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713A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30713A KR20070030713A KR1020060088702A KR20060088702A KR20070030713A KR 20070030713 A KR20070030713 A KR 20070030713A KR 1020060088702 A KR1020060088702 A KR 1020060088702A KR 20060088702 A KR20060088702 A KR 20060088702A KR 20070030713 A KR20070030713 A KR 200700307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gram
- playback
- reproduction
- channel
- ti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distribution source)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재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정보처리, 장치, 방법, 프로그램, 기록, 녹화, 재생, 배포, 절대 시각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A 채널, B 채널 및 C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대응하는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녹화 재생 장치에 지시를 내리는 원격 제어기의 표면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채널 선택 화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녹화 재생 장치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연속 재생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에 나타낸 녹화 재생 장치 등의 녹화 내용의 구체적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에 의해 재생되는 녹화 프로그램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 중 재생 개시 지시 처리의 상세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채널 선택 화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 중 재생 개시 지시 처리의 상세예로서, 도 11과는 상이한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1 이나 도 1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의 녹화 재생 장치 등의 녹화 내용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 중 프로그램 재생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1의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표시될 화상의 상이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기능적 구성과 대비하기 위해, 도 1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녹화 재생 장치의 기능적 구성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5 내지 도 30은 도 1의 개인용 컴퓨터 등에 표시될 재생 화상의 상이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도 1에 나타낸 개인용 컴퓨터와 녹화 재생 장치 사이에 재생 동기가 확립되는 경우에 실행될 사용자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1에 나타낸 개인용 컴퓨터와 녹화 재생 장치가 재생 동기를 수행 하는 경우에, 도 1에 나타낸 녹화 재생 장치의 통신부의 상세한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도 1에 나타낸 개인용 컴퓨터와 녹화 재생 장치 사이의 재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는 상이한 구체적인 처리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관련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05년 8월 13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5-265376호 및 2005년 10월 3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5-290316호와 관련된 대상물을 포함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 전부는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복수의 기록 컨텐츠 중에서 기록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프로그램, 특히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기록 재생 장치가 상당히 대중화되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예를 들면, 이른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도 제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기록 재생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9193호, 제2001-313878호, 또는 제2001-81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 전술한 바와 같은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 허용량의 증대는 현저하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기록 재생 장치에는 많은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기록 프로그램은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등을 찾아내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간단히 녹화 프로그램(recorded program)이라고 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past program table)을 이용하는 녹화 재생 장치의 녹화 내용을 관리하는 장치를 발명하여, 출원번호 제2004-138594호로서 일본에 특허출원하였다.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은 과거에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표로서, 과거에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란이 표 형태로 표시된다. 일본 특허출원 제2004-138594호에서, 프로그램란은 녹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일본 특허출원 제2004-138594호에 개시된 장치로, 사용자는 전술한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이용하여 재생할 녹화 프로그램의 선택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출원 제2004-138594호에 개시된 장치에서,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재생중 또는 종료 후에, 다음에 재생될 다른 프로그램을 찾기 위해,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다시 표시시켜 다른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재생 화면을 복구하도록 하는 조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조작보다 한층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재생을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 등을 선택하고자하는 요구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선택 조작에 대한 요구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뿐 아니라, 각종 컨텐츠에 대해서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기록 컨텐츠(recorded content) 중에서 재생할 기록 컨텐츠와 같은 원하는 기록 컨텍츠의 선택을 이제까지보다 한층 간단한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distribution source)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재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채널의 제1 기록 컨텐츠의 재생중의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재생 대상 채널로서 제2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기록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절대 시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시각을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설정하고, 재생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1 기록 컨텐츠에서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채널의 제2 기록 컨텐츠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기록 컨텐츠를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소정의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커맨드(command)를 받고, 상기 커맨드가 상기 제2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면 그 커맨드에 따른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수단은, 순서를 하나 위로 이동시키는 제1 커맨드를 출력하는 제1 조작 요소와, 순서를 하나 아래로 이동시키는 제2 커맨드를 출력하는 제2 조작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배포원에 대응하는 채널에 소정의 순서를 부여하고 상기 순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조작 요소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상기 제1 커맨드가 상기 소정의 순서의 상기 제1 채널의 바로 뒤의 채널을 상기 제2 채널로 지정하고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커 맨드인 것으로 결정하지만, 상기 제2 조작 요소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상기 제2 커맨드가 상기 소정의 순서의 상기 제1 채널의 바로 앞의 채널을 상기 제2 채널로 지정하고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커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배포원로부터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배포중이었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재생 대상의 기록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다른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배포원로부터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배포중이었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기록 컨텐츠에서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을 포함하는 기록 시간대에 기록된 다른 기록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에 성공했을 때, 상기 다른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로 하여금,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에서,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이 제어된다. 특히, 상기 제어는, 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수행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수의 기록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로서는, 그 제어에 필요한 조작을 어느 때보다 한층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몇몇 특징(feature)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정 구성요소의 대응관계를 이하에 설명한다. 하지만, 이 기재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을 지지하는 특정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는 것임을 단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의 설명에 기재된 어떤 특정 구성요소가 ,다음의 설명에서 특징 중 하나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그 특정 구성요소가 특징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어떤 특정 구성요소가 특징 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서 기재되더라도, 그 구성요소가, 그 구성요소 이외의 임의의 다른 특징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처(예를 들면, 후술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국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되는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녹화 재생 장치(1)]로서, 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예를 들면, 후술하는 절대 시각으로 나타내는 재생 타이밍)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경우[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를 조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그러한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재생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재생 제어부(17)]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채널의 제1 기록 컨텐츠의 재생중인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재생 대상 채널로서 제2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기록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절대 시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시각을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설정하고, 재생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1 기록 컨텐츠에서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채널의 제2 기록 컨텐츠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기록 컨텐츠를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하 게 제어(예를 들면, 도 16 내지 도 20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 중의, 도 16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소정의 조작 수단[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으로부터의 커맨드(command)를 받고, 상기 커맨드가 상기 제2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면 그 커맨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조작 수단은, 순서를 하나 앞으로 이동시키는 제1 커맨드를 출력하는 제1 조작 요소[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Ch + 버튼(58)]와, 순서를 하나 뒤로 이동시키는 제2 커맨드를 출력하는 제2 조작 요소[도 6에 도시한 Ch - 버튼(59)]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배포처에 대응하는 채널에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도 5의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의 수평 방향의 순서)를 부여하고 상기 순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조작 요소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상기 제1 커맨드가 상기 소정의 순서의 상기 제1 채널의 바로 뒤의 채널을 상기 제2 채널로 지정하고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커맨드인 것으로 결정하지만, 상기 제2 조작 요소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상기 제2 커맨드가 상기 소정의 순서의 상기 제1 채널의 바로 앞의 채널을 상기 제2 채널로 지정하고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커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배포처로부터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배포중이었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재생 대상의 기록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 하기 위한 다른 컨텐츠(예를 들면, 도 21의 화상)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처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되는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녹화 재생 장치(1)]를 위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개인용 컴퓨터(2)]로 하여금,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처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되는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예를 들면, 도 16 내지 도 20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2), 텔레비전 수상기(5), 및 안테나(7) 등이 접속되어 있는 녹화 재생 장치(1)를 포함한다.
또, 녹화 재생 장치(1)는 네트워크(4)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3)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향수할 수 있 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2)도 네트워크(4)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3)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향수할 수 있다.
네트워크(4)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을 채용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네트워크(4)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녹화 재생 장치(1)와 개인용 컴퓨터(2) 각각은, 네트워크(4)의 개재 없이 서비스 제공 서버(3)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녹화 재생 장치(1)는, 복수의 방송국으로부터 동일 시간대에 방송되는 컨텐츠 방송의 일례인 상이한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녹화 재생 장치(1)는, 8개의 튜너부(11-1 내지 11-8), 인코딩부(12), 및 HDD(Hard Disk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3)를 포함하여, 8개의 방송국으로부터 각각 방송되는 8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8개의 튜너부(11-1 내지 11-8)를 개별적으로 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총괄하여 튜너부(11)라고 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 도 1에서 녹화 재생 장치(1)에 편입되는 튜너부(11)의 개수는, 8개이지만, 실제로는 도 1에 나타낸 것으로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튜너부(11)는 안테나(7)에 의해 수신된 지상파 또는 위성파의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 전파를 복조하고, 변조 결과로 얻은 영상 신호(video signal)와 음성 신호(audio signal)를 디지털 신호로서 인코딩부(12)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녹화 제어부(14)나 개인용 컴퓨터(2)의 녹화 제어부(36)에 의해 지정된 채널의 방송 전파,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 채널이 할당된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전파가 안테나(7)에 수신되면, 대응하는 튜너부(11)는 방송 전파를 복조한다. 튜너부(11)는 변조 결과로서 얻은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인코딩부(12)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해, (그 방송국이 할당되어 있는) 채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된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면, "A 채널로부터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등의 표현을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튜너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 즉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디지털의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총괄하여 컨텐츠 데이터라고 한다.
인코딩부(12)는 튜너부(11) 중 소정의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다른 튜너부(11)로부터 공급되는 다른 컨텐츠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압축 부호화한다. 그리고, 인코딩부(12)는 부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HDD(13)에 기억한다. 이하, 인코딩부(12)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된 형태의 컨텐츠 데이터를 압축(copressed) 컨텐츠 데이터라고 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압축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이 HDD(13)에 기억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압축 컨텐츠 데이터가 HDD(13)에 기억된다"라는 동작은 "(그 압축 컨텐 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된다"라고 표현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방송 프로그램과 그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컨텐츠 데이터나 압축 컨텐츠 데이터를 별개로 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그러한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또는 압축 컨텐츠 데이터를 단지 방송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 프로그램이라고 하고, HDD(13) 등에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즉 HDD(13) 등에 기억된 압축 컨텐츠 데이터도, 이하, 녹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또, HDD(13)의 기록(녹화) 단위, 즉 하나의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반드시 1개의 방송 프로그램일 필요는 없고, 정확하게는, 하나의 녹화 예약으로 특정되는 소정의 채널의 방송 내용이다. 방송 내용은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내용은 반드시 방송 프로그램 전부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HDD(13)에 기록되는 하나의 파일은, 소정의 채널로부터 방송된 단일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채널로부터 방송된 2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방금 언급한 것과 같은 파일을 비디오 캡슐(video capsule)이라고 함에 유의하기 바란다. 특히, 비디오 캡슐은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분을 압축 컨텐츠 데이터로서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간략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비디오 캡슐은 소정의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 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관련 방송국으로부터 과거에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도 HDD(13)에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EPG 정보도 기억된다.
이 EPG 정보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4)에 접속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3)로부터 제공된다. 그러므로, 도 1의 녹화 재생 장치(1)는 통신부(15)와 EPG 취득부(16)를 포함한다. 통신부(15)는 네트워크(4)를 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EPG 취득부(16)는, 네트워크(4)와 통신부(15)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적절하게 취득하여 HDD(13)에 기억시킨다.
프로그램 정보의 취득 방법은 전술한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면, 안테나(7)에 의해 수신된 지상파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수직 블랭킹 구간(blanking period)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거나, 안테나(7)에 의해 수신된 위성파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녹화 제어부(14)는 녹화 커맨드(record command)에 따라서 인코딩부(12)와 HDD(13)를 제어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동작을 제어한다. 녹화 커맨드는 네트워크(4)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로부터 제공되거나, 통신부(19)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2)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녹화 동작은 실제로 신호를 녹화하는 동작뿐 아니라, 그 녹화 예약을 설정하고, 그 설정 내용을 관리하는 동작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녹화 예약의 설정 및 그 설정 내용의 관리 동작을 이하 녹화 예약 관리 동작이라고 한다.
또한, 녹화 제어부(14)는, 그 녹화 동작의 제어중에 적절히,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생성 또는 갱신한다.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의 생성 또는 갱신을 위해, 녹화 제어부(14)는, HDD(13)에 기억된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와 자체 제어 내용을 이용한다.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은, 예를 들면 HDD(13)에 기록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A 채널, B 채널, 및 C 채널 각각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각각에 있어, 하나의 행(row)은 A 내지 C 채널로부터 방송된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고,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각각에 있어, "채널"항목에는, 주목해야 할 행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한 채널의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주목해야 할 행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이하에서는 주목 프로그램(noticed program)이라 함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개시 시각"의 항목에는, 주목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이 기술되어 있고, "종료 시각"의 항목에는, 주목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이 기술되어 있다. 또 "프로그램명"의 항목에는, 주목 프로그램의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항목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에는, 주목 프로그램의 EPG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가 이용되어 있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즉, 본 실시예에서, 주목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은, 실제로 방송이 개시된 시각이나 실제로 방송이 종료되었던 시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방송국 측에서 방송의 개시를 예정하고 있는 시각과 방송국 측에서 방송의 종료를 예정하고 시각 각각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자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실제로 방송이 개시된 시각과 종료되었던 시각을 각각,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항목의 기술 값으로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각각에 있어, HDD(13)에 주목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 즉 주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디오 캡슐이 HDD(13)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그 비디오 캡슐을 특정하는 식별자가 "동영상(moving picture) ID"의 항목에 기술되어 있다. 식별자는, 예를 들면 파일 이름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서의 항목의 이름에 따라 동영상 ID라고 한다.
도 3의 B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있어, "동영상 ID"의 항목에 아무것도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다, 즉 "프로그램명"으로서 "프로그램 3C"가 기술되어 있는 행의 "동영상 ID"의 항목에는 아무것도 기술되어 있지 않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것은 "프로그램 3C"라는 명칭의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재생 제어부(17)는 원격 제어기(6)로부터 제공되는 재생 커맨드, 개인용 컴퓨터(2)로부터 통신부(19)를 통하여 제공되는 재생 커맨드 등에 따라, 디코딩부(18)와 HDD(13)를 제어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원격 제어기(6)로부터 제공되는 재생 커맨드는 후술하는 채널 전환이나 프로그램 전환을 위한 커맨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재생 제어부(17)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한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화상 데이터(image data)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이 화상 데이터는 디코딩부(18)에 제공된다. 그 결과, 디코딩부(18)는 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텔레비전 수상기(5)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이 텔레비전 수상기(5)에 표시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은 종이 매체인 신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란과 유사한 형태의 프로그램란 또는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특히,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은, 채널마다, 녹화 프로그램을 각각 나타내고,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녹화된 시간대를 각각 나타내는 영역에 각각 배치는 프로그램란을 포함한다. 방금 언급한 이러한 시간대를 이하에서는 녹화 시간대(recording time zone)이라 한다. 따라서, 각각의 프로그램란은 녹화 시간대의 길이를 나타내는 세로 방향으로 표시된다.
녹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에는, 보통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still picture)의 섬네일(thumbnail) 화상과, 녹화 프로그램의 타이틀 또는 프로그램명이 표시된다. 녹화 시간이 짧은 녹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에는, 필요에 따라 섬네일은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녹화 시간이 짧은 녹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은 섬네일을 표시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 또는 크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예를 들면 도 5의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대응하는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A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A 채널의 열(column)이 구성되어 있다.
이 A 채널의 열에서, 23:00부터 23:15까지의 시간대에 녹화된 "프로그램 1A"를 나타내는 프로그램란이 도 2에서 위에서 3번째 행에 표시되어 있다. 이로부터 이 녹화 시간대에 A 채널로부터 방송된 "1A"라는 타이틀의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정의 타이틀의 방송 프로그램을, 그 소정의 타이틀만으로 표현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마찬가지로, 도 2의 A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1B" 내지 "프로그램 1E"를 나타내는 프로그램란도 각각 대응하는 녹화 시간대에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의 B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B 채널의 열이 구성되어 있다.
이 B 채널의 열에는, 23:00부터 23:25까지의 시간대에 녹화된 "프로그램 3A"를 나타내는 프로그램란이 도 3에서 위로부터 3번째 행에 표시되어 있다. 이로부터, 상기 녹화 시간대에 B 채널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 3A"가 녹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B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3B", "프로그램 3D", 및 "프로그램 3E"를 나타내는 프로그램란도 각각 대응하는 녹화 시간대에 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3B", "프로그램 3D", 및 "프로그램 3E"가 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B 채널의 열에서, 23:50부터 0:15까지의 시간대를 나타내는 영역 에 프로그램란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로부터, 이 시간대에 B 채널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 3C", 즉 도 3에서 위로부터 5번째 행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4의 C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C 채널의 열이 구성되어 있다.
이 C 채널의 열에는, 22:54부터 23:29까지의 시간대에 녹화된 "프로그램 4A"를 나타내는 프로그램란이 도 4에서 위로부터 3번째 행에 표시되어 있다. 이로부터, 상기 녹화 시간대에 C 채널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 4A"가 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의 C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4B" 내지 "프로그램 4E"를 나타내는 프로그램란도, 각각 대응하는 시간대에 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4B" 내지 "프로그램 4E"가 녹화되어 있는 것도 또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기(6)를 조작하여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 내에서 재생을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재생 제어부(17)는 이 경우에 원격 제어기(6)의 조작 내용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란이 가리키는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 A 채널의 "프로그램 1E"를 나타내는 프로그램란이 선택되면, 재생 제어부(17)는 동영상 ID로서 "1E"가 부여되어 있는 비디오 캡 슐을, HDD(13)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비디오 캡슐을 디코딩부(18)에 제공하는 것을 제어한다.
그리고, 재생 제어부(17)는, 비디오 캡슐에 포함되어 있는 압축 컨텐츠 데이터 형태의 프로그램 1E를 선두로부터의 재생하도록 디코딩부(18)에 지시한다. 그 결과, 디코딩부(18)는 비디오 캡슐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 1E의 압축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의 결과로서 얻은 프로그램 1E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5)에 제공한다. 그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5)로부터 "프로그램 1E"가 재생된다. 특히, "프로그램 1E"에 대응하는 영상이 텔레비전 수상기(5)의 화면에 표시되고, "프로그램 1E"에 대응하는 음성이 텔레비전 수상기(5)의 스피커 등으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일부 사용자는, 예를 들면, 매주 동일한 시간대에 방송되는 드라마 등의 방송 프로그램으로서 즐겨보는 방송 프로그램을 알고 있고, 그 즐겨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대를 알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는, 그 즐겨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프로그램을 재생하려 할 때,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표시하고, 그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 내에서 즐겨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을 선택하기 위한 일련의 조작이 번거롭다고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이용하는 재생 지시 조작보다 한층 간단한 조작으로, 즐겨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의 발명을 하였다. 특히, 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재생을 개시하고자 하는 재생 타이밍을 나타내는 절대 시각과 재생을 원하는 채널을 지정한다. 이러한 절대 시각을 이하에서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라 하고, 재생을 원하는 채널을 이하에서는 재생 대상 채널이라고 한다. 지시에 응답하여, 장치는 복수의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을 포함하는 녹화 시간대를 가지는 재생 대상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을, 그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한다. 방금 설명한 것과 같은 일련의 처리를 구현하는 기술이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었다. 언급한 이 기술은 이하 절대 시각 지정 재생 기술이라고 한다.
여기서, 절대 시각은, 장치가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한 시점의 시각, 예를 들면 월, 일, 시, 및 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녹화 재생 장치(1)는 도 2 내지 도 4 등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프로그램의 녹화를 수행하므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개시 시각"및 "종료 시각"으로 특정되는 녹화 시간대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된 시각이 절대 시각이다.
다시 말해, 녹화 재생 장치(1), 방송국 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시각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재생 대상의 녹화 프로그램이 실제로 방송된 방송 시간대에 포함되는 시각, 예를 들면 월, 일, 시, 및 분, 또는 그 프로그램의 방송이 예정되어 있던 방송 시간대에 포함되는 시각, 예를 들면 월, 일, 시, 및 분이, 절대 시각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녹화 재생 장치(1), 방송국 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시각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 측이 관리하고 있는 시각을 절대 시각으로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재 생 장치가 방송 프로그램을 실제로 녹화하는 시점에 이 기록 재생 장치가 관리하는 시각을 시간대로서 채용한다.
이하, 절대 시각으로 표현되어 있는 어떤 시각의 값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프로그램의 선두 위치가 녹화되었을 때의 시각, 즉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개시 시각"을 이하 녹화 개시 절대 시각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그 프로그램의 최후미(tail end)의 위치가 녹화되었을 때의 시각, 즉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종료 시각"등을 녹화 종료 절대 시각이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절대 시각 지정 재생 기술은, 예를 들면 도 1의 녹화 재생 장치(1) 및 후술하는 개인용 컴퓨터(2))에 적용되어 있다. 특히,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6)를 조작하여 재생 개시 절대 시각과 재생 대상 채널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것을 도 7, 도 11 내지 도 13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조작에 응답하여, 재생 제어부(17)는 HDD(13)에 녹화되어 있는 복수의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녹화 시간대가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을 포함하는 재생 대상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을, 그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8월 30일 0:05"가 지정되고 재생 대상 채널로서 A 채널이 지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도 2의 A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HDD(13)에서 참조하고,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서, "0:05"를 녹화 시간대에 포 함하는 녹화 프로그램, 즉 23:57 내지 0:15"가 녹화 시간대로 되어 있는 "프로그램 1E"를 재생 대상으로 결정한다.
다음에,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대상의 "프로그램 1E"의 동영상 ID, 즉 "1E"로 특정되는 비디오 캡슐을 HDD(13)로부터 판독하고, 그 비디오 캡슐을 디코딩부(18)에 제공하는 것을 제어한다.
그리고, 재생 제어부(17)는 그 비디오 캡슐에 포함되어 있는 압축 컨텐츠 데이터 형태의 프로그램 1E를, 절대 시각 "0:05"부터 재생하도록 디코딩부(18)에 지시한다.
하지만, 디코딩부(18)는 녹화 프로그램의 컨텐츠의 선두 위치(top position)에 의해 제공된 기준 시각 00:00을 관한 상대 시각에 기초하여 그 처리를 수행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절대 시각과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에,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는 상대 시각을, 이하에서는 재생 개시 위치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기초하여 재생 개시 위치를 특정하거나 산술적으로 연산하고, 그 재생 개시 위치에서부터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디코딩부(18)에 지시한다. 예를 들면,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과,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개시 시각"인 녹화 개시 절대 시각의 차를 산술적으로 연산하고 산술적 연산의 결과를 재생 개시 위치로서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전술한 경우에, 재생 대상인 "프로그램 1E"의 녹화 시간대는 "23:57 내지 0:15"이므로, 녹화 개시 절대 시각은 "23:57"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은 "0:05"이다. 따라서, 그 차 "0:08"이 재생 개시 위치로 결 정된다.
따라서, 디코딩부(18)는 동영상 ID로서 "1E"가 부여되어 있는 비디오 캡슐의 압축 컨텐츠 데이터를 MPEG 방식 등으로 복호화한다. 그런 다음, 디코딩부(18)는 복호화로 얻은 프로그램 1E의 선두로부터 8분 뒤에 있는 위치, 즉 프로그램 1E의 "0:08"의 위치) 재생 개시 위치로 결정하고, 그 재생 개시 위치에서부터 프로그램 1E의 재생, 즉 텔레비전 수상기(5)로부터의 출력을 수행한다.
또,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재생중 또는 종료 후에, 다음에 재생될 다른 프로그램을 찾기 위해,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다시 표시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재생 화면을 복구하도록 하는 조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조작보다 한층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녹화 프로그램 또는 재생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자하는 요구를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방금 언급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절대 시각 지정 재생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하나의 프로그램의 재생중 또는 종료 후에, 다음에 재생할 다른 프로그램을 찾기 위해,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표시시키지 않고, 재생 대상 채널만을 지정할 것이다. 즉, 사용자는 채널 전환 조작만을 수행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장치, 즉 녹화 재생 장치(1)는 프로그램의 재생중에 채널의 전환 을 검출하였을 때, 전환 조작 시점의 프로그램의 재생 위치를 절대 시각으로 변환하고, 그 결과인 절대 시각을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간주한다. 변환에 의해 얻은 시각을 이하에서는 전환 지시 절대 시각(changeover instruction absolute time)이라고 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한편, 장치는, 프로그램의 재생 종료 후에 채널의 전환 조작을 검출하였을 때, 도 2 내지 도 4 등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서의 "종료 시각"인 그 프로그램의 녹화 종료 절대 시각을, 재생 종료 절대 시각으로 간주한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전환 지시 절대 시각 또는 종료 시각과 동일한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을 녹화 시간대에 포함하는 전환 후의 재생 대상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을, 그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즉 재생 개시 위치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유의할 것은, 전술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도 20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재생이 진행되는 중에 또는 그 재생의 종료 후에, 다음에 재생할 다른 녹화 프로그램을 찾기 위해,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표시시키지 않아도, 단지 다음에 사용하기를 원하는 채널, 즉 재생 중인 프로그램을 방송한 채널과는 다른 채널을 지정하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뿐이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관 구성을 갖는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전술한 녹화 프로그램의 채널 전환 조작을 한층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원격 제어기(6)의 표면 또는 조작면의 외관 구성예를 나 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버튼이 원격 제어기(6)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에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절대 시각 지정 재생 기술과 관련되는 기능이 할당된 버튼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다시 말해, 이하에 설명하는 일부 버튼에는, 2 이상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절대 시각 지정 재생 기술에 관련되는 기능만을 이하에 설명한다.
숫자 1 내지 12가 각각 인쇄된 버튼(51)에는 소정의 하나의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1이 인쇄된 버튼에 채널 A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그 버튼을 눌러서 채널 A의 지정, 즉 선택이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버튼(51)을 Ch 버튼(51)이라고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Ch 버튼(51)이 눌러졌다"라고 기술한 경우, 그 기술은 숫자 1 내지 12가 각각 인쇄된 12개의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진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그램 재생의 진행 중에 또는 그 재생의 종료 후에,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표시시키지 않고, 다음에 재생할 다른 녹화 프로그램을 찾고 싶은 경우, 사용자에게 필요한 것은 전환할 선택 채널, 즉 재생 중인 프로그램을 방송한 채널과는 다른 채널이 할당된 Ch 버튼(51)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조작, 즉 Ch 버튼(51)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수행될 녹화 재생 장치(1)의 처리 예는, 도 16의 단계 S64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그 이후의 처리로서 후술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버튼(52)에는, 녹화 재생 장치(1)의 전원 상태를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하 버튼(52)을 전원 버튼(52)이라고 한다.
버튼(53)에는, 현재 재생 중인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에 대해 시간상 전에 동일 채널로부터 방송된 녹화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이에 대해, 버튼(54)에는, 현재 재생 중인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에 대해 시간상 나중에, 즉 다음에 동일 채널로부터 방송된 녹화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래서 이하 버튼(53)을 이전(preceding) 버튼(53)이라 하고, 버튼(54)을 다음(succeeding) 버튼(54)이라 한다. 주의할 것은, 이전 버튼(53)이 눌러진 경우의 녹화 재생 장치(1)의 처리 예에 대하여는, 도 17의 단계 S77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그 이후의 처리로서 후술한다는 것이다. 한편, 다음 버튼(54)이 눌러진 경우의 녹화 재생 장치(1)의 처리 예에 대하여는, 도 18의 단계 S84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그 이후의 처리로서 후술한다.
버튼(55)에는, 프로그램의 재생 커맨드를 녹화 재생 장치(1)에 발행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버튼(56)에는,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일시 정지 커맨드를 녹화 재생 장치(1)에 발행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버튼(57)에는,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정지 커맨드를 녹화 재생 장치(1)에 발행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버튼(55)을 재생 버튼(55)이라 하고, 버튼(56)을 일시 정지 버튼(56)이라 하며, 버튼(57)을 정지 버튼(57)이라 한다.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중에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경우에 있어서의 녹화 재생 장치(1)의 처리 예에 대하여는, 도 20의 단계 S95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 정된 경우의 그 이후의 처리로서 후술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버튼(58)에는, 재생 대상 채널을,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의 채널에 대해 + 방향으로 1개만큼 이동한 채널로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하 버튼(58)을 Ch + 버튼(58)이라 한다. 여기서, + 방향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에 있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당연히, + 방향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방향의 역방향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채널이 A 채널 일 때, Ch + 버튼(58)이 한번 눌러지면, 재생 대상 채널이 B 채널로 전환된다. 그리고, Ch + 버튼(58)이 다시 한번 눌러지면, 재생 대상 채널이 C 채널로 전환된다.
한편, 버튼(59)에는, 재생 대상의 채널을,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의 채널에 대해 - 방향으로 1개만큼 이동한 채널로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하, 버튼(59)을 Ch - 버튼(59)이라 한다. 여기서, - 방향은 + 방향의 역방향, 즉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에 있어서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당연히, - 방향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방향의 역방향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채널이 C 채널일 때, Ch - 버튼(59)이 한번 눌러지면, 재생 대상 채널이 B 채널로 전환된다. 또한, Ch - 버튼(59)이 다시 한번 눌러지면, 재생 대상 채널이 A 채널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그램 재생의 진행중에 또는 그 재생의 종료 후에,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표시시키지 않고, 다음에 재생할 다른 프로그램을 찾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Ch 버튼(51) 대신에, Ch + 버튼(58) 또는 Ch - 버튼(59)을, 원하는 채널의 프로그램이 재생될 때기까지 여러 번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조작, 즉 Ch + 버튼(58)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실행될 녹화 재생 장치(1)의 처리예에 대하여는, 도 16의 단계 S66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그 이후의 처리로서 후술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Ch - 버튼(59)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실행될 녹화 재생 장치(1)의 처리예에 대하여는, 도 16의 단계 S68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그 이후의 처리로서 후술한다.
버튼(60) 내지(63)에는, 조작 대상의 절대 시각, 예를 들면 전술한 재생 개시 절대 시각 등을, 현재 설정되어 있거나 표시되는 시각으로부터 다른 시각으로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60)에는, 조작 대상의 절대 시각 중 날짜를, 현재의 날짜 설정 또는 표시되는 날짜로부터 1일 후의 날짜, 즉 + 방향으로 1일만큼 이동한 날짜로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이에 대해, 버튼(61)에는, 조작 대상의 절대 시각 중 날짜를, 현재의 날짜 설정 또는 표시되는 날짜에서 날짜로부터, 1일 전의 날짜, 즉 - 방향으로 하루만큼 이동한 날짜로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하, 버튼(60)을 날짜 + 버튼(60)이라 하고, 버튼(61)을 날짜 - 버튼(61)이라고 한다.
또, 버튼(62)에는, 조작 대상의 절대 시각 중 시간(예를 들면, 시 : 분)을, 현재 설정 또는 표시되어 있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1 단위, 예를 들면 1분만큼 시간적으로 후의 다른 시간으로, 즉 + 방향으로 1단위만큼 이동한 시간으로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이에 대해, 버튼(63)에는, 조작 대상의 절대 시각 중 시간(예를 들면, 시 : 분)을, 현재 설정 또는 표시되어 있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1단위, 예를 들면 1분만큼 시간적으로 전의 다른 시간, 즉 - 방향으로 1단위만큼 이동한 시간으로 전환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하, 버튼(62)을 시간 + 버튼(62)이라 하고, 버튼(63)을 시간 - 버튼(63)이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날짜 + 버튼(60) 내지 시간 - 버튼(63)의 누름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예를 들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원하는 절대 시각을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또, 버튼(64)에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화상(71)의 표시 커맨드를 녹화 재생 장치(1)에 대해 발행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화상(71)을 이용하여, 재생을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원하는 채널을 선택한 후에, 그 원하는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재생을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이와 같은 화상(71)을 채널 선택 화상(71)이라한다. 또, 이 호칭에 따라, 채널 선택 화상(71)을 표시하기 위해 눌러지는 도 6의 원격 제어기(6)의 버튼(64)을 이하, 채널 선택 버튼(64)이라 한다.
채널 선택 화상(71)은 "채널로 선택한다"라는 메시지의 표시와 이 메시지의 아래에 표시 영역(81)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81)에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 대상 채널로서 현재 지정되거나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명칭을 표시한다. 도 7의 예에서는, A ch이 표시 영역(81)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채널 선택 화상(71)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원격 제어기(6)의 소정의 버튼의 누름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재생 대상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버튼 중에서 어느 버튼을 눌렀는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변경 후의 재생 대상 채널의 채널명이 표시 영역(81)에 표시된다.
표시 영역(82)은 표시 영역(81)의 아래쪽에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해 현재 지정되거나 선택되어 있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을 표시한다. 도 7에서는, 프로그램 1E가 표시 영역(82)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채널 선택 화상(71)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원격 제어기(6)의 소정의 버튼의 누름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버튼 중에서 어느 버튼을 눌렀는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변경 후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 표시 영역(82)에 표시된다.
표시 영역(83)은 표시 영역(82)의 아래의 왼쪽에 표시되며, 전술한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이 표시 영역(83)에 표시된다. 도 7에서는, 2005년 8월 22일 00:05이 표시되어 있다. 또, 표시 영역(84)은 표시 영역(83)의 오른쪽, 즉 표시 영역(82)의 아래의 오른쪽에 표시된다. 표시 영역(84)에는, 전술한 재생 개시 위치와 그 재생 개시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 즉 표시 영역(82) 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명을 가지는 녹화 프로그램의 시간 길이가 차례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도 7에서, 0:08이 재생 개시 위치로서 0:08 및 시간 길이로서 0:18이 "/"전후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표시 영역(81 내지 84)에 중첩하여 표시되어 있는 배경 화상으로서, 도 6에 도시한 채널 선택 버튼(64)의 누름 조작 전에 재생되고 있던 프로그램의 화상이 그대로 표시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7에서 배경 화상은 곰의 화상이다.
전술한 표시 영역(81 내지 84)의 아래쪽에는, 도 6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의 버튼 중에서, 채널 선택 화상(71)에서 조작할 수 있는 버튼에 대한 간단한 조작 설명을 나타내는 표시(85 내지 87)가 배치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이러한 표시(85 내지 87)의 내용으로부터, 취급 설명서를 읽지 않아도, 이 채널 선택 화상(71)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표시(85)의 내용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의 날짜 + 버튼(60) 또는 날짜 - 버튼(61)의 누름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재생 개시 절대 시각 내의 날짜로서 원하는 날짜를 간단하게 지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표시(86)의 내용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의 시간 + 버튼(62) 또는 시간 - 버튼(63)의 누름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재생 개시 절대 시각 중 시간으로서, 원하는 시간을 간단하게 지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87)의 내용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의 버튼 중에서 "결정"이라고 인쇄된 버튼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채널 선택 화상(71)의 그 시점의 표시 내용에 따른 재생이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위의 "결정"이라고 인쇄된 버튼을 이하 결정 버튼이라고 하는 것이다. 또, 결정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도 16 내지 도 20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채널 선택 화상(71)을 이용함으로써,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의 지정에 기초한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 즉 재생 개시 지시 조작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재생 개시 지시 조작에 대한 도 1의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의 처리의 상세예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는 것에 유이하기 바란다. 또, 이 경우의 재생 제어부(17)의 처리를 이하 재생 개시 지시 처리라고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녹화 재생 장치(1)는 이상에서 설명한 재생 제어부(17)와 같은 구성요소나 블록 외에, 개인용 컴퓨터(2)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부(19)를 포함한다.
개인용 컴퓨터(2)는,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3)로부터 네트워크(4)를 통하여 제공되 각종 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등에 응답하여, 소정의 녹화 커맨드을 생성하여 녹화 재생 장치(1)에 발행할 수 있다. 또, 개인용 컴퓨터(2)는, 녹화 재생 장치(1)의 전술한 각종 기능 중에서 튜너부(11)와 인코딩부(12)의 기능, 즉 방송 프로그램 수신 및 녹화 기능을 제외한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2)는 주 제어부(31), 조작부(32), 통신부(33), HDD(34), 다른 통신부(35), 녹화 제어부(36), 재생 제어부(37) 및 재생부(38)를 포함하고 있다.
주 제어부(31)는 개인용 컴퓨터(31)의 동작 전체를 제어한다. 그러한 제어를 할 때, 주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32)의 조작 내용을 적절하게 이용한다.
통신부(33)는 녹화 재생 장치(1)의 통신부(19)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HDD(34)는, 주 제어부(31)가 제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비디오 캡슐, EPG 정보,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녹화 재생 장치(1)의 HDD(13)의 기억 내용에 대한 복사본도 기억할 수 있다.
통신부(35)는 네트워크(4)를 통한 서비스 제공 서버(3)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녹화 제어부(36)는 녹화 재생 장치(1)의 HDD(13) 또는 개인용 컴퓨터(2)의 HDD(34)에의 녹화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녹화 제어부(36)는 서비스 제공 서버(3)로부터 네트워크(4)로 통신부(35)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에 따라, 또는 조작부(32) 및 주 제어부(31)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지시에 따라, 녹화 예약 커맨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녹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 제어부(36)는 녹화 커맨드를 통신부(33)를 통해 녹화 재생 장치(1)에 발행할 수 있다.
재생 제어부(37)는 조작부(32) 등으로부터의 재생 커맨드에 기초하여, 녹화 재생 장치(1)의 HDD(13) 또는 개인용 컴퓨터(2)의 HDD(34) 내의 소정의 녹화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재생부(38)를 제어한다. 조작부(32) 등으로부터의 커맨드는 후하는 채널 전환 커맨드 또는 프로그램 전환 커맨드를 포함한다. 또, 재생 제어부(37)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표시하도록 재생부(38)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지만, 재생 제어부(37)는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의 재생 동작과 마찬가지로 재생부(38)의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녹화 재생 장치(1)의 HDD(13) 또는 개인용 컴퓨터(2)의 HDD(34)내의 녹화 프로그램은, 임의의 텔레비전 수상기(5)와, 개인용 컴퓨터(2)에 내장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부(38)로부터 재생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재생부(38)의 디스플레이 등에 녹화 프로그램을 재생 또는 표시할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 즉 재생 화상의 예에 대해서는 도 25 내지 도 30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는 것이다.
이제, 도 8 등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도 8에 나타낸 재생 처리에서는, 사용자의 재생 개시 지시 조작에 응답하여 재생이 일단 개시되면, 그 후, 도 6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의 전원 버튼(52)이 눌러지기까지, 재생이 연속하여 수행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도 8의 재생 처리 를, 특히 연속 재생 처리라고 한다.
단계 S1에서,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는, 전원 버튼(52)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에서 전원 버튼(52)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이 연속 재생 처리는 종료된다. 그런 다음, 녹화 재생 장치(1)의 전원 상태가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단계 S1에서, 전원 버튼(52)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도 6에 도시한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에서,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재생 개시 이전의 단계에서는, 전원 버튼(52)이 눌러지지 않는 한,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질 때까지는 단계 S1 및 S2의 처리가 반복되어, 이 연속 재생 처리는 대기 상태로 있다.
그 후,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지면, 단계 S2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 7에 도시한 채널 선택 화상(71)을 이용하여 재생 개시 지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재생 개시 지시 조작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지시 처리가, 단계 S3의 처리로서 실행된다. 유의할 것은, 재생 개시 지시 처리의 상세예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는 것이다.
단계 S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의 결과로서, 소정의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지시된 프로그램을 재생 대상 프로그램으로서 결정한다.
다음에 단계 S5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텔레비전 수상기(5)를 제어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이러한 재생 처리를 이하 프로그램 재생 처리라고 한다. 프로그램 재생 처리의 상세예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도 20 등을 참조하여 후술함에 유의하기 바란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종료되면, 단계 S5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는 종료되고(도 16의 단계 S62 참조),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과 동일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HDD(13)에서 참조한다. 그런 다음, 단계 S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절대 시각 형식의 녹화 개시 시각의 오름차순으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정렬(sort)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과 같이, 녹화 개시 시각에 따라 미리 정렬되어 있는 경우, 단계 S7의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 도 2 내지 도 4에서, 녹화 개시 시각은 단지 "개시 시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 후 단계 S8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현재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녹화 종료 시각(절대 시각)과 동일 시각 또는 그 이후의 시각을, 녹화 개시 시각(절대 시각)으로 하는 녹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현재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보다 후의 절대 시각에 방송된 다른 프로그램으로서, 현재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과 동일 채널의 다른 프로그램이 HDD(13)에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8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에, 처리는 단계 S1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현재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되면, 텔레비전 수상기(5)의 재생은 일단 종료되고, 이 연속 재생 처리는 대기 상태로된다. 전술한 다른 프로그램을, 이하에서는 다른 녹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한편, 하나 이상의 다른 녹화 프로그램이 HDD(13)에 녹화되어 있는 경우, 단계 S8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최선(最先)의 녹화 프로그램을 재생 대상 프로그램으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최선의 녹화 프로그램은 녹화 개시 시각(절대 시각)이 지금까지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녹화 종료 시각(절대 시각)에 가장 가까운(동일 시각을 포함) 녹화 프로그램이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5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단계 S9의 처리로 재생 대상 프로그램으로서 결정된 다른 녹화 프로그램이, 텔레비전 수상기(5)에 재생된다.
이와 같이, 동일 채널에 대해 복수의 녹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연속 재생 처리를 재생 제어부(17)가 실행한다. 따라서, 복 수의 녹화 프로그램을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에 방송 예정인 프로그램 중에서, 도 9에 나타낸 프로그램명이 "1-A", "2-A", "1-B", "3-A", 및, "1-C"인 녹화 프로그램이 HDD(13)에 있다고 가정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1: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1-A"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으로서 녹화되어 있다. 이하, "1-A"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1-A"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1:00:00의 시간대에 B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2-A"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으로서 녹화되어 있다. 이하, "2-A"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2-A"라고 한다.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1-B"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으로서 녹화되어 있다. 이하, "1-B"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1-B"라고 한다.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1:00:00의 시간대에 C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3-A"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으로서 녹화 되어 있다. 이하, "3-A"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3-A"라고 한다.
2005년 8월 31일의 03: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1-C"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으로서 녹화되어 있다. 이하, "1-C"라는 프로그램명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1-C"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A ch의 방송이 예정대로 수행되었으면, 프로그램 "1-A" 전체가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1: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컨텐츠이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1-B" 전체가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프로그램 "1-A"보다 시간상 선행하는 야구 프로그램이 일정 시간 연장되어 A ch에서 방송되었다면, 선행 프로그램의 후반 부분과 프로그램 "1-A"의 전반 부분이,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1: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프로그램 "1-A" 전체가 녹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프로그램 "1-A"의 후반 부분은 녹화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 경우, 프로그램 "1-A"의 후반 부분과 프로그램 "1-B"의 전반 부분이,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며, 프로그램 "1-B"로서 녹화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HDD(13)의 기록 내용 전체로부터 보면, 프로그램 "1-A" 전체는 녹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녹화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사용자가, 프로그램 "1-A"의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하면, 종래의 재생 처리에 따라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만을 재생한다. 즉, 종래의 재생 처리에 따르면, 프로그램 "1-A"의 전반 부분만이 재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재생 처리를 실행 하는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프로그램 "1-A"의 후반 부분을 시청하려 할 때, 프로그램 "1-B"의 재생 지시 조작을 별도 수행해야 하는 번잡한 조작을 해야만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녹화 재생 장치(1)는 연속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가 실행되면,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1: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과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연속하여 재생된다. 그 결과, 프로그램 "1-A" 전체가 연속하여 재생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단계 S4의 처리에서의 "지정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1-A"인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 S5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에 의해, 2005년 8월 31일의 00:00:00 내지 01: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재생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6에서, 도 2에 도시한 것과는 상이하지만 도시하지 않은, A ch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필요에 따라 단계 S7의 처리로, 프로그램 "1-A", 프로그램 "1-B", 및 프로그램 "1-C"의 순으로 정렬된다.
이 경우, 단계 S8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단계 S9의 처리에 의해, 재생 대상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램 "1-B"가 결정된다. 따라서, 다음의 단계 S5의 프로그램 처리에서는, 프로그램 "1-B"로서 실제로 방송되어 녹화되어 있는 방송 내용, 즉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 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재생된다. 그 결과, 프로그램 "1-A" 전체가 연속하여 재생된다.
그 후, 다음의 단계 S6에서, A ch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다시 참조되어, 필요에 따라 단계 S7의 처리에 의해, 프로그램 "1-A", 프로그램 "1-B", 및 "프로그램 1-C"의 순으로 정렬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선행 동작 사이클에서 단계 S7의 처리로 정렬을 수행하였으므로, 2 번째 이후의 단계 S7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이 경우, 단계 S8의 처리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단계 S9의 처리로, 재생 대상 녹화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램 "1-C"가 결정된다. 따라서, 다음의 단계 S5의 프로그램 처리에서는, 프로그램 "1-C"로서 녹화되어 있는 실제의 방송 내용, 즉 2005년 8월 31일의 03: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된다.
구체적으로, 실제의 방송 시간대에 있어 불연속인 프로그램 "1-B"와 프로그램 "1-C"가, 연속하여 재생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야구 방송의 연장 등으로 실제의 방송 시간대가 예정된 방송 시간대로부터 가금은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과, 2005년 8월 31일의 03: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이, 연속하여 재생된다.
다시 말해, 방송 내용이, 2005년 8월 31일의 01:00:00 내지 02: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 즉 프로그램 "1-B"로서 녹화된 녹화 내용으로부터, 2005년 8월 31일의 03: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실 제로 방송된 방송 내용, 즉 프로그램 "1-C"로서 녹화된 녹화 내용으로 바뀌었을 때, 텔레비전 수상기(5)에 재생되는 장면 또는 프레임은 불연속적이 된다. 때문에, 사용자는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 내용이 프로그램 "1-B"로서 녹화된 녹화 내용으로부터 프로그램 "1-C"로서 녹화된 녹화 내용으로 바뀐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재생 제어부(17)는 그 표시(indication)를 텔레비전 수상기(5)에 제시(presentation)한다. 이 제시는, 프로그램 "1-B"로부터 프로그램 "1-C"에 바뀌었을 때뿐 아니라, 모든 프로그램 사이의 전환 시에 수행된다. 상기 제시를 위해 임의의 제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전환된 후 일정 기간 동안 또는 사용자에 의해 소거 지시가 이루어질 때까지, 전환 후의 프로그램명을 도 10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상기(5)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도 10은 프로그램 "1-B"로부터 프로그램 "1-C"로 바뀐 것을 나타낸 것이고, 그러므로 프로그램명으로서 "1-C"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절대 시각으로 녹화 개시 시각 2005/08/31 03:00:00이 표시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HDD(13)의 녹화 내용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별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통해 관리되지만, 채널을 분류하지 않고 단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는 다른 관리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재생 제어부(17)는 연속 재생 처리로서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 제어부(17)는, 도 8의 단계 S6의 처리 대신에, "도 9 등의 테이블 중에서 현재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과 동일 채널의 프로그램의 정보(행)를 필터링"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재생 제어부(17)는, 도 8의 단계 S7의 처리 대신에, "필터링된 정보를 녹화 개시 시각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그 외의 처리에 대하여는,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의 대응하는 처리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현재의 재생 대상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1-A"인 경우, 전술한 처리에 의해, 도 9의 테이블 중 첫 번째 행, 세 번째 행, 및 네 번째 행의 정보인, 프로그램 "1-A"의 정보, 프로그램 "1-B"의 정보, 및 프로그램 "1-C"의 정보가 필터링되어 그 순서로 정렬된다.
이상에서는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다음에, 연속 재생 처리의 세부사항으로서 단계 S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의 상세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재생 개시 지시 처리의 상세예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 S21에서, 도 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17)는 지정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재생 대상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채널 선택 화면을 텔레비전 수상기(5)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녹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프로그램명, 지정 절대 시각, 지정 재생 개시 위치,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정 절대 시각은 사용자에 의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지정되거나 표시된 시각이다. 하지만, 첫회의 단계 S21의 처리에서만,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치로서 등록되어 있는 채널이 재생 대상 채널이 되고, 그 재생 대상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 중 소정의 하나의 녹화 개시 시각이, 지정 절대 시각으로서 채용된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21의 처리에 의해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채널 선택 화상(71)이 표시된다. 이 경우, 단계 S21에서 "지정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재생 대상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중에서 재생 대상 채널은 표시 영역(81)에 표시된다. 한편, 프로그램명은 표시 영역(82)에 표시되고, 지정 절대 시각은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표시 영역(83)에 표시된다. 또, 지정 재생 개시 위치는, 그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위치로서 프로그램의 시간 길이와 함께 표시 영역(84)에 표시된다. 도 7의 예에서는, 프로그램 정보의 표시는 생략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단계 S22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지시의 발행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의 원격 제어기(6)의 결정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단계 S22에서 재생 지시가 발행된 것으로 판정되어, 재생 개시 지시는 종료로된다. 구체적으로, 도 8의 단계 S3의 처리는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7의 표시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6)의 결정 버튼이 눌러지면, 프로그램 1E가 단계 S4에서 본 "지정된 프로그램"된다. 그 후, 단계 S4의 처리에 의해, 프로그램 1E는 재생 대상의 프로그램으로서 결정되고, 단계 S5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에 의해, 프로그램 1E의 선두로부터 8분 후의 위치[도 7의 표시 영역(84)의 표시 내용 참조]에서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한편, 도 6의 원격 제어기(6)의 결정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단계 S22에서, 재생 지시가 발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대상의 채널의 변경 조작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 7의 채널 선택 화상(71)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원격 제어기(6)의 소정의 버튼의 누름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재생 대상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어떤 버튼이 눌러졌는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이러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단계 S23에서, 재생 대상 채널의 변경 조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24로 진행한다.
단계 S24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변경 후의 재생 대상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HDD(13)에서 참조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25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3에서, 재생 대상 채널의 변경 조작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24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즉 재생 대상 채널은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재의 재생 대상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계속 참조하며, 이 상태에서, 처리는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녹화 개시 시각(절대 시각)의 오름차순으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정렬한다. 하지만,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처럼, 녹화 개시 시각의 오름차순으로 미리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5의 처리는 생략 가능하다.
단계 S26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지정 절대 시각의 변경 조작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 6의 원격 제어기(6)의 날짜 + 버튼(60) 내지 시간 - 버튼(63)의 누름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지정되는 지정 절대 시각으로서 원하는 시각을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누름 조작이 수행된 경우, 단계 S26에서, 지정 절대 시각의 갱신 조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27로 진행한다.
단계 S2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지정 절대 시각을 갱신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28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6에서, 지정 절대 시각의 갱신 조작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7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즉 지정 절대 시각은 갱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 처리는 단계 S28로 진행한다.
단계 S28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지정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녹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에서 검색한다. 그런 다음, 단계 S2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검색의 결과로부터 녹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9에서, 녹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21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5)의 표시 내용이, 단계 S28의 처리로 검색된 녹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채널 선택 화상으로 갱신된다. 하지만, 단계 S23의 처리에서 NO로 판정되고, 단계 S26의 처리에서 NO로 판정된 경우, 즉 재생 대상 채널의 변경 조작과 지정 절대 시각의 갱신 조작 중 어느 쪽도 수행되지 않은 경우, 갱신 후의 채널 선택 화상의 표시 내용은 갱신전과 것과 일치한다. 즉, 특별한 갱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단계 S29에서, 녹화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30에서, "재생 가능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채널 선택 화상,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채널 선택 화상(71)을 텔레비전 수상기(5)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23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13은, 도 11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상이한 재생 개시 지시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단계 S41 내지 S49의 처리는 각각, 도 11의 단계 S21 내지 S29의 처리와 각각 동일한 것이므로, 여기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는, 단계 S49의 처리에 의해 녹화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그 이후의 처리 만이, 도 11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에서, 단계 S49의 처리로 녹화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가능한 프 로그램이 없습니다"라는 표시하지 않는다. 대신에,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50에서 다음의 녹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 다음, 단계 S49의 처리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단계 S49의 처리에 의해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이어서 단계 S41의 처리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5)의 표시 내용이, 단계 S50의 처리로 검색된 다음의 녹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채널 선택 화상으로 갱신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단계 S50의 처리로 검색된 다음의 녹화 프로그램의 녹화 개시 시각이 지정 절대 시각으로서는 채용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005년 9월 2일의 01:00:00 내지 06:00:00의 시간대에 방송된 프로그램 중, 도 14에 나타내는 녹화 프로그램 A, B, 및 C가 HDD(13)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야구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이 어떠한 연장도 없이 예정대로 방송된 것으로 가정한다.
녹화 프로그램 A는 2005년 9월 2일의 01:00:00 내지 03: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이다. 녹화 프로그램 B는 2005년 9월 2일의 02: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에 B ch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이다. 녹화 프로그램 C는 2005년 9월 2일의 04:30:00 내지 06: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이다.
이 경우, 재생 대상 채널로서 A ch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었고, 2005년 9월 2일의 01:00:00 내지 03:00:00의 시간대의 절대 시각이 지정 절대 시각, 즉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지정된 시각으로서 지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녹화 프로그램 A에 대 한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그 후, 2005년 9월 2일의 03:00:00 내지 04:30:00의 시간대 내의 소정의 시각을 지정 절대 시각으로 지정하는 갱신 조작이 수행된 경우, 도 11의 예에서는, 단계 S30의 처리로 "재생 가능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도 13의 예에서는, 단계 S50의 처리로 녹화 프로그램 C가 검색되어, 단계 S49의 처리에 의해 YES인 것으로 판정된다. 그 후, 다음의 단계 S41의 처리에 의해, 녹화 프로그램 C에 대한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또, 2005년 9월 2일의 03: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 내의 소정의 시각을 지정 절대 시각으로 지정하는 갱신 조작이 수행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을 B ch로 변경하는 변경 조작이 수행된 경우에는, 도 11의 예에서는 단계 S28의 처리에 의해, 그리고 도 13의 예에서는 단계 S48의 처리에 의해, 녹화 프로그램 B가 검색된다. 그런 다음, 단계 S29 또는 단계 S49의 처리에 의해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다음의 단계 S21 또는 단계 S41의 처리로, 녹화 프로그램 B에 대한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또 예를 들면, 2005년 9월 2일의 01:00:00 내지 06:00:00의 시간대에 방송된 프로그램 중, 도 15에 나타내는 녹화 프로그램 A, C, D가 HDD(13)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여기서도,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야구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이 어떠한 연장도 없이 예정대로 방송된 것으로 가정한다.
녹화 프로그램 A, C, D는 모두 A ch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이다. 그 중 녹화 프로그램 A, C는, 도 14에도 또한 나타나 있다. 한편, 녹화 프로그램 D는, 2005년 9월 2일의 03:00:00 내지 04:00:00의 시간대에 A ch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이다. 즉, 녹화 프로그램 A 및 D는 시간상 연속하여 A ch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이다.
이 경우, 재생 대상 채널로서 A ch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2005년 9월 2일의 01:00:00 내지 03:00:00의 시간대 내의 절대 시각이 지정 절대 시각, 즉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지정되는 시각으로서 지정되는 경우, 도 14의 예와 아주 유사하게 녹화 프로그램 A에 대한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하지만, 그 후, 2005년 9월 2일의 03:00:00 이후의 시각을 지정 절대 시각으로 하는 갱신 조작이 수행된 경우라도, 그 갱신 시각이 2005년 9월 2일의 04: 00:00보다 앞서는 경우에는, 도 11의 단계 S28의 처리로 또는 도 13의 단계 S48의 처리로, 녹화 프로그램 D가 검색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29 또는 단계 S49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다음의 단계 S21 또는 단계 S41의 처리에 의해 녹화 프로그램 D에 대한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또, 2005년 9월 2일의 03:00:00 이후의 시각을 지정 절대 시각으로 하는 갱신 조작이 수행된 경우라도, 그 갱신 시각이 2005년 9월 2일의 04:00:00 내지 04:30:00의 시간대 내의 시각인 경우에는, 도 11의 예에서는, 단계 S30의 처리로 "재생 가능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도 13의 예에서는, 단계 S50의 처리로 녹화 프로그램 C가 검색되고, 단계 S49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41의 처리로, 녹화 프로그램 C에 대한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또, 2005년 9월 2일의 03:00:00 이후의 시각을 지정 절대 시각으로 하는 갱신 조작이 수행된 경우라도, 그 갱신 시각이, 2005년 9월 2일의 04:30:00 내지 06:00:00의 시간대 내의 시각인 경우에는, 도 11의 예에서는 단계 S28의 처리로, 그리고 도 13의 예에서는 단계 S48의 처리로, 녹화 프로그램 C가 검색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29 또는 단계 S49의 처리에 의해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다음의 단계 S21 또는 S41의 처리에서, 녹화 프로그램 C에 대한 채널 선택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제어부(17)가 도 11 또는 도 1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를 실행하므로, 사용자는 절대 시각에 기초한 직감적인 재생 개시 지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제, 도 16 내지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8의 연속 재생 처리 중 단계 S5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의 상세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의할 것은, 도 16 내지 도 20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에서는, 채널의 전환 지시 조작이,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원격 제어기(6)의 Ch 버튼(51), Ch + 버튼(58), 및 Ch - 버튼(59)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는 것이다. 또, 채널을 시간상 이전 채널 또는 다음 채널로 전환하는 지시 조작인 프로그램 전환 조작이,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원격 제어기(6)의 이전 버튼(53) 및 다음 버튼(5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원격 제어기(6)의 버튼 중 이전 버튼(53) 및 다음 버튼(54), 그리고 채널 선택 버튼(64)과 정지 버튼(57)을 제외한 버튼을 일괄하여 기타 버튼이라고 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61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소정의 재생 개시 위치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첫 회의 단계 S61의 처리에서는, 즉 도 8의 단계 S4의 처리 직후에 실행되는 단계 S61의 처리에서는, 단계 S4의 처리로 결정된 재생 대상 프로그램, 즉 단계 S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에 의해 재생할 것으로 지정된 프로그램이 재생된다. 그때, 재생 개시 위치는, 단계 S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로 지정된, 도 11 또는 도 13의 지정 절대 시각인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한다.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는, 프로그램의 선두의 시각을 기준 시각 00:00에 대한 상대 시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값으로 주어진다.
한편, 후술하는 도 19의 단계 S94의 처리 후에 실행되는 단계 S61의 처리에서는, 단계 S94의 처리로 결정된 재생 대상 프로그램, 즉 후술하는 단계 S9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로 재생되도록 지정된 프로그램이 재생된다. 단계 S9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는 전술한 도 11 또는 도 13의 흐름도의 그것과 동일하다. 그러한 재생 시에, 재생 개시 위치는 단계 S93의 재생 개시 지시 처리에 의해 지정된, 도 11 또는 도 13에서의 지정 절대 시각인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로서 주어진다.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는, 프로그램의 선두의 시각을 기준 시각 00:00에 대한 상대 시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값으로 주어진다.
단계 S62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녹화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재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후술하는 도 18의 단계 S91 참조).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되었을 경우, 단계 S62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현 프로그램 재생 처리는 종료된다. 즉, 도 8의 단계 S5의 처리가 종료되고,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된다.
한편, 프로그램이 아직 재생중인 경우, 단계 S62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63으로 진행된다.
단계 S6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원격 제어기(6)의 어느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3에서, 원격 제어기(6)의 어느 버튼도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원격 제어기(6)의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질 때까지, 또는 다시 말해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즉 프로그램의 재생중에, 단계 S62(NO), S63(NO)의 루프 처리가 반복된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 재생 처리는 대기 상태이다.
그 후, 원격 제어기(6)의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지면, 단계 S63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64로 진행한다.
단계 S64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도 6에 도시한 Ch 버튼(51)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4에서, Ch 버튼(51) 중 하나가 눌러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Ch 버튼(51)에 의해 지정된 채널, 즉 Ch 버튼(51)에 할당되어 있는 채널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HDD(13)에서 참조한다. 그런 다음, 처리 는 단계 S70으로 진행한다. 단, 단계 S70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단계 S64에서, Ch 버튼(51)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6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6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도 6의 Ch + 버튼(58)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6에서, Ch + 버튼(58)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67에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채널에 대해 + 방향의 다음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HDD(13)에서 참조한다. 이 경우에, 다음 채널은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에서 우측에 나타나 있는 채널이다. 그런 다음, 처리는 단계 S70으로 진행한다. 단계 S70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단계 S66에서, Ch + 버튼(58)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68로 진행한다.
단계 S68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도 6의 Ch - 버튼(59)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8에서, Ch - 버튼(59)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처리는 도 17의 단계 S77로 진행한다. 단계 S77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서도 후술한다.
한편, 단계 S68에서, Ch - 버튼(59)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한 경우, 단계 6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채널에 대해 - 방향의 다음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HDD(13)에서 참조한다. 이 경우에, 다음 채널은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에서 좌측에 나타나 있는 채널이다. 그런 다음, 처리는 단계 S70으로 진행한다.
이렇게 하여, 단계 S65, S67, 또는 S69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70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Ch 버튼(51), Ch + 버튼(58), 또는 Ch-버튼(59) 중 하나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라 채널의 전환 지시가 발행되면, 그 전환 지시로 지정된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고, 처리는 단계 S70으로 진행한다.
단계 S70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여기서,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Ch 버튼(51), Ch + 버튼(58), 또는 Ch-버튼(59) 중어느 하나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에,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재생 위치를 절대 시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시각이다.
단계 S71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70의 검색의 결과로부터,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1에서, 그러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72에서, 텔레비전 수상기(5)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 가능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71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HDD(13)에 그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행 자체가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대응하는 행이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동영상 ID"가 그 행에 기술되어 않은 경우에도, 단계 S71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계 S65, S67, 또는 S69의 처리에 의해 도 3의 B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참조되고,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23:50 내지 0:15 사이의 소정의 시각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도 3의 B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5 번째 행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3C"가,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하지만, "프로그램 3C"의 "동영상 ID"는 기술되어 있지 않으므로, 즉 "프로그램 3C"가 HDD(13)에 녹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계 S71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따라서, 단계 S72에서 예를 들면 도 21의 화상이 텔레비전 수상기(5)에 표시된다.
한편, 단계 S71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73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계 S71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대응하는 행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그 행에 "동영상 ID"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 즉 HDD(13)에 그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단계 S7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을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Ch 버튼(51), Ch + 버튼(58), 또는 Ch-버튼(59) 중 어느 것의 누름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녹화 종료 절대 시각이 전환 지시 절대 시각으로 간주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 단계 S73의 처리에 의해, 녹화 종료 절대 시각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지정된다.
단계 S74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70의 처리로 검색된 프로그램의 동영상 ID, 즉 전환 지시 절대 시각(=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의 동영상 ID를 취득한다.
단계 S75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기초하여, 단계 S74의 처리로 취득된 동영상 ID의 녹화 프로그램, 즉 단계 S70의 처리로 검색된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위치를 특정한다.
단계 S76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단계 S74의 처리로 취득된 동영상 ID의 녹화 프로그램, 즉 단계 S70의 처리로 검색된 프로그램을 단계 S75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재생 개시 위치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A 채널의 "프로그램 1A"의 일부가 절대 시각 "23:10"에서 재생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B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종래에, 사용자는 도 5의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텔레비전 수상기(5)의 화면에 표시시키고, 그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 내에서 "프로그램 3A"의 프로그램란을 선택하기 위한 일련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녹화 재생 장치(1)는 프로그램 재생 처리를 실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프로그램 1A"의 재생중에, Ch + 버튼(58)을 누르거나, Ch 버튼(51) 중에서 B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B 채널의 "프로그램 3A"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녹화 재생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한 채널 전환 지시 조작에 응답하여, 동일 시각에 녹화된 상이한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을 연속하여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채널의 녹화 프로그램이 동시에 녹화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녹화 프로그램을 재핑(zapping) 시청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Ch + 버튼(58)이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67의 처리에 의해 도 3의 B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한다. 한편, B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Ch 버튼(51)이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65의 처리로, 도 3의 B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참조된다.
이 경우, 절대 시각으로 "23:10"에서 A 채널의 "프로그램 1A"의 부분이 재생되고 있을 때, Ch + 버튼(58) 또는 Ch 버튼(51)이 눌러진 것이다. 따라서,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은 "23:10"이된다.
따라서, "전환 지시 절대 시각 "23:10"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도 3의 B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3 번째 행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3A"이다. 그러므로, 단계 S70의 처리에 의해, 그 "프로그램 3A"가 검색되고, 단계 S71의 처리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며, 처리는 단계 S73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단계 S73의 처리로 "23:10"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지정되고, 단계 S74의 처리에 의해 동영상 ID로서 "3A"가 취득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3A"의 녹화 시간대는 "23:00 내지 23:25"이므로, 녹화 개시 절대 시각은 "23:00"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은 "23:10"이다. 녹화 개시 절대 시각과 재생 개시 절대 시각 사이의 차 "0:10"이 재생 개시 위치로서 특정된다.
그 후, 단계 S76의 처리에 의해, 재생은, 재생 개시 위치가 "0:10"인 "프로그램 3A"의 부분, 즉 선두로부터 10분인 부분에서부터 개시된다.
이상, 프로그램 재생 처리 중에, 채널 전환 지시 조작이 수행된 경우의 처리, 즉 도 6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의 Ch 버튼(51), Ch + 버튼(58), 및 Ch - 버튼(59) 중 적어도 하나가 눌러진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프로그램 재생 처리의 나머지의 처리를 설명한다. 나머지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6)의 이전 버튼(53) 및 다음 버튼(5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 전환 지시, 즉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시간상 이전 또는 다음의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지시가 발행된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일 수 있다. 또는, 나머지 처리는, 원격 제어기(6)의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진 경우, 원격 제어기(6)의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경우, 또는 원격 제어기(6)의 그 외의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진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일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68의 처리에 의해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도 17의 단계 S77로 진행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S7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이전 버튼(53)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7에서, 이전 버튼(53)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18의 단계 S84로 진행한다. 단계 S84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에 대해, 단계 S77에서, 이전 버튼(53)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78로 진행한다.
단계 S78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개시 절대 시각으로부터 5초 이내의 시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5초라는 기간이 채용되었지만, 기간은 특히 5초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시간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단계 S78에서,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개시 절대 시각으로부터 5초 이내의 시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재생 위치가 선두로부터 5초 이후의 위치인 경우, 처리는 단계 S79로 진행한다.
단계 S7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을 다시 그 프로그램의 선두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단계 S78에서,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개시 절대 시각으로부터 5초 이내의 시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즉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재생 위치가 선두로부터 5초 이내의 위치인 경우, 처리는 단계 S80으로 진행한다.
단계 S80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이 전(preceding)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여기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이전의 프로그램은,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에 대해 시간상 직전에 재생된 프로그램 또는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보다 과거에 방송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해,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이전의 프로그램은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에 대해 시간상 직전에 방송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단계 S81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80의 검색의 결과로부터,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이전의 프로그램, 여기서는 직전의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1에서, 이전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79에 진행된다. 즉,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이 다시 선두에서부터 재생된다.
여기서, 단계 S81에서, 이전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도 16에 나타낸 단계 S7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전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행 자체가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대응하는 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대응하는 행에 "동영상 ID"가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HDD(13)에 직전의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단계 S81에서 이전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한편, 단계 S81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는, 단계 S7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대응하는 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고, 또한 그 대응하는 행에 "동영상 ID"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 즉 HDD(13)에 이전의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이전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82으로 진행한다.
단계 S82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80의 처리로 검색된 프로그램, 즉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이전의 프로그램, 여기서는 직전의 프로그램의 동영상 ID를 취득한다.
단계 S8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단계 S82의 처리로 취득된 동영상 ID의 녹화 프로그램, 즉 단계 S80의 처리에 의해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이전의 프로그램으로서 검색된 프로그램을, 선두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이전의 프로그램을 재생하고자 할 때,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이 5초 이상 재생되었을 경우에는, 이전 버튼(53)을 1회 눌러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을 선두로부터 다시 재생되도록 한 다음, 5초 이내에 이전 버튼(53)을 다시 1회 누르면 된다.
이상에서 이전 버튼(53)이 눌러진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다음 버튼(54), 채널 선택 버튼(64), 정지 버튼(57), 또는 기타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진 경우, 다음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에, 단계 S77의 처리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도 18의 단 계 S84로 진행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 S84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다음 버튼(54)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4에서, 다음 버튼(54)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처리는 도 19의 단계 S92으로 진행한다. 단계 S92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한편, 단계 S84에서, 다음 버튼(54)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85에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다음의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다음의 프로그램은,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시간상 직후에 방송된 프로그램, 또는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보다 시간상 나중에 방송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여기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해,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다음의 프로그램은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시간상 직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단계 S86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85의 검색의 결과로부터, 현재 재생중인 다음의 프로그램, 여기서는 직후의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6에서, 다음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89에 진행된다.
여기서, 단계 S86에서, 다음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직후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행 자체가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다음과 같은 경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대응하는 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대응하는 행에 "동영상 ID"가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HDD(13)에 직후의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6에서 다음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또,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이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인 경우, 즉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이 HDD(13)의 녹화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도, 단계 S86에서, 다음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단계 S86에서, 다음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8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은 녹화 프로그램 인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9에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이 녹화 프로그램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90에서, 텔레비전 수상기(5)가 현재 재생중인 녹화 프로그램을 그대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이 녹화 프로그램인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단계 S89에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은 녹화 프로그램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90에서, 텔레비전 수상기(5)가 현재 재생중인 녹화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선두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한편, 단계 S89에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이 녹화 프로그램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현재 재생중인 방송 프로그램, 즉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그대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다음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행이 포함되어 있고, 그 대응하는 행에 "동영상 ID"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 즉 HDD(13)에 다음의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86에서, 다음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따라서, 처리는 단계 S87로 진행한다.
단계 S8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85의 처리로 검색된 프로그램, 즉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다음의 프로그램, 여기서는 직후의 프로그램의 동영상 ID를 취득한다.
단계 S88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단계 S87의 처리로 취득된 동영상 ID의 녹화 프로그램, 즉 단계 S85의 처리로 현재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다음의 프로그램으로서 검색된 프로그램을, 선두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다음 버튼(54)이 눌러진 경우의 처리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채널 선택 버튼(64), 정지 버튼(57), 또는 기타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진 경우에는, 다음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84의 처리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도 19의 단 계 S92으로 진행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계 S92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도 6의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2에서,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20의 단계 S95로 진행한다. 단계 S95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한편, 단계 S92에서,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93에서, 도 11 또는 도 1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흐름도에 따른 재생 개시 지시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단계 S94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재생 개시 지시 처리에 의해 지정된 프로그램을 재생 대상 프로그램으로서 결정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1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채널 선택 버튼(64)이 눌러진 경우의 처리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정지 버튼(57) 또는 기타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진 경우, 다음의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92의 처리에 의해 NO인 것으로 판정되고H, 처리는 도 20의 단계 S95로 진행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S95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도 6의 정지 버튼(57)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5에서, 정지 버튼(57)이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재생 제 어부(17)는, 단계 S96에서, 눌러진 기타 버튼 중 하나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에 나태낸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단계 S95에서,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97로 진행한다.
단계 S9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지금까지 재생되고 있는 채널, 보다 정확하게는, 이 시점에서 아직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HDD(13)에서 참조한다.
단계 S98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여기서, 정지 지시 절대 시각은,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시각, 더욱 정확하게는,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타이밍에서의, 녹화 재생 장치(1) 내에서 현재 시각으로서 관리하고 있는 시각이다. 즉,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결과로서, 지금까지 재생되고 있던 프로그램의 재생은 정지한다. 하지만, 그 프로그램 내의 정지 시각을 나타내는 절대 시각은, 정지 지시 시각이라고는 부르지 않는다.
단계 S9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98의 검색의 결과로부터,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9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0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계 S99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는, 도 16에 나태낸 단계 S7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대응하는 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고, 또한, 그 대응하는 행에 "동영상 ID"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 즉 HDD(13)에 그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S98의 검색의 기초로 하는 시각이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인 것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는, 지금까지 재생하고 있던 채널과 동일 채널로부터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중인 경우, 단계 S99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단계 S100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을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지정한다.
단계 S101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98의 처리에 의해 검색된 프로그램, 즉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일반적으로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동영상 ID를 취득한다.
단계 S102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기초하여, 단계 S101의 처리로 취득된 동영상 ID의 녹화 프로그램, 즉 단계 S98의 처리에 의해 검색된 프로그램으로서 일반적으로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위치를 특정한다.
단계 S10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단계 S101의 처리로 취득된 동영상 ID의 녹화 프로그램, 즉 단계 S98의 처리로 검색된 프로그램으로서 일반적으로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단계 S102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프로그램 의 재생 개시 위치, 즉 절대 시각으로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유의할 것은, 도 20의 예에서는,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이 단계 S98의 처리에서 검색의 기초로 하는 시각, 즉 단계 S100의 처리에 의해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지정되는 시각으로서 채용되지만, 검색의 기초로 하는 시각은 도 20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정지 지시 시각보다 후의 시각이 아니면 임의의 시각을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정지 지시 시각을 그대로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99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이후의 처리는 이상에서 설형한 바와 같다. 한편, 단계 S99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다음의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99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단계 S104에서, 모든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즉 전 채널에 대한 모든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단계 S99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즉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도 16에 나타낸 단계 S71의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HDD(13)에 그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행 자체가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내에 대응하는 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대응하는 행에 "동영 상 ID"가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9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98의 검색의 기초로 하는 시각이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인 것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는, 지금까지 재생하고 있던 채널과 동일 채널의 현재의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중이 아닌 경우, 또는 비록 그것이 녹화중이라고 하더라도 현재의 방송 프로그램에 "동영상 ID"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99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단계 S104에서, 모든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아직 다 참조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106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다음의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한다. 이 경우에, 다음 채널은, 도 16의 단계 S67의 "+1 방향의 채널"또는 단계 S69의 "-1 방향의 채널"이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98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구체적으로,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참조될 때까지, 다시 말해, 현재의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되고 있는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참조될 때까지, 단계 S98, S99(NO), S104(NO), 및 S106의 루프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그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은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이 참조 된후, 그 채널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 더욱 정확하게는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녹화 프로그램이,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에서부터 재생된다.
그러나,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일반적으로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시 말해, 어떤 채널에 대해서도 현재의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되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104에서, 모든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였다고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텔레비전 수상기(5)가 단계 S72(도 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 가능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도 16의 단계 S62로 복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재생 처리가 실행되므로, 프로그램의 재생을 수행하기 전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재생중 일 때도, 사용자는, 재생 개시 지시 조작, 즉 원격 제어기(6)의 채널 선택 버튼(64)을 눌러, 도 7에 도시한 채널 선택 화상(71)을 이용하여, 다른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지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재생 처리가 실행되어 소정의 녹화 프로그램이 재생되고, 그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중에 도 6에 도시한 정지 버튼(57)이 눌러지면, 그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이 정지되고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이 개시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HDD(13)에 일단 녹화된 현재의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즉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이,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시점, 즉 정지 지시 시각으로부터 2분 전의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개시된다. 즉, 현재 시각에 있어서의 텔레비전 수상기(2)의 표시 내용은, 정확하게는, 그 현재 시각의 2분 전에 방송된 방송 내용이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상기(5)로 재생되는 프로그램이, 소정의 녹화 프로그램 으로부터 녹화 프로그램인 현행 방송 프로그램으로 바뀌었을 때, 텔레비전 수상기(5)에 의해 재생되는 장면 또는 프레임은 불연속적이 되고, 사용자는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5)로 재생되는 프로그램이, 소정의 녹화 프로그램으로부터 녹화 프로그램인 현행 방송 프로그램으로 바뀐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재생 제어부(17)는 이 사실을 텔레비전 수상기(5)에 제시한다. 이 경우에 제시 기술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그램이 바뀐 후 소정의 시간만큼, 또는 사용자에 의해 소거 지시가 발행될 때까지, 전환 후의 프로그램명, 즉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을 텔레비전 수상기(5)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2는, 재생될 프로그램이 "1E"의 프로그램명을 갖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으로 변경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프로그램명으로서 "1E" 와 재생 절대 개시 시각(도 20의 예에서는,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으로서 2005)/08/30 23:58:34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프로그램 재생 처리의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 재생 처리는 도 16 내지 도 20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도 16의 단계 S71의 처리에 의해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72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즉 도 21과 같은 화상을 표시시키지 않고, 또한 다른 채널, 예를 들면 인접하는 채널의 프로그 램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는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는 단계 S70로 복귀한다. 이 경우, 녹화 재생 장치(1)는, 전환 지시 절대 시각이 녹화 시간대에 포함되는 다른 채널의 다른 프로그램이 발견될 때까지, 재생 대상 채널을 차례로 전환하여, 재생 대상 채널이 전환될 때마다, 단계 S70 내지 S72의 처리의 루프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그리고, 그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이 발견되었을 경우, 녹화 재생 장치(1)는 단계 S71에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다음에, 녹화 재생 장치(1)는 단계 S73 내지 S76의 처리를 실행하여, 그 다른 프로그램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그램 재생 처리에 수반하는 채널 전환 지시 조작은, 종래 일상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5)에서 수행하고 있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전환 지시 조작과 같은 조작이다. 그러므로, 채널 전환 지시 조작은 사용자가 알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종래의 조작과 마찬가지의 자연스러운 조작으로 느껴지는 채널 전환 지시 조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재생 대상의 녹화 프로그램을 전환할 수 있다.
또, 이른바 황금 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19:00 내지 22:00의 시간대에 있어서는, 사용자 또는 시청자가 흥미를 느끼는 프로그램이 각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매우 간단한 채널 전환 지시 조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주요 시간대에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된 녹화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프로그램 재생 처리를 종래의 처리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의 간략화한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 것ㅇ디ㅏ.
도 23을 참조하면, 도시된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는, 전환을 제어하여 다음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94, 9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는, 스위치(94)를 녹화시 측으로 전환하는 경우, 안테나(92)에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기록 매체(96)에 녹화(기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는, 스위치(94)를 재생시 측으로 전환하는 경우, 기록 매체(96)에 녹화된 녹화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상기(93)로부터 재생할 수 있다. 또,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는, 스위치(95)를 현행 방송 측으로 전환하는 경우, 안테나(92)에 현재 수신되고 있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상기(93)로부터 그대로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는, 스위치(94)를 녹화시 측으로 전환하고, 또한 스위치(95)를 현행 방송 측으로 전환하는 경우, 안테나(92)에 현재 수신되고 있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96)에 녹화(기록)하면서, 텔레비전 수상기(93)로부터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에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는, 복수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를할 수 없다고 하는 첫 번째 문제점, 그리고 소정의 채널 또는 방송국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면서, 그 녹화 프로그램을 시청(추적 재생, chasing reproduction)할 수 없다는 두 번째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능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3의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의 기능적 구성과의 비교하기 쉽도록, 도 1의 녹화 재생 장치(1)의 기능적 구성을 간략화한 기능 블록도를 도 24에 나타내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는, 텔레비전 수상기(5)에 접속된 경로, 즉 도 24에서 "재생시"라고 표시된 경로와,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를 위한 경로, 즉 도 24에서 "현행 방송"이라고 표시된 경로가 별개로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에서는, HDD(13)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매체 등의 다른 기록 매체에 복수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에서는, 안테나(7)에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HDD(13)에 녹화하면서, HDD(13) 내의 녹화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상기(5)로부터 재생할 수가 있다. 그때, 1개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복수의 프로그램을 녹화 및 재생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녹화와 재생를 위해 별개의 경로가 사용되기 때문에, 현행 방송 프 로그램의 녹화중에는 그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된 부분, 즉 직전에 방송되어 직전에 녹화된 부분은,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에, 약간의 타임 래그(time lag)는 있다고 해도, 사용자는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즉, 전술한 제2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재생시의 처리가, 과거에 배포된 끝난 컨텐츠,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 방송된 프로그램인지, 현재 배포중인 컨텐츠, 즉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 즉 현행 방송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는 특히 의식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문제점 및 제2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처리에 대하여, 다른 관점에서 추가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테이블은,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로서 설명하였으나, 장래 방송 예정의 프로그램의 EPG 정보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는 현상태를 감안하여,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뿐만 아니라 전 프로그램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전(full) 프로그램 테이블은 과거에 이미 방송된 프로그램, 현행 방송 프로그램, 및 장래에 방송이 예정된 프로그램 모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다.
도 5의 예에서의 전 프로그램 테이블에서, 예를 들면, 8월 30일(화요일)의00:30:00이 현재 시각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C 채널에서, "프로그램 4D"가 현행 방송 프로그램이 된다. 또, 모든 채널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중인 것 으로 가정한다. 또한, 모든 채널에서, 야구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의 어떠한 연장도 없이, 예정 그대로의 방송이 과거에 방송되었고, 현재에 방송되며, 그리고 장래에 방송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예를 들면 C 채널을, 8월 30일 (화요일)의 23:57: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재생하는 중에, 즉 과거에 방송된 녹화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4C"의 재생중, 1시간 전에 녹화된 녹화 내용, 즉 1시간 전의 C 채널의 방송 내용인 22:57:00의 녹화 내용을 시청하고자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6)의 적당한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22:57:00을 방송 시간대 또는 녹화 시간대에 포함하는 "프로그램(4A)"의 시청 또는 재생을 즉시 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다음의 점이다. 구체적으로, 일부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는 이와 같은 경우에 녹화 프로그램 "4A"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는, 오직 녹화 프로그램 "4A"의 선두 위치, 즉 절대 시각으로 22:54 부분에서부터 재생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개시 위치는 녹화 프로그램 "4A"의 선두 위치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8월 30일(화요일)의 23:57:00의 시점보다 1시간 전인 22:57:00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는 자기 자신이 실제로 원하는 위치에서부터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여,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를 사용하면, 원격 제어기(6)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절대 시각을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용 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예에서는, 8월 30일(화요일)의 23:57:00의 시점보다 1시간 전인 22:57:00을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서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기(6)의 소정의 버튼에 1시간 전, 1시간 후 등을 지정하는 기능을 할당하면, 사용자는 더욱 간단하게 전술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는 C 채널의 방송 내용의 8월 30일(화요일)의 23:57:00의 녹화 위치의 부분을 재생하는 중에, 즉 녹화 프로그램 "4C"의 재생중에, A 채널로의 전환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원격 제어기(6)의 적당한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23:57:00을 방송 시간대 또는 녹화 시간대에 포함하는 녹화 프로그램 "1D"를, 절대 시각으로 23: 57: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시청 또는 재생을 즉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종래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전환 지시 조작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에 의해, 과거에 대해서도, 상이한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시청자인 사용자는, 전 프로그램 테이블을 머릿속에 떠올리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컨텐츠 등을 재생하고, 현재 배포중인 컨텐츠를 HDD(13)와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녹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현재 배포중인 컨텐츠를 현행 배포 컨텐츠(currently distributed content)라고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과거에 배포된 컨텐츠인지 또는 현행 배포 컨텐츠인지를 특히 의식하지 않고, 현행 배포 컨텐츠에 대해 종래부터 수행되던 조작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으로, 예를 들면, 재생, 정지, 일시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등의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컨텐츠가 배포된 때에 그 컨텐츠를 실제로 시청하지 않았더라도, 나중에 사용자가 원할 때는 언제라도 아직까지 시청하지 않은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그때,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는 명칭, 녹화 시간대, 채널과 같은 배포원(distribution source) 등의 기록된 컨텐츠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고, 그 정보를 전 프로그램 테이블로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 프로그램 테이블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때의 조작도 포함하는, 전 프로그램 테이블을 의식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를 사용하는 경우에, 소정의 채널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하는 중에는, 시청자는 시청 대상 프로그램을 타 채널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으로만 전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재생 시각(절대 시각)을 바꾸어, 과거에 이미 방송된 소정의 채널의 프로그램으로 시청 대상 프로그램을 전환할 수 없다. 한편, 도 24 등의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소정의 배포원의 현행 배포 컨텐츠의 시청중에도, 사용자는 시청 대상 컨텐츠를 다른 배포원의 현행 배포 컨텐츠로 전환하거나, 시청 대상을 동일한 배포원 또는 다른 배포원의 과거에 배포된 다른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작은 완전히 동일한 감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소정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원격 제어기(6)의 정지 버튼(57)이 눌러지면,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는 그 소정의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한다. 이 경우, 녹화 재생 장치(1)는, 가능한 한 현행 배포 컨텐츠에 가까운 소정 컨텐츠의 부분, 즉 도 20의 예에서는, 정지 버튼(57)이 눌러진 시각인 정지 지시 시각의 2분 전의 시각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행 배포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예에서는, 현재 시각이 8월 30일(화요일)의 00:30:00이고, 8월 30일(화요일)의 23:57:00의 위치에서 C 채널이 재생되고 있다. 즉 "프로그램 4C"가 재생되고 있다. 이 경우, 정지 버튼(57)이 눌러지면, C 채널의 현행 방송인 "프로그램 4D" 중, 23:55:00의 위치에서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현행 방송을 시청할 때 동등하게 시청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에서, 정지 조작에 따라, 녹화 프로그램과 같은 이미 기록된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동일 배포원 또는 동일 채널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 등의 녹화 프로그램과 같은 이미 기록된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 조작이 수행되었을 때의 시각인 정지 조작 시각 자체 또는 그 근방의 시각, 또는 더욱 정확하게는 녹화 재생 장치(1)가 현재 시각으로서 관리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위치에서부터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는, 패턴 예약(pattern reservation) 등에 의한 반복 녹화, 이른바 패닝(panning)을 이용하여, 이미 기록된 컨텐츠의 재생으로부터 현행 배포 컨텐츠의 재생으로, 심리스하게(seamlessly)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중이던 프로그램이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 재생 대상의 부분을, 과거에 이미 방송된 부분으로부터 현재 재생중이거나 현재 재생중인 부분에 한층 가까운 부분 으로 심리스하게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3의 종래의 녹화 재생 장치(91)로는, 기록 매체(96)의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을 정지한 경우, 스위치(95)를 현행 방송 측으로 전환하여 현행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으로 전환하는 것만 가능하다. 이 경우, 재생이 정지된 녹화 프로그램의 채널과는 관계없는 채널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이, 텔레비전 수상기(93)에 의해 많이 재생된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는, 녹화 후에 그 녹화 프로그램을 일부러 시청하려할 정도로, 그 녹화 프로그램의 채널 또는 방송국을 잘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즉, 많은 사용자는 채널의 방송 내용, 즉 전 프로그램 테이블에서 그 채널의 열을 구성하는 프로그램란의 내용을 잘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는 전 프로그램 테이블을 보지 않아도 쉽게 상상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성으로부터, 많은 사용자는 재생을 정지한 녹화 프로그램의 채널과 동일 채널의 현행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 특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는, 현행 배포 컨텐츠로 재생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녹화중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즉 녹화중이면 언제라도, 지금까지 재생하고 있던 컨텐츠의 배포원 또는 채널과 동일한 배포원의 현행 배포 컨텐츠로 재생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의 녹화 재생 장치(1)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의 여러 예에 대하여 다양한 시점에서 보아 설명하였다.
그런데,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연속 재생 처리 등을, 도 1의 녹화 재생 장 치(1)의 처리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도 1의 녹화 재생 장치(1)를 개인용 컴퓨터(2)의 처리로서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한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는,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화상(101)을, 재생 프로그램의 표시용의 재생 화상으로서 재생부(38)의 디스플레이 유닛 등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화상(101)은 영역(111) 및 다른 영역(112)을 포함한다. 영역(111)은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영역(112)은, 재생 프로그램의 각종 재생 제어의 사용자 지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GUI 영역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32)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영역(112) 내의 각종 소프트웨어 버튼 등을 조작하여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22)를, 그 바(bar) 내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재생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생 프로그램이 재생중이고 대응하는 영상이 영역(111)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슬라이더(122)의 이동 조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슬라이더(122)의 위치는 그 재생 프로그램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구체적인 재생 위치는 슬라이더(122)의 좌측의 영역(121)에 표시되어 있다.
이 영역(121)의 재생 위치의 표시 형태는, 상대 시각, 즉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시각 00:00으로 규정되는 재생 프로그램의 선두 위치에 대한 시각, 또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대 시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사 용하여 소정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한 2가지 표시 형태 중 어느 것을 언제라도 선택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22)를 그 바 내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재생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 때,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이나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프로그램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123)가 슬라이더(122)의 부근에 제시된다. 이하, 표시(123)를 재생 개시 희망 위치 표시(123)라고 하고, 이 재생 개시 희망 위치 표시(123)는 도 27 또는 도 28의 예에서는 슬라이더(122) 윗쪽에 제시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 재생 개시 희망 위치 표시(123)의 표시 형태도, 상대 시각, 즉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개시 위치 그 자체 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 개시 위치를 절대 시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값을 가지는 절대 시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표시 형태 중 어느 것을 자유롭게 언제라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6)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대 시각을 이용한 직감적인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연속 재생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기(6)의 조작에 근거한 도 8의 단계 S1 내지 S4의 처리 대신에, 화상(101)의 영역(112)에 대한 각종 조작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지시 처리 등의 각종 처리가 실행된다. 그 후, 단계 S5 내지 S9의 루프 처리가 실행된다.
또, 단계 S5의 프로그램 재생 처리에서, 원격 제어기의 버튼의 누름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 대신에, 화상(101)의 영역(112)에 대한 각종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부(38)의 디스플레이 유닛 등에 표시될 재생 화상은, 도 25 내지 도 28의 화상(101)으로 특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재생 화상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 화상(201)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재생 화상(201)은 도 25에 도시한 화상(101)의 영역(111) 등에 대응하는 영역(211)과, 도 25에 도시한 화상(101)의 영역(112) 등에 대응하는 영역(212-1, 212-2)을 포함한다. 특히, 영역(211)에는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영역(212)은 재생 프로그램의 재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지시 조작이 수행될 GUI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조작부(32)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영역(112)에서와 완전히 동일하게 영역(212) 내의 각종 소프트웨어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조작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 화상(201)에는, 재생 프로그램의 섬네일이 표시되는 영역(213)을 포함한다. 이 영역(213)은 재생 프로그램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더(214)를 포함하며, 그 구체적인 재생 위치는 영역(215)에 표시된다.
이 영역(215)에서의 재생 위치의 표시 형태도,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대 시각과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대 시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어느 표시 형태든 자유롭게 언제라도 선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HDD(13) 또는 개인용 컴퓨터(2)의 HDD(34) 내의 녹화 프로그램 각각은, 텔레비전 수상기(5)와 개인용 컴퓨터(2)의 디스플레이 유닛,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재생부(38)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와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는 양자 사이에서 적절한 통신 처리를 실행하여,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부(38)와 텔레비전 수상기(5)에 의한 동일 프로그램에 대한 동기 재생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기 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의 관점에서 보면,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변속 재생, 일시 정지 등의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의 재생 지시 조작이나 재생 제어 지시 조작을, 텔레비전 수상기(5)를 보면서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또 그러한 조작을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부(38)를 보면서 마우스와 같은 조작부(32)를 이용하여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사용자의 시청의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는, 재생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상기(5)로 시청할 수 있고, 개인용 컴퓨터(2)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같은 재생부(38)로 시청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상의 내용으로부터, 다음의 제1의 효과 내지 제5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5)는 개인용 컴퓨터(2)의 디스플레이 등의 재생부(38)에 비해 해상도가 낮고, 도 5의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과 같은 복수의 녹화 프로그램의 내용의 목록의 표시량, 즉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녹화 프로그램의 내용이 항목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녹화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항목은 도 5의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에서 표시 목록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텔레비전 수상기(5)를 보면서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5)에 표시된 얼마 안되는 녹화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항목의 목록 중에서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을 찾아내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에 대해, 개인용 컴퓨터(2)의 디스플레이 등의 재생부(38))는, 텔레비전 수상기(5)에 비해 해상도가 높기 때문에, 복수의 녹화 프로그램의 내용의 항목의 목록을 표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녹화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항목을 한번에 많이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로서는, 일람성이 향상되어 쉽게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을 찾아낼 수 있는 제1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제1의 효과를 일람성 향상 효과(glanceability enhancement advantage)라고 한다.
한편, 사용자가 텔레비전 수상기(5)를 보면서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원격 제어기(6)로 문자 입력하는 것은 곤란하거나 아주 곤란하다. 그 결과, 캐릭터 스트링(character string)에 기초한 필터링 또는 검색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 개인용 컴퓨터(2)의 조작부(32)는 일반적으로 마우스나 키보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캐릭터 스트링에 기초한 필터링이나 검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녹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는 제2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2의 효과는 검색성 향상 효과(searchability enhancement advantage)라고 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녹화 프로그램은 MPEG 방식 등에 의해 압축된 압축 컨텐츠 데이터의 형태로 도 1에 도시된 HDD(13) 등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하기 위해서는, 압축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처리가 필요하다.
복호화 처리는, 개인용 컴퓨터(2)에서는 재생 제어부(37)에 의해 수행된다. 하지만, 재생 제어부(37)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자신이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CPU의 성능이 떨어지면 복호화 처리에 더 맣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녹화 프로그램이 해상도의 높고 정보량이 많은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그 영상을 순조롭게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영상의 종류와 CPU의 조합에 따라서는, 영상에서 프레임이 빠져서(miss) 정상적인 재생을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녹화 재생 장치(1)의 디코딩부(18)는 전용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칙으로서 항상 정상적인 재생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영상의 재생에 대해서는 녹화 재생 장치(1)의 하드웨어에 맡김으로써, 깨끗한 재생을 기대할 수 있는, 제3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제3의 효 과를 CPU 성능 의존 배제 효과(CPU performance dependency elimination effect)라고 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절대 시각이나, 재생 대상의 녹화 프로그램의 선두 위치를 기준 시각 00:00으로 설정하는 상대 시각일 수 있는 특정한 시각을 지정하여, 지정된 위치에서부터 재생 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번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조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는 경우에, 도 7의 채널 선택 화상(71)을 표시시켜, 채널 선택 화상(71) 내의 날짜 변경 버튼(85)이나 시간 변경 버튼(86)을 누른다. 그 후, 사용자는 채널 선택 화상(71) 내의 표시 영역(83)에 표시되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 또는 지정 절대 시각이 원하는 시각으로 표시될 때까지, 도 6에 도시된 날짜 + 버튼(60) 내지 시간 - 버튼(63) 중 적절한 버튼을 계속하여 누른다. 그리고, 원하는 시각에 도달하면, 채널 선택 화상(71) 내의 원격 제어기(6)의 결정 버튼을 누른다.
이에 대해, 개인용 컴퓨터(2)를 이용할 때에는, 사용자는 도 25 내지 도 28의 화상(101) 내의 슬라이더(122)를 마우스 등의 조작부(32)에 의해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그러한 복잡한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 장치로서 상당히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2)를 이용하면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시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정지 등 의 지시 조작인 간단한 재생 제어 조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담없이 취급할 수 있는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의 종류에 따라, 원격 제어기(6)와 개인용 컴퓨터(2)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제4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제4의 효과를 조작성 향상 효과라고 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 경우, 원격 제어기(6)와 개인용 컴퓨터(2) 양자가, 동일한 조작을 받아들이는 기술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용 컴퓨터(2) 측에서 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원격 제어기(6)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는, 다른 기술을 채용한다. 이하, 뒤에 언급한 기술을 배타적 조작 기술이라고 한다.
또, 사용자는, 재생부(38)의 디스플레이 등과 텔레비전 수상기(5)를 포함하여 2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상기(5) 측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2)를 조작기 도구로써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과는 다른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이 수행될 때에, 텔레비전 수상기(5)에서의 소정의 프로그램의 재생은 방해받지 않는다. 즉 조작을 위해 필요한 화상은 특히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이 소정의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상기(5)로 시청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는다고 하는 제5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제5의 효과를 이중 표시 장치 효과(double display apparatus effect)라고 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의 흐름에 대하여, 2개의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첫 번째 구체예에서는, 사용자가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재생 지시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개인용 컴퓨터(2)를 이용한다. 그러나, 재생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재생 제어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한다. 이 예에서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후에는, 개인용 컴퓨터(2)에 의한 조작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 이 예에서는, 전술한 5가지 효과 중, 이중 표시 장치 효과를 제외한 4가지 효과를 적어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2)의 조작부(32)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부(38)의 디스플레이 유닛 등에, 도 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과거 프로그램 테이블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로그램란 중에서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을 찾아내고, 그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 위에 마우스의 포인터를 배치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오른쪽 클릭 조작을 수행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의 표시색이 변화하고,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란의 오른쪽으로 메뉴(251)가 표시된다. 도 31의 예에서, C 채널의 "프로그램 4D"의 프로그램란의 표시색은 회색으로 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메뉴(251)중의 "TV로 재생" 을 선택한다. 이로써,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가 입력된다.
전술한 일련의 사용자 조작이 재생 지시 조작을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재생 지시 조작이 수행되면, 재생 대상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수상기(5)에 의해 재생된다. 따라서, 그 이후에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재생 제어 조작을 적절히 수행한다.
전술한 첫 번째 구체예와는 대조적으로, 두 번째 구체예에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하기 위한 지시를 발행하는 경우, 개인용 컴퓨터(2)를 이용한다. 이것은 첫 번째 구체예와 같다. 하지만, 재생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재생 제어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는, 첫 번째의 구체예과는 달리,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2)를 이용한다. 이 예에 따르면, 전술한 5가지 효과 중, 조작성 향상 효과를 제외한 4가지 효과를 적어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재생 지시 조작 자체는 첫 번째 구체예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재생 지시 조작이 수행되면, 두 번째 구체예에서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은 개인용 컴퓨터(2)의 디스플레이 등의 재생부(38)에 의해 재생된다. 즉, 예를 들면 도 25 등의 화상(101)의 영역(111)에,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2)의 마우스 등의 조작부(32)를 이용하여, 화상(101) 상에, 예를 들면 도 32에 나타낸 메뉴(261)를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메뉴(261) 중의 "TV에 표시"를 선 택 또는 체크한다. 그 결과,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5) 측에서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이 개시된다. 그때, 개인용 컴퓨터(2) 측의 화상(101)의 영역(111)의 표시 내용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하거나, "TV에 표시중"이라고 하는 고정 메시지를 표시해 둘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2) 상의 화상(101)을 이용하여 재생 제어 조작을 적절히 수행한다.
메뉴(261)에서 "TV에 표시"의 선택 또는 체크를 유지하면, 다음의 재생 지시 조작 시에, 재생 대상 프로그램을 최초부터 텔레비전 수상기(5) 측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재생 제어 조작을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수행하여 싶은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제1 구체예를 채용하고, 재생 제어 조작을 개인용 컴퓨터(2)를 이용하여 수행하여 싶은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제2 구체예를 채용하면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제2 구체예를 채용한 경우라도, 개인용 컴퓨터(2)와 녹화 재생 장치(1) 사이의 통신이 중단되면 원격 제어기(6)에 의한 재생 제어 조작이 가능해지거나 허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의 처리를 종료하면, 통신이 중단된다, 이 경우에, 재생 제어부(37)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가 종료된다. 또한 메뉴(261)의 "TV에 표시"에 대한 선택을 취소하는 경우, 즉 "TV에 표시"에 대한 체크 표시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통신은 중단된다. 구체적인 통신의 예에 대하여는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제,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2) 측에서 사용자 조작이 수행된 경우, 다시 말해 텔레비전 수상기(5)의 재생 제어를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 측에서 주체적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녹화 재생 장치(1)와 개인용 컴퓨터(2) 사이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통신 처리는,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와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가, 각각의 통신부(33) 및 통신부(19)를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실시예에서,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주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로부터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에 조작 커맨드가 발행(전송)된다. 그러한 조작 커맨드로서는, 예를 들면, play(재생) 커맨드, stop(정지) 커맨드, fwd(빨리 감기) 커맨드), rew(되감기) 커맨드, lang(주부음성의 전환) 커맨드, 및 pause(일시 정지) 등이 사용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녹화 재생 장치(1) 측의 통신부(19)에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커맨드 통신부(19-1)와 상태 통신부(19-2)를 구비하고 있다. 커맨드 통신부(19-1)는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로부터 발행 또는 전송된 조작 커맨드 자체를 수신하고, 그 조작 커맨드를 해석한다. 그 후, 커맨드 통신부(19-1)는 해석 결과인 명령을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에 대해 발행한다.
따라서, 재생 제어부(17)는 커맨드 통신부(19-1)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 재생 제어부(17)는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로부터의 조작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소정의 반환값(return value)을 커맨드 통신부(19-1)에 제공한다. 그 결과, 커맨드 통신부(19-1)는 그 반환값을 개인용 컴퓨터(2)의 통신부(33)를 통하여 재생 제어부(37)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통신부(19) 중 커맨드 통신부(19-1)는,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와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 사이의 조작 커맨드의 중개자(mediator)로서 기능을 가진다.
한편, 통신부(19) 중 상태 통신부(19-2)는,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로부터 제공되는 통지 notify를, 개인용 컴퓨터(2)의 통신부(33)을 통하여 재생 제어부(37)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통신부(19-2)는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와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 사이의 상태 통지 커넥션(state notification connection)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에,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처리 상태, 또는 녹화 재생 장치(1) 자체의 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는, 상태 통신부(19-2)에 의한 상태 통지 접속을 통해, 통지 notify를 개인용 컴퓨터(2)의 통신부(33)를 통하여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이하,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처리의 상태를 컨텐츠 상태라고도 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통지 notify는, 예를 들면 녹화 재생 장치(1)에 의한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상대 시각을 표시하는 playtime, 음성 모드(스테레 오, 모노, 주부)의 전환을 표시하는 audiomode, 상태의 변화를 표시하는 state, 전원 상태가 off 상태인 등의 비정상의 발생을 표시하는 warning 등일 수 있다. 통지 playtime은 정기적,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1초 간격으로 송신된다. 한편 통지 state에는, 재생 상태로의 변화를 표시하는 play, 빨리 감기 상태로의 변화를 표시하는 fwd, 되감기 상태로의 변화를 표시하는 rew, 일시 정지 상태로의 변화를 표시하는 pause, 정지 상태로의 변화를 표시하는 stop, 녹화 재생 장치(1)에 의한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현재의 재생 위치가 마지막에 도달한 것을 표시하는 last, 준비 완료 상태가 되어 이후 커맨드를 수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ready 등일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는 임의의 통지 notify를 받으면, 즉시 재생부(38)에 의해 재생되는 도 25에 도시한 화상(101)과 같은 재생 화상 등에 통지 notify의 내용을 반영시킨다. 이로써,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 상태에 대한 텔레비전 수상기(5)와 재생부(38) 사이의 동기를 확립할 수 있다.
이하,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녹화 재생 장치(1)의 재생 제어부(17)와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 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2)를 이용하여 재생 지시 조작을 행한 경우, 즉 텔레비전 수상기(5) 측에서의 재생이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에 의해 주체적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통신 처리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단계 S101에서,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가, 텔레비전 수상기(5)에 의한 재생 권리를 취득하기 위한 커맨드 locktv를, 녹화 재생 장치(1)의 통신부(19)의 커맨드 통신부(19-1)에 송신한다. 재생 제어부(37)와 재생 제어부(17) 사이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는 통신부(33)를 통하여 전송되지만, 이하의 설명은 그러한 통신부(33)의 개입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단계 S102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커맨드 locktv의 해석 결과인 명령 locktv를 재생 제어부(17)에 발행한다.
그 결과, 단계 S10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명령 locktv를 수락한 것을 나타낸 반환 값 ok를, 통신부(19)의 커맨드 통신부(19-1)에 제공한다. 단계 S104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반환값 ok)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도 34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다른 개인용 컴퓨터의 재생 소프트웨어 등의 재생 제어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이 텔레비전 수상기(5)에 재생되는 경우, 재생 제어부(17)는 반환값 ok 대신에 에러값을 반환값으로서 재생 제어부(37)에 돌려준다. 이 경우, 나중에 재생 제어를 시도한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재생 소프트웨어 등)에 대해서는, 텔레비전 수상기(5)에서의 재생 제어가 금지된다.
재생 권리 취득의 여부 결과는 커맨드 locktv에 대한 응답, 즉 대부분의 경우에 재생 제어부(37)에 즉시 반환되는 반환값 ok나 에러값으로 취득된다. 하지만, 그 시점에, 텔레비전 수상기(5) 측에서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되고 있은 경우에는, 다른 프로그램의 종료 처리를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재생 제어부(37)는 반환값 ok를 취득한 후 즉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통지 ready가 전송되어 오기를 기다린다.
구체적으로, 재생 제어부(17)는 다른 프로그램의 종료 처리 등을 실행을 종료하고 준비를 완료하면, 단계 S105에서, 통지 ready를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106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통지 ready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통지 ready가 재생 제어부(37)에 전송되면, 제생 제어부(37)는 텔레비전 수상기(5)에 대해 재생 제어를 실질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단계 S107에서, 재생 제어부(37)는 재생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재생 커맨드 play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송신한다. 단계 S108에서, 커맨드 통신부(19-1)은, 커맨드 play의 해석 결과인 명령 play를 재생 제어부(17)에 발행한다.
단계 S10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명령 play를 수락한 것을 나타내는 반환값 ok을 커맨드 통신부(19-1)에 제공한다. 단계 S110에서, 커맨드 통신부(19-1)은 그 반환값 ok을 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또, 재생 제어부(17)는 명령 play에 따라,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텔레비전 수상기(5)에서의 재생을 제어한다. 따라서, 단계 S111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변화를 나타내는 통지 state=play를, 통신부(19)의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112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통지 state=play)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또, 단계 S11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통지 playtime를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114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통지 playtime을 재생 제어 부(37)에 송신한다.
도 34의 예에서는, 통지 playtime이 단 한 번만 송신되었지만, 실제로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초 간격으로 송신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 단계 S115에서, 재생 제어부(17)는 음성 모드의 통지를 위해, 통지 audiomode를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116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이 통지 audiomode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비록 도 34의 예에서는, 통지 audiomode가 한 번만 송신되었지만, 실제로는 음성 모드가 변경될 때마다 송신된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그 사이에, 개인용 컴퓨터(2)의 조작부(32)에 의한 재생 제어 조작이 실행된 경우, 재생 제어부(38)는 그 재생 제어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예를 들면, stop(정지), fwd(빨리 감기), rew(되감기), lang(음성 전환), pause(일시 정지) 등을 명령 play와 마찬가지로 발행한다. 하지만, 커맨드 fwd를 발행하는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3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녹화 재생 장치(1) 측에서 어떤 상태가 변화된 경우, 그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통지 statat가 재생 제어부(17)로부터 재생 제어부(37)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끝까지 재생이 종료되면, 컨텐츠의 상태는 정지 상태로 변화한다. 이 경우, 단계 S11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변화를 나타내는 통지 state를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118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통지 state=stop을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된 후, 재생할 다른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재생 제어부(37)는 단계 S119에서, 텔레비전 수상기(5)에 대한 재생하는 권리를 포기하기 위해 커맨드 unlocktv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송신한다. 단계 S120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커맨드 unlocktv의 해석 결과인 명령 unlocktv를 재생 제어부(17)에 발행한다.
단계 S121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명령 unlocktv을 수락한 것을 나타내는 반환값 ok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제공한다. 단계 S122에서, 상태 커맨드 통신부(19-2)는 그 반환값 ok을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한편,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이 종료된 후, 다른 프로그램의 재생을 계속 제어하는 경우에, 재생 제어부(37)은 단계 S107 이후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즉, 재생 제어부(37)는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커맨드 play를 발행한다.
이제, 재생 대상 프로그램이 텔레비전 수상기(5)에 재생되고 있는 중에, 개인용 컴퓨터(2)의 조작부(32)에 의한 재생 제어 조작으로서, 예를 들면 빨리 감기의 지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의 처리예에 대하여,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34의 단계 S101 내지 S110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201 및 단계 S202에서, 도 34의 단계 S111 및 단계 S112 각각과 마찬가지로, 통지 state=play가 재생 제어부(17)로부터 재생 제어부(37)에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도 35의 단계 S203 이후의 처리는, 도 34의 단계 S112 이후에 실행되는 처리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5의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빨리 감기의 지시 조작은 사용자에 수행된다. 이 경우, 단계 S203에서, 재생 제어부(37)는 빨리 감기의 커맨드 fwd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송신한다. 단계 S204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커맨드 fwd의 해석 결과인 명령 fwd를 재생 제어부(17)에 발행한다.
단계 S205에서, 재생 제어부(17)는 명령 fwd을 수락한 것을 나타내는 반환값 ok을 커맨드 통신부(19-1)에 제공한다. 단계 S206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그 반환값 ok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또, 재생 제어부(17)는 명령 fwd에 따라,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빨리 감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컨텐츠의 상태는 빨리 감기 상태로 변화한다. 이 경우, 단계 S20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변화를 나타내는 통지 state=fwd를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208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통지 state=fwd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단계 S20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통지 playtime를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210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통지 playtime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그 이후, 재생 제어부(17)는 그 통지 playtime을 주기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1초 간격으로 송신한다. 하지만, 빨리 감기가 수행되는 있는 중이면, 1초 간격으로 통지되는 playtime은, 그 빨리 감기의 속도에 따라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계 S209 및 단계 S210의 처리에 의해, playtime로서 5분 30초가 통지되었다고 가정한다. 또, 빨리 감기의 속도는 정상 속도의 20배 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1초 후의 다음의 단계 S211 및 단계 S212의 처리에 의해, 단계 S209 및 단계 S210의 처리에 의한 통지 시의 재생 시각 playtaime에 20초를 더하여 얻은 시각, 여기서는 5분 50초가 통지 playtime으로서 재생 제어부(37)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1초 후의 다음의 단계 S213 및 단계 S214의 처리에서는, 직전의 단계 S211 및 S212의 처리에 의해 전달된 재생 시각 playtaime에 20초를 더하여 얻은 시각, 여기서는 6분 10초가 통지 playtime으로서 재생 제어부(37)에 전달된다.
한편, 재생 제어부(37)는 재생 시각 playtaime의 통지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통지의 재생 시각에 기초하여, 재생부(38)에 표시되는 재생 화상, 예를 들면 도 25 등의 화상(101) 등의 표시 내용을 차례로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재생 제어부(37)는 통지된 재생 시각과 대응하도록, 도 25에 도시한 영역(121)의 표시 내용과 슬라이더(122)의 위치를 차례로 갱신한다. 이 갱신에 의해, 재생 제어부(37)는 텔레비전 수상기(5)의 재생 상태와 동기를 취할 수 있다.
그 후, 정상 재생의 지시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면, 단계 S215에서, 재생 제어부(37)은 재생 커맨드 play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송신한다. 단계 S216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커맨드 play의 해석 결과인 명령 play를 재생 제어부(17)에 발행한다.
단계 S217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명령 play을 수락한 것을 나타내는 반환값 ok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제공한다. 단계 S218에서, 커맨드 통신부(19-1) 는 그 반환값 ok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또, 재생 제어부(17)는 명령 play에 따라,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재생을 정상 속도로 제어한다. 그 결과, 컨텐츠의 상태는 빨리 감기 상태로부터 재생 상태로 다시 변화한다. 따라서, 단계 S219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변화를 나타내는 통지 state=play를 상태 통신부(19-2)에 제공한다. 단계 S220에서, 상태 통신부(19-2)는 통지 state=play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빨리 감기 조작과는 아무런 관계는 없지만,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2)의 재생 제어부(37)의 처리를 종료시켰거나, 또는 도 32의 메뉴(261)의 "TV에 표시"의 체크를 제거(선택을 해제)한 것으로 가정한다. 재생 제어부(37)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가 종료되어 재생 제어부(37)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 경우, 단계 S221에서, 재생 제어부(37)는 텔레비전 수상기(5)에 대한 재생 권리를 포기하기 위한 커맨드 unlocktv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송신한다. 단계 S222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커맨드 unlocktv의 해석 결과인 명령 unlocktv을 재생 제어부(17)에 발행한다.
단계 S223에서, 재생 제어부(17)는 그 명령 unlocktv를 수락한 것을 나타내는 반환값 ok를 커맨드 통신부(19-1)에 제공한다. 단계 S224에서, 커맨드 통신부(19-1)는 그 반환값 ok를 재생 제어부(37)에 송신한다.
이 경우, 도 34의 예와는 달리, 재생 대상 프로그램의 텔레비전 수상기(5)에서의 재생은 그대로 계속된다. 따라서, 도 35의 예의 단계 S224의 처리 이후에 대해서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6)를 이용하여 재생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재생 제 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로 실행하는 경우에,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통합되어 있는 경우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install)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개인용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36은,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녹화 재생 장치(1)의 전체 또는 일부분[예를 들면 전술한 재생 제어부(17) 등]은, 도 36에 도시한 개인용 컴퓨터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같은 이유로, 도 1에 도시한 개인용 컴퓨터(2)를 도 36에 도시한 개인용 컴퓨터처럼 구성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은, ROM(Read Only Memory(302) 또는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은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적절히 기억되어 있다. CPU(301), ROM(302), 및 RAM(303)은 버스(3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301)에는 또한 버스(304)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3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306)와, 디스플레이 유닛,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307)가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입력부(306)으로부터 입력되는 커맨드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 다. 그리고, CPU(301)는 처리 결과를 출력부(307)에 출력한다.
하드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308)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고, CPU(301)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309)는,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통신부(309)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기억부(308)에 기억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3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다.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이동성 매체(removable medium)가 적절히 드라이브(310)에 장착되는 경우, 드라이브(310)는 이동성 매체(311)를 구동한다. 그때, 드라이브(310)는 이동성 매체(311)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기억부(308)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또, 이동성 매체(111)가 드라이브(310)에 장착된 경우, 이동성 매체(111)를 구동하고, 이동성 매체(111)에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도 있다.
컴퓨터에 인스톨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 형태의 이동성 매체(311)일 수 있다. 아니 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저장되는 ROM(302), 기억부(308)에 내장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의 프로그램의 저장은, 필요에 따라 라우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인 통신부(309)를 통하여, LAN, 인터넷, 또는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이나 무선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또, 컨텐츠의 기록처(recording designation)는, 전술한 예에서는 HDD이지만, 전술한 예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동성 매체(311) 등을 기록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디바이스나 장치로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특허청구범위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복수의 기록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로서는, 그 제어에 필요한 조작을 어느 때보다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distribution source)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재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제1 채널의 제1 기록 컨텐츠의 재생중의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재생 대상 채널로서 제2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기록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절대 시각으로 변환하여 얻은 시각을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으로 설정하고, 재생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1 기록 컨텐츠에서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채널의 제2 기록 컨텐츠로 전환하여, 상기 제2 기록 컨텐츠를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 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소정의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커맨드(command)를 받고, 상기 커맨드가 상기 제2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면 그 커맨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수단은, 순서를 하나 위로 이동시키는 제1 커맨드를 출력하는 제1 조작 요소와, 순서를 하나 아래로 이동시키는 제2 커맨드를 출력하는 제2 조작 요소를 포함하고,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배포원에 대응하는 채널에 소정의 순서를 부여하고 상기 순서를 관리하며, 상기 제1 조작 요소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상기 제1 커맨드가 상기 소정의 순서의 상기 제1 채널의 바로 뒤의 채널을 상기 제2 채널로 지정하고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커맨드인 것으로 결정하지만, 상기 제2 조작 요소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상기 제2 커맨드가 상기 소정의 순서의 상기 제1 채널의 바로 앞의 채널을 상기 제2 채널로 지정하고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커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재생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배포원으로부터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배포중이었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재생 대상의 기록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다른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재생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배포원으로부터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배포중이었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컨텐츠에서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을 포함하는 기록 시간대에 기록된 다른 기록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에 성공했을 때, 상기 다른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 컴퓨터로 하여금,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 각각에 소정의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배포원 중 소정의 한 곳으로부터 배포될 때 기록된 복수의 기록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재생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또한 재생 대상 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상기 기록 컨텐츠 중,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이 기록 시간대에 포함되는 상기 재생 대상 채널의 기록 컨텐츠가, 상기 재생 개시 절대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8702A KR20070030713A (ko) | 2005-09-13 | 2006-09-13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65376 | 2005-09-13 | ||
JPJP-P-2005-00290316 | 2005-10-03 | ||
KR1020060088702A KR20070030713A (ko) | 2005-09-13 | 2006-09-13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0713A true KR20070030713A (ko) | 2007-03-16 |
Family
ID=4365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8702A KR20070030713A (ko) | 2005-09-13 | 2006-09-13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30713A (ko) |
-
2006
- 2006-09-13 KR KR1020060088702A patent/KR2007003071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75338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JP4734992B2 (ja) | 番組記録装置、および番組記録方法 | |
KR20050009270A (ko) | 화상 검출 장치, 화상 검출 방법 및 화상 검출 프로그램 | |
US2002014623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and editing information | |
JP2004194222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番組放送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 |
KR20060045939A (ko)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프로그램 | |
JP5076892B2 (ja) | 同一シーン検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 |
JP4517943B2 (ja) | 情報処理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 |
JP4600766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JP6213031B2 (ja) | 映像処理装置及び方法 | |
JP6733006B2 (ja) | 電子機器および映像再生方法 | |
KR20070030713A (ko)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
JP2008085662A (ja) |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 |
JP2004289856A (ja) | 画像検出装置、画像検出方法および画像検出プログラム | |
US9686583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by electronic apparatus | |
KR100693626B1 (ko) | Pvr시스템에서 녹화 방송 관리 방법 | |
KR100752877B1 (ko) | 영상 표시 기기에서 녹화 목록 출력 방법 | |
JP2012191433A (ja) | 番組情報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番組自動再生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電子機器、番組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0494170B1 (ko) |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의 영상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 |
JP6012335B2 (ja) | 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05151085A (ja) | 録画番組一覧用サムネイル画像の作成方法、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 |
JP4392623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 |
JP2022077745A (ja) | 受信装置および生成方法 | |
JP2008172498A (ja) |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JP2007043401A (ja) | 情報記録再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