 설비의 N 그룹 Gn의 제2 전송기(Tx')에 의해 과변조된 제2 캐리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멀티플렉스를 수신한다.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 헤드(TR)의 출력(보다 정확하게는 그 제1 광 멀티플렉서(MO1)의 출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메인으로 불리는 광섬유(F1D). 이런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F1D)는 멀티플렉싱된 다운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F1D)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및 적어도 N 출력을 포함하는 1×N 타입의 제2 광 디멀티플렉서(D02). 이런 제1 광 멀티플렉서(DO2)는 멀티플렉싱된 형태로 그 입력에서 수신하는 N 다른 파장의 N 제1 및 제2 캐리어 부분을 N 출력상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제2 광 디멀티플렉서(DO2)의 N 출력중 하나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및 적어도 Kn 출력을 포함하는 1×Kn 타입의 N 제1 광 커플러(CD1D-n)(CO1D-1 내지 CO1D-n). 각각의 광 커플러(CD1D-n)는 그 입력에서 수신하며 소정 파장의 캐리어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트래픽의 Kn 부분을 Kn 출력상에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다운링크 2차 불리며, 선택된 각각의 길이(가능하면 다른)를 가지며, 제1 광 커플러(CO1D-n)의 Kn 출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N 다른 그룹 Gn중 하나의 Kn 리모트 설비(ED-kn)(k=1 내지 Kn 및 n=1 내지 N-ED-11 내지 ED-KN)중 하나의 입 력에 링크된 제2 단을 각각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2 수신기(Rx') 및 제2 전송기(Tx')를 광 커플러(CO2)를 통해 링크되는 Kn 광섬유의 N 그룹. 이들 다운링크 2차 광 섬유(F2D-K)는 각각 연결된 리모트 설비(ED-kn)에 대해 의도된 다운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 네트워크 헤드(TR)의 입력(보다 정확하게는, 제1 디멀티플렉서(DO1))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업링크 메인으로 불리는 광섬유(F1M). 이런 업링크 메인 광섬유(F1M)은 모든 디멀티플렉싱된 업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 업링크 메인 광 섬유(F1M)에 링크된 적어도 N 입력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N×1 타입의 제2 광 멀티플렉서(MO2). 이런 제2 광 멀티플렉서(MO2)는 그 N 입력상에서 수신하는 N 다른 파장의 Kn 제2 과변조 캐리어 부분의 N배 멀티플렉스를 출력상에서 멀티플렉싱된 형태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제2 광 멀티플렉서(MO2)의 N 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적어도 Kn 입력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각각 포함하는, N 그룹 Gn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는, Kn×1 타입의 N 제2 광 커플러(CO1M-n)(CO1M-1 내지 CO1M-N). 각각의 광 커플러(CO1M-n)은 그룹 Gn과 관련돼서, 그 그룹 Gn의 Kn 리모트 소자로부터 나오는 Kn 입력상에서 수신되는 제2 캐리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멀티플렉싱을 그 출력상에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업링크 2차 불리며, 선택된 각각의 길이(가능하다면 다른)를 가지며, 제2 광 커플러(CO1M-n)의 Kn 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n 리모트 설비(ED- kn)(k=1 내지 kn 및 n=1 내지 N=ED-11 내지 ED-KN)중 하나의 출력에 링크된 제2 단을 각각 포함하며, 이에 따라 그 제2 전송기(Tx')에 링크되는 Kn 광섬유의 N 그룹. 이들 업링크 2차 광 섬유는 각각 연결된 리모트 설비(ED-kn)로부터 나오는 업링크 트래픽의 단방향 전송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송신/수신 디바이스, 리모트라 불리는 통신 설비, 및 전술한 수동 광 네트워크중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단지 예로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변형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헤드로 불리는 통신 설비에 연결하는데 적합한, 리모트로 불리는 통신 설비용의 송신/수신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Claims (11)

  1. 리모트(remote)라 불리는 적어도 2개의 통신 설비(ED-k)에 전송 및 라우팅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헤드(network head)라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설비(TR)를 포함하는 수동 광학 네트워크(R)로서,
    상기 네트워크 헤드(TR)는, 선택된 비트 레이트에 따라 전송되며 제1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광 캐리어의 제1 부분과, 상기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베이스 주파수에서의 클럭 신호에 의해 변조되고 제2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상기 광 캐리어의 제2 부분의 변경을, 리모트 설비(ED-k)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리모트 설비(ED-k)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수신된 부분 내의 상기 베이스 주파수를 회복하며, 한편 전송될 데이터로 이를 포함되는 클럭 신호를 과변조한 후 연속적으로 수신된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시간 슬롯에 대응하는 일부분을 상기 네트워크 헤드에 의해 동기화된 선택된 시간 슬롯 동안 상기 네트워크 헤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설비(ED-k)는 NRZ(Non-Return to Zero) 및 RZ(Return to Zero)로 불리는 기술들을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기술에 의해서 전송될 데이터로 상기 클럭 신호를 과변조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설비(ED-k)는 NRZ(Non-Return to Zero)로 불리는 상기 기술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로 상기 클럭 신호를 과변조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사인파(sinusoid)인 네트워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K 리모트 설비(ED-k) 및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헤드(TR)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를 갖춘 네트워크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ⅰ) 상기 네트워크 헤드(TR)의 입출력에 링크된 제1 단과, 제2 단을 포함하는 메인 광섬유(F1)와,
    ⅱ) 상기 메인 광 섬유(F1)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및 적어도 K 출력을 포함하는 광 커플러(CO1)와,
    ⅲ) 상기 광 커플러(CO1)의 K 출력 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 리모트 설비(ED-k)중 하나의 입출력에 링크된 제2 단을 각각 포함하는 각각의 선택된 길이의 K 2차 광섬유(F2-k)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K 리모트 설비(ED-k) 및 각각이 입출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헤드(TR)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를 갖춘 네트워크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ⅰ) 상기 네트워크 헤드(TR)의 출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F1D)와,
    ⅱ) 상기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F1D)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적어도 K의 출력을 포함하는 제1 광 커플러(CO1D)와,
    ⅲ) 각각이 상기 제1 광 커플러(CO1D)의 K 출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과 K 리모트 설비(ED-k)중 하나의 입력에 링크된 제2 단을 포함하는 각각의 선택된 길이의 K 다운링크 2차 광섬유(F2D-k)와,
    ⅳ) 상기 네트워크 헤드(TR)의 입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업링크 메인 광섬유(F1M)와,
    ⅴ) 적어도 K 입력, 및 상기 업링크 메인 광섬유(F1M)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제2 광 커플러(CO1M)와,
    ⅵ) 각각이 상기 제2 광 커플러(CO1M)의 K 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제1 단, 및 상기 K 리모트 설비(ED-k)중 하나의 출력에 링크된 제2 단을 포함하는 각각의 선택된 길이의 K 업링크 2차 광섬유(F2M-k)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N 타입의 제1의 내부 광 디멀티플렉서(DO1)에 링크된 입력 및 N×1 타입의 제1의 내부 광 멀티플렉서(MO1)의 출력에 의해 공급되는 출력을 포함하고, 각각이 입출력을 갖는 Kn 리모트 설비(ED-k)의 N 그룹(Gn)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헤드(TR)를 포함하는 트리 구조를 갖춘 네트워크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송 및 라우팅 수단은,
    ⅰ) 상기 네트워크 헤드(TR)의 출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메인 광 섬유(F1D)와,
    ⅱ) 상기 다운링크 메인 광섬유(F1D)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적어도 N 출력을 포함하는 1×N 타입의 제2 광 디멀티플렉서(DO2)와,
    ⅲ) 상기 제2 광 디멀티플렉서(DO2)의 N 출력중 하나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및 상기 N 그룹(Gn)중 하나의 Kn 리모트 설비(ED-kn)중 하나의 입력에 각각이 링크된 적어도 Kn 출력을 포함하는 N 제1 광 커플러(CO1-n)와,
    ⅵ) 상기 네트워크 헤드(TR))의 입력에 링크된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는 업링크 메인 광섬유(F1M)와,
    ⅴ) 적어도 N 입력, 및 상기 업링크 메인 광섬유(F1M)의 제2 단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N×1 타입의 제2 광 멀티플렉서(MO2)와,
    ⅵ) N 그룹(Gn)중 하나의 Kn 리모트 설비(ED-kn)중 하나의 출력에 각각이 링크된 적어도 Kn 입력, 및 상기 제2 광 멀티플렉서(MO2)의 N 입력중 하나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각각 포함하는 N 제2 광 커플러(C02-n)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8. 네트워크 헤드로 불리는 통신 설비(TR)에 연결하는데 적합한, 리모트로 불리는 통신 설비(ED-k)용의 송신/수신 디바이스 - 상기 리모트 설비(ED-k) 및 상기 네트워크 헤드(TR)는 수동 광학 네트워크(R)의 일부를 형성함 - 로서,
    입력 및 입력 상에서 선택된 비트 레이트에 따라 그리고 제1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광 캐리어의 제1 부분과, 상기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고 제2 시간 간격 동안 지속하는 베이스 주파수에서 클럭 신호에 의해 변조된 상기 광 캐리어의 제2 부분의 변경을, 상기 네트워크 헤드(TR)로부터 수신하는데 적합한 제1 및 제2 출력을 포함하는 커플러(C02)와,
    제1 및 제2 수신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 주파수를 회복하도록 구성된 상기 커플러(CO2)의 제1 출력에 연결된 수신 디바이스(Rx')와,
    상기 커플러(CO2)의 제2 출력에 연결되어, 전송될 데이터로 이에 포함된 클럭 신호를 과변조한 후 리모트 설비(ED-k)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신된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시간 슬롯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들 네트워크 헤드에 의해 동기화된 선택된 시간 슬롯 동안, 상기 네트워크 헤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디바이스(Tx')를 포함하는 송신/수신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디바이스(Tx')는,
    NRZ 및 RZ 로 불리는 기술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기술에 따라 전송 될 데이터로 상기 클럭 신호를 과변조하도록 구성되는 송신/수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디바이스(Tx')는,
    NRZ 로 불리는 상기 기술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로 상기 클럭 신호를 과변조하도록 구성되는 송신/수신 디바이스.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하나에 따른 송신/수신 디바이스(D2)를 포함하는 수동 광학 네트워크용 리모트 통신 설비(ED).
KR1020060113163A 2005-11-17 2006-11-16 수동 광학 네트워크의 통신 설비를 위한 개선된 데이터전송 디바이스 Withdrawn KR20070052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3489 2005-11-17
FR0553489A FR2893469B1 (fr) 2005-11-17 2005-11-17 Dispositifs perfectionnes de transmission de donnees pour des equipements de communication d'un reseau optique passi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669A true KR20070052669A (ko) 2007-05-22

Family

ID=3675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163A Withdrawn KR20070052669A (ko) 2005-11-17 2006-11-16 수동 광학 네트워크의 통신 설비를 위한 개선된 데이터전송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121189A1 (ko)
EP (1) EP1788736B1 (ko)
JP (1) JP2007143160A (ko)
KR (1) KR20070052669A (ko)
CN (1) CN1968062A (ko)
AT (1) ATE451763T1 (ko)
DE (1) DE602006010960D1 (ko)
FR (1) FR2893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1156B2 (en) * 2008-05-01 2012-03-06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Centralized lightwave WDM-PON employing intensity modulated downstream and upstream
US9762973B2 (en) * 2008-11-04 2017-09-1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receiving circuit module to encode a channel signal into multiple encoding formats
US20100235015A1 (en) * 2009-03-11 2010-09-16 Eaton Corporation Control architecture and interfacing methodology for cockpit control panel systems
US9831971B1 (en) * 2011-04-05 2017-11-2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encoded into multiple independently communicated encoding formats
TWI443982B (zh) * 2011-06-24 2014-07-01 Ind Tech Res Inst 光纖通訊系統與光纖通訊方法
JP2014207547A (ja) * 2013-04-12 2014-10-30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通信システム
US20160337041A1 (en) * 2015-05-15 2016-11-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Polarization Independent Reflective Modulator
US10551640B2 (en) 2016-11-21 2020-0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olarization independent reflective modulators
US10222676B2 (en) 2017-01-27 2019-03-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Polarization insensitive integrated optical modulator
US10330959B2 (en) 2017-05-22 2019-06-25 Futurewei Technologies, Inc. Polarization insensitive micro ring modulator
US10243684B2 (en) 2017-05-23 2019-03-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d polarization-insensitive transmissive modulator
DE102020110753A1 (de) * 2020-04-21 2021-10-21 Turck Holding Gmbh Bus-Koppler für ein Netzwer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us-Koppl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2859A (en) * 1985-09-19 1987-12-15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Distributed star network
FR2682239B1 (fr) * 1991-10-04 1994-11-04 Cit Alcatel Systeme de transmission bidirectionnelle, notamment par fibre optique, avec une porteuse unique pour les deux sens de transmission.
EP0615358B1 (en) * 1993-03-11 2004-10-20 AT&T Corp. Optical network based on remote interrogation of terminal equipment and an optical network unit therefor using wavelength shifting
FR2718307B1 (fr) * 1994-03-29 1996-04-26 France Telecom Transmission de données full-duplex entre une station centrale et une station passive.
US5680234A (en) * 1994-10-20 1997-10-21 Lucent Technologies Inc. Passive optical network with bi-directional optical spectral slicing and loop-back
US6970653B1 (en) * 2001-01-15 2005-11-29 Coretek, Inc. Fiberoptic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central office and a downstream station
GB0224055D0 (en) * 2002-10-16 2002-11-27 Bookham Technology Plc Optical modul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93469A1 (fr) 2007-05-18
CN1968062A (zh) 2007-05-23
JP2007143160A (ja) 2007-06-07
ATE451763T1 (de) 2009-12-15
US20070121189A1 (en) 2007-05-31
EP1788736B1 (fr) 2009-12-09
DE602006010960D1 (de) 2010-01-21
EP1788736A1 (fr) 2007-05-23
FR2893469B1 (fr) 200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2669A (ko) 수동 광학 네트워크의 통신 설비를 위한 개선된 데이터전송 디바이스
KR101245717B1 (ko) 광 전송 시스템
An et al. SUCCESS-HPON: A next-generation optical access architecture for smooth migration from TDM-PON to WDM-PON
Rohde et al. Next generation optical access: 1 Gbit/s for everyone
CN101636942B (zh) 光通信基站、光信号转换装置以及光信号转换方法
CN101577842B (zh) 一种光通信系统、装置和方法
KR20090018573A (ko) 시간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전송 방식에 파장분할 다중화기술을 적용한 광가입자망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WO1995020275A1 (en) Ultra high bit rate all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4682692B2 (ja) 光通信システム
JP4006210B2 (ja) 光波長多重分配型ネットワーク群
Ossieur et al. An overview of passive optical networks
JP2010114621A (ja) 光通信システム、onuの送信器、oltの受信器、およびonuの上り信号送信方法
JP3615476B2 (ja) 光アクセスシステム、アクセスノード装置およびユーザノード装置
CA2439876C (en) Optical cwdm-system
JP5492279B1 (ja) 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JP4725651B2 (ja) 受動光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Toliver et al. Optical network compatibility demonstration of O-CDMA based on hyperfine spectral phase coding
JP2005520434A (ja) 光通信ネットワークのアド/ドロップノード
JP4984289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1069082A (ja) 光波長多重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oonen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Hamilton et al. 100 Gbit/s synchronous all-optical time-division multiplexing multi-access network testbed
KR20150044711A (ko) 파장분할다중 및 광코드분할다중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JP2012104961A (ja) 光通信システム、光信号伝送方法及び光伝送装置
JP2002319904A (ja) 光時分割多重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