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31684A -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684A
KR20060131684A KR1020060054103A KR20060054103A KR20060131684A KR 20060131684 A KR20060131684 A KR 20060131684A KR 1020060054103 A KR1020060054103 A KR 1020060054103A KR 20060054103 A KR20060054103 A KR 20060054103A KR 20060131684 A KR20060131684 A KR 20060131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ng
lipolysis
extract
obesity
improving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175B1 (ko
Inventor
요코 스에타케
케이시로 요시다
스스무 시무라
츠토무 아라카와
마사히로 타니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3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0Fumariaceae (Fumitory family), e.g. bleeding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세포 중의 특히 중성지방 분해능이 탁월한 식물체를 검색하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축적된 지방조직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고, 전신 또는 국소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비만의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하고 천연물 유래의 식물체를 사용하므로 안정성이 높은 신규한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방분해, 지방세포, 중성지방, 비만

Description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Lipolysis booster and its food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obesity}
본 발명은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세포 중의 특히 중성지방 분해능이 탁월한 식물체를 검색하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축적된 지방조직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고, 전신 또는 국소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비만의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하고 천연물 유래의 식물체를 사용하므로 안정성이 높은 신규한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소비에너지에 비해 과잉으로 섭취한 에너지가 지방세포에 중성지방으로 축적하여 생기는 것으로, 동맥경화 등의 여러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미용상 좋지 못하기 때문에, 그 예방개선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일본을 비롯하여 선진국에서는 비만자의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과식,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식사제 한, 운동요법은 강한 의지와 오랜 기간 지속할 필요가 있어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이 많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비만의 예방, 개선에 유효한 지방분해 촉진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율무, 대맥, 결명자, 번석류(蕃石榴) 및 애플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소재의 추출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분해 촉진제가 지방세포 중에 축적하는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고, 비만을 억제 및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2002-275078호). 또한 이질풀엑기스, 작약엑기스, 월년초엑기스, 타임엑기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지방분해 촉진제가 전신 또는 국소 지방조직의 감소를 촉진함에 의한 비만체질의 개선, 또는 동 조직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에 의한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에 유효하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2000-63237호).
또한, 오렌지잎, 오렌지꽃, 머위(coltsfoot) 잎 및 창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구성된 지방분해 촉진제가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 비만체질 개선, 국소 또는 전신 지방조직의 감량에 유용하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1999-228431호).
그리고, 후추과 식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 촉진제가 지방조직에 명백한 지방분해 촉진 작용을 가지며, 비만의 억제, 방지 및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1996-245410호).
또한, 엉겅퀴족의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 촉진제가 지방조직에서 명백한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가지며, 비만의 억제, 방지 및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1996-301780호).
또한 바나나 과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분해 촉진제가 축적한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고, 충분히 비만을 억제, 방지,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2000-44482호).
그러나 이들 지방분해 촉진제가 반드시 충분한 효과를 갖는다고 말할 수 없으며, 또한, 그 중에서는 부작용의 우려가 있는 물질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비만의 예방, 개선에 충분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방분해 촉진제를 개발함에 있어, 비만의 원인인 지방세포의 증가, 방대함에 주목하고, 지방세포 중의 중성지방의 분해를 촉진할 경우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지방세포 중의 중성지방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는 각종 식물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육두구(Myristica fragarance), 스컹크 캐비지(Symplocarpus foetidus), 캘리포니아 양귀비(California Poppy, Escholzia california), 흑삼릉(Sparganium stoloniferum), 블러드루트(Sanguinaria canadensis), 오레곤 그레이프(Oregon grape, Mahonia Aquifolium), 석창포(Acorus gramineus), 바나나(Musa paradiciaca)의 열매부위, 애니시다(Cytisus scoparius), 골든씰(goldenseal, Hydrastis canadensis), 파일와트(Ficaria ranunculoides), 휴미토리(fumitory, Fumaria officinalis), 플로리번다(Icoja, Unonopsis floribunda), 물냉이(Nasturtium officinale), 블랙커민(black cumin, Nigella sativa), 네틀(nettle, Urtica dioica),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권삼(Polygonum bistorta)이 특히 지방세포에 있는 중성지방의 분해를 촉진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지방세포 분해 촉진능이 우수한 식물체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규한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육두구 (Myristica fragarance),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캘리포니아 양귀비(California Poppy, Escholzia california), 흑삼릉(Sparganium stoloniferum), 블러드루트(Sanguinaria canadensis), 오레곤 그레이프(Oregon grape, Mahonia Aquifolium), 석창포(Acorus gramineus), 바나나(Musa paradiciaca)의 열매부위, 애니시다(Cytisus scoparius), 골든씰 (goldenseal, Hydrastis canadensis), 파일와트(Ficaria ranunculoides), 휴미토리(fumitory, Fumaria officinalis), 플로리번다(Icoja, Unonopsis floribunda), 물냉이(Nasturtium officinale), 블랙커민(black cumin, Nigella sativa), 네 틀(nettle, Urtica dioica),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및 권삼(Polygonum bistorta)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체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분해 촉진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방세포 중의 특히 중성지방 분해능이 탁월한 식물체를 검색하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축적된 지방조직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고, 전신 또는 국소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비만의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하고 천연물 유래의 식물체를 사용하므로 안정성이 높은 신규한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 효능 등에 대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로서는, 각 식물을 그대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여도 좋으나, 건조시키거나, 건조시킨 것을 분말화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또한, 각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식물추출물이란, 물, 각종 유기용매 또는 물을 함유하는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된 액상 엑기스이면 좋고, 또한 그 액상엑기스를 통상의 건조방법(예를 들어, 감압건조, 동결건조 등) 및 농축방법 등에 의해 건고(乾固) 또는 농축한 것이라도 좋다. 유기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탄소수 1 ∼ 4 범위의 지방족 알콜류, 케톤류, 아세테이트류 및 탄화수소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초산에틸, 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한, 식물추출물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그 결과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탈취, 탈색 등의 정제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는, 경구제, 외용제 등의 임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절한 부형제를 사용하여 이들 식물추출물을 과립상으로 할 때, 복용제로서 사용하기 쉬운 정제, 타블렛, 캅셀제 등의 상태로 제제화하여도 좋다.
또한 지방분해 촉진제는 얼굴이나 복부에 직접 도포하므로써, 이들 부위의 지방을 국소적으로 감소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외용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용제로는 화장수, 젤, 스킨로션, 연고제, 페이스트제, 파프제, 플라스터(plaster)제, 스틱제, 시트제, 입욕제, 신체세정용 정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의 배합량은, 첨가형태 및 투여형태에 따라 다르며, 넓은 범위부터 선택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용제의 경우에는, 용매추출건조물 환산으로, 조성물 중에 0.005 중량% 이상, 특히 0.01 ∼ 30 중량%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구제의 경우에는, 용매추출건조물 환산으로, 조성물 중 0.01 ∼ 10 중량%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경구제의 경우 성인의 1일 섭취량을 0.01 ∼ 10 g, 바람직하기로는 0.05 ∼ 3 g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지방분해 촉진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은 지방분해 촉진제가 배합되어 지방분해 촉진능을 나타내므로 비만의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한 기능성 식품으로써, 식품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캔디, 비스켓 등의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음료, 빵류, 면류 등이 있으며, 식품 첨가제로서 조미류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기능성 식품은 비만의 예방효과 및 비만 개선효과가 부여된 식품이며, 건강식품, 기능성식품, 혹은 특정보건용 식품 형태를 취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이렇게 배합된 식품을 섭취하므로써, 비만의 개선 및 비만으로 파생하는 생활습관병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지방분해 촉진제는 애완용 동물의 사료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는 지방분해 촉진제의 배합량은 용매추출건조물 환산으로, 식품 중에 0.0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 99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시된 식물체는 자연 유래의 천연물이고, 오래전부터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진 것이므로 인체에 적용하더라고 무해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본 시험은, 식물체로부터 식물추출물을 얻기 위해 실시하였다.
1) 공시재료
다음 표 1에 나타낸 18종의 식물을 이용하였다.
2) 시험법
식물을 건조시키고, 그 건조체 10 g에 50% 에탄올 또는 물을 100㎖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70 ℃에서 2시간 추출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한 후 식물추출물을 얻었다.
3) 시험결과
각 추출물의 수율을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식물재료명 수율(%)
50% 에탄올 추출 물 추출
스컹크 캐비지 23 23
애니시다 16 19
블러드루트 28 28
캘리포니아 양귀비 6 20
오레곤 그레이프 8 8
육두구 21 21
석창포 6 15
바나나(열매) 35 39
골든씰 22 16
흑삼릉 14 16
파일와트 30 22
휴미토리 20 28
플로리번다 6 5
물냉이 20 19
블랙커민 21 12
네틀 11 18
냉이 19 20
권삼 26 29
시험예 2
본 시험은 상기 시험예 1에서 얻어진 식물추출물의 지방분해촉진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 공시재료
시험예 1에서 제조한 50% 에탄올 추출물 18종, 물 추출물 7종의 동결건조식물추출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하였다.
2) 시험법
(1) 지방세포의 배양
마우스 유래 전구지방세포인 MC3T3-G2/PA6세포를 24well 플레이트에 5 × 104 개/well이 되도록 퍼트리고,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첨가 α-MEM배지에서 5% CO2존재 하, 37 ℃에서 배양하였다. 컨플루엔트(confluent)로 되기 직전,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methylxanthine) 및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10 %FBSα-MEM배지로 교환하고,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유도후 8 ∼ 9 일간 배양하고, 지방세포를 성숙시킨 후에 시험을 실시하였다.
(2) 지방분해활성측정법
배양상칭을 버리고, 웰을 PBS(-)로 세정한 후, 동결건조 식물추출물과 2% BSA, 4.5g/L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덜베코 인산 완충액(Dulbecco's Phoshate Buffered Saline : DPBS)을 가하고, 1시간 인큐베이터에 넣었다. 또한, 동결건조 식물추출물의 양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 모두 반응계에서 최종농도가 10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인큐베이트한 후, 상칭을 샘플링하고, 트리글리세라이드 E-테스트와코(E-test wako)를 이용하여 지방의 분해산물인 글리세롤의 유리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지방분해 촉진율은 이하의 식으로 표시된 대조군(동결건조식물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수치를 100%로 한 경우에 대한 상대적 수치이다.
Figure 112006042078551-PAT00001
3) 시험결과
지방분해 촉진작용의 판정은, 지방분해에 의해 생성하는 유리 글리세롤의 양의 측정치로부터 구한 지방분해 촉진율에 의해 이루어졌다.
다음 표 2, 3 및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시 식물추출물을 단독 혹은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첨가한 경우, 무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지방분해가 촉진된다는 사실이 명백해 졌다.
식물 재료명 50%에탄올 추출물의 지방분해 촉진율(%)
스컹크캐비지 2300
애니시다 1500
블러드루트 1500
캘리포니아 양귀비 1500
오레곤 그레이프 1100
육두구 1000
석창포 1000
바나나(열매) 900
골든씰 720
흑삼릉 540
파일와트 500
휴미토리 490
플로리번다 450
물냉이 410
블랙커민 340
네틀 320
냉이 160
권삼 190
식물 재료명 물추출물의 지방분해 촉진율(%)
스컹크캐비지 530
블러드루트 600
캘리포니아 양귀비 730
오레곤 그레이프 460
육두구 780
바나나(열매) 600
식물재료명 5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의 지방분해 촉진율 (%)
육두구+바나나(1:1) 1900
육두구+블러드루트(1:1) 2200
바나나+캘리포니아 양귀비(1:1) 1200
블러드루트+캘리포니아 양귀비(1:1) 2100
바나나+블러드루트(1:1) 1700
육두구+캘리포니아 양귀비+블러드루트(1:1:1) 2400
캘리포니아 양귀비+블러트루트+바나나(1:1:1) 1500
블러드루트+육두구+바나나(1:1:1) 1800
육두구+바나나+캘리포니아 양귀비+블러드루트(1:1:1:1) 2200
실시예 1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껌베이스 20.0 중량%
설탕 55.0 중량%
포도당 23.5 중량%
연화제 1.0 중량%
오레곤 그레이프 50% 에탄올 추출물 0.5 중량%
실시예 2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껌베이스 20.0 중량%
자일리톨 75.0 중량%
환원맥아당 3.8 중량%
연화제 1.0 중량%
오레곤그레이프 물 추출물 0.2 중량%
실시예 3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설탕 75 중량%
유당 20 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 중량%
향료 0.4 중량%
물냉이 50% 에탄올 추출물 0.1 중량%
정제수 4.3 중량%
실시예 4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초콜렛을 제조하였다.
설탕 41.0 중량%
카카오매스 15.0 중량%
전지분유 25.0 중량%
코코어버터 18.0 중량%
유화제 0.3 중량%
향료 0.4 중량%
스컹크캐비지 50% 에탄올 추출물 0.3 중량%
실시예 5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과당포도당음료 5.00 중량%
설탕 4.50 중량%
감미료 1.28 중량%
향료 0.20 중량%
권삼 50% 에탄올 추출물 0.02 중량%
정제수 89.0 중량%
실시예 6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오렌지과즙 85.25 중량%
설탕 11.70 중량%
구연산 2.00 중량%
향료 1.00 중량%
육두구 50% 에탄올 추출물 0.05 중량%
실시예 7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과당포도당액당 0.5 중량%
설탕 8.7 중량%
산미료 1.2 중량%
향료 0.3 중량%
정제수 89.0 중량%
안정제 0.2 중량%
블랙커민 물 추출물 0.1 중량%
실시예 8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애견푸드를 제조하였다.
옥수수 33.0 중량%
소맥분 35.0 중량%
대두박 21.0 중량%
쌀겨(탈지) 5.5 중량%
미트밀 5.0 중량%
미네랄믹스 0.2 중량%
플로리번다 50% 에탄올 추출물 0.3 중량%
실시예 9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분말을 하드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을 제조하였다.
스컹크캐비지 물 추출물 50.0 중량%
유당 48.0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0 중량%
실시예 10
다음에 제시하는 배합비의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분말을 타정하고, 1정 200 ㎎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네틀 50% 에탄올 추출물 20.0 중량%
직타용미립 48.0 중량%
(메타큐산알루민산마그네슘 20%, 옥수수전분 30%, 유당50%)
결정셀룰로오스 30.0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0 중량%
실시예 11
다음에 제시하는 배합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즉, 제시한 식물추출물을 정제수로 완전히 용해하고, 단시럽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육두구 물 추출물 0.1 중량%
단시럽 30.0 중량%
정제수 69.9 중량%
실시예 12
다음 제시하는 배합비의 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캘리포니아 양귀비 물 추출물 0.2 중량%
설탕 50.0 중량%
물엿 35.3 중량%
향료 0.5 중량%
정제수 14.0 중량%
실시예 13
다음 제시되는 배합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도우를 형성하고, 연전(延展)후 이를 성형하여 오븐에 배소(焙燒)하고,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육두구 50%에탄올 추출물 0.5 중량%
소맥분 50.6 중량%
콘스타치 5.1 중량%
설탕 12.7 중량%
마가린 6.5 중량%
식염 0.3 중량%
탄산나트륨 1.3 중량%
탄산암모늄 0.5 중량%
대두레시틴 0.3 중량%
전란 4.1 중량%
향료 0.3 중량%
정제수 17.8 중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은, 지방조직에서 명백하게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가지며,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비만체질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육두구 (myristica fragarance), 스컹크 캐비지 (Symplocarpus foetidus), 캘리포니아 양귀비(California Poppy, Escholzia california), 흑삼릉(Sparganium stoloniferum), 블러드루트(Sanguinaria canadensis), 오레곤 그레이프(Oregon grape, Mahonia Aquifolium), 석창포(Acorus gramineus), 바나나(Musa paradiciaca)의 열매부위, 애니시다(Cytisus scoparius), 골든씰 (goldenseal, Hydrastis canadensis), 파일와트(Ficaria ranunculoides), 휴미토리(fumitory, Fumaria officinalis), 플로리번다(Icoja, Unonopsis floribunda), 물냉이(Nasturtium officinale), 블랙커민(black cumin, Nigella sativa), 네틀(nettle, Urtica dioica),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및 권삼(Polygonum bistorta)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체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 촉진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물 추출물, 유기용제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 촉진제.
  3. 청구항 1 또는 2의 지방분해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 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분해 촉진제는 식품 중 0.0001 ∼ 99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5. 청구항 1 또는 2의 지방분해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및 개선용 경구용 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분해 촉진제는 경구용 제제 중 0.01 ∼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및 개선용 경구용 제제.
  7. 청구항 1 또는 2의 지방분해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외용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분해 촉진제는 외용제 중 0.005 ∼ 30 중량%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외용제.
KR1020060054103A 2005-06-16 2006-06-15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기능성 식품 KR100813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7058A JP5118292B2 (ja) 2005-06-16 2005-06-16 脂肪分解促進剤
JPJP-P-2005-00177058 2005-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84A true KR20060131684A (ko) 2006-12-20
KR100813175B1 KR100813175B1 (ko) 2008-03-17

Family

ID=3757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103A KR100813175B1 (ko) 2005-06-16 2006-06-15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86180A1 (ko)
JP (1) JP5118292B2 (ko)
KR (1) KR1008131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77B1 (ko) * 2008-12-02 2011-03-03 동화약품주식회사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10078832A (ko)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CN115211327A (zh) * 2021-09-15 2022-10-21 孟元生 一种高产量苦荬菜的种植方法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07910A (zh) * 2007-03-30 2010-05-12 三得利控股株式会社 具有交感神经活动亢进作用的医药组合物或饮食物
FR2922109B1 (fr) * 2007-10-16 2010-08-20 Bruno Eto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dietetique pour inhiber l'absorption intestinale du sucre.
JP4201091B1 (ja) * 2008-06-03 2008-12-24 株式会社ノエビア 保湿剤、抗老化剤、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WO2010064845A2 (en) * 2008-12-02 2010-06-10 Dong Wha Pharm. Co., Lt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the functional foo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comprising the extract from myristica fragrans houttuyn
JP4845067B2 (ja) * 2009-09-01 2011-12-28 国立大学法人奈良女子大学 塩味増強剤及び塩味増強方法
JP5719113B2 (ja) * 2010-02-19 2015-05-13 稲畑香料株式会社 消臭剤及びそれを用いた消臭剤組成物
FR2994841B1 (fr) * 2012-09-03 2014-09-26 Limousine D Applic Biolog Soc Ind Principe actif obtenu a partir de fumaria officinalis et son utilisation pour le soin du cuir chevelu
JP6034817B2 (ja) * 2014-02-28 2016-11-30 株式会社ファーマフーズ バナナ酵素処理物およびその利用
EP3023103A1 (en) * 2014-11-19 2016-05-2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complex extracts including Saururi chinensis Baill. extract, Curcumae longae rhizoma extract and Polygalae radix extract
CN105688029A (zh) * 2014-11-28 2016-06-22 韩国韩医学研究院 含有三白草、姜黄及远志的复合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肥胖的药学组合物
JP6047545B2 (ja) * 2014-12-09 2016-12-21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オリエンタル メディシン サンパクソウ、キョウオウ及びオンジの複合抽出物を含む、肥満の予防又は治療用薬学組成物
KR101716801B1 (ko) 2015-04-15 2017-03-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EP3750546A4 (en) * 2018-02-09 2021-10-27 Kohaku Bio Technology Co., Ltd. GLYCEROL RELEASE PROMOTER
KR102047461B1 (ko) * 2018-02-23 2019-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6012B1 (ko) * 2019-07-02 2023-01-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082A (ja) 1998-03-19 1999-10-05 Sunstar Inc ヒト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作用を有する食品及びヒト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又はヒト動脈硬化予防又は治療剤
JP5093938B2 (ja) * 1998-03-19 2012-12-12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剤、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作用を有する食品及び食品素材並びにビフィズス菌を増殖させる方法
JP4155669B2 (ja) * 1999-06-14 2008-09-24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植物の発熱関連遺伝子と発熱関連タンパク質
WO2003006051A1 (en) * 2001-07-13 2003-01-23 Zymogenetics, Inc. Use of corticotroph-derived glycoprotein hormone to induce lipolysis
US6780440B2 (en) * 2002-01-31 2004-08-24 Yousry M. A. Naguib Herb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abetes and weight loss management
JP2003252766A (ja) * 2002-02-28 2003-09-10 Sanei Gen Ffi Inc シアニジン3−グルコシドを有効成分とする抗肥満及び/又は抗糖尿病剤
JP2004035425A (ja) * 2002-07-01 2004-02-05 Naris Cosmetics Co Ltd むくみ改善剤
JP4363825B2 (ja) * 2002-08-22 2009-11-1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脂肪細胞分化抑制剤
KR100468054B1 (ko) * 2002-08-30 2005-01-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비만억제용 조성물
US20040191330A1 (en) * 2003-03-31 2004-09-30 Keefe Candace R. Daily skin care regimen
US7288268B2 (en) * 2003-06-05 2007-10-30 Antonio Miguel Bogas Cardenosa 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JP2005008572A (ja) * 2003-06-19 2005-01-13 Yakult Honsha Co Ltd リパーゼ阻害剤
JP4373280B2 (ja) * 2003-07-29 2009-11-25 花王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
JP4437019B2 (ja) * 2003-08-21 2010-03-24 株式会社 日本薬用食品研究所 キンポウゲ科クロタネソウ属植物のアルコール抽出物とその用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77B1 (ko) * 2008-12-02 2011-03-03 동화약품주식회사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10078832A (ko)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CN115211327A (zh) * 2021-09-15 2022-10-21 孟元生 一种高产量苦荬菜的种植方法及其应用
CN115211327B (zh) * 2021-09-15 2023-09-08 孟元生 一种高产量苦荬菜的种植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6180A1 (en) 2006-12-21
JP5118292B2 (ja) 2013-01-16
JP2006347968A (ja) 2006-12-28
KR100813175B1 (ko) 200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175B1 (ko)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기능성 식품
KR101661793B1 (ko) 고지혈증 개선제 및 빈혈 개선 조성물, 요산치 저하 조성물 및 음식품
CA2854281C (en) A muscle atrophy inhibitor
KR19990063480A (ko)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US20050158435A1 (en) Process for producing sdg and foods and drinks containing the same
JP50273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4002654B2 (ja)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肥満の予防・解消剤、並びに飲食品及び皮膚外用剤
US8765191B2 (en) Cocoa extracts for use in providing skin benefits
JP6787595B2 (ja) 血流改善剤、ローヤルゼリー組成物及びローヤルゼリー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316731B1 (ko) 지방 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 및 사료
US4859468A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decomposing adipose tissue
KR20180075423A (ko)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식물성 유지의 생체 외 배출 촉진용 조성물
AU2013367872B2 (en) Igf-1 production-promoting agent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JP4542765B2 (ja) 酵素阻害剤
JP5442687B2 (ja) 脂肪分解促進剤
JPS60172926A (ja) 健康食品
KR101293032B1 (ko) 다시마 및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TH2101004951A (th) องค์ประกอบที่ใช้ทางปากที่ใช้ Itea japonica ที่ประกอบด้วยส่วนประกอบที่มีหน้าที่ทางชีวภาพในรูปของชิ้นส่วนของพืช
CN118382448A (zh) 包含济州岛黏谷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组合物
JP2000004832A (ja) リグナン含有食品
KR20050000354A (ko) 머위 추출물 함유하는 기억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KR20030074978A (ko) 모시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비만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6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7