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50706A -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706A
KR20070050706A KR1020050108249A KR20050108249A KR20070050706A KR 20070050706 A KR20070050706 A KR 20070050706A KR 1020050108249 A KR1020050108249 A KR 1020050108249A KR 20050108249 A KR20050108249 A KR 20050108249A KR 20070050706 A KR20070050706 A KR 20070050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member
cap
groove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0706A/ko
Publication of KR2007005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70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캡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사이 및 상기 체결부재캡과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캡이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체결부재캡이 체결부재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쉽게 이탈되어 분실되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PPARATUS FOR CONNECTING MORE THAN TWO ELEMENT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a) 및 그의 분해 단면도(b)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라인(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a) 및 그의 분해 단면도(b)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부 110,210,210': 제1 커버
120,220,220': 제2 커버 200: 폴더부
310, 310': 체결부재 330,330': 체결부재캡 또는 캡
317,211': 그루브 337,337': 록킹돌기
본 발명은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 이상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그러한 체결부재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며 체결부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체결부재캡을 구비하는 체결 장치 그리고 그러한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 이상의 부재를 체결함에 있어서는, 각 부재에 체결홈을 형성하고, 그 체결홈들에 체결부재, 예를 들어 스크류를 삽입하게 된다.
그에 따라 2 이상의 부재가 체결된 경우에,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콤팩트한 기기에서 체결부재의 노출은 그러한 기기의 전체적인 미관을 크게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미관 저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결부재가 삽입된 체결홈을 메꾸도록 하는 체결부재캡을 추가로 체결홈에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부재캡은 단순히 체결홈에 삽입되는 것에 그쳐서,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기가 쉽다. 특히, 체결부재 및 체결부재캡이 결합된 부재들을 바닥 등에 떨어뜨려 그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체결부재캡의 분실 염려가 더욱 커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 테이프가 형성된 피씨 시트(Poly Carbonate Sheet)를 이용하여 체결부재의 노출된 부분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피씨 시트(체결부재캡)를 체결홈이나 체결부재에 영구 고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수리 등을 위하여, 서로 체결된 2 이상의 부재를 다시 분해해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결부재캡이 낙하 등으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부재들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수리 등을 위한 경우를 대비하여 부재들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게 하는 체결 장치의 필요성이 꾸준하게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체결부재캡이 자신이 장착된 부재들이나 체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면서도 분실 방지를 위해 쉽게 분리되지는 않도록 하는 체결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체결 장치를 구비하여 체결부재의 분실에 따른 미관 손상 방지하면서도 수리를 위해서는 체결 부재 간의 분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체결 장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캡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사이 및 상기 체결부재캡과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캡이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및 제2 커버와 내장되는 부품으로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장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캡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사이 및 상기 체결부재캡과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캡이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로 체결되는 제1 바디 또는 커버(110 또는 210) 및 제2 바디 또는 커버(120 또는 220)와 이들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내장되는 부품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위의 제1 커버(110 또는 210) 및 제2 커버(120 또는 220)를 체결하는 체결장치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는, 예시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베이스부(100)와 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0)로 구성된다.
베이스부(10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의 결합체로서, 그 내부에는 각종 부품들과 그러한 부품들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을 내장한다. 나아가, 베이스부(100)는 인쇄회로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를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부(100)의 전면에는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입력키(130)가 배열되며, 소리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미도시)가 구비된다.
폴더부(200)는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가 결합체로서, 베이스부(100)와는 힌지(150)를 통하여 연결된다. 폴더부(200)는 이러한 힌지(150)에 의해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현재의 도시된 상태에서 중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중첩된 상태에서 입력키(130)가 배열된 베이스부(100)의 전면에 접하게 되는 폴더부(200)의 전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30),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liquid Crystal Display)가 구비된다.
체결 장치는 베이스부(100)의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또는 폴더부(200)의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체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체결 장치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a) 및 그의 분해 단면도(b)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310)와, 제1 커버(210)에 삽입되어 그러한 체결부재(310)가 제1 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재캡(330){이하, 간단히 캡(330)이라고도 한다}과, 체결부재(310)와 캡(330) 사이에 형성되어 캡(330)이 제1 커버(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체결부재(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로서,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결합시킨다. 체결부재(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며 외주상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311)와 그의 일 단부에서 그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고서 형성된 헤드부(313)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이러한 몸통부(311)의 외주상에는 헤드부(31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서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링(315)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링(315)과 헤드부(313) 사이의 오목한 공간은 그루브(317)가 된다. 이러한 그루브(317)는, 돌출링(315)을 형성하지 않고서, 몸통부(311)에 원주방향으로 홈을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캡(330)은 체결부재(310)가 제1 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310)가 삽입된 제1 커버(210)에 삽입되거나 그에 장착된다. 캡(330)의 플레이트형의 몸체부(331)에서는 연장부(332)가 링 형태로서 연장하면서 중공부(333)를 형성한다. 중공부(333)를 한정하는 연장부(332)의 내주면(335)에서는 록킹돌기(337)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캡(330)은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변형이 가능하다.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는 체결부재(310)에 형성된 그루브(317)와, 체결부재(310)와의 체결시에 그루브(317)에 록킹되도록 캡(330)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337)로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체결부재(310)에 록킹돌기(337)와 같은 록킹돌기를 형성하고 캡(330)에 그루브(317)와 같은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에는 체결부재(310) 및 캡(330)이 삽입될 수 있며 체결부재(310)의 몸통부(311)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211 및 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은 체결부재(310)의 헤드부(313)와 캡(330)을 수용하기 위하여 2단 구조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단면적인 적은 부분은 제2 커버(220)의 체결홈(221)과 단면적이 동일하고, 체결부재(310)의 헤드부(313)와 캡(330)이 수용되는 부분은 위의 부분 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각의 체결홀(211 및 221)에 체결부재(310)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체결부재(310)의 헤드부(313) 및 그와 접한 몸통부(311)의 일부가 캡(330)의 중공부(333)에 삽입되도록 캡(330)을 제1 커버(210)의 체결홀(211)을 통해서 체결부재(310) 측으로 가압한다.
그에 따라,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캡(330), 특히 연장부(332)의 내주면(335)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337)는 체결부재(310)의 헤드부(313)를 향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헤드부(313)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을 통하여, 록킹돌기(337)는 그루브(317)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 과정을 통하여, 체결부재(310)에 형성된 그루브(317)와 캡(330)에 형성된 록킹돌기(337)가 상호 결합하게 되어 캡(330)이 체결부재(310) 또는 제1 커버(210){보다 상세하게는,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캡(33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캡(330)을 체결부재(310)나 제1 커버(210) 등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 또는 접착하는 것이 아니어서,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분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캡(330)을 체결부재(310)로부터 분리하여 이들을 분해할 수 있다.
다름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라인(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a) 및 그의 분해 단면도(b)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310')와, 제1 커버(210')에 삽입되어 그러한 체결부재(310')가 제1 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재캡(330'){이하, 간단히 캡(330')이라고도 한다}과, 캡(330')과 제1 커버(210') 사이에 형성되어 캡(330')이 제1 커버(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에는 체결부재(310')가 삽입되는 체결홈(211' 및 221')가 형성된다. 이들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재(31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함으로써,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하나로 결합시키게 된다. 나아가,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을 이루는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그루브(211")가 형성된다.
체결부재(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위의 체결홈(211' 및 221')에 삽입 되며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몸통부(311')와 그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313')를 구비한다. 이러한 체결부재(310')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류이다.
캡(33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진다. 캡(330')의 몸체부(331')는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예를 들어 원통체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몸체부(331')의 외주상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한 록킹돌기(337')가 형성된다.
나아가,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는 캡(330')의 록킹돌기(337')와 제1 커버(210')의 그루브(211")로 구성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캡(330')의 외주에 제1 커버(210')의 그루브(211")와 같은 그루브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을 이루는 내주에 캡(330')의 록킹돌기(337')와 같은 록킹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체결함에 있어서, 각각의 체결홈(211' 및 221')에 체결부재(310')를 삽입하여 조인 후에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에 캡(330')을 밀어넣게 된다.
이때, 캡(330')의 외주 상에서 돌출한 록킹돌기(337')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을 이루는 내주면에 형성된 그루브(21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캡(330')의 록킹돌기(337')가 제1 커버(210')의 그루브(211")에 걸리게 됨으로써, 캡(330')이 제1 커버(2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캡(330')을 제1 커버(210')의 체결홈(211')에서 분리가 가능하기에 제1 커버(210')와 제 커버(220')를 분해한 후에 다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폴더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커버와 제2 커버로 명명될 수 있는 2 이상의 부재 간의 결합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합 장치가 사용되는 단말기라면 다른 형태(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등)의 단말기 역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체결 장치가 체결하는 제1 바디(커버)와 제2 바디(커버)는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부재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의 체결 장치는 복수의 부재 간의 체결이 필요한 경우라면 어떤 분야에서라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체결 장치는 체결부재캡이 자신이 장착된 부재들이나 체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면서도 쉽게 분리되지는 않아서 체결된 부재들을 분해하여 다시 체결하는 경우에 재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 상태에서 체결된 부재들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분실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체결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체결부재캡이 단말기 본체에 이탈되어 미관이 손상될 우려가 적으며 본체를 분해한 후에도 분리된 체결 장치를 다시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Claims (14)

  1.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캡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사이 및 상기 체결부재캡과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캡이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에 록킹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은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체결부재캡의 중공부를 이루는 내주면 또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체결부재캡의 중공부를 이루는 내주면 또는 상기 체결 부재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체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는,
    상기 체결부재캡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을 이루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그루부에 록킹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캡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부재의 체결홈을 이루는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몸통부와 그의 일단에 헤드부가 구비된 스크류이고,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헤드부와 이격되어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헤드부와의 이격된 공간이 상기 그루브가 되도록 하는 돌출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스크류인 체결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 장치.
  8. 제1 및 제2 커버와 내장되는 부품으로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장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체결하기 위하여 각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캡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사이 및 상기 체결부재캡과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캡이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에 록킹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캡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체결부재캡의 중공부를 이루는 내주면 또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체결부재캡의 중공부를 이루는 내주면 또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 이탈방지부는,
    상기 체결부재캡의 외주면과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을 이루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그루부에 록킹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캡의 외주면과 상기 제1 커버의 체결홈을 이루는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몸통부와 그의 일단에 헤드부가 구비된 스크류이고,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헤드부와 이격되어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헤드부와의 이격된 공간이 상기 그루브가 되도록 하는 돌출링이 형성된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스크류인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캡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108249A 2005-11-11 2005-11-11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Withdrawn KR20070050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249A KR20070050706A (ko) 2005-11-11 2005-11-11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249A KR20070050706A (ko) 2005-11-11 2005-11-11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706A true KR20070050706A (ko) 2007-05-16

Family

ID=3827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249A Withdrawn KR20070050706A (ko) 2005-11-11 2005-11-11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0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88B1 (ko) * 2011-12-30 2015-07-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웨이스티드 스크류의 이탈방지장치, 이를 구비한 체결수단 및 웨이스티드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88B1 (ko) * 2011-12-30 2015-07-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웨이스티드 스크류의 이탈방지장치, 이를 구비한 체결수단 및 웨이스티드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7584B2 (en)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ES2204454T3 (es) Radio telefono.
JP4969391B2 (ja) ストラップが取付け可能な携帯機器
JP4379492B2 (ja) キャビネットの組み立て構造及び薄型表示装置
US8939284B2 (en) Cushion of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structure of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50706A (ko) 체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ES2258244T3 (es) Carcasa para un terminal de comunicacion movil.
US7948745B2 (en) Release module and computer housing using the same
KR20160021601A (ko) 엘이디 조명용 전원 공급 장치
US20110016677A1 (en) Strap attaching section of folding portable appatratus ,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rap attaching section
US201701500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terminal cover unit
JP7290443B2 (ja) 電子部品収納ケース
JP5313712B2 (ja) 表示デバイスフレーム保持構造及び方法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US7121879B1 (en) Anti-escape socket and plug arrangement
JP2007156553A (ja) 固定構造
EP3415211A1 (en) User assistance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with the same
JP6157902B2 (ja) 電子機器
KR100849297B1 (ko) 연성회로 연결부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보강 장치
CN104619111A (zh) 移动设备后盖释放机构、后盖以及相应的移动设备
CN214152285U (zh) 显示设备及其壳体部件
JP3182478U (ja) 電子装置用保護筐体
KR100724948B1 (ko) 착탈식 휴대 단말기
KR20180060735A (ko)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구조
CN101175098B (zh) 手持式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