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673A -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program - Google Patents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progr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30673A KR20070030673A KR1020060086043A KR20060086043A KR20070030673A KR 20070030673 A KR20070030673 A KR 20070030673A KR 1020060086043 A KR1020060086043 A KR 1020060086043A KR 20060086043 A KR20060086043 A KR 20060086043A KR 20070030673 A KR20070030673 A KR 200700306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e
- recording
- music
- frame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02100035167 Coiled-coil domain-containing protein 5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02100022907 Acrosin-binding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54291 Dianthus carthusian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1100502601 Mus musculus Fem1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00456445 Mus musculus Mdm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1067830 Mus musculus 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입력 요구에 따라,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해서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제1기록 스텝과, 상기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검출 스텝에서 얻을 수 있는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제2기록 스텝을 구비한다. 이렇게 해서,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 재생시에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ecording step of reading audio data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and recording the temporary data in accordance with an audio data input request, and the first frame of the audio data record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are forward. And a second recording step of recording the audio data recorded o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in the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btained in the detection step. In this way, an increase in processing load during continuous reproduction of audio data can be avoided.
오디오 데이터, 처리 부하, MP3, 프레임. Audio data, processing load, MP3, frame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dat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에 의한 회로 구성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configuration by a functional block of a content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블록에 의한 회로 구성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ircuit configuration by a hardware block of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oftware configuration of a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도 5는 1트랙의 MP3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ngle track MP3 file;
도 6은 프레임에 대한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의 기억(1)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orage (1) of divided coded music data for a frame;
도 7은 프레임에 대한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의 기억(2)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도 8은 MP3 파일에 대한 분할 편집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8 is a schematic diagram for providing a description of split editing for an MP3 file;
도 9는 MP3 파일에 대한 부가 데이터의 부가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9 is a schematic diagram for providing an additional explanation of additional data for an MP3 file;
도 10은 부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MP3 파일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10 is a schematic diagram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an MP3 file containing negative data;
도 11은 후미 프레임의 프레임 사이즈의 오류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1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rror of a frame size of a trailing frame;
도 12는 MP3 파일의 기록의 설명에 제공하는 블록도,1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cording of an MP3 file;
도 13은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1)를 나타내는 흐름도,13 is a flowchart showing a file input
도 14는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2)를 나타내는 흐름도,14 is a flowchart showing a file input recording processing procedure (2);
도 15는 파일 검사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15 is a flowchart showing the file checking processing procedure.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를 기록 재생하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ecording method, a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a data recording program, and i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for example, a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music contents.
종래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 재생 방법은, 프레임의 헤더의 앞에 해당 헤더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할 때에, 전반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 후미의 클러스터와, 후반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를 중복하도록 편집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디오 압축 데이터 재생 방법은, 2개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해서 재생할 경우, 먼저 재생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 후미의 클러스터 선두 소정 데이터와, 뒤에 재생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 선두 소정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것들 선두 소정 데이터끼리가 일치하면, 뒤에 재생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부를 재생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Conventional audio compressed data reproduction method has a cluster of trailing audio compression data in the first half and a second audio compression data leading when splitting audio compressed data in which data corresponding to the header exists in front of a frame header. You are editing a duplicate of a cluster. In the audio compression data reproducing method, when two audio compressed data are continuously reproduced, the cluster head predetermined data at the end of the audio compressed data to be reproduced first is compared with the cluster head predetermined data at the head of the audio compressed data to be reproduced later. When the head predetermined data match, the head of the audio compressed data to be reproduced later is reproduced (see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108397 공보(제2쪽, 제3쪽, 도 1)[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08397 (Second page, Third page, Figure 1)
그런데, 이러한 오디오 압축 데이터 재생 방법에서는, 2개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할 경우, 이것들 오디오 압축 데이터에 대한 복호 처리 등에 더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뒤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부를 재생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기 위한 처리도 실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오디오 압축 데이터 재생 방법에서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연속 재생시에 처리 부하가 현저하게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By the way, in this audio compressed data reproduction method, when two audio compressed data are continuously reproduced, in addition to the decoding process for these audio compressed data,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reproduce the head of the subsequent audio compressed data. The process for this is also performed. For this reason, this audio compressed data reproduc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processing load is remarkably increased during continuous reproduction of the audio compressed data.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 재생시에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ata recording method, a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a data recording program which can avoid an increase in processing load during continuous reproduction of audio data.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 입력 요구에 따라,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하고, 이러한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한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 하고, 해당 검출 결과에 따라,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하도록 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n audio data input request, audio data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is read, and the read audio data is recorded in a temporary storage medium and recorded in such a temporary storage medium. It is detected whether the first frame of the audio data refers to the frame ahead,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 audio data recorded o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is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할 때, 뒤의 연속 재생에서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ording the audio data to the storage medium, it is possible to record audio data which can be reproduced as it is without performing any special processing in subsequent continuous reprodu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데이터 입력 요구에 따라,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하고, 이러한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한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 결과에 따라,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하도록 한 것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할 때, 뒤의 연속 재생에서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 재생시에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n audio data input request, audio data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is read out, the read audio data is recorded in a temporary storage medium, and the head frame of the audio data record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is recorded. When the audio data is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by detecting whether the front frame is referenced or not, and recording the audio data recorded o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on the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udio data that can be reproduced as is without performing any special processing in reproduction, thereby avoiding an increase in processing load during continuous reproduction of audio data. And a data recording program can be realized.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실시형태의 개요(1) Outline of Embodiment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100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장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 있어서 제1기록부(101)는, 오디오 데이터 입 력 요구에 따라, 외부 기억 매체(102)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기억 매체(103)에 기록한다. 또,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 있어서 검출부(104)는, 제1기록부(101)에 의해 일시 기억 매체(103)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 있어서 제2기록부(105)는, 검출부(104)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일시 기억 매체(103)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106)에 기록한다. 이와 관련해서, 기억 매체(106)는,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고, 해당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좋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dat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100, the
(2) 실시형태(2) Embodiment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전체로서 음악 콘텐츠를 기록 재생하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제어부(2)가 기억부(3)로부터 판독한 각종 프로그램을 일시 기억부(4)에 전개해서 실행함에 의해 전체를 통괄 제어하는 동시에, 각종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In Fig. 2,
즉, 제어부(2)는, 조작부(5)를 통해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NT상의 콘텐츠 분배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분배되는 음악 콘텐츠의 취득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음악 콘텐츠의 분배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통신부(6)를 거쳐서 네트워크 NT상의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한다. That is, when the
콘텐츠 분배 서버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로부터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따라 요구된 음악 콘텐츠의 분배에 따르는 대가를 콘텐츠 기록 재생 장 치(1)의 유저에 대하여 요금 부과하기 위한 요금 부과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요구된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음악 데이터(이하, 이것을 암호화 음악 데이터라고 부른다)와, 이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는 권리가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권리 정보를, 네트워크 NT를 거쳐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해서, 이 경우의 권리 정보에는, 예를 들면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열쇠의 원래인 데이터(소위, 복호열쇠의 종), 음악 콘텐츠의 재생 가능 회수나 전송 가능 회수 등을 나타내는 콘텐츠 이용 조건 및 실제로 음악 콘텐츠가 재생된 회수나 전송된 회수 등을 나타내는 콘텐츠 이용 상태 등이 적혀 있다.When the content distribution server receives the request signal from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제어부(2)는,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그 권리 정보를 통신부(6)를 통해 수신하면, 이것들을 내장 기록 매체 구동부(7)로 구동 제어되는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다. When 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네트워크 NT상의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음악 콘텐츠를 취득(다운로드)하고, 이 음악 콘텐츠를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그 후에, 제어부(2)는, 조작부(5)를 통해서,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재생 지시가 유저에 의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이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그 권리 정보를 내장 기록 매체(8)로부터 판독하고, 권리 정보를 권리 처리부(9)에 보내는 동시에,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음악 처리부(10)에 보낸다. Subsequently, the
권리 처리부(9)는, 내장 기록 매체(8)로부터 전송된 권리 정보가 정당한 것 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고, 정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이 권리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 음악 데이터의 이용(이 경우, 재생)을 허가한다. 그리고, 권리 처리부(9)는, 이 권리 정보에 근거해서 암호화 음악 데이터의 복호열쇠를 생성하고, 이 복호열쇠를 음악 처리부(10)에 건네 준다. 여기에서, 권리 처리부(9)와 음악 처리부(10)는 전용 경로로 접속되어, 이 전용 경로를 거쳐서 복호열쇠의 주고 받기를 행함으로써 이 복호열쇠가 외부에서 부정하게 취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If the
음악 처리부(10)는, 내장 기록 매체(8)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권리 처리부(9)로부터 받은 복호열쇠로 복호함에 의해 음악 데이터를 얻고, 더욱이 이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드 처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순차 행함으로써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를 외부의 음악 출력부(11)에 송출해서, 이 음악 출력부(11)로부터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출력시킨다. 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또,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제어부(2)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따라, 외부 기록 매체 구동부(12)로 구동 제어되는 외부 기록 매체(13)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음악 처리부(10)로 디코드 처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순차 행함으로써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음악 출력부(11)로부터 출력시킨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제어부(2)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따라, 인터페이스 부(14)를 통해서 접속되는 외부 기기(15)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음악 처리부(10)로 디코드 처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순차 행함으로써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음악 출력부(11)로부터 출력시킨다.Moreover, the
더욱이, 제어부(2)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따라, 외부의 음악 입력부(16)로부터 음악 처리부(10)에 입력되는 음악 신호에 대하여 음악 처리부(10)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에코라이징 처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을 순차 행하는 것에 의해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음악 출력부(11)로부터 출력시킨다.Further, 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외부 기록 매체(13)나 외부 기기(15)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나, 음악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는 음악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외부 기록 매체(13)나 외부 기기(15)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가, 전술한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취득한 음악 콘텐츠와 같이 권리 정보와 대응시킨 암호화 음악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 음악 콘텐츠를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취득해서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와 같이 재생하면 좋다.In this way,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더욱이, 제어부(2)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따라, 외부 기록 매체(13)나 외부 기기(15)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음악 처리부(10)로 인코드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이때 권리 처리부(9)로부터 주어지는 암호열쇠로 암호화함에 의해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얻고, 이 암호 화 음악 데이터와, 이때 권리 처리부(9)로 생성되는 권리 정보를 대응시켜서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다.Moreover, the
더욱이, 제어부(2)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따라, 음악 입력부(16)로부터 음악 처리부(10)에 입력되는 음악 신호에 대하여 음악 처리부(10)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및 인코드 처리 등을 순차 행하는 동시에, 이때 권리 처리부(9)로부터 주어지는 암호열쇠로 암호화함에 의해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얻고, 이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이때 권리 처리부(9)로 생성되는 권리 정보를 대응시켜서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다.Furthermore, 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외부 기록 매체(13)나 외부 기기(15)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나, 음악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는 음악 콘텐츠를 내장 기록 매체(8)에 녹음할 수 있도록 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이 녹음시에 행하는 음악 데이터의 암호화 및 권리 정보의 대응의 각각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따라) 행하면 좋고, 예를 들면 암호화 및 권리 정보의 대응을 행하지 않고, 외부 기록 매체(13)나 외부 기기(15)로부터 판독한 음악 데이터를 그대로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할 수 있고, 음악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는 음악 신호에 대하여, 음악 처리부(10)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및 인코드 처리 등을 순차 행함으로써 음악 데이터를 얻고, 이 음악 데이터를 그대로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더욱이, 제어부(2)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따라,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그 권리 정보를 판독하고, 또는 음악 데이터 를 판독하고, 이것들을 외부 기록 매체(13)나 외부 기기(15)에 기록한다.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내장 기록 매체(8)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도 이루어질 수 있다. Moreover, the
더욱이, 제어부(2)는, 기억부(3)로부터 판독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취득, 재생, 녹음 및 전송 등)에 근거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17)에 보낸다. 표시 처리부(17)는, 제어부(2)로부터 전송되는 표시용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면을 외부의 표시부(18)에 표시한다.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표시부(18)를 통해서, 음악 콘텐츠의 취득, 재생, 녹음 및 전송 등에 관한 각종 화면을 유저에 시인시킬 수 있도록 도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음악 출력부(11), 외부 기기(15), 음악 입력부(16) 및 표시부(18)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소정의 케이블을 거쳐서 외부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케이싱에 직접 장착되어 내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The
다음에, 도 3을 사용해서, 전술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구성을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으로 실현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CPU(20: Central Processing Unit)와 각 하드웨어가 버스(21)를 통해서 접속되어, CPU(20)가 EEPROM(22: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부터 판독한 각종 프로그램을 RAM(23: Random Access Memory)에 전개해서 실행함에 의해 전체를 통괄 제어하는 동시에, 각종 처리를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즉, CPU(20)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케이싱 등에 설정된 조작 키(24)를 거쳐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NT상의 콘텐츠 분배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송신되는 음악 콘텐츠의 취득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음악 콘텐츠의 분배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네트워크 NT상의 콘텐츠 분배 서버에 송신한다.In other words, the
콘텐츠 분배 서버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로부터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따라 요구된 음악 콘텐츠의 분배에 따르는 대가를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유저에 대하여 요금 부과하기 위한 요금 부과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요구된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이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는 권리가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권리 정보를, 네트워크 NT을 거쳐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해서, 이 경우의 권리 정보에는, 예를 들면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열쇠의 원래인 데이터(소위, 복호열쇠의 종), 음악 콘텐츠의 재생 가능 회수나 전송 가능 회수 등을 나타내는 콘텐츠 이용 조건 및 실제로 음악 콘텐츠가 재생된 회수나 전송된 회수 등을 나타내는 콘텐츠 이용 상태 등이 적혀 있다.When the content distribution server receives the request signal from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CPU(20)는,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그 권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수신하면, 이들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다. When 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네트워크 NT상의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음악 콘텐츠를 취득(다운로드)해서, 이 음악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그 후에, CPU(20)는, 조작 키(24)를 통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재생 지시가 유저에 의해 행해진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이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그 권리 정보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버(26)로부터 판독하고, 이것들을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에 보낸다. Subsequently, when the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은, 모듈 밖으로부터 은폐되는 멀티칩 모듈로 되고, 로컬 브리지(27A)를 거쳐서 모듈 밖의 버스(21)에 접속되는 동시에, 이 로컬 브리지(27A)에 접속되는 DSP(27B: Digital Signal Processor)를 거쳐서 모듈 밖의 아날로그 처리 회로(2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되는 DSP(27B)용의 암호화된 펌웨어가 CPU(20)에 의해 판독되어서 공급되면, 이것을 로컬 브리지(27A)로 복호해서 RAM(27C)에 일시 기억하고, 이 RAM(27C)에 일시 기억된 펌웨어를 DSP(27B)가 실행함에 의해, 전술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권리 처리부(9)의 처리와, 음악 처리부(10)의 디지털 처리와 같은 처리를 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은, DSP(27B)가 액세스할 수 있는 EEPROM(27D)을 가지고, 이 EEPROM(27D)에 모듈 밖으로부터 은폐하고 싶은 은닉 정보 등을 기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ight processing and
즉, 이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그 권리 정보를 로컬 브리지(27A)를 거쳐서 DSP(27B)에 입력한다. DSP(27B)는, 이 권리 정보가 정당한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고, 정 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이 권리 정보와 함께 전송된 암호화 음악 데이터의 이용(이 경우 재생)을 허가한다. 그리고, DSP(27B)는, 이 권리 정보에 근거해서 암호화 음악 데이터의 복호열쇠를 생성하고, 이 복호열쇠로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복호하는 것에 의하여 음악 데이터를 얻고, 더욱이 이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디코드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행한 후, 이 디지털 처리된 음악 데이터를 아날로그 처리 회로(28)에 송출한다. That is, the right processing and
아날로그 처리 회로(28)는, 디지털 처리된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함으로써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를 외부의 스피커(29)에 송출해서, 이 스피커(29)로부터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출력시킨다.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또,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CPU(20)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서, CD(Compact Disc) 드라이브(30)에 장전된 CD(31)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에서 디코드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행한 후, 아날로그 처리 회로(28)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함으로써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스피커(29)로부터 출력시킨다. In addition, the
더욱이, CPU(20)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32)를 통해서 접속되는 USB 기기(33)에 기록된 음악 데이 터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디코드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행한 후, 더욱이 아날로그 처리 회로(28)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함으로써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스피커(29)로부터 출력시킨다.Further, the
더욱이, CPU(20)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튜너(34)나 외부 입력 단자(35)로부터 아날로그 처리 회로(28)에 입력되는 음악 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 처리 회로(28)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행한 후,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에코라이징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행하고, 더욱이 이후 아날로그 처리회로(28)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함으로써 음악 신호를 얻고, 이 음악 신호에 근거하는 음악을 스피커(29)로부터 출력시킨다.In addition, 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CD(31)나 USB 기기(33)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나, 튜너(34)나 외부 입력 단자(35)로부터 입력된 음악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CD(31)나 USB 기기(33)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가, 전술한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취득한 음악 콘텐츠와 같이, 권리 정보와 대응시킬 수 있었던 암호화 음악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 음악 콘텐츠를,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취득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와 동일하게 재생하면 좋다.In this way,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더욱이, CPU(20)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CD(31)나 USB 기기(33)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권 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인코드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이때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생성되는 암호열쇠로 암호화함에 의해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얻고, 이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이때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생성된 권리 정보를 대응시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다. Furthermore, the
더욱이, CPU(20)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튜너(34)나 외부 입력 단자(35)로부터 아날로그 처리 회로(28)에 입력되는 음악 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 처리 회로(28)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행한 후,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인코드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이때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생성되는 암호열쇠로 암호화함에 의해 암호화 음악 데이터를 얻고, 이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이때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생성되는 권리 정보를 대응시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다.In addition, the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CD(31)나 USB 기기(33)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나, 튜너(34)나 외부 입력 단자(35)로부터 입력되는 음악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녹음할 수 있도록 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이 녹음시에 행하는 음악 데이터의 암호화 및 권리 정보의 대응의 각각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행하면 되고, 예를 들면 암호화 및 권리 정보의 대응을 행하지 않고, CD(31)나 USB 기기(33)로부터 판독한 음악 데이터를 그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할 수도 있고, 튜너(34)나 외부 입력 단자(35)로부터 입력되는 음악 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 처리 회로(28) 및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아날로그 처리 및 디지털 처리 등을 순차 행함으로써 음악 데이터를 얻고, 이 음악 데이터를 그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할 수도 있다.In this manner,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더욱이, CPU(20)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암호화 음악 데이터와 그 권리 정보를 판독하거나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며, 이것들을 CD(31)나 USB 기기(33)에 기록한다.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음악 콘텐츠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도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더욱이, CPU(20)는, EEPROM(22)으로부터 판독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취득, 재생, 녹음 및 전송 등)에 근거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 콘트롤러(36)에 보낸다. 표시 콘트롤러(36)는, CPU(20)로부터 전송되는 표시용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면을 외부의 디스플레이(37)에 표시한다. 이렇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디스플레이(37)를 통해서, 음악 콘텐츠의 취득, 재생, 녹음 및 전송 등에 관한 각종 화면을 유저에 시인시킬 수 있도록 도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스피커(29), USB 기기(33), 튜너(34), 외부 입력 단자(35) 및 디스플레이(37)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소정의 케이블을 거쳐서 외부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케이싱에 직접 장착되고 내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관련해서, 이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CPU(20)는 전술한 제어부(2: 도 2)에 해당하고, EEPROM(22)은 기억부(3)에 해당하고, RAM(23)은 일시 기억부(4)에 해당하고, 조작 키(24)는 조작부(5)에 해당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는 통신부(6)에 해당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는 내장 기록 매체 구동부(7) 및 내장 기록 매체(8)에 해당하고,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 및 아날로그 처리 회로(28)는 권리 처리부(9) 및 음악 처리부(10)에 해당하고, CD드라이브(30)는 외부 기록 매체 구동부(12)에 해당하고, USB 인터페이스(32)는 인터페이스부(14)에 해당하고, 표시 콘트롤러(36)는 표시 처리부(17)에 해당하는 것이다.In this regard, the
다음에, 도 4를 사용해서, 도 3에 대해서 전술한 하드웨어 구성의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계층적으로 관계되어 있어, 최상위에는, 유저 인터페이스(40)가 위치한다.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음악 데이터의 리스트 등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37)에 표시하고, 또 유저에 의해 조작 키(24)를 통해 입력되는 재생 시작이나 원하는 음악 콘텐츠의 선택 등의 각종 명령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content recording / reproducing
유저 인터페이스(40)의 하위에는, 미들웨어(41)가 위치하고 있다. 미들웨어(41)는,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이나 그 밖의 하드웨어(42: 하드디스크 드라이버(26)나 CD드라이브(30) 등)에 대하여, 전술한 음악 콘텐츠의 취득, 재생, 녹음 및 전송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시키는 처리 실행 요구를 생성하고, 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구축된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에 더해서, 미들웨어(41)는, CD드라이브(30)에 장전된 CD(31)나 USB 기기(33),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 등에 기록되는 음악 데이터의 리스트 등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 레이(37)의 표시용 등으로 생성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The
미들웨어(41)의 하위에는, 플러그 인(43)이 위치한다. 플러그 인(43)은, 미들웨어(41)로 생성된 처리 실행 요구에 따라,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이나 그 밖의 하드웨어(42)에 각종 처리를 실행시키는 처리 실행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 플러그 인(43)은,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있어서 외부에서 음악 콘텐츠를 취득해서 그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는 입력 기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플러그 인(43)의 하위에는,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용 라이브러리(44)가 위치하고 있다.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용 라이브러리(44)는, 플러그 인(43)에서 생성된 각종 처리 실행 지시 정보 중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에 대하여, 권리 정보를 사용하는 복호열쇠의 생성 등의 권리 처리나, 음악 콘텐츠를 사용하는 디코드 처리 및 인코드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실행시키는 처리 실행 지시 정보에 대해서만 해당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로 해석가능한 소정 포맷의 처리 실행 지시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The plug-in 43 is located below the
또,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용 라이브러리(44)의 하위에는, OS(45: Operating System)가 위치하고, 해당 플러그 인(43)이나,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용 라이브러리(44), 미들웨어(41),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이 OS(45) 위에서 실행된다. 이 OS(45)의 하위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46)가 위치한다. 이러한 디바이스 드라이버(46)는, OS(45)에 대하여,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이나, 그 밖의 하드웨어(42)의 각종 기능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OS(45) 는, 플러그 인(43)이나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용 라이브러리(44)에 의해 생성 및 변환되는 각종 처리 실행 지시 정보를 권리 처리 및 음악 처리 모듈(27)이나 그 밖의 하드웨어(42)에 줄 수 있다. An OS 45 (Operating System) is located below the rights processing and music
상기 구성에 더해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접속되는 USB 기기(33)에는, 1곡(이하, 이것을 1트랙이라고 부른다)마다의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각각,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Audio Layer 3포맷이나 MPEG2 Audio Layer 3포맷(이하, 이것들 포맷을 MP3 포맷이라고 부른다)이라고 불리는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 처리하고, 그 결과 얻을 수 있는 부호화 음악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이하, 이것을 MP3 파일이라고 부른다)로서 기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이러한 USB 기기(33)로부터, 1트랙 마다의 MP3 파일을 판독해서 입력하고, 해당 입력한 MP3 파일을 직접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여기에서, MP3 포맷에서는, MP3 파일을 프레임이라고 불리는 처리 단위로 처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트랙의 MP3 파일 D1은, 예를 들면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F1 내지 F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프레임 F1 내지 Fn은, 각각 선두로부터 프레임 헤더 H1 내지 Hn,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 기억부 C1 내지 Cn, 사이드 정보 기억부 S1 내지 Sn,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 내지 MDn, 부가 정보 기억부 AD1 내지 ADn이 순차적으로 설정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Here, in the MP3 format, the MP3 file is prescribed to be processed in a processing unit called a frame. As shown in Fig. 5, the MP3 file D1 of one track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plurality of consecutive frames F1 to Fn. In this case, each of the frames F1 to Fn has frame headers H1 to Hn,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 storage units C1 to Cn, side information storage units S1 to Sn, main data storage units MD1 to MDn,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spectively, from the beginning. The storage units AD1 to ADn are configured in this order.
그리고,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 내지 MDn에는, 1트랙 분의 부호화 음악 데 이터가 적당하게 분할되어, 그 결과 얻을 수 있는 분할 부분의 데이터(이하, 이것을 특히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라 부른다)가 기억되어 있다. 또, 프레임 헤더 H1 내지 Hn에는, 해당 프레임 헤더 H1 내지 Hn을 판별가능한 헤더 판별 정보나 프레임 F1 내지 Fn의 프레임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헤더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다. 더욱이, CRC코드 기억부 C1 내지 Cn에는,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 내지 MDn에 기억된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의 오류 정정용으로서 CRC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부가 정보 기억부 AD1 내지 ADn에는,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 내지 MDn에 기억된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의 복호 처리 등에 사용하는 각종 정보가 부가 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다.In the main data storage sections MD1 to MDn, one track of coded music data is appropriately divided, and the resultant divided data (hereinafter, specifically referred to as split coded music data) is stored. . In the frame headers H1 to H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such as header discrimination information capable of discriminating the corresponding frame headers H1 to Hn and size information indicating the frame size of the frames F1 to Fn are stored as header data. Furthermore, CRC codes are stored in the CRC code storage units C1 to Cn for error correction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stored in the main data storage units MD1 to MDn. Further,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age units AD1 to AD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used for decoding processing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stored in the main data storage units MD1 to MDn and the like are stored as additional information.
그런데, MP3 포맷에서는, 1트랙 분의 부호화 음악 데이터를 복수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로 분할했을 경우, 개개의 프레임 F1 내지 Fn에 대하여 각각 1개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를 기억용으로 할당해서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 내지 MDn에 기억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3 포맷에서는, 예를 들면 프레임 F2에 할당한 1개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2를 그대로, 해당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2가 원래 기억되는 프레임 F2보다도 시간적으로 전에 처리하는 프레임 F1의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에 기억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1개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3의 적어도 일부분(d31, d32: 이하, 이것을 세분화 음악 데이터라고 부른다)을, 해당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3이 본래 기억되는 프레임 F3보다도 시간적으로 전에 처리하는(즉, 전방의) 프레임 F1 및 F2의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 내지 MD2에 기억하도록도 규정되어 있다.By the way, in the MP3 format, when one track of encoded music dat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coded music data, one divided coded music data is allocated to each of the frames F1 to Fn for storage and the main data storage unit is allocated. It is prescribed to store in MD1 to MDn. As shown in Fig. 6, in the MP3 format, for example, a frame in which one divided coded music data d2 allocated to the frame F2 is processed as it is, before the frame F2 in which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2 is originally stored. It is prescribed to store in the main data storage unit MD1 of F1.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d31, d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divided music data) of one piece of divided coded music data d3 is processed in time before the frame F3 in which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3 is originally stored (that is, the front side). Is stored in the main data storage units MD1 to MD2 of the frames F1 and F2.
그 결과, 이러한 규정에 준해서 생성된 MP3 파일 D1은, 2개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1 및 d2와 1개의 세분화 음악 데이터 d31이 정리해서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1에 기억된 1개의 프레임 F1이나, 세분화 음악 데이터 d32만이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2에 기억된 1개의 프레임 F2 또는 2개의 세분화 음악 데이터 d33 및 d41이 정리해서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3에 기억된 1개의 프레임 F3 등을 갖도록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P3 file D1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such a regulation includes one frame F1 or segmented music stored in the main data storage unit MD1 by two divided coded music data d1 and d2 and one segmented music data d31.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taken such that only the data d32 has one frame F2 stored in the main data storage MD2 or one frame F3 stored in the main data storage MD3 together with the two subdivided music data d33 and d41.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3 포맷에서는, 각 프레임 F1 내지 F3의 사이드정보 기억부 S1 내지 S3에 대하여, 「main_data_begin」이라고 불리는 기억 위치 통지 정보를 기억해서, 해당 기억 위치 통지 정보에 의해, 프레임 F1 내지 F3에 원래 기억해야 할(즉, 기억용으로 할당할 수 있었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1 내지 d3의 선두의 기억 위치를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정되어 있다. 이 경우, MP3 포맷에서는, 프레임 F1에 원래 기억해야 할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1이 그대로 기억될 때, 기억 위치 통지 정보의 값을, 예를 들면 「0」으로 하고, 해당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1의 선두의 기억 위치가 프레임 F1인 것을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또, MP3 포맷에서는, 프레임 F2 내지 F3에 본래 기억해야 할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2 및 d3이, 그대로(즉,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2인 채로) 또는 세분화 음악 데이터 d31로서 전방의 프레임 F1에 기억되었을 때, 기억 위치 통지 정보의 값을, 원래 기억해야 할 프레임 F2 또는 F3의 선두 위치로부터 이것들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2 또는 세분화 음악 데이터 d31의 선두의 기억 위치까지의 데이터장(즉, 마이너스의 포인터)으로서, 이것들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2 및 세분 화 음악 데이터 d31의 선두의 기억 위치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MP3 포맷에서는, MP3 파일 D1의 재생시, 각 프레임 F1 내지 F3 내의 기억 위치 통지 정보에 따라 자기의 프레임 F1이나 해당 자기의 프레임 F2 및 F3보다도 전방의 프레임 F1을 참조시켜, 이것들 프레임 F1 내지 F3 내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d1이나 d2, 세분화 음악 데이터 d31 내지 d33, d41을 적확하게 사용시켜서 재생 처리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n the MP3 format,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called "main_data__egin" is stored in the side information storage units S1 to S3 of the frames F1 to F3, and the frame is stored according to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age positions at the head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1 to d3, which should be originally stored (i.e., allocated for storage), are defined in F1 to F3 as shown. In this case, in the MP3 format, when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1 originally to be stored in the frame F1 is stored as it is, the value of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s, for example, "0", and is the head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1. Indicates that the storage position of the frame is the frame F1. In the MP3 format, when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2 and d3, which are to be originally stored in the frames F2 to F3, are stored as they are (i.e., remain as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2) or as the segmented music data d31 in the front frame F1. As the data length (ie, a negative pointer) from the head position of the frame F2 or F3 to be stored originally to the storage position of the head of these divided coded music data d2 or the segmented music data d31, the value of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age positions at the heads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d2 and the divided music data d31 are shown. Accordingly, in the MP3 format, upon playback of the MP3 file D1, the frame F1 in front of the own frame F1 or the frames F1 ahead of the corresponding frames F2 and F3 is referred to in accordance with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 each of the frames F1 to F3. The division coded music data d1, d2, and the subdivided music data d31 to d33, d41 in F3 to F3 can be reproduced with proper use.
그런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MP3 파일 D2는,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한 프레임 Fm 및 프레임 Fm+1의 경계에서 분할되어, 전후 2개의 MP3 파일 D3 및 D4를 생성하도록 편집될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MP3 파일 D2에 대한 분할 편집에 의하면, 뒤측의 새로운 MP3 파일 D4는, 그 선두의 프레임(이하, 이것을 특히 선두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Fm+1에 원래 기억되는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앞측의 새로운 MP3 파일 D3의 후미의 프레임(이하, 이것을 특히 후미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Fm에 기억될 경우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뒤측의 새로운 MP3 파일 D4에 있어서 선두 프레임 Fm+1의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m+1에는, 원래 기억해야 할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의 일부분만이 세분화 음악 데이터 dm+13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의 나머지의 부분은, 세분화 음악 데이터 dm+11 및 dm+12로서, 전방의 프레임 Fm-1 및 Fm(즉, 앞측의 새로운 MP3 파일 D3의 후미측의 프레임 Fm-1 및 Fm)의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m-1 및 MDm에 기억되어 있다. By the way, as shown in FIG. 8, such MP3 file D2 may be divided | segmented at the boundary of the frame Fm and the frame Fm + 1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and may be edited so that two MP3 files D3 and D4 may be created before and after. According to such divisional editing on the MP3 file D2, the new MP3 file D4 on the rear side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originally stored in the first frame (hereinafter, particularly, the first frame) Fm + 1.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rear frame of the new MP3 file D3 on the front side (hereinafter, this is called a rear frame in particular) Fm. In this regar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only a part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to be originally stored in the main data storage unit MDm + 1 of the first frame Fm + 1 in the new MP3 file D4 on the rear side is divided into pieces of the divided music data dm. It is stored as +13.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are segmented music data dm + 11 and dm + 12, and the front frames Fm-1 and Fm (that is, the rear frame Fm-1 of the new MP3 file D3 on the front side). And the main data storage units MDm-1 and MDm of Fm).
그리고, 이러한 분할 편집에 의하면, 뒤측의 MP3 파일 D4의 선두 프레임 Fm+1에는, 사이드 정보 기억부에 대하여 해당 선두 프레임 Fm+1보다도 전방의 프레임 Fm-1의 메인 데이터 기억부 MDm-1에 있어서의 세분화 음악 데이터 dm+11의 기억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위치 통지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앞측 및 뒤측의 MP3 파일 D3 및 D4를 연속 재생할 때는, 해당 뒤측의 MP3 파일 D4의 선두 프레임 Fm+1에 기억된 기억 위치 통지 정보를 따르고, 전방의 프레임 Fm-1(즉, 앞측의 MP3 파일 D3의 프레임 Fm-1)을 참조함으로써 해당 앞측의 MP3 파일 D3에 계속되는 뒤측의 MP3 파일 D4를 아무런 문제없게 연속 재생할 수 있다. 하지만, 앞측의 MP3 파일 D3과는 다른 그 밖의 MP3 파일과 뒤측의 MP3 파일 D3을 연속 재생할 때는, 해당 뒤측의 MP3 파일 D4의 선두 프레임 Fm+1에 기억된 기억 위치 통지 정보를 따르고, 전방의 다른 MP3 파일의 프레임을 참조하기 때문에, 원래 재생 처리에 사용해야 할 세분화 음악 데이터와는 관계없는 그 밖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또는 세분화 음악 데이터를 재생 처리에 사용하게 된다. 그 결과, 이러한 연속 재생에서는, 뒤측의 MP3 파일 D4에 대한 재생 처리에 있어서, 해당 뒤측의 MP3 파일 D4에는 관계없는 앞측의 다른 MP3 파일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또는 세분화 음악 데이터가 함께 재생 처리되어 노이즈의 발생 원인이 될 경우가 있다. According to such divisional editing, in the main frame Fm + 1 of the rear MP3 file D4, in the main data storage MDm-1 of the frame Fm-1 in front of the front frame Fm + 1 with respect to the sid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orage position of the subdivided music data dm + 11 is stored. Therefore, for example, when continuously playing the front and rear MP3 files D3 and D4,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frame Fm + 1 of the rear MP3 file D4 is followed, and the front frame Fm-1 (i.e., By referring to the frame Fm-1) of the front MP3 file D3, the rear MP3 file D4 subsequent to the front MP3 file D3 can be continuously played without any problem. However, when continuously playing other MP3 files different from the front MP3 file D3 and the rear MP3 file D3,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frame Fm + 1 of the rear MP3 file D4 is followed, Since the frame of the MP3 file is referred to, other split coded music data or segmented music data irrelevant to the segmented music data to be used for the original playback process is used for the playback process. As a result, in such continuous playback, in the reproduction processing for the rear MP3 file D4, the divided coded music data or the segmented music data of the other MP3 file in the front, which is not related to the rear MP3 file D4, are reproduced together to generate noise. It may be the cause of occurrence.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3 포맷에서는, 예를 들면 1트랙의 MP3 파일 D1의 선두 및 후미에 대하여, 음악 콘텐츠에 대한 타이틀 등의 속성 정보를 기억한 「ID3v2tag」나 「ID3v1tag」라고 불리는 부가 데이터 FD1 및 FD2를 부가할 수 있도록 도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PC 등에서, 예를 들면 각각 선두 및 후미에 부가 데이터가 부가된 적어도 2개의 MP3 파일끼리를 그대로 접속하도록 편집했을 때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으로 보기에는, 선두 및 후미에 각각 부가 데이터 FD3 및 FD4이 부가된 새로운 MP3 파일 D5를 생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접속 편집에 의해 생성되는 MP3 파일 D5은, 선두로부터 후미까지의 사이의 중도 부분에, 예를 들면 접속 편집 전의 한쪽의 MP3 파일 D5A의 후미에 부가되어 있었던 부가 데이터나 다른 쪽의 MP3 파일 D5B의 선두에 부가되어 있었던 부가 데이터 등이, 재생 처리의 방해가 되는(예를 들면, 전혀 재생할 수 없거나 노이즈의 발생 원인이 되는) 부정 데이터 ND1로서 포함될 경우가 있다.As shown in Fig. 9, in the MP3 format, for example, an addition called "ID3v2tag" or "ID3v1tag" which stores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a title for music content with respect to the head and tail of an MP3 file D1 of one track, for example. It is also specified that data FD1 and FD2 can be added. By the way, when a PC or the like has been edited so that, for example, at least two MP3 files added with additional data at the head and tail, respectively, are directly connected, as shown in Fig. 10, the seemingly additional data FD3 and FD4 are respectively shown at the head and tail. This added new MP3 file D5 can be created. However, the MP3 file D5 generated by such a connection editing has additional data added to the middle part between the head and the tail, for example, at the end of one MP3 file D5A before the connection editing and the other MP3 file D5B. The additional data added at the beginning of may be included as the negative data ND1 that interferes with the reproduction process (for example, cannot reproduce at all or causes noise).
더욱이, 도 11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3 파일 D1은, 압축 부호화 회로에 의하여 음악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도록 해서 생성될 경우, 이러한 압축 부호화 회로의 사양에 따라서는, 후미 프레임 Fn의 프레임 헤더 Hn에 대하여, 해당 후미 프레임 Fn의 프레임 사이즈를, 예를 들면 실제의 프레임 사이즈 FS1보다도 긴 프레임 사이즈 FS2로서 잘못해서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가 기억될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MP3 파일 D1과 다른 MP3 파일 D6을 연속 재생할 때는, 이러한 MP3 파일 D1의 후미 프레임 Fn을 재생 처리할 때, 그 잘못된 프레임 사이즈를 따르고, 이러한 후미 프레임 Fn과 함께, 이것에 이어지는 그 밖의 MP3 파일 D6의 선두 프레임 F1a에 있어서의 프레임 헤더측의 일부 F1aa도 맞춰서 재생 처리하게 된다. 그 결과, 이러한 연속 재생에서는, 앞측의 MP3 파일 D1에 대한 재생 처리에 있어서, 해당 앞측의 MP3 파일 D1에는 관계가 없는 뒤측의 다른 MP3 파일 D6의 일부 F1aa가 함께 재생 처리되어 노이즈의 발생 원인이 될 경우가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11A to 11C, when the MP3 file D1 is generated by compressing and encoding music data by the compression coding circuit, the trailing frame depends on the specification of such a compression coding circuit. With respect to the frame header Hn of Fn, the size information which incorrectly represents the frame size of this rear-frame Fn as frame size FS2 longer than actual frame size FS1 may be memorize | stored, for example. When the MP3 file D1 and the other MP3 file D6 are continuously played back, when the rear frame Fn of the MP3 file D1 is reproduced, the wrong frame size is followed, and the other MP3 following this tail frame Fn is followed. Partial F1aa on the frame header side in the first frame F1a of the file D6 is also reproduced. As a result, in such continuous playback, in the playback processing for the front MP3 file D1, a part of F1aa of the other MP3 file D6 on the rear sid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front MP3 file D1, is played back together, causing noise. There is a case.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USB 기 기(33)로부터 MP3 파일을 기록용으로 판독해서 입력했을 때, 뒤의 재생에서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는, 도 12 내지 도 15를 사용해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 실행하는 MP3 파일의 입력 기록 처리(이하, 이것을 파일 입력 기록 처리라고 부른다)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파일 입력 기록 처리는, 실제로는 CPU(20)가 도 4에 대해서 전술한 유저 인터페이스(40), 미들웨어(41) 및 플러그 인(43)의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실행하지만, 편의상 이들 유저 인터페이스(40), 미들웨어(41) 및 플러그 인(43)을 마치 기능 블록과 같이 보고 설명한다. For this reason, in the content recording / reproducing
우선,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예를 들면 표시 콘트롤러(36)를 통해 디스플레이(37)에 대하여, 처리 선택 화면(도시 생략)을 표시하고, 처리 순서 RT1을 시작한다.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이러한 처리 순서 RT1을 시작하면, 스텝 SP1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처리 선택 화면상에서 MP3 파일의 입력이 요구되는 것을 준비하고 기다린다.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유저에 의해 MP3 파일의 입력이 요구되면, 다음 스텝 SP2로 옮겨간다. 이에 따라, 스텝 SP2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는, MP3 파일의 입력 시작을 미들웨어(41)에 통지하고, 다음 스텝 SP3으로 옮겨간다.First, in the file input recording processing sequence, the
이때, 미들웨어(41)는,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40)에 의한 처리 순서 RT1의 시작에 연동해서 처리 순서 RT2를 시작한다. 미들웨어(41)는, 이러한 처리 순서 RT2를 시작하면, 스텝 SP11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로부터 통지된 입력 시작에 따라, USB 기기(33)와 USB 인터페이스(32)를 통해 통신 접속해서, 다음 스텝 SP12로 옮겨간다. 그리고, 스텝 SP12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USB 기기(33)로부터 이것에 기억하고 있는 1트랙 마다의 MP3 파일의 파일명 등을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파일명 등에 의해, 그 USB 기기(33)로부터 입력가능한 MP3 파일의 리스트(이하, 이것을 입력가능 파일 리스트라고 부른다)을 작성하고, 다음의 스텝 SP13로 옮겨간다. 이에 따라, 스텝 SP13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이러한 입력가능 파일 리스트를 유저 인터페이스(40)에 건네 주고, 다음 스텝 SP14로 옮겨간다.At this time, the
이때, 스텝 SP3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는, 미들웨어(41)로부터 받은 입력가능 파일 리스트에 근거하고, 입력가능한 MP3 파일을 리스트화 해서 나타내는 파일 선택 화면을 생성해서 표시 콘트롤러(36)를 통해서 디스플레이(37)에 표시한 후, 다음 스텝 SP4로 옮겨간다. 스텝 SP4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파일 선택 화면상에서, USB 기기(33)로부터 입력하는 MP3 파일이 선택되는 것을 준비하고 기다린다.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유저에 의해, USB 기기(33)로부터 입력하는 MP3 파일이 선택되면, 다음의 스텝 SP5로 옮겨간다. 스텝 SP5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는, 계속되는 유저에 의한 조작 키(24)의 조작에 따라 파일 선택 화면상에서 MP3 파일의 입력 실행이 요구되는 것을 준비하고 기다린다.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유저에 의해 MP3 파일의 입력 실행이 요구되면, 다음 스텝 SP6으로 옮겨간다. 이에 따라, 스텝 SP6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과 함께, 해당 MP3 파일의 입력 실행을 미들웨어(41)에 통지하고, 다음 스텝 SP7로 옮겨간다. At this time, in step SP3, the
이때, 스텝 SP14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유저 인터페이스(40)에 의해 통지되는 MP3 파일의 입력 실행에 따라, 실제로 플러그 인(43)에 대하여 MP3 파일을 입력시켜서 기록시키기 위한 일련의 처리(이하, 이것을 특히 입력 실행 요구 처리라고 부른다)를 시작한다. 그리고, 미들웨어(41)는, 유저 인터페이스(40)로부터 통지된 유저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과 입력가능 파일 리스트를 조회시켜서 해당 입력가능 파일 리스트로부터 1개의 입력 대상의 MP3 파일(즉, 1트랙의 MP3 파일)을 선택해서, 다음 스텝 SP15로 옮겨간다. 다만, 미들웨어(41)는, 입력가능 파일 리스트로부터 입력 대상의 MP3 파일(즉, 유저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을 모두 선택해서 끝내고, 선택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이러한 스텝 SP14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다음 스텝 SP15로 옮겨간다. 스텝 SP15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입력 대상의 MP3 파일이 존재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5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미들웨어(41)가 플러그 인(43)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모든 MP3 파일을 입력해서 기록하도록 요구하고 끝내서는 안 되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미들웨어(41)는, 이때 다음 스텝 SP16로 옮겨간다. 이에 따라, 스텝 SP16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스텝 SP14에서 선택한 MP3 파일에 대한 입력 처리 실행 요구를 생성하고, 이것을 플러그 인(43)에 건네 주고, 다음 스텝 SP17로 옮겨간다.At this time, in step SP14, the
이때, 플러그 인(43)은,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40)에 의한 처리 순서 RT1의 시작에 연동해서 처리 순서 RT3을 시작하고 있다. 플러그 인(43)은, 이러한 처리 순서 RT3을 시작하면, 스텝 SP31에 있어서 미들웨어(41)로부터 주어진 입력 처리 실행요구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32)를 통해 USB 기기(33)로부터, 해당 미들웨어(41)에 의해 선택된 1트랙의 MP3 파일을 판독하도록 해서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다음 스텝 SP32로 옮겨간다. 스텝 SP32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RAM(23)에 일시 기록한 MP3 파일에 대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후에 아무런 문제 없게 재생할 수 있는 것인지를 검사하는 파일 검사 처리를 실행한 후, 다음의 스텝 SP33로 옮겨간다. At this time, the plug-in 43 starts processing sequence RT3 in conjunction with the start of the processing sequence RT1 by the
그리고, 스텝 SP33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파일 검사 처리의 결과에 따라,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대해서 기록가능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33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는 이러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해도, 뒤에 재생이 요구되었을 때에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4로 옮겨간다. 이에 따라, 스텝 SP34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RAM(23)으로부터 MP3 파일을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해서, 다음 스텝 SP35로 옮겨간다. 스텝 SP35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MP3 파일의 기록 처리가 완료한 것을 미들웨어(41)에 통지하고, 다음 스텝 SP36으로 옮겨간다. 그리고, 스텝 SP36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미들웨어(41)로부터 입력 실행 요구 처리의 종료가 통지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36에 있어서 부정 결과 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아직 미들웨어(41)가 입력 실행 요구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도중이기 때문에, 해당 미들웨어(41)로부터 다시 입력 처리 실행 요구가 주어지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스텝 SP31에 돌아간다. In step SP33, the plug-in 4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P3 fil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스텝 SP33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을 가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대하여 기록하면, 뒤에 재생이 요구되었을 때 재생 처리와 함께, 노이즈의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등의 특별한 처리도 실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는 기록하지 않고, 스텝 SP36로 옮겨간다. In this regard, if a nega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P33, this means that if the MP3 fil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그런데, 스텝 SP17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플러그 인(43)으로부터 통지된 MP3 파일의 기록 완료에 따라, 해당 플러그 인(43)이 USB 기기(33)로부터, 그 MP3 파일을 입력해서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었을 때에, 이러한 MP3 파일의 입력 에러가 발생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7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USB 기기(33)로부터 1트랙의 MP3 파일을 도중에 중단하지 않고 입력해서 RAM(23)에 일시 기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이러한 부정 결과는, 1트랙의 MP3 파일에 대하여 파일 검사 처리가 실시되어, 그 결과 기록가능하다고 판단됨으로써 해당 1트랙의 MP3 파일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미들웨어(41)는, 이때 스텝 SP18로 옮겨간다. 스텝 SP18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1트랙의 MP3 파일을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버(26)에 미리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서(실제로는, MP3 파일의 파일명이나 하드디스크상의 기록 어드레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속성 정보를 등록하고 있다), 스텝 SP14에 돌아간다. By the way, in step SP17, as the
이에 따라, 미들웨어(41)는, 스텝 SP15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 또는 스텝 SP17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의 사이에서, 스텝 SP14 내지 스텝 SP18의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 실행한다. 그 결과, 미들웨어(41)는, 플러그 인(43)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을 순차 1트랙 마다 입력해서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인(43)은, 스텝 SP31 내지 스텝 SP36의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 실행함에 의해, USB 기기(33)로부터 순차 1트랙의 MP3 파일을 입력하도록 하고, 기록가능할 때에만 해당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다. 그리고, 미들웨어(41)는, 이와 같이 플러그 인(43)에 의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대하여 1트랙의 MP3 파일이 기록될 때마다, 해당 1트랙의 MP3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As a result, the
그런데, 전술한 스텝 SP15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미들웨어(41)가 플러그 인(43)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모든 MP3 파일을 입력해서 기록하도록 요구해서 끝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미들웨어(41)는, 이때 스텝 SP19로 옮겨간다. 스텝 SP19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이때 USB 기기(33)와의 통신 접속을 절단 처리한 후, 다음 스텝 SP20으로 옮겨간다. 그리고, 스텝 SP20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유저 인터페이스(40)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MP3 파일에 대한 입력 기록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통지한 후, 스텝 SP21로 옮겨가고, 처리 순서 RT2을 종료한다. By the way, if a nega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P15, this indicates that the
또, 전술한 스텝 SP17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USB 기기(33)로부터 1트랙의 MP3 파일을 입력하고 있었던 도중에, 예를 들면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로부터 USB 기기(33)가 잘못해서 떼어짐으로써 그 MP3 파일을 도중에 입력할 수 없는 것을 표시한다. 즉, 이러한 긍정 결과는, USB 기기(33)로부터 입력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대하여 기록가능한 것으로 판별해서 기록하지만, 그 MP3 파일이 1트랙에 채워지지 않는(즉, 1트랙의 일부분이다)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미들웨어(41)는, 이때 플러그 인(43)으로부터 MP3 파일의 기록 완료가 통지되고는 있지만, 해당 MP3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는 등록하지 않도록 한다. 즉, 미들웨어(4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된 MP3 파일이 1트랙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그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는 기록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서, 스텝 SP19로 옮겨간다. 그리고, 스텝 SP19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이때 USB 기기(3)와의 통신 접속이, 예를 들면 이미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다음 스텝 SP20으로 옮겨간다. 또, 스텝 SP20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40)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에 대한 입력 기록 처리가 도중에 실패했기 때문에 강제 종료한 것을 통지한 후, 스텝 SP21로 옮겨가고, 처리 순서 RT2를 종료한다. If a posi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P17, this means that, for example, while the MP3 file of one track is being input from the
따라서, 스텝 SP7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는, 미들웨어(41)로부터 MP3 파일에 대한 입력 기록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이 통지되었을 때는, 이것을,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7)를 통해 유저에 통지한 후, 다음 스텝 SP8로 옮겨가고, 처리 순서 RT1을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P7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40) 는, 미들웨어(41)로부터 MP3 파일에 대한 입력 기록 처리가 도중에 실패한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 이것을,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7)를 통해 유저에 통지한 후, 다음 스텝 SP8로 옮겨가고, 처리 순서 RT1을 종료한다. Therefore, in step SP7, when the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스텝 SP20에 있어서 미들웨어(41)는, MP3 파일에 대한 입력 기록 처리가 모두 또는 도중의 어디서 종료해도, 이것을 플러그 인(43)에 대하여 통지한다. 따라서, 스텝 SP36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이러한 통지에 따라서 긍정 결과를 얻고, 다음 스텝 SP37로 옮겨가며, 처리 순서 RT3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해서 실제로는, CPU(20)가 유저 인터페이스(40), 미들웨어(41) 및 플러그 인(43)을 따라 전술한 일련의 파일 취득 기록 처리 순서를 실행함으로써 USB 기기(33)로부터 MP3 파일을 입력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다. In this regard, in step SP20 described above, the
그런데, 전술한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에 있어서의 스텝 SP32에서는, 플러그 인(43)이 도 15에 나타내는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을 실행하고 있다. 즉, 플러그 인(43)은,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에 있어서 스텝 SP32에 옮겨지면,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을 시작한다. 그리고, 플러그 인(43)은, 이러한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를 시작하면, 스텝 SP321에 있어서,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의 선두로부터 후미에 걸쳐서 헤더 판별 정보를 검출하도록 주사한다. 그리고, 플러그 인(43)은, 이러한 MP3 파일에 있어서 1개의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를 검출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321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USB 기기(33)로부터 입력해서 RAM(23)에 일시 기록한 MP3 파일이 MP3 포맷에 따라서 프레임 구조를 갖도록 정당하게 생성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표시한 다. 이와 관련해서, 이러한 스텝 SP321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MP3 파일의 선두로부터 후미에 걸쳐서 헤더 판별 정보를 검출하도록 주사하기 때문에, 그 MP3 파일에 프레임이 존재하면, 선두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22로 옮겨간다. By the way, in step SP32 in the above-described file input recording processing procedure, the plug-in 43 executes the file inspection processing procedure RT4 shown in FIG. That is, the plug-in 43 starts the file check processing procedure RT4 when it is moved to step SP32 in the file input recording processing procedure. When the file check processing procedure RT4 is started, the plug-in 43 scans at step SP321 to detect the header discri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MP3 fil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스텝 SP322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스텝 SP321에 있어서 검출한 프레임 헤더에 기억되는 헤더 데이터가, MP3 포맷에 따라 정확하게 생성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322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헤더 데이터가 MP3 포맷에 따라 생성되기 때문으로, RAM(23) 내의 MP3 파일에 대하여 정당하게 생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23으로 옮겨간다. 스텝 SP323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MP3 파일에 대하여, 이 시점에 가장 후미측에서 검출하고 있는 프레임 헤더의 위치부터 다시 후미에 걸쳐서 헤더 판별 정보를 검출하도록 주사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MP3 파일에 있어서 프레임 헤더의 연속 검출 종료를 검지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323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MP3 파일에 있어서 가장 후미측에서 검출한 프레임 헤더의 위치부터, 후미측의, 예를 들면 MP3 포맷에 준해서 미리 선정된 소정 데이터장 분의 범위(예를 들면, 1개의 프레임이 받을 수 있는 최대 프레임 사이즈와 거의 동등해서, 이하 이 소정 데이터장의 범위를 프레임 연속 검출 범위라고 부른다) 이내에서 다시 프레임 헤더를 검출한 것을 표시한다. 즉, 이러한 부정 결과는, RAM(23) 내의 MP3 파일이, MP3 포맷에 따라서 프레임을 연속해서 생성하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스텝 SP322로 돌아간다.In step SP322, the plug-in 43 determines whether the header data stored in the frame header detected in step SP321 is correctly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P3 format. If a posi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this step SP322, this indicates that since the header data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P3 form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legitimately generated for the MP3 file in the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후 스텝 SP322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때까지, 또는 스텝 SP323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사이에서, 이러한 스텝 SP322 및 스텝 SP323의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 실행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인(43)은, RAM(23) 내의 MP3 파일이 MP3 포맷에 따라 연속하는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가 아닌가를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P323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MP3 파일에 대하여 가장 후미측에서 검출한 프레임 헤더의 위치부터 프레임 연속 검출 범위 이내로 프레임 헤더를 검출하지 않은 것을 표시한다. 즉, 이러한 긍정 결과는, RAM(23) 내의 MP3 파일에 대하여 프레임 헤더의 검출 종료를 검지한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24로 옮겨간다. Therefore, the plug-in 43 cyclically repeats the processing of step SP322 and step SP323 until the negative result is obtained in step SP322 or until the positive result is obtained in step SP323. do. As a result, the plug-in 43 can check whether the MP3 file in the
스텝 SP324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RAM(23) 내의 MP3 파일에 있어서, 프레임 헤더의 검출 종료를 검지한 시점의 주사 위치부터, 후미측에 프레임 헤더와 함께 해당 MP3 파일의 종단(이하, 이것을 파일 종단이라고 부른다)을 검출하도록 주사한다. 이와 관련해서, 플러그 인(43)은, 파일 종단에 대해서는, MP3 파일의 후미에 부가되는 부가 데이터 FD2(도 9)를 발견하는 등으로 해서 검출한다. 그리고, 플러그 인(43)은, RAM(23) 내의 MP3 파일에 있어서, 파일 종단을 검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324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MP3 파일에 있어서 프레임 헤더의 검출 종료로부터 다시 프레임 헤더를 검출하지 않고 파일 종단을 검출한 것을 표시한다. 즉, 이러한 긍정 결과는, RAM(23) 에 일시 기록하는 MP3 파일에 대하여 선두로부터 후미까지의 사이의 중도 부분에, 도 10에 대해서 상기한 부정 데이터 ND1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25로 옮겨간다.In step SP324, the plug-in 43 starts the end of the MP3 file together with the frame header from the scanning position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end of detection of the frame header in the MP3 file in the RAM 23 (hereinafter, Scan to detect file termination). In this connection, the plug-in 43 detects the file end by finding additional data FD2 (Fig. 9) added to the rear of the MP3 file. The plug-in 43 the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le end is detected in the MP3 file in the
스텝 SP325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RAM(23) 내의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에 기억된 기억 위치 통지 정보에 근거하고, 해당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 때에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도록 구성되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325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RAM(23) 내의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에 해당 선두 프레임에 대하여 기억용으로 할당할 수 있었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가 그대로 기억되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26으로 옮겨간다. In step SP325, the plug-in 4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ead frame is configured to refer to a frame ahead in the reproduction process based on the storage pos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head frame of the MP3 file in the
스텝 SP326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RAM(23) 내의 MP3 파일의 후미 프레임에 기억된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후미 프레임의 프레임 사이즈가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플러그 인(43)은, 예를 들면 전술한 스텝 SP321 내지 스텝 SP324까지의 처리를 실행하면서, RAM(23) 내의 MP3 파일에 대한 물리적인 파일 사이즈를 실측하고 있다. 또, 플러그 인(43)은, 전술한 스텝 SP321과, 스텝 SP322 및 스텝 SP323의 순환적인 처리를 실행해서 프레임 헤더를 검출할 때마다, 이것들 프레임 헤더에 기억된 사이즈 정보가 나타내는 프레임 사이즈를 순차 가산함에 의해, MP3 파일의 논리적인 파일 사이즈를 산출하고 있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실제로는, 이것들 물리적인 파일 사이즈와, 논리적인 파일 사이즈를 비교하고(즉, MP3 파일에 대한 물리적인 파일 종단 위치와, 논리적인 파일 종단 위 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후미 프레임의 프레임 사이즈가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있다.In step SP326, the plug-in 4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rame size of the trailing frame is normal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stored in the trailing frame of the MP3 file in the
그리고, 이 스텝 SP326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RAM(23) 내의 MP3 파일에 대한 물리적인 파일 사이즈와 논리적인 파일 사이즈가 일치한 것으로써 후미 프레임에 기억된 프레임 사이즈(즉, 사이즈 정보)가 정상인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27로 옮겨진다. 이에 따라, 플러그 인(43)은,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를 종료한다. If a posi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this step SP326, this means that the physical file size and logical file size for the MP3 file in the
그런데, 스텝 SP326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RAM(23) 내의 MP3 파일에 대한 물리적인 파일 사이즈와 논리적인 파일 사이즈가 다른 것으로써, 후미 프레임에 기억된 프레임 사이즈가 부정인(즉, 실제로는 다르다) 것을 표시한다. 즉, 이러한 부정 결과는,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이, 그대로이면, 예를 들면 도 11의 (a) 내지 (c)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 재생 때에 후속의 다른 MP3 파일의 선두 부분도 맞춰서 재생 처리되는 것이고, 해당 후속의 다른 MP3 파일의 선두 부분이 재생 처리에 있어서 노이즈의 발생 원인이 되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다음 스텝 SP328로 옮겨간다. 그리고, 스텝 SP328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RAM(23) 내의 MP3 파일의 후미 프레임을 삭제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인(43)은, 이러한 MP3 파일이 연속 재생될 때, 후속의 다른 MP3 파일의 선두 부분도 맞춰서 재생 처리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하고, 스텝 SP327로 옮겨가서 이러한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을 종료한다. By the way, if a nega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step SP326, this means that the physical file size and logical file size for the MP3 file in the
또, 전술한 스텝 SP321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USB 기기(33)로부터, MP3 파일과는 다른, 예를 들면 부정하게 생성될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를 입력해서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었던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 스텝 SP329로 옮겨간다. 더욱이, 전술한 스텝 SP322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헤더 데이터가 MP3 포맷을 따르지 않고 생성되기 때문에, RAM(23) 내의 MP3 파일이 부정하게 생성된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도 스텝 SP329로 옮겨간다. In addition, if a nega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P321, this is temporarily recorded in the
더욱이, 전술한 스텝 SP324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MP3 파일에 있어서 파일 종단의 검출 전에 다시 프레임 헤더를 검출한 것을 나타낸다. 즉, 이러한 부정 결과는,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이 선두부터 후미까지의 사이의 중도 부분에, 도 10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부정 데이터 ND1이 포함하는 부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도 스텝 SP329로 옮겨간다. 또한, 전술한 스텝 SP325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것은 RAM(23) 내의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에 대하여, 해당 선두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었던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가 전혀 기억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밖에 기억되지 않는 것을 표시한다. 즉, 이러한 긍정 결과는,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이, 도 8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 편집됨으로써 연속 재생할 때에 선두 프레임이 이것보다도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때도 스텝 SP329로 옮겨간다. Furthermore, if a negative result can be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P324, this indicates that the frame header is detected again before the detection of the end of the file in the MP3 file. In other words, this neg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MP3 fil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그리고, 스텝 SP329에 있어서 플러그 인(43)은,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을 검사하기 위한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중단해서, 스텝 SP327로 옮겨 지고, 이러한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를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플러그 인(43)은, 이러한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를 종료하면, 전술한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에 있어서의 자기의 처리 순서 RT3의 스텝 SP33으로 옮겨간다. 그런데 플러그 인(43)은,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를, 스텝 SP326 및 스텝 SP328의 처리를 실행한 후에 종료할 때는,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이, 뒤에 연속 재생될 때, 노이즈의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등의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와 같은 때는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에 있어서의 자기의 처리 순서 RT3의 스텝 SP33에 있어서,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대해 기록가능하다고 판별한다.In step SP329, the plug-in 43 stops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for checking the MP3 fil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이에 대하여, 플러그 인(43)은, 파일 검사 처리 순서 RT4을, 스텝 SP329의 처리를 실행한 후에 종료하고 있을 때는,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이, 뒤에 연속 재생이나 단독 재생될 때, 노이즈의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등의 특별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재생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플러그 인(43)은, 이러한 때는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에 있어서의 자기의 처리 순서 RT3의 스텝 SP33에 있어서,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있는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대하여 기록 불가로 판별한다. In contrast, when the plug-in 43 finishes the file check processing procedure RT4 after executing the process of step SP329, the MP3 fil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이렇게 해서, 플러그 인(43)은, USB 기기(33)로부터 1트랙의 MP3 파일을 판독하도록 해서 RAM(23)에 일시 기록할 때마다, 그 MP3 파일을, 뒤에 연속 재생이나 단독 재생이 요구되었을 때에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재생 처리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사하고 있다. 그리고, 플러그 인(43)은, 그 검사 결과에 따라, 뒤에 연속 재생이나 단독 재생이 요구되었을 때에, 재생 처리 이외에 특별한 처리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 시점에서 제외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대하여 기록하지 않음으로써 재생 처리시의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하고 있다.In this way, each time the plug-in 43 reads one track of MP3 files from the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CPU(20)는, USB 기기(33)로부터 MP3 파일을 판독해서 입력했을 때, 그 MP3 파일을 RAM(23)에 일시 기록한다. 이 상태에서 CPU(20)는, 우선 이러한 MP3 파일이 MP3 포맷에 따라서 정당하게 생성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그 결과, CPU(20)는, 이러한 MP3 파일이 MP3 포맷에 따라서 정당하게 생성된 것을 검출하면, 해당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 때에 전방의 파일을 참조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그리고, CPU(20)는, 그 MP3 파일의 선두 파일이 전방의 파일을 참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해당 MP3 파일에 대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로의 기록을 금지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또, CPU(20)는,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파일을 참조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있을 때, 해당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다. 다만, CPU(20)는, 이러한 MP3 파일의 후미 프레임의 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가 해당 후미 프레임에 기억된 사이즈 정보가 나타내는 프레임 사이즈(즉, 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와 다를 때, 이러한 MP3 파일을 그 후미 프레임을 삭제한 형태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다. In addition, when the head frame of the MP3 file is not configured to refer to the front file, the
즉,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USB 기기(33)로부터 판독한 MP3 파일 이 MP3 포맷에 따라서 정당하게 생성되어 있어도,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 때에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 그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것에서는, 뒤의 연속 재생에 있어서 다른 MP3 파일에 계속해서 해당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을 재생 처리할 때, 해당하는 그 밖의 MP3 파일의 프레임을 참조해서, 전혀 관련이 없는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또는 세분화 음악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분할 부호화 음악 데이터 또는 세분화 음악 데이터가 노이즈의 발생 원인이 된다. That is, in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이 때문에,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이렇게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 때에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도록 구성된 MP3 파일에 대해서는, USB 기기(33)로부터 판독해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는 기록하지 않고,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 시에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버(26)에 기록한다. 즉,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할 때, 뒤의 연속 재생에서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MP3 파일을 기록한다. For this reason, the content recording / reproducing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USB 기기(33)로부터, 이것에 기억된 MP3 파일을 판독해서 RAM(23)에 일시 기록하고, 그 상태에서 해당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 때에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서, RAM(23)에 일시 기록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할 때, 뒤에 연속 재생이 요구될 때에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MP3 파일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MP3 파일의 연속 재생시에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content recording / reproducing
그런데,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가령 후미 프레임의 프레임 사이즈가 부정한 MP3 파일을 그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것에서는, 뒤에 해당 MP3 파일을 다른 MP3 파일과 함께 연속 재생할 때, 그 부정한 프레임 사이즈에 따라서, 해당 MP3 파일의 후미 프레임을, 이것에 계속되는 그 밖의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의 일부와 함께 재생 처리하는 것으로 되고, 해당 일부가 노이즈의 발생 원인이 된다. 이를 위해,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MP3 파일의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 때에 전방의 파일을 참조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있지만, 후미 프레임의 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가 해당 후미 프레임에 기억된 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와 다른 때, 이러한 MP3 파일을 그 후미 프레임을 삭제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했다. 따라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MP3 파일을 뒤에 연속 재생할 경우, 해당 MP3 파일의 후미 프레임 부분을 재생 처리할 때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MP3 파일을 기타의 MP3 파일과 함께 연속 재생할 때, 이러한 MP3 파일에 대하여, 후미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재생 처리하기 위한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MP3 파일에 대한 연속 재생시에 재생 처리의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By the way, in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또,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USB 기기(33)로부터 판독한 MP3 파일에 있어서, 그 선두로부터 프레임 헤더를 연속적으로 순차 검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해당 프레임 헤더의 검출이 도중에 끊어짐으로써 프레임 헤더의 검출 종료를 검지해도, 사이를 두어서 다시 프레임 헤더를 검출했을 때는, 이러한 MP3 파일을 부정 데이터 ND1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는 기록하지 않도록 했다. 즉,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USB 기기(33)로부터 판독한 MP3 파일의 중도 부분에 부정 데이터 ND1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러한 MP3 파일을 그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한 것에서는, 뒤의 재생에 있어서 해당 MP3 파일을 이것에 포함되는 부정 데이터 ND1에 의해 적확하게 재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가령 이러한 부정 데이터 ND1이 포함되는 MP3 파일을 재생할 때는, 예를 들면 그 부정 데이터 ND1을 찾아내서 제거하도록 하는 처리가 필요로 된다. 그렇지만,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이러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는 기록하지 않음으로써, 뒤의 재생 때에, 부정 데이터 ND1을 찾아내서 제거하는 것 같은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는, MP3 파일에 대한 재생 처리의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In the MP3 file read from the
(3) 그 밖의 실시형태(3) Other Embodiments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있어서 USB 기기(33)로부터 MP3 파일을 판독해서 기록할 때에, 해당 MP3 파일을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에 따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있어서, CD 등의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한 MP3 파일이나, 네트워크상의 공유 서버에 기록되는 MP3 파일, 네트워크상의 콘텐츠 분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MP3 파일 등과 같이, 이 밖에 다양한 제공원으로부터 판독가능한 MP3 파일을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에 따라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관련해서,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외부에서 입력한 MP3 파일의 선두 및 후미에 부가 데이터 FD1 및 FD2이 부가되어 있을 때는, 이러한 MP3 파일로부터 그 부가 데이터 FD1 및 FD2를 제거한 다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MP3 file is read and recorded from the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있어서, 선두 프레임이 재생 처리시에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도록 구성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는 기록하지 않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러한 MP3 파일에 관해서는 연속 재생할 때에만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해당 MP3 파일을 연속 재생할 때만 재생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나타내는 연속 재생 대상 제외 정보를 부가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고, 단독 재생은 허가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MP3 파일의 연속 재생시에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후미 프레임의 프레임 사이즈가 부정한 MP3 파일에 관해서도, 이러한 MP3 파일에 관해서는 연속 재생할 때만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해당 MP3 파일을 그 후미 프레임을 제거하지 않고 연속 재생 대상 제외 정보를 부가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고, 단독 재생이 허가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있어서, MP3 파일의 후미 프레임의 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가 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보다도 길 때, 이러한 후미 프레임을 제외해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MP3 파일의 후미 프레임 사이즈가 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보다도 짧을 때, 이러한 후미 프레임을 제외해서 또는 해당 후미 프레임의 후미 부분을 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에 물리적인 프레임 사이즈를 합치도록 잘라 버려서 MP3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Furthermore,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 및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컴퓨터나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게임 기기 등의 정보처리장치,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더나 하드디스크 레코더 등의 기록 재생 장치 등과 같은 그 밖의 각종 구성의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유저 인터페이스(40), 미들웨어(41) 및 플러그 인(43)에 적용하고, CPU(20)가 그 유저 인터페이스(40), 미들웨어(41) 및 플러그 인(43)에 따라서, 도 12, 도 13, 도 14,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밖의 각종 구성의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이 기억된 프로그램 기억 매체를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인스톨 함에 의해 파일 입력 기록 처리 순서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ata record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오디오 데이터 및 MP3 파일을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이면, 그 밖의 각종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audio data and the MP3 fil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are applied as the audio dat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has an audio having a frame structure. If it is data, audio data of other various formats can be applied.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매체로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외부 기억 매체(102)나,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외부 기기(15), USB 기기(33)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면,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로 재생가능한 CD-RAM과 같은 외부 기록 매체(13)나, 네트워크상의 서버 등과 같이, 그 밖에 다양한 외부 기억 매체를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an external storage medium for storing audio data, the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일시 기억 매체로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일시 기억 매체(103)나,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일시 기억부(4) 및 RAM(23)을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 매체 등과 같이, 그 밖에 다양한 일시 기억 매체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 입력 요구에 따라,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해서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제1기록부로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제1기록부(101)나,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제어부(2) 및 CPU(20)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 입력 요구에 따라,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해서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기록 회로 등과 같이, 그 밖에 다양한 제1기록부를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as the first recording unit for reading audio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medium and recording the temporary data in accordance with the audio data input request. Although a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기록부에 의해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검출부로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검출부(104)나,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제어부(2) 및 CPU(20)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기록부에 의해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검출 회로 등과 같이, 그 밖에 다양한 검출부를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tection unit detects whether or not the head frame of the audio data recorded o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by the first recording unit refers to the frame ahead. Although the case where the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제2기록부로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제2기록부(105)나,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내장 기록 매체 구동부(7) 및 CPU(20)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 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기록 회로 등과 같이, 그 밖의 다양한 제2기록부를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ata record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is a second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udio data recorded o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in the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In the case where the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억 매체로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기억 매체(106)나,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의 내장 기록 매체(8)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6)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 기록 재생 장치(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전되는 기억 매체 등과 같이, 그 밖에 다양한 기억 매체를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a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audio data record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데이터 입력 요구에 따라,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하고, 이러한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한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전방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 결과에 따라, 일시 기억 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하도록 한 것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록할 때, 뒤의 연속 재생에서 아무런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 재생시에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실 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n audio data input request, audio data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is read out, the read audio data is recorded in a temporary storage medium, and the head frame of the audio data record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is recorded. When the audio data is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by detecting whether the front frame is referenced or not, and recording the audio data recorded on the temporary storage medium on the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udio data that can be reproduced as is without performing any special processing in reproduction, thereby avoiding an increase in processing load during continuous reproduction of audio data. And data recording program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6043A KR20070030673A (en) | 2005-09-13 | 2006-09-07 |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progr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66103 | 2005-09-13 | ||
KR1020060086043A KR20070030673A (en) | 2005-09-13 | 2006-09-07 |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progr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0673A true KR20070030673A (en) | 2007-03-16 |
Family
ID=4365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6043A KR20070030673A (en) | 2005-09-13 | 2006-09-07 |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progr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30673A (en) |
-
2006
- 2006-09-07 KR KR1020060086043A patent/KR2007003067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58514B1 (en) | Recorder for recording copy of production on the basis of copy attribute embedded as electronic watermark in the production, reproducing device for reproducing recorded copy, recorded medium,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ing method | |
US703929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ufacturer information an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anufacturer information is effective | |
RU2189643C2 (en) |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bearing data (versions) | |
CN1808609B (en) | Method and devic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sample data to/from a recording medium | |
KR100275870B1 (en) | Disks with copy restrictions and copy restrictions | |
JP4431110B2 (en) | Recording / reproducing system,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 |
KR20070030673A (en) |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program | |
JP2007080368A (en) |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program | |
CN1910688B (en) |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 |
JP2005072799A (en) |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 |
KR100611828B1 (en) |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JP4028246B2 (en) | Information recording and edi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 |
WO2002058066A1 (en) |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recording medium | |
US7643389B2 (en) | File-based recordable disc playback apparatus and file-based recordable disc playback method | |
JP3311143B2 (en) | Multimedia program storage and playback system | |
JP2005353136A (en) | Video/audio data recording method, device, program and medium | |
JP4391329B2 (en) | Recording control apparatus, recording control metho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recording control program | |
JP2006195632A (en) | Record reproduction device, management inform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 |
JP2007164933A (en) | Reproducing apparatus, disk drive, and reproducing method | |
JP2007080369A (en) | Optical disk discriminating method, optical disk discriminating program, and optical disk device | |
JP2007317299A (en) |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 |
US20060083137A1 (en) | Data recording method and system | |
JPH09128155A (en) | File managing method and disk typ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JP2000195228A (en) | Editing device,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ith video signal recorded therein | |
JP2000113604A (en) | Data record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