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28040A -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040A
KR20070028040A KR1020050083179A KR20050083179A KR20070028040A KR 20070028040 A KR20070028040 A KR 20070028040A KR 1020050083179 A KR1020050083179 A KR 1020050083179A KR 20050083179 A KR20050083179 A KR 20050083179A KR 20070028040 A KR20070028040 A KR 2007002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ading
reading frame
unit
image
trans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461B1 (ko
Inventor
김중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4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4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91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effects of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5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a scanning element or carriage, e.g. of a polygonal mirror, of a driv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독취장치는 화상독취하우징; 화상독취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원고의 화상을 독취를 위한 광학부품이 내장된 화상독취프레임; 화상독취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화상독취프레임의 이송동작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유닛; 및 이송가이드유닛 및 화상독취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화상독취프레임이 이송되는 동안 구동유닛 또는 이송가이드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화상독취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차단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플랫배드스캐닝방식의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차단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화살표(Ⅳ)를 따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진동차단유닛을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차단유닛의 구성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접속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차단유닛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화상독취장치 101 : 화상독취하우징
130 : 화상독취유닛 150 : 구동유닛
170 : 이송가이드유닛 171 : 이송부재
173 : 슬라이더 200 : 진동차단유닛
211 : 탄성체 213,215 : 접속플레이트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독취유닛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디지털 복사기를 구성하는 원고독취장치는 화상독취유닛을 이동시키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플랫배드스캐닝방식과, 화상독취센서를 고정된 위치로 하여 원고를 이송시키면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ADF스캐닝방식을 취하는 것이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화상독취장치는 투명유리를 통하여 원고 면에 빛을 조사하여 원고 면에 기록된 데이터의 신호를 케이스 내에 설치된 반사경에서 받아 케이스 내에서 소정의 반사경로로 반사시키고, 집광 렌즈에 통과시켜 최종적으로 CCD(Charged Couple Devic) 센서면에 결상되도록 하여 상의 명암에 따라 CCD 광전변환 소자의 각 셀에서 발생하는 차동전압신호를 적절히 처리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플랫배드스캐닝방식의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독취하우징(1)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독취프레임(3)이 도시된다. 화상독취프레임(3)의 내부에는 화상 독취를 위한 광학부품(예컨대, 광원(3a) CCD(3b) 및 반사경, 집광렌즈 등)이 내장된다. 화상독취프레임(3)은 구동유닛(5)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안착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이를 위하여 화상독취프레임(3)에는 이송가이드유닛(10)이 마련된다.
이송가이드유닛(10)은 화상독취프레임(3)의 일측부에 설치된 이송부재(11)와, 화상독취프레임(3)의 타측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13)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15)를 포함한다. 이송부재(11)는 가이드바(17)의 외부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도록 관통홀(11a)이 마련된 파이프 형태를 이룬다, 또한, 슬라이더(15)는 베이스(1)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3)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15a)와, 롤러(15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5b)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상독취장치는 화상독취프레임(3)이 움직일 때 이송 부재(11) 및 슬라이더(15)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 진동이 화상독취프레임(3) 내부에 내장된 광학부품에 전달되어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독취장치를 이루는 화상독취프레임이 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화상독취하우징; 상기 화상독취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원고의 화상을 독취를 위한 광학부품이 내장된 화상독취프레임;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이송동작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유닛; 및 상기 이송가이드유닛 및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구동유닛 또는 상기 이송가이드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차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진동차단유닛은 상기 화상독취프레임 및 상기 이송가이드 유닛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가이드유닛은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이송부재 및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차단유닛은 상기 탄성체를 상기 화상독취프레임과 상기 이송부재 및 슬라이더에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플레이트의 강성은 상기 탄성체의 강성의 2배 이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독취프레임과 상기 이송부재 및 슬라이더이 사이에 개재된 상기 탄성체들의 탄성 계수 K1,K2는 공식; f=
Figure 112005050037611-PAT00001
Keq/M ÷(2×Π) , 1/Keq = 1/K1 +1/ K2 , , f =F/1.414,( 여기서, f= 화상독취장치의 고유진동수, F :외부주파수, M= 화상형성유닛+ 이송부재 + 슬라이더의 질량) 에 의해 구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독취장치(100)는 화상독취하우징(101), 화상독취유닛(130), 구동유닛(150), 이송가이드유닛(170), 및 진동차단유닛(200)을 포함한다.
화상독취유닛(130)은 화상독취프레임(131)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광학부품들이 내장된다. 광학부품은 화상독취프레임(131)의 내부에 설치되며 광을 조사하는 광원(133),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화상독취프레임(131)의 상부에 안착된 원고(미도시)측으로 반사시키는 광원반사체(135)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원고에 부딪혀 반사되어 나오는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경(137), 반사경(137)을 통해 입사된 광을 일정한 크기로 집결시키는 집광 렌즈(138), 집광 렌즈(138)로부터 입사된 광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CCD센서(139)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133), 광원 반사체(135), 반사경(137), 집광 렌즈(138) 및 CCD 센서(139)를 내장한 화상독취프레임(131)은 화상독취하우징(1)의 내부에서 원고의 부주사방향(1라인분의 화상이 형성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된다.
여기서, 화상독취프레임(131)의 직선 왕복이동을 위하여 화상독취하우징(101)의 일측에는 구동유닛(150)이 마련되고, 화상독취프레임(131)의 양측에는 구동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화상독취프레임(131)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 유닛(170)이 추가로 마련된다.
이송가이드유닛(170)은 화상독취프레임(131)의 일측에 마련된 이송부재(171) 및 화상독취프레임(131)의 타측에 마련된 슬라이더(173)를 포함한다. 이송부재(171)는 가이드바(103)의 외부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도록 관통홀(171a)이 마련된 파이프 형태를 이룬다, 또한, 슬라이더(173)는 화상독취하우징(101)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05)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173a)와, 롤러(173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73b)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차단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화살표(Ⅳ)를 따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진동차단유닛을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3 ~ 도 5를 참조하면, 화상독취프레임(131) 및 이송가이드유닛(170: 이송부재(171) 및 슬라이더(173))의 사이에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진동차단유닛(200)이 개재된다. 이송가이드유닛(170)을 통해 화상독취프레임(131)이 직선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은 화상독취유닛(130)으로 전달되어 화상독취 동작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차단유닛(200)을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차단유닛의 구성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접속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진동차단유닛(200)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체(211)를 포함하며, 탄성체(211)를 화상독취프레임(130) 및 이송가이드유닛(170 : 이송부재(171) 및 슬라이더(173))에 접속하는 제 1,2접속플레이트(213,215)로 구성 된다. 탄성체(211)는 본딩 또는 압입에 의해 제1,2접속플레이트(213,215)와 결합된다. 여기서, 만일 탄성체(211) 및 제 1,2접속플레이트(213,215)의 접속을 위하여 예컨대, 체결나사와 같은 체결부품을 탄성체(211)를 통해 관통시킬 경우 그 진동 저감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딩 또는 압입에 의해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탄성체(211)는 고무 또는 스프링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제1,2접속플레이트(213,215)는 금속성 재질 또는 사출물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2접속플레이트(213,215)의 강성은 탄성체(211)에 비하여 2배 이상으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으로 함이 안정적이다.
제 1 접속플레이트(213)에는 화상독취프레임(131)과 체결나사(미도시)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홀(213a)이 형성되고, 제 2 접속플레이트(215)에는 이송가이드유닛(170)인 슬라이더(173) 또는 이송부재(171)와 체결되는 체결홀(215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1 접속플레이트(213)에는, 제 1 접속플레이트(213)를 화상독취프레임(131)에 제 1 접속플레이트(213)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송부재(171) 및 슬라이더(173)를 제 2 접속플레이트(215)에 결합시킬 때 체결도구 예컨대, 드라이버의 팁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213b)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차단유닛(200)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형성유닛(130)의 이송 동작에 따라 외부주파수(F)를 갖는 진동이 가해지면 탄성계수K1,K2를 갖는 탄성체(211)에 의해 진동이 감소되어 화상형성유닛(130) 에 전달되는 진동은 줄어든다.
탄성계수K1,K2 (K1 : 화상독취유닛(130) 및 슬라이더(173))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의 탄성계수, K2 : 화상독취유닛(130) 및 이송부재(171)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의 탄성계수)는 다음의 공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Target frequency(화상독취장치의 고유진동수) f=F(외부주파수)/1.414
f=
Figure 112005050037611-PAT00002
Keq/M ÷(2×Π) : (M은 화상형성유닛(130)+ 이송부재(171) + 슬라이더(173)의 질량)
1/Keq = 1/K1 +1/ K2
여기서,K1 ,K2는 3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2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원리를 적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독취장치는 평판 복합기, 복사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독취장치에 의하면, 화상독취프레임이 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구동유닛 또는 이송가이드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화상독취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상 독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화상독취하우징;
    상기 화상독취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원고의 화상을 독취를 위한 광학부품이 내장된 화상독취프레임;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이송동작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유닛; 및
    상기 이송가이드유닛 및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구동유닛 또는 상기 이송가이드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차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차단유닛은 상기 화상독취프레임 및 상기 이송가이드 유닛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유닛은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일측에 설 치된 이송부재 및 상기 화상독취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차단유닛은 상기 탄성체를 상기 화상독취프레임과 상기 이송부재 및 슬라이더에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플레이트의 강성은 상기 탄성체의 강성의 2배 이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프레임과 상기 이송부재 및 슬라이더이 사이에 개재된 상기 탄성체들의 탄성 계수 K1,K2는 공식; f=
    Figure 112005050037611-PAT00003
    Keq/M ÷(2×Π) , 1/Keq = 1/K1 +1/ K2 , , f =F/1.414,{여기서, f= 화상독취장치의 고유진동수, F :외부주파수, M= (화상형성유닛+ 이송부재 + 슬라이더)의 질량} 에 의해 구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20050083179A 2005-09-07 2005-09-07 화상독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70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179A KR101170461B1 (ko) 2005-09-07 2005-09-07 화상독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179A KR101170461B1 (ko) 2005-09-07 2005-09-07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040A true KR20070028040A (ko) 2007-03-12
KR101170461B1 KR101170461B1 (ko) 2012-08-07

Family

ID=3810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1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0461B1 (ko) 2005-09-07 2005-09-07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4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840B2 (ja) * 1997-02-27 2004-09-29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461B1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279B2 (en) Image reading devices
US9059367B2 (en) Image sensor unit,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JP4962003B2 (ja) 画像読取装置
JP5812636B2 (ja) スキャナ装置
KR20080037648A (ko) 이미지 센서, 화상판독장치 및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CN1178454C (zh) 图像读出装置
JP2005223424A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の実装方法
CN202663472U (zh) 图像读取设备
US8223409B2 (en) Optical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adjusting method for optical device
KR101170461B1 (ko) 화상독취장치
WO20000047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a document in focus during noncontact scanning
JPH11289430A (ja) 画像読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43428B2 (en) Image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027863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7344075B2 (en) Scanning apparatus and guiding mechanism thereof
JPH05122451A (ja) イメージスキヤナ
JP4454768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32749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5017695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5084110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1083626A (ja) 画像入力装置
CN201528375U (zh) 光机传动机构
JPH062751A (ja) 移動機構およびその防振部材
JP2005331533A (ja) 画像読取装置
JPH114327A (ja) 撮像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9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