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196A - Rainproof Structure of Wiring Mechanism - Google Patents
Rainproof Structure of Wiring Mechan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12196A KR20070012196A KR1020060051400A KR20060051400A KR20070012196A KR 20070012196 A KR20070012196 A KR 20070012196A KR 1020060051400 A KR1020060051400 A KR 1020060051400A KR 20060051400 A KR20060051400 A KR 20060051400A KR 20070012196 A KR20070012196 A KR 200700121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wiring
- wiring mechanism
- water
- cover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65—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더욱 간소한 구성으로, 더욱 방적성이 높은 배선기구의 방우 구조를 얻는다.With a simpler structure, a rainproof structure of a wiring mechanism having higher spinning property is obtained.
방적 커버는 벽면에 마련된 배선기구(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당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6)와, 배선기구(2)를 피복하는 피복위치와 배선기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베이스(6)에 부착된 커버체(5)를 구비한다. 베이스(6)에는 피복위치에 있는 커버체(5)와 배선기구(2) 사이에 개재하는 내벽(11)이 마련되고, 그 내벽(11)과 내벽(11)에 대해 배선기구(2)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다른 부재(돌기부(6b))의 사이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물을 이송하는 간극 G1이 형성된다. The spinning cover can be opened and closed between the base 6 fixed to the wall so as to surround the wiring mechanism 2 provided on the wall, and the covering position covering the wiring mechanism 2 and the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ing mechanism. The cover body 5 attached to the base 6 is provided as much as possible. The base 6 is provided with an inner wall 11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body 5 at the covering position and the wiring mechanism 2, an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1 of the wiring mechanism 2. Between the other members (protrusions 6b)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a gap G1 for transferring water is formed by capillary ac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커버체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of the spinning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open posi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커버체가 피복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body of a spinn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covering posi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 및 배선기구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inning cover and the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일부와 배선기구의 정면도(도 5의 IV-IV 단면도),4 is a front view (a IV-IV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of a part of a spinning cover and a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 및 배선기구의 측 단면도(도 4의 V-V 단면도),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V-V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of the spinning cover and the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spinn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내벽의 상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정면도),7 is a schematic view (front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an inner wall of a spinn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베이스와 커버체의 접속부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base and a cover of a spinn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커버체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body of a spinn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inn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베이스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11A and 11B are front and side views of the base of a spun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방적커버 2: 배선기구1: spinning cover 2: wiring mechanism
3: 배선 5: 커버체3: wiring 5: cover body
5h: 노치(누수통로) 6, 6A: 베이스5h:
8: 패킹 9: 회전운동축8: packing 9: rotary shaft
11: 내벽 11d: 끝 벽부11:
12: 미끄럼 방지부 15: 리브12: non-slip unit 15: rib
16: 힌지기구 17: 외측 팽창 돌출부 16: hinge mechanism 17: outer expansion protrusion
G1, G2: 간극 W: 벽면 G1, G2: gap W: wall surface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배선기구를 물로부터 보호하는 배선기구의 방우(防雨)구조에 관한 것이다.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rainproof structure of the wiring apparatus which protects the wir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wall surface from water.
종래의 배선기구의 방우구조로서, 건조물 등의 옥외의 벽면에 마련된 배선기 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당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배선기구를 피복하는 피복위치와 배선기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베이스에 부착된 커버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해당 베이스에 배선기구의 주위를 둘러싸는 내벽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커버체의 내측으로 진입한 물이 배선기구에 튀지 않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A rainproof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iring apparatus,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etween a base fixed to the wall surface so as to surround a wiring apparatus provided on an outdoor wall surface such as a building, a covering position covering the wiring apparatus,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ing apparatus. It is known to provide a cover body attached to the base so that the inner wall surrounding the wiring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base so that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from the outside does not splash on the wiring mechanism. There i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또한, 더욱 방적성(防滴性)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그의 내벽의 끝 가장자리에 패킹을 마련한 것도 알려져 있다. It is also known to provide a packing at the end edge of the inner wall thereof to further improve the spinning property.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2000-31241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12418
그러나, 내벽에 패킹을 마련하면, 그분만큼 부품 수가 증대하고, 제조의 시간도 증대하며, 더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이 상승해 버린다.However, if a packing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the manufacturing time also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further.
그래서, 본 발명은 더욱 간소한 구성으로 더욱 방적성이 높은 배선기구의 방우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rainproof structure of a wiring mechanism having a higher spinning property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본 발명의 1 양태에 의하면, 벽면에 마련된 배선기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당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배선기구를 피복하는 피복위치와 배선기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부착된 커버체를 구비한 배선기구의 방우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피복위치에 있는 상기 커버체와 배선기구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내벽이 마련되고, 상기 내벽과, 해당 내벽에 대해 배선기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물을 이송하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an be made possible between the base fixed to the wall surface so as to surround the wir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wall, the cover position covering the wiring mechanism, and the open position to open the wiring mechanism. In the rainproof structure of the wiring mechanism provided with the cover body attached to the base, the said base is provided with the inner wall interposed between the said cover body and the wiring mechanism in a covering position, and it wires with respect to the said inner wall and the said inner wall. A gap for transferring water by capillary action is formed between the other member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trument.
본 발명의 2 양태에 의하면, 배선기구의 위쪽에 있어서, 상기 벽면을 따른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상기 간극이 형성되고, 해당 간극 내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물이 상기 벽면을 따르는 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ing mechanism, the gap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wall surface is formed, and water is transpo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wall surface by capillary action within the gap.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3 양태에 의하면, 배선기구의 위쪽에 있어서, 상기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상기 간극이 형성되고, 해당 간극 내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간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ing mechanism, the gap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all surface is formed, and water is transported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the wall surface by capillary phenomenon within the gap. It features.
본 발명의 4 양태에 의하면, 배선기구의 위쪽의 상기 내벽 상으로 진입하는 물의 양을 좌우 비대칭으로 하는 누수통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k passage is provided in which the amount of water entering on the inner wall above the wiring mechanism is asymmetrical.
본 발명의 5 양태에 의하면, 배선기구의 위쪽에 형성되는 상기 내벽의 상기 벽면으로부터 먼 측의 끝 가장자리에, 위쪽으로 신장하는 끝 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is formed at an end edge of a side far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ner wall formed above the wiring mechanism.
본 발명의 6 양태에 의하면, 상기 커버체에는 배선기구에 접속되는 배선을 커버체의 내외에서 삽입통과시키는 패킹을 장착한 노치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패킹이 커버체의 내측으로 굴곡하는 것을 규제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with a notch having a packing for inserting the wiring connected to the wiring mechanism in and out of the cover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ing is restricted from bending inside the cover body. A rib is formed.
본 발명의 7 양태에 의하면, 상기 커버체의 횡방향 중앙부에는 소정폭으로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외측 팽창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expansion protrusion is formed in the transvers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body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width.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방적커버의 커버체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커버체가 피복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배선기구 및 방적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방적커버의 일부와 배선기구의 정면도(도 5의 IV-IV 단면도), 도 5는 방적커버 및 배선기구의 측방단면도(도 4의 V-V 단면도), 도 6은 방적커버의 평면도, 도 7은 내벽의 상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정면도), 도 8은 베이스와 커버체의 접속부의 사시도, 도 9는 커버체의 사시도, 도 10은 방적커버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면 중 UP는 연직 상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파선의 화살표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물의 이송 경로를 나타낸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of the spinning c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 an open posi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is in a covering posi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ing mechanism and the spinning cover,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a part of the cover and the wiring mechanism (IV-IV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VV section of Figure 4) of the spinning cover and the wiring mechanism,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spinning cover, Figure 7 A schematic diagram (front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an inner wall,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of a base and a cover body,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body,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inning cover. In the figure, UP represents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In addition, dashed arrows are used to represent the water transport paths as appropriate.
건조물 등의 옥외의 벽면(부착 벽면) W상에는 배선기구(2)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배선기구(2)를 빗물이나 물 튀김에 의한 물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해당 벽면 W에는 배선기구(2)를 덮는 방적커버(1)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기구(2)는 배선(전원케이블)(3)에 부착된 플러그(4)가 삽입되는 콘센트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방적커버(1) 및 배선기구(2)는 모두 벽 내에 매설된 수납박스(18)에 나사 등을 이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A
방적커버(1)는 기본적으로는 배선기구(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벽면 W에 고정되는 베이스(6)와, 배선기구(2)를 피복하는 피복위치(도 2)와 배선기구(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1) 사이에서 개폐가능하게 되도록 베이스(6)에 부착된 커버체(5)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면 W를 따르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6)의 표면(6a)을 팽창돌출 성형된 커버체(5)에 의해서 덮어씌우도록 해서, 베이스(6)의 표면(6a)과 커버체(5)의 오목부의 내면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 방적커버(1)는 기본적으로는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 내로 물이 가능한 한 진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지만, 더욱 확실한 방적성을 얻기 위해 진입한 물을 배출하는 기구도 구비하고 있다. The
이들 커버체(5) 및 베이스(6)는 바람직하게는 내후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해서 구성된다. 또한, 커버체(5)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으로 하면, 커버체(5)를 개방하는 일 없이 배선기구(2)에 있어서의 배선의 접속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Thes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체(5)의 상부가 배선기구(2)보다도 위쪽에서 벽면 W를 따르는 횡방향(벽면 W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신장하는 회전운동축(9)(도 3)을 축심으로 하는 힌지기구(16)(도 4)를 거쳐서, 베이스(6)의 상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어, 커버체(5)를 잡고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 도 1과 같이 베이스(6) 및 배선기구(2)가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이 커버체(5)는 코일 스프링(10)(도 3)에 의해서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커버체(5)를 잡은 손을 놓으면, 코일 스프링(1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서 개방위치(도 1)로부터 피복위치(도 2)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체(5)가 개방된 채로 되어 배선기구(2)에 물이 튀는 것과 같은 사태가 억제된다.A force is applied to the
또한, 커버체(5)의 하부에는 노치(5i)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체(5)가 피복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노치(5i)와 베이스(6)의 하단부에 의해서, 배선(3)의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노치(5i)에는 물의 진입을 억제하도록 패킹(8)이 부착되어 있다.Moreover, the
또한, 베이스(6)와 벽면 W 사이에는 프레임형상의 패킹(7)(도 3)이 장착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6)와 벽면 W 사이로부터 내부공간으로의 물의 진입이 억제된다. 배선기구(2)는 베이스(6)의 중앙부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6d) 내에 일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해당 베이스(6)의 표면(6a) 상에 돌출되어 설치된다.Further, a frame-shaped packing 7 (FIG. 3) is mounted between the
힌지기구(1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커버체(5)의 상벽부(5b)에 마련된 노치부(5c)에, 베이스(6)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부(6b)가 끼워 넣어지고, 이들 상벽부(5b) 및 돌기부(6b)에 형성된 관통구멍(5d), (6c)을 관통하도록 회전운동축(9)이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해당 회전운동축(9)을 회전운동 중심으로 해서 베이스(6)와 커버체(5)가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 얻어지고 있다. 이 회전운동축(9)에는 코일 스프링(10)이 감겨져 있고, 이 코일 스프링(10)에 의해서 커버체(5)가 베이스(6)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10)은 베이스(6)의 횡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것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노치부(5c)와 돌기부(6b)의 끼워맞춤부가 배치되어 있다. The
이러한 종류의 방적커버(1)에서는 커버체(5)와 베이스(6)의 경계 부분의 간극으로부터 방적커버(1)의 내부공간으로의 물의 진입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방적커버(1)의 위쪽에 힌지기구(16)를 마련하면,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기구(16)의 상벽부(5b)(노치부(5c))와 돌기부(6b)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의 상측에 물이 체류하며, 그 물이 위쪽으로부터 베이스(6)와 커버체(5)의 간극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진입해 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기구(2)와 커버체(5) 사이에 내벽(11)을 개재시키고, 구체적으로는 베이스(6)의 표면(6a) 상에 배선기구(2)의 위쪽 및 측쪽을 둘러싸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C자 형상의 내벽(11)을 세워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방적커버(1) 내로 진입한 물을 막음과 동시에, 배선기구(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수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벽부(11a)는 완전한 평탄면으로 하지 않고, 중앙부로부터 측쪽을 향해서 완만하게 하향으로 경사시켜 물의 배출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내벽(11)의 하부는 배선(3)을 삽입통과하기 위해 잘라내어져 있다. In this type of spinn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내벽(11)과 해당 내벽(11)에 대해 배선기구(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부재(커버체(5)나 베이스(6)의 내벽(11) 이외의 부분 등)의 사이에서 적절한 크기의 간극 G1(도 4), G2(도 5)를 형성하고, 해당 간극 G1, G2에 있어서 모세관현상을 생기게 함으로써 소기의 방향으로 물을 이송시키고, 또한 배수를 촉진하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nother member (parts other than the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벽(11)의 상벽부(11a)와 커버체(5)의 상벽부(5b) 사이에, 벽면 W를 따른 횡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신장하는 띠형상의 간극 G1을 형성하고, 해당 벽면 W를 따른 횡방향으로 물을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간극 G1의 크기는 상벽부(5b), (11a)의 발수성이나, 내벽(11) 상으로의 진입수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 상벽부(11a) 의 상면 혹은 상벽부(5b)의 하면에, 내벽(11)의 연장설치 방향을 따르는 미세한 홈 혹은 돌기를 마련하여, 간극 G1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배수를 촉진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간극 G1을 이송된 물은 내벽(11)의 측벽부(11c)상을 타고 하강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between the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벽(11)의 상벽부(11a) 및 상벽부(11a)로부터 벽면 W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뻗은 돌출 벽부(11b)와 커버체(5)의 상복부(5b) 사이에, 벽면 W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간극 G2를 형성하고, 해당 벽면 W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물을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간극 G2의 크기도 상벽부(5b)나, 상벽부(11a), 돌출 벽부(11b)의 발수성이나, 내벽(11) 상으로의 진입수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 상벽부(11a)나 돌출 벽부(11b)의 상면 혹은 상벽부(5b)의 하면에, 내벽(11)의 연장설치 방향을 따르는 미세한 홈 혹은 돌기를 마련하여, 간극 G1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배수를 촉진시키도록 해도 좋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protruding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벽부(11b)의 선단을 커버체(5)의 상벽부(5b)와 외측 팽창 돌출부(17)의 천정 벽부(5e)의 경계 근방까지 연장해서 마련하고, 간극 G2내를 이송하는 물을 커버체(5)의 내면(천정 벽부(5e)의 내면)을 따라 흐르게 해서 하강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배선기구(2)에 물이 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천정 벽부(5e)의 내면을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배수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Here, in this embodiment, the tip of the protrud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벽부(11a)의 형상을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7은 상벽부(11a)를 상하 방향으로 과장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지만, 구체 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부(11a)의 볼록형상의 정점으로 되는 위치 M1을 방적커버(1)(베이스(6))의 횡방향 중심 M보다 좌측에 거리δ만큼 어긋나게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상벽부(11a) 상으로 물이 진입하면 그 표면장력에 의해서 해당 상벽부(11a) 상에 물방울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예의 상기 좌우 비대칭 구조에 따르면 상벽부(11a)의 상면의 경사가 좌우에서 다르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서 상벽부(11a) 상의 물방울의 좌우 밸런스가 무너져, 해당 상벽부(11a) 상에 표면장력에 의해서 물이 체류하는 것이 억제되어, 배선기구(2)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water enters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의도적으로 방적커버(1)의 외부로부터 상벽부(11a) 상으로 물을 진입시키기 쉽게 하는 누수통로를 마련하여, 상벽부(11a) 상으로 진입하는 물의 양이 좌우 비대칭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tentionally provides a water leakage passage for easily entering the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spinning
구체적으로는 상벽부(5b)의 횡방향 중앙부로부터 정면에서 보아 우측 근방의 위치에, 누수통로로서 힌지기구(16)의 노치부(5c)(상벽부(5b))와 돌기부(6b) 사이의 간극과 방적커버(1)내를 연통하는 노치(5h)(도 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5h)로부터의 물의 진입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우측의 물의 진입량이 좌측에 비해 증대하도록 하고 있다. Specifically, between the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진입한 수량의 좌우차에 의해서 상벽부(11a) 상의 물방울의 좌우 밸런스를 무너뜨려, 해당 상벽부(11a) 상에 표면장력에 의해서 물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여, 배선기구(2)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By doing so,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water droplets on the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물이 더욱 많이 진입하는 위치에는 상벽부(11a) 상에, 더욱 넓은 구간에 거쳐 연속적으로 일정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해서, 중력에 의해서 물이 흐르는 것을 촉진하여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such a configuration, the inclined surface that is continuously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formed on the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 노치(5h)를 커버체(5)의 내면 측에만 형성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견상으로는 노치(5h)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노치(5h)를 커버체(5)의 외면측까지 확장시키면, 확대한 간극이 노출하는 분만큼 더스트의 진입이나 막힘 등의 불합리가 염려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노치(5h)를 커버체(5)의 내면에 남겨 두는 것에 의해 이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is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체(5)의 하부에 형성된 노치(5i)에는 물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한 패킹(8)이 부착되어 있다. 이 패킹(8)은 노치(5i)에 끼워 넣어지는 프레임부(8a)와 해당 프레임부(8a)의 내측에서 종횡의 노치(8c)에 의해서 형성되는 주름부(8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주름부(8b)를 삽입통과시키는 배선(3)의 둘레벽을 따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밀폐성을 높이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체(5)의 하부의 패킹(8)의 상측(즉 커버체(5)의 내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판형상의 리브(15)가 마련되어 있어, 패킹(8)이 커버체(5)의 내측방향(방적커버(1)의 내부공간측)으로 굴곡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내측으로 굴곡된 패킹(8)을 따라 외부로부터 물이 진입하는 것 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리브(15) 자체에 의해서도 물의 진입이 억제된다. 또, 리브(15)에는 배선(3)을 삽입통과시키는 노치(15a)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 노치(15a)에 의해서 배선(3)의 움직임 방향이 규제되고, 패킹(8) 부분에서 배선(3)이 과도하게 굴곡되어 노치(8c)가 넓어져 밀폐성이 악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9, the plate-shap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체(5)와 베이스(6)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기구가 노치(5i)에 인접해서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치(5i)의 좌우 양측의 베이스(6)측의 모서리부에는 걸어맞춤 돌기(13, 13)가 마련되는 한편, 베이스(6)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오목부(14, 14)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걸어맞춤 돌기(13)와 걸어맞춤 오목부(14)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치(5i)에 인접한 영역은 강성이 저하해서 휘기 쉬워지고 노치(5i) 더 나아가서는 패킹(8)이 변형되기 쉬워지지만, 이러한 걸어맞춤 기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이 부분의 강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 기구의 간극을 방적커버(1)의 내부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9 and FIG. 10, the engagement mechanism which engages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체(5)의 횡방향 중앙에는 소정폭으로 외벽부(5a)로부터 외측으로 팽창돌출한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외측 팽창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팽창 돌출부(17)는 소정폭(커버체(5)의 폭의 약 1/3 정도의 폭)의 띠형상으로 상하로 신장하는 천장 벽부(5e)와 그 양측의 측벽부(5f)에 의해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 벽부(5e)는 외벽부(5a)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서서히 상승하고 있으며, 그 높이는 그 상부로부터 중앙부에 거쳐서는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포물선 형상으로 점증하고, 중앙부로부터 하부에 거쳐서는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5f)의 표면에는 미소한 요철(예를 들면 줄무늬 형상 혹은 점 형상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outer sid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측 팽창 돌출부(17)를 들어 올려 커버체(5)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12)를 마련한 분만큼, 커버체(5)를 더욱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By this structure, the
또한, 외측 팽창 돌출부(17)의 천장 벽부(5e)의 상단부를 벽면 W에 근접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천장 벽부(5e)의 상단부에서 내벽(11)의 돌출 벽부(11b)를 천장 벽부(5e)의 상단까지 근접하기 쉬워져, 해당 천장 벽부(5e)의 내면을 배수 경로로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천장 벽부(5e)를 그의 상단부로부터 완만하게, 벽면 W측, 즉 배선기구(2) 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천장 벽부(5e)의 내면 상에서 더욱 확실하게 물을 전달시키면서 물이 배선기구(2)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이상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벽(11)과 해당 내벽(11)과는 다른 부재(상벽부(5b))에 의해서 모세관 현상을 생기게 하는 정도의 크기인 간극 G1, G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물을 소기의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 배선기구(2)를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ater is formed by forming the gaps G1 and G2 which are large enough to cause capillary phenomenon by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벽(11)(상벽부(11a)) 상으로 진입한 물을 배선기구(2)의 위쪽에서, 벽면 W를 따르는 횡방향 및 벽면 W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배해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기구(2)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ater entering the inner wall 11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벽(11)(상벽부(11a)) 상으로 진입하는 수량의 좌우차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상벽부(11a) 상에서 물방울의 좌우 밸런스를 무너뜨려, 해당 상벽부(11a) 상에 표면장력에 의해서 물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여, 배선기구(2)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water droplets is broken down o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기구(2)의 위쪽의 내벽(11)(상벽부(11a))의 형상의 좌우차에 의해서, 상벽부(11a) 상에서 물방울의 좌우 밸런스를 무너뜨려, 해당 상벽부(11a) 상에 표면장력에 의해서 물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여, 배선기구(2)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water droplets is broken down o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15)에 의해서 패킹(8)이 내측으로 굴곡하여 배선(3)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해당 간극을 경유해서 방적커버(1)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체(5)와 베이스(6)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기구를 노치(5i)에 인접하여 마련했기 때문에, 노치(5i), 더 나아가서는 패킹(8)이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패킹(8)과 배선(3)과의 간극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물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engaging mechanism for engaging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팽창 돌출부(17)를 파지부로서 이용할 수 있는 분만큼, 커버체(5)를 잡기 용이해져 개폐시키기 쉬워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외측 팽창 돌출부(17)의 내측이 물을 아래쪽으 로 배출하는 홈으로 되어, 물을 더욱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해당 외측 팽창 돌출부(17)의 폭은 잡기 쉬운 적절한 크기로 하는 것이 좋다. 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팽창 돌출부(17)에 미끄럼 방지부(12)를 마련한 분만큼, 커버체(5)를 더욱 확실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외측 팽창 돌출부(17)를 마련하여, 커버체(5)를 투명한 재질에 의해서 구성한 경우, 외측 팽창 돌출부(17)의 측벽부(5f)에 미끄럼 방지부(1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해당 미끄럼 방지부(12)를 거친 투시성이 저하했다고 해도, 천장 벽부(5e)로부터 내부의 접속 상태를 육안 관찰할 수 있는 분만큼, 육안 관찰의 장해로는 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ut preferable embodimen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선기구로서 전원용의 콘센트 장치를 마련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그 대신에 스위치나 다른 배선을 접속하는 배선기구 등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ower supply outlet device is provided as the wiring mechanism is exemplified, but instead, it may be configured as a wiring mechanism for connecting a switch or other wiring.
또한, 방적 커버의 형상도 여러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체를 세로열기로 했지만, 가로열기로 해도 좋고, 배선의 도입위치(노치(5i)의 위치)를 하부 중앙부 이외로 설정한 경우에 대해서도 실시 가능하다. Moreover, the shape of a spinning cover can also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over body was made to be vertically open, it may be made to be horizontally open, and it can implement also when the wiring introduction position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선기구의 위쪽에 모세관현상을 이용해서 물을 이송하는 간극을 형성했지만, 배선기구의 측쪽이나 아래쪽 등, 다른 부분에도 동일한 간극을 형성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a gap for transferring water by using capillary phenomenon is formed above the wiring mechanism, but the same gap may be formed in other parts such as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wiring mechanism.
또한, 힌지기구에 있어서의 간극을 일부에서 넓히는 등 해서 누수통로로 해도 좋다. In addition, it is good also as a water leak passage | path by widening a clearance gap in a hinge mechanism.
또한, 도 11A 및 11B에 나타내는 베이스(6A)와 같이, 상벽부(11a)의 벽면 W로부터 먼 측의 끝 가장자리에, 위쪽으로 신장하는 끝 벽부(11d)를 마련하고, 해당 끝 가장자리를 넘어서 상벽부(11a)의 하측으로 물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패킹 등을 마련하는 일없이 비교적 용이하게 방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내벽과 다른 부재에 의해서 모세관현상을 생기게 하는 정도의 크기의 간극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물을 소기의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 배선기구를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an be transported in the desired direction by forming a gap of the size that causes the capillary phenomenon by the inner wall and other members, the wiring mechanism is protected from the water by a simpler configuration. ca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배선기구의 위쪽에서 벽면을 따르는 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기구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water can be transpo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wall surface from the upper side of the wiring mechanism, water can be prevented from splashing from the upper side on the wiring mechanis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배선기구의 위쪽에서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기구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water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all surface at the upper side of the wir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plashing of water from the upper side on the wir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한 수량의 좌우차에 의해서 배선기구 위쪽의 내벽 상에서 물방울의 좌우밸런스를 무너뜨려, 해당 내벽 상에 표면장력에 의해서 물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여, 배선기구에 위쪽으로부터 물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water droplets is broken down on the inner wall above the wiring mechanism by the left and right difference of the quantity of water entered, and the water stays on the inner wall by surface tension, and the wiring mechanism is restrained from above. The splashing of water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끝 벽부에 의해 배선기구의 위쪽의 내벽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 배선기구 측으로 물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wiring mechanism side beyond the end edge of the inner wall above the wiring mechanism by the end wall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이 내측으로 굴곡해서 배선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해당 간극을 경유해서 커버체 내로 물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cking from bending inwardly and to form a gap between the wirings and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cover body via the gap.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팽창 돌출부를 파지부로서 이용할 수 있는 분만큼 커버체를 잡는 것이 용이해져, 개폐시키기 쉽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ver body can be easily grasped and opened and closed as long as the outer expansion protrusion can be used as the grip portion.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13235 | 2005-07-22 | ||
JP2005213235A JP4432854B2 (en) | 2005-07-22 | 2005-07-22 | Rainproof structure for wir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2196A true KR20070012196A (en) | 2007-01-25 |
KR100793550B1 KR100793550B1 (en) | 2008-01-14 |
Family
ID=3765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14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3550B1 (en) | 2005-07-22 | 2006-06-08 | Rainproof Structure of Wiring Mechanism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432854B2 (en) |
KR (1) | KR100793550B1 (en) |
CN (1) | CN100539340C (en) |
TW (1) | TWI31260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56883B1 (en) * | 2009-05-15 | 2013-01-23 | ABB Oy | An electrical cabinet |
JP5906410B2 (en) * | 2011-09-21 | 2016-04-2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Outlet |
DE112012006035B4 (en) | 2012-03-15 | 2022-05-1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extraction device |
DE102013111696A1 (en) * | 2013-10-23 | 2015-04-23 | Endress + Hauser Flowtec Ag | Connecting device for a field device and field device with such a connection device |
JP6650115B2 (en) * | 2016-11-02 | 2020-02-19 | 住友電装株式会社 | connector |
JP7025991B2 (en) * | 2018-05-21 | 2022-02-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unit |
KR102062808B1 (en) | 2019-09-30 | 2020-01-06 | 주식회사 마근이엔지 | Apartment house for Electric piping apparatus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
DE102020104622A1 (en) * | 2020-02-21 | 2021-08-26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Weatherproof bushing housing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6513A (en) * | 1980-06-11 | 1982-01-13 | Toshiba Electric Equip | Waterproof wiring device |
JP2836721B2 (en) * | 1993-07-21 | 1998-12-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Drainage structure of protector |
JPH0785923A (en) * | 1993-09-14 | 1995-03-3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Terminal device |
JPH10132336A (en) | 1996-10-26 | 1998-05-22 | Chofu Seisakusho Co Ltd | Waterproof structure of outdoor unit housing |
KR19980056982U (en) | 1997-01-27 | 1998-10-15 | 손상철 | Waterproof outlet |
JP2000050460A (en) * | 1998-07-24 | 2000-02-18 | Anden |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
KR20000019321U (en) * | 1999-04-09 | 2000-11-06 | 백종현 | Waterproof device of an electric outlet |
JP2002027630A (en) * | 2000-06-30 | 2002-01-2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Drip-proof plate for wiring appliance |
JP3709837B2 (en) * | 2001-11-27 | 2005-10-26 | 松下電工株式会社 | Drip-proof plate |
-
2005
- 2005-07-22 JP JP2005213235A patent/JP443285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6-08 KR KR1020060051400A patent/KR10079355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6-08 CN CNB200610091711XA patent/CN100539340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6-22 TW TW095122420A patent/TWI312601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539340C (en) | 2009-09-09 |
KR100793550B1 (en) | 2008-01-14 |
CN1901304A (en) | 2007-01-24 |
JP4432854B2 (en) | 2010-03-17 |
TW200705768A (en) | 2007-02-01 |
JP2007037220A (en) | 2007-02-08 |
TWI312601B (en) | 2009-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3550B1 (en) | Rainproof Structure of Wiring Mechanism | |
US7671275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US7459630B2 (en) | Junction box assembly | |
US7370906B2 (en) | Door hole seal for automobile | |
JP5350088B2 (en) | Waterproof box | |
CN102472510B (en) | Outdoor unit | |
EP1852287B1 (en) | Parting seal for vehicle door | |
JP2010220366A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JP6043979B2 (en) |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box | |
JP5626703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JP5624787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EP3021438B1 (en) | Electrical insulating box with two options of tightness degree for electricity, information technology and/or telephony | |
US9126472B2 (en) | Door weatherstrip | |
JP6576282B2 (en) | post | |
JP2004217152A (en) | Raindrop preventing structure of back door | |
JP2011157697A (en) | End member of ventilation parting material, and external wall structure of building | |
JP2002325316A (en) | Waterproof type case | |
JP4630167B2 (en) | Wiring cover mounting structure | |
JP4926021B2 (en) | Outdoor terminal parts | |
KR100667447B1 (en) | Door Actuator Water Intrusion Prevention Device | |
JP3564603B2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5619454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JP6935129B2 (en) | Draining member | |
CN106170190A (en) |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plastic box | |
JP5462690B2 (en) | Engine work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