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771A -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28771A KR20070028771A KR1020050083098A KR20050083098A KR20070028771A KR 20070028771 A KR20070028771 A KR 20070028771A KR 1020050083098 A KR1020050083098 A KR 1020050083098A KR 20050083098 A KR20050083098 A KR 20050083098A KR 20070028771 A KR20070028771 A KR 200700287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shutter
- cartridge
- rotating shutter
- ton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는, 프레임; 프레임의 토너저장실 일측에 배치되고,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주입구와 연통하는 토너공급구를 구비한 토너공급부; 토너공급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토너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토너배출구보다 큰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회전셔터; 회전셔터에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셔터를 회전구동시키는 핸들; 회전셔터 내경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너공급롤러; 회전셔터의 외주면에 부착된 실링부재; 및 회전셔터의 일측단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막;을 포함한다.
화상형성, 토너, 카트리지, 회전셔터, 실링부재, 차단막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셔터형 토너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의 회전셔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형 토너 카트리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형 토너 카트리지의 회전셔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토너 카트리지의 회전셔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토너 카트리지 33 : 토너공급부
100 : 회전셔터 101 : 토너배출구
105 : 토너공급롤러 110 : 핸들
111 : 샤프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측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조작에 의해 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회전셔터를 구비한 셔터형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워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매체, 대전유닛, 현상유닛 및 클리닝유닛 등이 일체로 구비된 현상 및 토너 카트리지 조립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숙련된 수리공 없이도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어 그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카트리지 및 이 현상 카트리지 측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토너 카트리지는 현상 카트리지 또는 현상 카트리지에 근접한 곳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매체,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감광매체 상에 부착하여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 감광매체의 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 및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을 수용 및 지지하며 토너 유입구 및 폐토너 배출구를 가진 카트리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는 보틀형(bottle type)과, 셔터형(shutter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틀형 토너 카트리지는 외주면에 나선형 골이 형성된 토너 보틀(toner bottle)이 구동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함에 따라 나선형 공을 따라 토너를 이송하여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술한 보틀형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보틀이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그 회전구동시에 소음발생이 극심하고, 토너 보틀 교체시에 그 밀봉(sealing)이 곤란하여 토너가 누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셔터형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의 주입구 측에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셔터가 설치되고, 이 셔터의 회전작동에 의해 토너 주입구가 개폐됨에 따라 토너를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셔터형 토너 카트리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토너저장실(42) 및 폐토너저장실(43)이 격벽(41)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44) 및 이 프레임(44)을 덮는 커버(47)로 이루어진다. 프레임(44)의 토너저장실(42)의 전방에는 현상 카트르지의 토너 유입구와 연통하는 토너공급부(45)가 구비되고, 토너저장실(42) 내에는 토너를 교반함과 더불어 토너공급부(45) 측으로 토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교반기(46)가 설치된다.
또한, 토너공급부(45)는 그 하부면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라지(20)의 토너주입구(21)와 연통하는 토너공급구(45a)가 형성되어 있 다.
한편, 토너공급부(45)의 내부에는 일측에 토너배출구(71)가 형성된 회전셔터(70), 이 회전셔터(70)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샤프트(72a)를 통해 연결된 핸들(76), 및 회전셔터(7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너공급롤러(75)가 설치된다.
회전셔터(70)는 일측에 토너배출구(71)를 구비하고, 그 타측에는 토너배출구(71)보다 큰 개구(72)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핸들(76)을 돌리게 되면 샤프트(72a)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셔터(7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셔터(70)의 회전작동에 의해 그 토너배출구(71)가 토너공급부(45)의 토너공급구(45a)와 일치하게 되면 토너저장실(42) 내의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토너공급롤러(75)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하고, 이러한 토너공급롤러(75)의 회전구동에 의해 토너는 토너배출구(71)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회전셔터(70)의 토너배출구(71)를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는 발포폼, 우레탄, 스펀지 등과 같은 탄력성 및 복원성이 뛰어난 재질의 실링부재(73, sealing member)가 부착된다. 이러한 실링부재(73)는 회전셔터(70)가 그 회전작동에 의해 토너공급부(45)의 토너공급구(45a)를 폐쇄하게 되는 경우에, 이 실링부재(73)의 탄력성에 의해 토너공급구(45a)를 밀봉하여 토너가 프레임(44) 외부로 누설됨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회전셔터형 토너 카트리지는 회전셔터(70)에 의해 토 너공급구(45a)가 폐쇄된 상태에서 실링부재(73)를 통해 토너가 유출됨을 일부 차단할 수는 있지만,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또는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는 그 분리작업시의 충격력 및 중력 등에 의해 토너가 부분적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었다.
즉, 실링부재(73)는 우레탄, 발포폼 등과 같은 그 재질 특성상 토너의 일부가 스며들면서 잔류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토너 카트리지의 분리시에 그 충격력 및 중력 등에 의해 그 잔류 토너가 누출될 수 있고, 이러한 토너의 누출로 인해 현상 카트리지 및 그외 화상형성장치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토너 카트리지 분리시에 토너가 외부로 누출됨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토너저장실을 구비한 프레임;
프레임의 토너저장실 일측에 배치되고,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주입구와 연통하는 토너공급구를 구비한 토너공급부;
토너공급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토너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토너배출구보다 큰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회전셔터;
회전셔터에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셔터를 회전구동시키는 핸들;
회전셔터 내경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너공급롤러;
회전셔터의 외주면에 부착된 실링부재; 및
회전셔터의 일측단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막은 한 쌍으로 회전셔터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단막은 그 일측단부가 회전셔터의 일측단부에 부착되고, 그 타측단부는 자유로운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링부재 및 차단막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너 카트리지(30)는 그 내부에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저장실(31a) 및 현상 카트리지로부터 회수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실(31b)이 격벽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31) 및 이 프레임(31)을 덮는 커버(32)를 포함한다.
토너저장실(31a)의 전방에는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유입구와 연통하는 토너 공급부(33)가 구비되고, 토너저장실(31a) 내에는 토너를 교반함과 더불어 토너공급부(33) 측으로 토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교반기(38)가 설치된다.
또한, 토너공급부(33)의 하부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0)의 토너유입구(21)와 연통하는 토너공급구(33a)가 구비된다.
한편, 토너공급부(33)의 내부에는 일측에 토너배출구(101)가 형성된 회전셔터(100), 이 회전셔터(100)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샤프트(111)를 통해 연결된 핸들(110), 및 회전셔터(100)의 내경면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너공급롤러(105)가 설치된다.
회전셔터(100)는 일측에 토너배출구(101)를 구비하고, 그 타측에는 토너배출구(101)보다 큰 개구(102)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핸들(110)을 돌리게 되면 샤프트(111)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셔터(100)도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셔터(100)의 회전작동에 의해 그 토너배출구(101)가 토너공급부(33)의 토너공급구(33a)와 일치하게 되면 토너저장실(31a) 내의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토너공급롤러(105)는 구동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하고, 이러한 토너공급롤러(105)의 회전구동에 의해 토너는 토너배출구(101)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회전셔터(100)의 토너배출구(101)를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는 발포폼, 우레탄, 스펀지 등과 같은 탄력성 및 복원성이 뛰어난 재질 또는 그외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재(103, sealing member)가 부착된다.
이러한 실링부재(103)는 회전셔터(100)가 그 회전작동에 의해 토너공급부(33)의 토너공급구(33a)를 폐쇄하게 되는 경우, 토너가 프레임(31)의 외부로 누설됨을 차단하는 것과 같은 밀봉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셔터(100)의 일측단부 또는 양단부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막(120)이 부착되고, 이 차단막(120)은 필름 형태이다.
이러한 차단막(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121)가 회전셔터(100)의 일측단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그 하단부(122)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0)를 돌려 회전셔터(100)의 토너배출구(101)가 토너공급부(33)의 토너공급구(33a)와 연통하게 되면, 토너저장실(31a) 내에 저장된 토너는 교반기(38) 및 토너공급롤러(105)의 회전구동에 의해 이송되어 회전셔터(100)의 토너배출구(101) 및 현상 카트리지(20)의 토너유입구(21)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20) 내로 공급된다.
다음, 핸들(110)을 역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셔터(100)는 토너공급부(33) 내에서 회전하여, 그 토너배출구(101)가 토너공급부(33)의 토너공급구(33a)와 연통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토너저장실(31a) 내의 토너가 더 이상 현상 카트리지(20)의 토너유입구(21)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때, 회전셔터(100)의 일측단에 부착된 차단막(120)은 회전셔터(100)와 일체로 회전구동함에 따라, 차단막(120)의 하부면이 토너공급부(33)의 토너공급구(33a)를 2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토너공급부(33)의 토너공급구(33a)가 회전셔터(100)의 실링부재(103)에 의해 1차적으로 폐쇄된 후에, 차단막(120)에 의해 다시 2차적으로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카트리지(30)를 현상 카트리지(20)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토너공급부(33)의 토너공급구(33a)에 잔류하는 토너가 외부로 누설됨이 완벽하게 차단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토너 카트리지 분리시에 토너가 외부로 누출됨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 내부에 토너저장실을 구비한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토너저장실 일측에 배치되고,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주입구와 연통하는 토너공급구를 구비한 토너공급부;상기 토너공급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토너배출구가 형성 되며, 타측에는 토너배출구보다 큰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회전셔터;상기 회전셔터에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셔터를 회전구동시키는 핸들;상기 회전셔터 내경면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너공급롤러;상기 회전셔터의 외주면에 부착된 실링부재; 및상기 회전셔터의 일측단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한 쌍으로 회전셔터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차단막은 그 일측단부가 회전셔터의 일측단부에 부착되고, 그 타측단부는 자유로운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및 차단막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3098A KR20070028771A (ko) | 2005-09-07 | 2005-09-07 |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3098A KR20070028771A (ko) | 2005-09-07 | 2005-09-07 |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8771A true KR20070028771A (ko) | 2007-03-13 |
Family
ID=3810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3098A Withdrawn KR20070028771A (ko) | 2005-09-07 | 2005-09-07 |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2877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67832A (ja) * | 2015-09-28 | 2017-04-0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着脱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11927898B2 (en) | 2020-09-23 | 2024-03-1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to seal shutter for developer inlet of developer supply portion |
-
2005
- 2005-09-07 KR KR1020050083098A patent/KR20070028771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67832A (ja) * | 2015-09-28 | 2017-04-0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着脱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11927898B2 (en) | 2020-09-23 | 2024-03-1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to seal shutter for developer inlet of developer supply por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20723B2 (ja) | トナー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複写機 | |
US7486910B2 (en) | Cartridge detachably mount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lock member engagable with a wall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01211146B (zh) | 显影剂存储容器、显影剂存储容器的装配方法及再生方法 | |
JPH10213959A (ja) |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5995788A (en) | Refill cartridge for printer and ink refill apparatus adopting the same | |
CN106597821B (zh) | 供给装置,清洁装置,显影装置,处理盒和成像设备 | |
JP4672889B2 (ja) | トナー補給装置 | |
JP3907300B2 (ja) | 現像装置 | |
KR20070028771A (ko) |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 |
JP3245481B2 (ja) | 現像器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 | |
JP4758036B2 (ja) | トナー補給装置 | |
JP7583992B2 (ja) | トナー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シャッタユニット | |
JP3116847B2 (ja) | トナー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複写機 | |
JPH0990730A (ja) | トナー供給装置 | |
JP3786655B2 (ja) | トナー補給容器 | |
JP7075035B2 (ja) | トナー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JP3435153B2 (ja) | 現像器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 | |
JP2001142288A (ja) | 現像剤補給装置 | |
JP3586755B2 (ja) |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JP3125673B2 (ja) |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複写装置 | |
JPH09106159A (ja) |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 |
JPH0412522Y2 (ko) | ||
KR100546833B1 (ko) | 레이저 프린터용 토너호퍼 및 그 제어방법 | |
JP6907665B2 (ja) |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装置 | |
JPH0736269A (ja) | トナー補給タン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