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400A - Covering device of cutting machine conveyor table opening - Google Patents
Covering device of cutting machine conveyor table ope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9400A KR20070009400A KR1020060063242A KR20060063242A KR20070009400A KR 20070009400 A KR20070009400 A KR 20070009400A KR 1020060063242 A KR1020060063242 A KR 1020060063242A KR 20060063242 A KR20060063242 A KR 20060063242A KR 20070009400 A KR20070009400 A KR 200700094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table
- opening
- cover member
- cutting machine
- convey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assignment)
재단 테이블(裁斷 table)의 모서리의 개구부(開口部)로 재단 비닐 시트 등이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The cutting vinyl sheet or the like is prevented from entering into the opening of the corner of the cutting table.
(해결 수단)(Solution)
컨베이어 테이블3의 상면에서 시트재(sheet材)2를 흡인하여 지지하면서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21에서,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모서리 부분에 생기는 개구부19에 설치된다. 커버 부재22는 개구부19에서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을 덮는 폐쇄위치로 변위 가능하므로 컨베이어 테이블3에서 시트재2를 흡인하여 지지할 때에, 밀폐 비닐 시트 등이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 테이블3의 비흡인 시 및 컨베이어 테이블3의 이송 시에는 커버 부재22가 개방위치가 되어, 커버 부재22를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는 개방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다.In the automatic cutting machine 21 which suctions and supports the sheet | seat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3, the cover apparatus 20 of the cutting machine conveyor table opening part is provided in the opening part 19 which arises in the edge part of the conveyor table 3. As shown in FIG. The cover member 22 can be displaced to the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3 at the opening 19, so that the sealed vinyl sheet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when the sheet material 2 is sucked and supported by the conveyor table 3. At the time of non-suction of the conveyor table 3 and at the time of conveyance of the conveyor table 3, the cover member 22 becomes the open position, and the cover member 22 can be retract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3 to an open position spaced apart.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이 설치되는 자동 재단기21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도2는, 도1의 자동 재단기21의 정면도이다.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도3은, 도1의 자동 재단기21의 정면도이다. 3 is a front view of the
도4는, 도1의 커버 부재22 및 레버23을 조합시킨 구성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도5는, 도1의 커버 부재22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도6은, 도1의 레버23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도7은, 도1의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의 단부를 개폐하는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40의 정면도이다. 7 is a front view of the negative pressure
도8은, 도1의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의 단부를 개폐하는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minus壓 leak 防止裝置)40의 정면도이다. FIG. 8 is a front view of a negative pressure
도9는, 종래부터의 자동 재단기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도10은, 도9의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FIG. 10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wnstream portion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conveyor table 3 of FIG.
도11은, 도9의 컨베이어 테이블3의 X축 방향과 수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FIG. 11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nveyor table 3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2 시트재 3 컨베이어 테이블2
4 반입측 에어 테이블 5 반출측 에어 테이블4 Carry-in air table 5 Carry-in air table
8 재단 비닐 시트 9 강모 블록(剛毛 block) 8
11 체인 12 브러시 부착재11 Chain 12 Brush Attachment
13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 14 콤(comb)13
15 브러시 가이드(brush guide) 15a 고무판15 brush guide 15a rubber sheet
20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 Covering devices for cutting machine conveyor table openings
21 자동 재단기 22 커버 부재21
23 레버 24 회전축23 lever 24 rotary shaft
26 변위기구 27 왕복이동기구26
28 링크기구 29 회전 실린더28
30 안내축 32 슬라이딩 부재30
33 팔로워(follower) 34 가이드 홈33
40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40 Negative Pressure Leak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재단(裁斷)하는 시트재(sheet材)를 흡인하여 지지 가능하고 반송도 가능한 재단기로서, 컨베이어 테이블(conveyor table)의 모서리 부분에 발생하는 개구부(開口部)를 막기 위한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cover 裝置)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종래부터,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자동 재단기1이 시트재2의 재단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시트재2는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 상에 흡인되어 지지되면서 재단된다. 예를 들면 시트재2로서 의복 등의 옷감을 사용하여 봉제용 부분(parts)을 재단할 때에는, 옷감을 펼쳐서 반입측 에어 테이블4로부터 컨베이어 테이블3 위로 펼친다. 컨베이어 테이블3은 표면이 강모 브러시(剛毛 brush)로 형성되어 있는 무한(無限) 모양의 벨트로서, 반입측 에어 테이블4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재2를 반출측 에어 테이블5로 반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 테이블3 위로 펼쳐진 시트재2는 재단 헤드6에 설치되는 재단 칼날에 의하여 재단된다. 재단 헤드6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인 X축 방향과 수직인 폭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Y빔7 위를 왕복이동 가능하다. Y빔7은 X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다. 재단 헤드6에 설치 되는 재단 칼날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과 수직인 Z축 방향으로 왕복이동을 반복하여 시트재2를 재단한다. Conventionally, the
재단 헤드6의 이동은,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재단선(裁斷線)을 지정하는 재단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반입측 에어 테이블4 및 반출측 에어 테이블5에는 다수의 공기분출 구멍이 형성되어, 시트재2의 반입 시 및 재단된 부분의 반출 시에는 공기를 분출시켜서 부유(浮游)시킴으로써 원활한 반입 및 반출을 가능하게 한다. 컨베이어 테이블3은 정지 상태에서 펼쳐진 시트재2를 진공흡인하여, 재단 칼날에 의한 재단 시에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진공흡인을 충분히 하기 위하여, 반입측 에어 테이블4로부터 컨베이어 테이블3 위로 시트재2를 펼칠 때에 재단 비닐 시트8로 덮는다. 이에 따라 시트재2에 통기성이 있어도, 충분한 흡인력으로 컨베이어 테이블3 위에 시트재2를 지지할 수 있다. The movement of the
도10은, 도9의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의 일단측, 예를 들면 하류측인 반출측 에어 테이블5 측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상류측인 반입측 에어 테이블4도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컨베이어 테이블3은 일정한 형상의 강모 블록9를 2차원 모양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강모 블록9는 다수의 강모가 세워서 설치되도록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된다. 강모의 선단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을 형성하고 통기성을 구비한다. 재단 칼날이 침투하는 부분의 강모는 탄성 변형하여 재단 칼날에 의한 절단을 피할 수 있다. 강모에 의한 통기성으로 컨베이어 테이블3의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시트재2를 지지할 수 있다. 강모 블록9는, Y축 방향의 양단에서 링크10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체인11에 고정되는 브러시 부착재12에 장착된다. 링크10은, 도면에서는 중간을 생략하고 있지만, 하나의 브러시 부착재12에 대하여 3피치(pitch)가 대응하고, 전체가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어서 체인11을 형성한다. 체인11은 Y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고리 모양의 각 체인11은, X축 방향의 양단에서 반입측 에어 테이블4 및 반출측 에어 테이블5의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13 사이에 길게 걸쳐 설치된다. 스프로킷 휠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분에서 강모 블록9의 양단의 궤적9a는 중앙의 궤적보다 큰 직경을 그린다. 이 때문에 반출측 에어 테이블5는,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보다도 높게 해 놓아야 한다.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과 반출측 에어 테이블5의 단차를 시트재료가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컨베이어 테이블3의 X축 방향의 양단에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콤(comb)14가 설치된다. 이 단차를 낮게 하는 것은 가능하여도(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컨베이어 테이블3에 강모 블록9를 나란히 세워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차를 없앨 수는 없다. FIG. 10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one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conveyor table 3 of FIG. 9, for example, the side of the carry-out air table 5 on the downstream side. The carry-in air table 4 on the upstream side basic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The conveyor table 3 is formed by arranging the
도9에 나타내는 컨베이어 테이블3은 통기성을 구비하는 강모 블록9를 나란히 세워서 형성되지만, 통기성이 필요한 것은 상면(上面)으로서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의 단면(端面)의 통기성은 불필요하다. 오히려 통기성이 있으면 상면에 대한 공기의 흡인력이 저하되어버린다. 본건 출원인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단면을 밀봉하는 기술을 각각 개시하고 있다(예를 들 면 특허문헌2, 3 참조). 도9의 컨베이어 테이블3에서도,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브러시 부착재12의 양단에는 브러시 가이드15를 설치하여 특허문헌3의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콤14는 브러시 가이드15의 부분에는 설치할 수 없다. 컨베이어 테이블3을 반송할 때에, 강모 블록9의 부분이면 강모가 탄성 변형되어 콤(comb)14 부분을 통과할 수 있지만, 브러시 가이드15의 표면은 변형되지 않으므로 콤14가 있으면 통과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The conveyor table 3 shown in FIG. 9 is formed by lining up the
도11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X축 방향과 수직인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컨베이어 테이블3 위에는 피재단재(被栽斷材)인 직물 등의 시트재2를 적재한다. 보통, 시트재2는 여러 장이 적층된다. 시트재2는 강모 블록9의 강모9b의 선단으로 형성되는 표면 상에 적재된다. 시트재2의 표면과 시트재2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강모9b의 표면은 재단 비닐 시트8에 의하여 덮인다. 컨베이어 테이블3의 측면은 브러시 가이드15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고무판15a의 표면에는 통기 구멍15b가 형성되어 있어 재단 비닐 시트8의 측단부를 흡인하여 지지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5 내의 통로15c, 15d를 통하여 컨베이어 테이블3의 흡인력이 통기 구멍15b에 작용한다. 브러시 가이드15의 측방에는 롤러16이 설치된다. 브러시 가이드15는 볼트17에 의하여 브러시 부착재12에 고정된다. 브러시 부착재12는 볼트18에 의하여 체인11에 고정된다. 브러시 가이드15의 표면에는 고무판15a가 부착되어 있다. 롤러16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뒤측에서 브러시 부착재12가 아래로 향하게 되었을 때에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브러시 가이드15에 의한 컨베이어 테이블3의 측단면의 밀봉을 위하여,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테이블3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단부, 즉 사각형 형상의 컨베이어 테이블3의 네모서리 부분에는 콤14를 설치할 수 없는 개구부19가 발생해버린다. 11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perpendicular to the X axis direction of the conveyor table 3. On the conveyor table 3,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305620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6-305620
(특허문헌2) 일본국 특허 제2955796호 공보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2955796
(특허문헌3) 일본국 특허 제2816780호 공보 (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No. 2816780
상기한 바와 같이, 피재단재(옷감)가 되는 시트재2를 겹쳐 쌓고 그 위에 재단 비닐 시트8을 씌워서 흡인한 후에 재단을 하는 타입의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재단기에서는,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과 반입측 에어 테이블4 및 반출측 에어 테이블5의 표면 사이의 단차를 아무리 작게 하려고 하여도 단차가 발생해버린다. 이 단차에 있어서, 재단에 의하여 개개의 부분으로 절단되어 여러 장의 시트재2가 적층된 상태이므로, 특히 반출측에서는 이 단차로 인하여 각 부분이 쓰러지기 쉽게 된다. 그러나 단차를 없앨 수는 없기 때문에 콤14를 설치한다. 콤14의 선단은 강모 블록9의 강모 안으로 들어가므로 콤14와 강모 블록9의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지 브러시 부착재12의 양단부에서 브러시 가이드15가 배치되는 부분은 콤14를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에어 테이블4, 5와 컨베이어 테이블3의 단차를 작게 하므로, 스프로킷 휠13을 회전시킬 때 에 브러시 가이드15가 반입측 에어 테이블4나 반출측 에어 테이블5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에어 테이블과 컨베이어 테이블3의 경계부에는 에어 테이블을 절단하여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utting machine as shown in Fig. 9 of the type in which a
컨베이어 테이블3을 진공 흡인하는 경우에, 재단 비닐 시트8의 측단부는 브러시 가이드15 상의 통기 구멍15b로 흡인된다. 컨베이어 테이블3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브러시 가이드15의 통기 구멍15b로 개구부19까지 재단 비닐 시트8을 흡인하는 데에 반하여, 중간부에서는 콤14의 경사를 따라 반입측 에어 테이블4나 반출측 에어 테이블5로 이행하기 때문에, 흡인력을 해제하면 재단 비닐 시트8이 개구부19 부근에 쌓이기 쉬워진다.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 테이블3을 이송하면 쌓여 있는 재단 비닐 시트8이 개구부19 내로 물려 들어갈 우려가 있다. 또한 약한 흡인 상태에서 스프로킷 휠13을 회전시켜서 컨베이어 테이블3에 의한 반송을 하면, 재단 비닐 시트8의 측단부는 브러시 가이드15의 상면에서 흡인되어 콤14가 없으므로 개구부19에 쌓여서 물려 들어가버리게 됨에 따라서 반송 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재단 비닐 시트8이 개구부19에 물려 들어가면 작업자가 그것을 고칠 필요가 있다. 또한 재단 비닐 시트8을 충분히 흡인할 수 없을 때에는, 브러시 가이드15 상의 통기 구멍15b로부터 공기 누설을 발생시키게 된다. When vacuuming the conveyor table 3, the side end of the cutting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부로부터의 공기 누설이나 재단 비닐 시트 등의 물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는 재단기의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ver device for a conveyor table opening of a cutting machine which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opening, and the inheritance of cutting vinyl sheets and the like.
본 발명은, 반송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 휠 사이에 걸쳐지는 무한 체인을 반송 방향과 수직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쌍(雙)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체인 사이에 강모 브러시의 블록을 배열하여 형성하는 컨베이어 테이블의 상면에서 시트재를 흡인하여 지지하면서 재단하는 재단기에서, 컨베이어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생기는 개구부에 설치하는 커버 장치로서, This invention arrange | positions the infinite chain which spans between a pair of sprocket wheels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in a conveyance direction, to make a pair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a conveyance direction, and set bristles between chains. As a cover device provided in the opening part which arises in the edge part of a conveyor table in the cutting machine which draws and supports the sheet | seat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formed by arranging the block of a brush,
개구부에서 컨베이어 테이블의 표면을 덮는 폐쇄 위치 및 개구부에서 컨베이어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어서 후퇴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커버 부재와, A cover member displace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in the opening and an open position retracting at a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in the opening;
컨베이어 테이블을 정지시켜서 흡인할 때에는 커버 부재가 폐쇄위치가 되고, 컨베이어 테이블이 비흡인 상태일 때 및 컨베이어 테이블을 이송할 때에는 커버 부재가 개방위치가 되도록 커버 부재를 변위시키는 변위기구를, A displacement mechanism for displacing the cover member so that the cover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conveyor table is stopped and suctioned, and the cover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when the conveyor table is in a non-aspirated state and when the conveyor table is conveyed.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이다 It is a cover device of the cutting machine conveyor table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변위기구는, 상기 개구부 근방에 설치하는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변위에 의하여 상기 커버 부재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cement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member is displaced by a rotational displacement centered on a rotational point provided near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변위기구는,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cement mechanism,
일단이 상기 회전 지점에서 회전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자유롭게 움직이며 중간에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레버와, A lever having one end rotatably supported at the rotation point, the other end freely moving, and having a guide groove in the middle thereof;
레버의 가이드 홈과 결합하면서 미리 정하는 범위를 왕복이동하여 레버를 회전변위시키는 왕복부재를 Reciprocating member that rotates the lever by reciprocating a predetermined range while engaging the guide groove of the lever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베이어 테이블에는, 상기 반송 방향의 단부를 개폐할 수 있는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가 설치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or table is provided with a negative pressure leak prevention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end portion of the conveying direction,
상기 변위기구는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 부재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cement mechanism is characterized by displacing the cover member in conjunction with a negative pressure leak preven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테이블을 덮는 부분에 탄성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the portion covering the conveyor table in the closed position.
(실시예)(Example)
도1,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로서의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이 설치되는 자동 재단기21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1은 평면에서 본 구성을 나타내고, 도2 및 도3은 정면에서 본 구성을 나타낸다. 도2는 폐쇄 상태, 도3은 개방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9∼도11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1, 2 and 3 show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은 커버 부재22로 개구부19를 개폐한다. 커버 부재22는 레버23에 장착된다. 레버23은, 컨베이어 테이 블3의 내부측에 설치되는 회전축24를 중심으로 회전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24는 자동 재단기21의 측벽에 고정된다. 콤14와 커버 부재22의 사이에는 경계판25가 설치된다. 레버23은, 일단측이 기단(基端)이 되어서 회전축24를 중심으로 회전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측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자유단(自由端)이 된다. 레버23의 자유단은 변위기구26에 연결되어 있다. The
변위기구26은, 왕복이동기구27 및 링크기구28을 포함하고 회전 실린더29에 의하여 구동된다. 왕복이동기구27은 안내축30, 지지부재31 및 슬라이딩 부재3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1은 안내축30을 X축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지지한다. 슬라이딩 부재32는 안내축30을 따라서 축선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32에는 팔로워33이 설치되고 레버23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4와 결합한다. 슬라이딩 부재32의 왕복이동은, 링크기구28이 회전 실린더29의 신축변위(伸縮變位)를 변환하여 이루어진다. 링크기구28에는, 일단이 회전 실린더29에 연결되는 회전 암35, 회전 암35의 타단 및 슬라이딩 부재3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암36이 포함된다. 회전 암35는, 일단과 타단과의 중간에 설치되는 회전지점3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변위가 가능하다. The
회전 실린더29 자체는, 유체압(流體壓)이나 전력 등으로 구동되어 로드38을 신축시키는 동작을 한다. 회전 실린더29의 케이싱(casing)은 자동 재단기21의 프레임에 신축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2에서는, 회전 실린더29가 로드38을 신장시켜, 회전 암35를 회전지점37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 향으로 구동시키고 있다. 연결 암36이 안내축30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32를 밀어, 팔로워33이 가이드 홈34를 따라 레버23을 회전변위시켜 개구부19를 막는 폐쇄위치로 커버 부재22를 변위시키고 있다. 커버 부재22는, 도11에 나타내는 브러시 가이드15의 표면에 접촉하여 개구부19를 막는다. 도3에서는, 회전 실린더29가 로드38을 수축시켜, 회전 암35를 회전지점37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있다. 연결 암36이 안내축30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32를 잡아당겨, 팔로워33이 가이드 홈34를 따라 레버23을 회전변위시켜 개구부19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커버 부재22를 변위시키고 있다. 이 회전변위의 각도는 10도 정도이다. The
반송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 휠13 사이에 걸쳐지는 무한 체인11을 반송 방향과 수직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쌍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체인11 사이에 강모 브러시의 강모 블록9를 배열하여 형성하는 컨베이어 테이블3의 상면에서 시트재2를 흡인하여 지지하면서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21에서,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의 끝이 되는 모서리 부분에 생기는 개구부19에 설치된다.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은 커버 부재22와 변위기구26을 포함한다. 커버 부재22는 개구부19에서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을 덮는 폐쇄위치로 변위 가능하므로, 컨베이어 테이블3에서 시트재2를 흡인하여 지지할 때에 개구부19로 밀폐 비닐 시트8이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위기구26은, 컨베이어 테이블3을 정지시 켜서 흡인할 때에는 커버 부재22가 폐쇄위치가 되고, 컨베이어 테이블3이 비흡인 상태일 때 및 컨베이어 테이블3을 이송할 때에는 커버 부재22가 개방위치가 되도록 커버 부재22를 변위시키므로, 컨베이어 테이블3의 이송 시에는 컨베이어 테이블3의 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는 개방위치로 커버 부재22를 후퇴시킬 수 있다. Infinite chains 11 spanning a pair of sprocket wheels 13 spaced apart in the conveying direction are arranged in pairs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bristle blocks of the bristle brushes between the chains 11. In the
이상과 같이 변위기구26은, 개구부19를 커버 부재22의 회전변위에 의하여 개폐시키기 때문에, 컨베이어 테이블3의 모서리 부분의 좁은 공간에서도 변위기구26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변위기구26은, 일단이 회전축24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자유단이 되고 중간에 가이드 홈34를 구비하는 레버23, 레버23의 가이드 홈34와 결합하면서 미리 정해진 범위를 왕복이동하여 레버23을 회전 변위시키는 왕복 부재인 슬라이딩 부재32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32의 왕복이동에 의거하여 레버23을 회전변위시켜, 커버 부재22로 개구부19를 개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도4는 커버 부재22 및 레버23을 조합시킨 구성을 나타내고, 도5는 커버 부재22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6은 레버23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4~도6의 (a)는 평면에서 볼 때, (b)는 정면에서 볼 때를 각각 나타낸다. 커버 부재22와 레버23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Fig. 4 show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레버23의 일단측에는 도1의 회전축24에 결합하는 보스39가 설치된다. 레버23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4는 폐쇄위치측34a가 개방위치측34b보다 폭이 넓어지고 있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하는 팔로워 33과의 사이에는 여유가 있다. 단지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2가 접촉하는 브러시 가이드15의 표면에는 고무판15a가 부착되어 있다. 고무판15a는, 예를 들면 수mm 정도의 두께를 구비하는 탄성부재이므로 커버 부재22가 가압되면 탄성변형한다. 폐쇄위치측34a에서 가이드 홈34의 폭 치수에 여유를 갖게 해 둠으로써 브러시 가이드15의 높이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22의 이면측에 탄성판을 직접 부착해 두면 밀봉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커버 부재22는, 폐쇄위치에서 컨베이어 테이블3을 덮는 부분에 탄성재를 구비하게 되므로 공기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의 변위 시에 커버 부재22가 컨베이어 테이블3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One end of the
도7 및 도8은,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의 단부를 개폐하는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40의 구성을 나타낸다.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40은,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킹41로 컨베이어 테이블3의 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패킹41은 슬라이딩 부재32와 회전부재42에 의하여 지지된다. 회전부재42는, 기단이 회전지점43에서 자동 재단기21의 측벽으로부터 지지되고 자유단으로 패킹41을 지지한다. 즉 재단기 컨베이어 테이블 개구부의 커버 장치20은,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40이 컨베이어 테이블3의 반송 방향의 단부를 개폐하는 것에 연동하여, 개구부19를 개폐할 수 있다. 변위기구26의 구동원(驅動源)으로서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40의 구동원인 회전 실린더29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용 구동원은 불필요하게 된 다. 7 and 8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negative pressure
또한, 레버23에 직접 구동원을 설치하여 커버 부재22의 회전변위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왕복이동기구26을 실린더 등의 왕복 구동원으로 치환하여 레버23을 회전변위시킬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rive source directly to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개의 강모 브러시의 블록을 배열하여 형성하는 컨베이어 테이블의 상면에서 시트재를 흡인하여 지지하면서 재단하는 재단기에서, 컨베이어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생기는 개구부를 커버 부재로 개폐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개구부에서 컨베이어 테이블의 표면을 덮는 폐쇄위치로 변위 가능하므로, 컨베이어 테이블에서 시트재를 흡인하여 지지할 때에 밀폐 비닐 시트 등이 개구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위기구는, 컨베이어 테이블을 정지시켜서 흡인할 때에는 커버 부재가 폐쇄위치가 되고, 컨베이어 테이블이 비흡인 상태일 때 및 컨베이어 테이블을 이송할 때에는 커버 부재가 개방위치가 되도록 커버 부재를 변위시키므로, 컨베이어 테이블의 이송 시에는 컨베이어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는 개방위치로 커버 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tting machine which draws and supports the sheet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formed by arranging the blocks of the bristle brushes, the opening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veyor tabl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member. Since the cover member can be displaced from the opening to the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ed vinyl sheet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opening when the sheet material is attracted and supported by the conveyor table. The displacement mechanism displaces the cover member such that the cover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conveyor table is stopped and attracted, and the cover member is displaced so that the cover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when the conveyor table is in a non-aspirated state and when the conveyor table is transported. At the time of transfer of the cover member, the cover member can be retracted to an open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conveyor ta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부재의 회전변위로 개구부를 개폐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의 좁은 공간에도 변위기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at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cover member, the displacement mechanism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t the corner of the conveyor ta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왕복 부재의 왕복이동에 의거하여 레버를 회전변위시켜, 커버 부재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can be rotated based on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member, and the opening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memb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위기구의 구동원으로서 마이너스압 리크 방지장치의 구동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용 구동원은 불필요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e source of the negative pressure leak prevention device can be used as the drive source of the displacement mechanism, a separate dedicated drive source is un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테이블을 덮는 부분에 탄성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the portion covering the conveyor table in the clos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부재는, 폐쇄위치에서 컨베이어 테이블을 덮는 부분에 탄성재를 구비하므로 공기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변위 시에 커버 부재가 컨베이어 테이블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at the portion covering the conveyor table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ver member is reliably prevented from air leakage, and the impact when the cover member contacts the conveyor table when the cover member is displac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Can alleviate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07217 | 2005-07-15 | ||
JP2005207217A JP4673691B2 (en) | 2005-07-15 | 2005-07-15 | Cover device for cutting table conveyor table open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9400A true KR20070009400A (en) | 2007-01-18 |
Family
ID=3760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3242A Abandoned KR20070009400A (en) | 2005-07-15 | 2006-07-06 | Covering device of cutting machine conveyor table opening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673691B2 (en) |
KR (1) | KR20070009400A (en) |
CN (1) | CN1896368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9129B2 (en) * | 2007-09-21 | 2012-07-18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Cutting machine |
CN101748591B (en) * | 2008-12-11 | 2013-06-26 |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 Cutting machine |
JP5330086B2 (en) * | 2008-12-11 | 2013-10-3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Cutting machine |
CN101947792B (en) * | 2010-08-17 | 2012-09-26 | 山西晋西压力容器有限责任公司 | Cutting and forming equipment of checking cylinder felt strips |
JP6008630B2 (en) * | 2012-07-18 | 2016-10-19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Cutting machine |
CN105751285B (en) * | 2016-05-16 | 2017-07-11 |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band slides the cutting machine of row's curtai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9382A (en) * | 1991-09-06 | 1993-03-23 | Shima Seiki Mfg Ltd | Leak preventive device of automatic cutting machine |
JP2897016B2 (en) * | 1991-10-08 | 1999-05-3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Leak prevention device in automatic cutting machine |
JP3023622B2 (en) * | 1991-10-08 | 2000-03-2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Suction area dividing device in automatic cutting machine |
JP2955796B2 (en) * | 1992-04-27 | 1999-10-04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Negative pressure leak prevention device for suction table in cutting machine |
JP3469623B2 (en) * | 1994-01-27 | 2003-11-25 | 株式会社川上製作所 | Sheet material cutting machine |
JP4398294B2 (en) * | 2004-04-09 | 2010-01-13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Cutting machine cleaner |
-
2005
- 2005-07-15 JP JP2005207217A patent/JP467369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7-06 KR KR1020060063242A patent/KR20070009400A/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7-14 CN CN2006101063785A patent/CN1896368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021647A (en) | 2007-02-01 |
CN1896368A (en) | 2007-01-17 |
CN1896368B (en) | 2010-11-17 |
JP4673691B2 (en) | 2011-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009400A (en) | Covering device of cutting machine conveyor table opening | |
JP5469459B2 (en) | Linear actuator with dustproof mechanism | |
JP2735805B2 (en) | Sheet conveying and cutting device with suction support surface by vacuum pressure | |
GB2179906A (en) | Conveyorized vacuum table for feeding sheet material | |
GB2118472A (en) | Apparatus for working on limp material on a conveyor | |
JP5100257B2 (en) | Cutting machine and method for removing dust | |
GB211847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cut sheet material | |
FI86564C (en) | Transport table for cutting strip material | |
TW202106481A (en) | Adsorption type positioning device which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material unit during processing and the processing quality and smoothness | |
JP4979129B2 (en) | Cutting machine | |
EP0367517B1 (en) | Chip removing device for multihead machine tool | |
JP2009072886A (en) | Cutter | |
JPS63278794A (en) | Sealing device in vacuum clamp type table | |
JP4398294B2 (en) | Cutting machine cleaner | |
JPH05177592A (en) | Laminate cutting device | |
JP3469623B2 (en) | Sheet material cutting machine | |
JP5061323B2 (en) | Sheet material cutting method and cutting apparatus | |
JP2955796B2 (en) | Negative pressure leak prevention device for suction table in cutting machine | |
JP4757777B2 (en) | Cutting machine | |
KR102364791B1 (en) | Work transfer device and work transfer method | |
US20130340585A1 (en) | Seal for a Sawing Machine for Separa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Saw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a Seal | |
JP2004012048A (en) | Clean assembly module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constructed of it | |
JP2013019520A (en) | Table device | |
CN107414319B (en) | Laser cut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816780B2 (en) |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sealed sheet in cutt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2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