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32134A -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 Google Patents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134A
KR20070032134A KR1020050087061A KR20050087061A KR20070032134A KR 20070032134 A KR20070032134 A KR 20070032134A KR 1020050087061 A KR1020050087061 A KR 1020050087061A KR 20050087061 A KR20050087061 A KR 20050087061A KR 20070032134 A KR20070032134 A KR 2007003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tension link
inner pipe
link bush
inw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석
김선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134A/ko
Publication of KR2007003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13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t least one of the arms itself being resilient, e.g. 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1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시고무의 보이드 부분에서 대응하는 내향면과 외향면을 개선하여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를 제공한다.
텐션 링크 부시, 부시고무, 보이드

Description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TENSION LINK BUSH FOR FRONT WHELL SUSPENS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전륜 현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의 정면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의 정면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의 강성 및 밀림량에 따른 특성 데이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텐션 링크 부시 3; 인너 파이프
5; 아웃터 파이프 7; 부시고무
9; 보이드(VOID) 11; 외향면
13; 내향면 15; 돌출부
본 발명은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시고무의 보이드 부분에서 대응하는 내향면과 외향면을 개선하여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101)과 유압 쇽 업소버(103)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105)와 휠(107)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 장치에 있어서, 전륜 현가 장치의 경우에는 텐션 링크(109)를 연결하기 위한 텐션 링크 부시(11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111)는 차량의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설계 요소 중의 하나로, 임팩트시에는 약한 강성치로서 충격을 흡수하여 부드러운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조종안정성에 관하여는 강성치가 강한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관되는 두 부분을 보완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111)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인너 파이프(113)가 구성되고, 그 외측에는 아웃터 파이프(115)가 인너 파이프(113)보다 길이가 짧게 구성되어 배치된다.
상기 인너 파이프(113)와 아웃터 파이프(115)는 부시고무(11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시고무(117)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 각 보이드(119)(VOID; 즉, 부시고무가 인너 파이프의 축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부분)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의 하부의 각 보이드(119)가 형성된 부시고무(117)의 대응하는 면은 인너 파이프(113) 측의 외향면(121)과 아웃터 파이프(115) 측의 내향면(123)으로 구분되며, 서로 대응하는 외향면(121)과 내향면(123)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111)는, 도 6의 특성 그래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하중에 대한 밀림량 대비 강성이 크게 나타나 변곡점(P1)이 급격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강성치가 강하면 조종안정성은 좋으나, 충격 등에 의한 승차감이 떨어지고, 상기 강성치가 약하면 상기 승차감은 좋으나, 조종안정성이 나쁜 결과를 나타내지만, 상기와 같이 급격한 변곡점(P1)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 모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시고무의 보이드 부분에서 대응하는 내향면과 외향면을 개선하여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는 인너 파이프가 구성되고, 그 외측 에는 상기 인너 파이프보다 짧게 구성되는 아웃터 파이프가 배치되며, 상기 인너 파이프와 아웃터 파이프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보이드를 형성하는 부시고무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의 하부의 각 보이드가 형성된 부시고무의 대응하는 면은 인너 파이프 측의 외향면과 아웃터 파이프 측의 내향면으로 형성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에 있어서,
상기 각 보이드의 외향면에는 상기 내향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내향면과 접촉 시, 그 접촉면이 방사형으로 넓어지도록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보이드의 형성구간의 전후 좌우 중심축선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의 선단은 상기 내향면에 대응하여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의 정면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1)의 구성은 먼저 중앙에 인너 파이프(3)가 구성되고, 그 외측에는 아웃터 파이프(5)가 인너 파이프(3)보다 길이가 짧게 구성되어 배치된다.
상기 인너 파이프(3)와 아웃터 파이프(5)는 부시고무(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시고무(7)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보이 드(9)(VOID; 즉, 부시고무가 인너 파이프의 축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부분)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의 하부의 각 보이드(9)가 형성된 부시고무(7)의 대응하는 면은 인너 파이프(3) 측의 외향면(11)과 아웃터 파이프(5) 측의 내향면(13)으로 구분되며, 상기 외향면(11)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는 내향면(13)은 평면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보이드(9)의 외향면(11)에는 상기 내향면(13)을 향하여 돌출되어 내향면(13)과 접촉 시, 그 접촉면이 방사형으로 넓어지도록 돌출부(1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5)는 상기 보이드(9)의 형성구간의 전후 좌우 중심축선(S1,S2)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15)의 선단은 상기 내향면(13)에 대응하여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1)는, 도 6의 특성 그래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하중에 대한 밀림량 대비 강성이 스무스(SMOOTH)하게 증가하여 그 변곡점(P2)이 종래 기술 대비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 즉, 서서히 증가하는 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즉, RM 변곡점(P2)에서 그 강성치가 부드럽게 증가하여 조종안정성은 물론 충격 등에 의한 승차감도 함께 좋아지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한 같이 본 발명의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에 의하면, 부시고무의 보이드 부분에서 상호 대응하는 내향면과 외향면을 개선하여 축방향 하중에 대한 밀림량 대비 강성의 변화곡선에서의 변곡점(P1)이 서서히 스무스(SMOOTH)하게 형성되어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앙에는 인너 파이프가 구성되고, 그 외측에는 상기 인너 파이프보다 짧게 구성되는 아웃터 파이프가 배치되며, 상기 인너 파이프와 아웃터 파이프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보이드를 형성하는 부시고무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의 하부의 각 보이드가 형성된 부시고무의 대응하는 면은 인너 파이프 측의 외향면과 아웃터 파이프 측의 내향면으로 형성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에 있어서,
    상기 각 보이드의 외향면에는 상기 내향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내향면과 접촉 시, 그 접촉면이 방사형으로 넓어지도록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보이드의 형성구간의 전후 좌우 중심축선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은 상기 내향면에 대응하여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면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는 내향면은 평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KR1020050087061A 2005-09-16 2005-09-16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Withdrawn KR20070032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61A KR20070032134A (ko) 2005-09-16 2005-09-16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61A KR20070032134A (ko) 2005-09-16 2005-09-16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134A true KR20070032134A (ko) 2007-03-21

Family

ID=4365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061A Withdrawn KR20070032134A (ko) 2005-09-16 2005-09-16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1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2732A (zh) * 2014-11-26 2015-08-1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臂衬套及具有其的车辆
KR20210056464A (ko) 2019-11-08 2021-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스펜션용 보이드 부시
KR20230053392A (ko) 2021-10-14 2023-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보이드 부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2732A (zh) * 2014-11-26 2015-08-1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臂衬套及具有其的车辆
KR20210056464A (ko) 2019-11-08 2021-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스펜션용 보이드 부시
US11453262B2 (en) 2019-11-08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Void bush for vehicle suspension
KR20230053392A (ko) 2021-10-14 2023-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보이드 부시
US12257875B2 (en) 2021-10-14 2025-03-25 Hyundai Motor Company Void bushing for a vehicle suspen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8795B1 (en) Hybrid suspension arm for vehicle
EP2581241B1 (en) Single-shaft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vehicle chassis parts
KR102072142B1 (ko) 스태빌라이저용 부시, 접착용 공구, 및, 접착 방법
JP7140767B2 (ja) ブッシュ配置構造
KR20110035843A (ko) 차량의 트위스트 빔 후방액슬을 위한 댐핑부싱
KR20160129200A (ko) 볼 조인트 일체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암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3173A (ko) 서스펜션 암
US20130164077A1 (en) Elastic joint for a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US9579946B2 (en) Trailing arm bush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JP4751743B2 (ja) サスペンションブッシュ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ジョイント式サスペンション機構
US6425576B1 (en) Suspension arm bushing of vehicle
KR200487124Y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JP6148897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KR20190134489A (ko)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070032134A (ko) 전륜 현가 장치용 텐션 링크 부시
JP2008128411A (ja) ストラットアームブッシュ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ジョイント式サスペンション
KR20180041422A (ko) Ctba용 부시유닛
KR20210112595A (ko) Ctba 부시 및 ctba 현가 시스템
US7798564B2 (en) Reinforcing member for vehicle
KR20180068407A (ko) 후륜 서스펜션 토션바구조
KR100629330B1 (ko) 커플드 토션빔
JP4200869B2 (ja) 車両用a形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KR102238053B1 (ko) 차량용 멀티링크식 리어 서스펜션
KR20050038705A (ko) 자동차용 스테이빌라이저 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