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27034A -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034A
KR20070027034A KR1020050079375A KR20050079375A KR20070027034A KR 20070027034 A KR20070027034 A KR 20070027034A KR 1020050079375 A KR1020050079375 A KR 1020050079375A KR 20050079375 A KR20050079375 A KR 20050079375A KR 20070027034 A KR20070027034 A KR 20070027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housing
body housing
main bod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304B1 (ko
Inventor
김종양
정수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04B1/ko
Priority to BRPI0604712-2A priority patent/BRPI0604712A/pt
Priority to DE602006019526T priority patent/DE602006019526D1/de
Priority to EP06017974A priority patent/EP1760996B1/en
Priority to CNA2006101286209A priority patent/CN1925508A/zh
Priority to CN201310155946.0A priority patent/CN103237103B/zh
Priority to US11/511,359 priority patent/US7747298B2/en
Publication of KR2007002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타입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슬라이딩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 슬라이딩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그 내측에 내장되는 슬라이딩 이동 부재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이드 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들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와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다단 이동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시 클릭감을 주여 이동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단말기의 본체를 기준으로 상, 하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단말기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슬라이딩 모듈, 베이스 부재, 슬라이딩 부재, 가이드 부재, 다단 이동 부재.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SLIDING DEVICE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작동 전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작동 후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메인 플레이트,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구동스프링을 나타낸 정면도,
도 4은 도 2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메인 플레이트,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하우징을 다단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하우징을 종료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하우징을 본체 하우징의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하우징을 본체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딩 Phone), 엠피쓰리 폰, 게임 폰, 카메라 폰, 인터넷 폰 또는 이들이 조합된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타입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타입(bar-type), 플립-타입(flip-type) 또는 폴더-타입(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타입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타입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타입 단말기는 바-타입의 하우징과 플립이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타입 단말기는 단일의 바-타입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타입(bar-type), 플립-타입(flip-type) 또는 폴더-타입(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타입(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타입(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스윙-타입(swing-type), 슬라이딩-타입(sliding-type) 및 슬라이딩 스윙-타입(sliding sw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1)는 다수의 키패드 (2a)및 마이크 장치(2b)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2)을 기준으로 볼때, 슬라이딩 하우징(3)이 상기 본체 하우징(2) 길이의 1/3정도 까지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체 하우징(2)에 3x4 키패드가 설치될 수 있 으며, 슬라이딩 하우징(3) 전면상에 다수의 보조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보조 키패드와, 스피커 장치(3a) 및 디스플레이 장치(3b)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1)는 본체 하우징(2)과, 상기 본체 하우징(2)상에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3)과, 상기 본체 하우징(2) 및 슬라이딩 하우징(3)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을 본체 하우징(2)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모듈(4)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과 본체 하우징(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5)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모듈(4)은 상기 본체 하우징(2)에는 판형의 메인 플레이트(4a)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에는 판형의 슬라이딩 플레이트(4b)가 구비된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은 슬라이딩 하우징을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딩 종료 위치까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한번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시키는 구조이므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여러번 반복적으로 슬라이딩 개폐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고, 또한, 슬라이딩 이동시 클릭감을 주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에게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별다른 즐거움을 주지 못하여 유희적 측면에서 즐거움을 충족시키기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은 단말기의 길이방향의 상측방향 으로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본체 하우징의 1/3일부분만을 개방하여 사용함으로써, 나머지 개방되지 않은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여 단말기의 공간 활용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타입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타입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시 클릭감을 주여 이동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타입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슬라이딩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 슬라이딩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그 내측에 내장되는 슬라이딩 이동 부재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이드 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들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와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다단 이동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본체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상, 하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하부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는 베이스 부재(20)와, 슬라이딩 부재(30)와, 한쌍의 가이드 부재(40)와, 다단 이동 부재(5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본체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20)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 부재(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이드 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단 이동 부재(50)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와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40)들에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다단 이동 부재(50)는 상기 가이드 부재(4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41)의 소정 위치에 일정 깊이로 리세스 되게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도 7 및 도 8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는 베이스 부재(20)와, 슬라이딩 부재(30)와, 슬라이딩 이동 부재(21)와, 한쌍의 가이드 부재(40)와, 다단 이동 부재(50)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슬라이딩 이동 부재(2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20)를 상기 단말기의 본체 하우징(10)에 장착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상기 단말기의 슬라이딩 하우징(11)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부재(40)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1)을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로 함께 이동하고, 이때,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가이드 된다.
도 8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40)도 함께 이동하고,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레일(41)을 타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는 가이드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가 상기 가이드 레일(41)을 타고 가이드됨 아울러 상기 가이드 레일(41)의 중심부에 위치할 때 상기 다단 이동 부재(50)에 삽입된다.
상기 다단 이동 부재(50)는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 된 홈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가이드 레일(41)이 이동함과 아울러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1)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다시 인위적 힘을 가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레일(41)이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가 상기 다단 이동 부재(50)에서 이탈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1)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 종료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다시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1)을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로 함께 이동하고, 이때,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40)에 형성된 다단 이동 부재(50)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21)에 삽입됨과 아울러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1)을 원위치 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11)을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동에 따른 클릭감을 주여 유희적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9,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하우징(100)과, 슬라이딩 하우징(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20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0)을 기준으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 하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단면과 대면한 상태로 구비된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 하부에는 제 1, 2 영역(101)(102)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영역(101)은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101a)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영역(102)은 다수개의 게임 키(102a) 및 카메라 렌즈 모듈(102b)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을 상기 본체 하우징(1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제 1 영역(101)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101)의 키패드(101a)가 개방되어 단말기를 통화모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을 상기 본체 하우징(100)으로부터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기 제 1 영역(101)에 제공된 키패드(101a)을 닫는다.
여기서, 도 13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을 상기 본체 하우징(10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제 2 영역(102)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102)에는 게임 키(102a) 및 카메라 렌즈 모듈(102b)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 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제 2 영역(102)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게임 모드 및 카메라 모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을 상기 본체 하우징(100)으로부터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제 2 영역(102)을 닫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 1, 2 영역을 개폐시킨다. 이로 인해 본체 하우징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타입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단말 기의 슬라이딩 이동시 클릭감을 주여 이동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단말기의 본체를 기준으로 상, 하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슬라이딩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 슬라이딩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그 내측에 내장되는 슬라이딩 이동 부재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이드 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들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부재와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다단 이동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에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의 소정 위치에 일정 깊이로 리세스 되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이동 부재는 슬라이딩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시 착탈이 용이하게 홈으로 이루어짐을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5.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본체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상, 하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 하부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 하부에는 제 1, 2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영역은 다수개의 게임 키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영역이 개방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영역이 개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가깝게 이동시켜 다시 원위치 시키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 1, 2 영역을 닫음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
KR1020050079375A 2005-08-29 2005-08-29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35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375A KR100735304B1 (ko) 2005-08-29 2005-08-29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BRPI0604712-2A BRPI0604712A (pt) 2005-08-29 2006-08-28 dispositivo deslizante para terminal portátil
DE602006019526T DE602006019526D1 (de) 2005-08-29 2006-08-29 Schiebevorrichtung für ein tragbares Endgerät
EP06017974A EP1760996B1 (en) 2005-08-29 2006-08-29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CNA2006101286209A CN1925508A (zh) 2005-08-29 2006-08-29 用于便携式终端的滑动装置
CN201310155946.0A CN103237103B (zh) 2005-08-29 2006-08-29 用于便携式终端的滑动装置和便携式终端
US11/511,359 US7747298B2 (en) 2005-08-29 2006-08-29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375A KR100735304B1 (ko) 2005-08-29 2005-08-29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034A true KR20070027034A (ko) 2007-03-09
KR100735304B1 KR100735304B1 (ko) 2007-07-03

Family

ID=3738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375A KR100735304B1 (ko) 2005-08-29 2005-08-29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7298B2 (ko)
EP (1) EP1760996B1 (ko)
KR (1) KR100735304B1 (ko)
CN (2) CN103237103B (ko)
BR (1) BRPI0604712A (ko)
DE (1) DE602006019526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562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3659B2 (en) * 2006-08-18 2010-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TWI327454B (en) 2007-07-12 2010-07-11 Asustek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keyboard
CN101394431A (zh) * 2007-09-20 2009-03-2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滑盖结构
KR100898197B1 (ko) * 2007-10-18 2009-05-18 (주)엘티엠에이피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딩 개폐장치
US8121659B2 (en) * 2007-12-20 2012-02-21 Nokia Corporation Slide mechanism
US8108014B2 (en) * 2008-03-14 2012-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spring lift assembly
US8781540B2 (en) * 2008-08-25 2014-07-15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638937B2 (ja) 2008-12-26 2011-02-23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型ヒンジ機構
US9571211B2 (en) * 2010-11-05 2017-02-14 Atc Logistics & Electronics, Inc. Wireless enclosure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US8538496B2 (en) * 2011-08-11 2013-09-17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9672761A (zh) * 2017-10-13 2019-04-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9672762A (zh) * 2017-10-13 2019-04-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0681193B2 (en) * 2017-10-13 2020-06-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terminal
CN109995910B (zh) * 2017-12-29 2021-0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6508A1 (de) * 1998-02-17 1999-08-26 Harsch Handtelefongerät
KR100417248B1 (ko)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536939B1 (ko) * 2003-07-11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03495B1 (ko) 2003-07-1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551426B1 (ko) 2003-08-27 2006-02-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연동장치를 갖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DE10349548A1 (de) 2003-10-22 2005-05-2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triebsschaltung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slampe mit Überspannungsschutzschaltung
JP3944506B2 (ja) * 2003-10-28 2007-07-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スライド型携帯端末機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スライド装置
KR100608726B1 (ko)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73452B1 (ko) 2004-02-21 2006-04-26 (주)유엔아이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30074B1 (ko) * 2004-08-27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60044558A (ko) * 2004-09-07 2006-05-16 조필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575947B1 (ko) * 2004-09-17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754993B1 (ko) * 2004-10-08 2007-09-04 리더씨 주식회사 휴대폰 슬라이딩판의 상하이동장치
KR20060091682A (ko) * 2005-02-15 2006-08-21 양준열 양방향 슬라이딩 휴대전화
KR20060095299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양방향 슬라이드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90088B1 (ko) * 2005-03-17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562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5508A (zh) 2007-03-07
CN103237103B (zh) 2016-06-08
EP1760996B1 (en) 2011-01-12
US20070049075A1 (en) 2007-03-01
KR100735304B1 (ko) 2007-07-03
EP1760996A2 (en) 2007-03-07
US7747298B2 (en) 2010-06-29
BRPI0604712A (pt) 2007-04-27
DE602006019526D1 (de) 2011-02-24
CN103237103A (zh) 2013-08-07
EP1760996A3 (en)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62B1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100640388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8941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
KR100704031B1 (ko)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800843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13414B1 (ko) 업/다운 키들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KR10061767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338957Y1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활주모듈.
KR200425749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81076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50083235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19002B1 (ko) 양방향 멀티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200388393Y1 (ko) 곡면 슬라이딩 조립체 및 곡면 슬라이딩 조립체를 갖는곡면 슬라이딩 휴대전화기
KR20060031097A (ko)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55886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5007808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75677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4812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10092910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72117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